KR101262958B1 - 굴절보도블럭 - Google Patents

굴절보도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958B1
KR101262958B1 KR1020100040899A KR20100040899A KR101262958B1 KR 101262958 B1 KR101262958 B1 KR 101262958B1 KR 1020100040899 A KR1020100040899 A KR 1020100040899A KR 20100040899 A KR20100040899 A KR 20100040899A KR 101262958 B1 KR101262958 B1 KR 101262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fraction
present
sidewalk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344A (ko
Inventor
김하늘
Original Assignee
김하늘
합덕토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늘, 합덕토건(주) filed Critical 김하늘
Priority to KR1020100040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95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굴절보도블럭에 관한 것으로, 판형의 블럭몸체와 블럭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돌기와 회전홈으로 구성되어, 굴절보도블럭이 서로 연결되었을 때,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다양한 굴절율을 가지는 보행로의 굴절상황에 대응하여 블럭몸체의 회동을 조절하며 설치할 수 있는 굴절보도불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굴절보도블럭 {A footway with refraction}
본 발명은 보행로를 포장하기위해 설치되는 보도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굴곡으로 형성된 인도에서 굴절가능하게 연결되어 인도의 굴절을 따라 시공되는 보도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굴절보도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로가 도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굴절되며 형성되었을 때, 굴절된 보행로에 설치되는 보도블럭이 보행로의 굴절된 진행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종래의 보도블럭보다 자연스러운 시공결과와 용이한 시공 과정을 제공할 수 있는 굴절보도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로는 차량이 통행하는 차도와 보행자를 분리하여 원활한 차량 통행을 유지하고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하는데 목적이 있다.
보행로는 도로를 따라 다양하게 굴절되며 형성될 수 있고, 다른 보행로와 만나며 다양한 진행방향과 굴절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복잡한 구조와 굴절을 가지는 도로에 경우, 도로와 함께 마련된 보행로 역시 다양한 굴절을 가지게 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보행로에 설치되는 보도블럭은 보행자가 안전하고 쉽게 보행할 수 있도록 장애물이 없고 최대한 동일한 평면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경사가 있는 곳에서는 완만하게 경사면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보도블럭은 시각장애가 있거나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자, 유모차를 이용하는 보행자, 보행이 미숙한 유아와 같은 특수보행자를 위하여 최대한 평평도를 유지하며, 선택적으로 그 노출면에 진행방향을 알리는 안내돌기와 안내정보판를 부착하여 보행을 돕는 기능도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더불어 보도블럭을 시공하는데 있어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어야 하고, 유지와 보수가 어렵지 않아야 하며, 보행자가 느끼는 심미감에도 충족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도블럭은 사각형, 삼각형 또는 소정의 도형형태로 시멘트나 콘크리트를 재료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보도블럭은 지면에서 깔리며 시공될 때, 서로의 면들이 맞붙도록 놓여지면서 평면을 구성할 수 있게 시공되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사각형의 보도블럭의 경우를 보자면, 보행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경계석과 만나는 부분에서는 경계석의 굴절에 따라 사각형 형상의 보도블럭이 시공되면서 모서리가 경계석과 만나는 부분에서는 블럭의 형태로 인하여 채워지지 않는 빈 공간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는 현재의 방법으로는 사각형의 보도블럭을 상기 빈 공간의 형상대로 조각하거나 재단하여 끼워넣는 방법과 시멘트나 콘크리트로 채우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끼워넣은 조각들이 유실되거나 보행로로 튀어나와 안전과 보행편의에 염려가 있고, 보행자에게 미관상 좋지 않은 인상을 주게 되며, 굴절된 보도의 가장자리 부분에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는 빈 공간을 메우기 위해 보도블럭을 조각하거나 재단할 수 있는 숙련된 시공자 작업해야 하는 제약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를 따라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보행로가 도로를 따라 다양하게 굴절되어 형성되었을 때,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은 다수개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보행로의 굴절진행 방향을 따라 시공될 수 있어서, 종래의 보도블럭보다 자연스러운 시공결과와 용이한 시공 과정을 제공할 수 있는 굴절보도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은 판상의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회전돌기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홈에 상기 회전돌기가 끼워지며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굴절보도블럭은 기존의 보도블럭과 함께 설치할 경우 기존 보도블럭의 연결형태로 인하여 발생하는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하여 본 굴절보도블럭이 연결되어 굴절된 상태에서 굴절된 지점의 측면에 접하게 설치되는 조각블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럭몸체는 상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끼움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 후에는 상기 몸체의 상부면을 이루는 기능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능패널은 상부면에 보행을 유도하는 안내돌기가 형성되거나, 발광소자와 전원부 및 제어부를 구비하여 빛을 발하여 보행자의 보행을 유도하는 발광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해 도로를 따라 형성되는 보행로가 다양하게 굴절되며 형성되었을 때, 굴절된 보행로에 설치되는 보도블럭이 보행로의 굴절 및 진행방향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굴절되게 시공되어서, 굴절된 보행로에도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하며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보도블럭이 설치된 보행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의 정면(a) 및 배면(b)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의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이 보행로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과 보조블럭이 함께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이 종래 보도블럭과 함께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에 돌기패널이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에 발광패널이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이 종래의 보도블럭과 함께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은 굴절보도블럭은 판상의 블럭몸체(100)와, 상기 블럭몸체(100) 일측 단부에 형성된 회전돌기(104)와 상기 블럭몸체(100)의 타측에 형성된 회전홈(10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돌기(104)가 인접한 블럭몸체(100)의 회전홈(102)에 끼워져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보행로가 굴절된 형태를 따라 굴절되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보도블럭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하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 보도블럭이 설치된 보행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의 정면(a) 및 배면(b)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의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만으로 보행로에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과 보조블럭이 함께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과 상기 보조블럭이 종래 보도블럭과 함께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에 돌기패널이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에 발광패널이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이 상기 돌기패널이 장착된 상태에서 종래의 보도블럭과 함께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보행로는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도로와 보행로를 사이로 경계석(300)이 설치되고, 경계석(300)과 접하며 보행로를 덮도록 보도블럭(200)이 시공되어 이루어진다.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보도블럭(200)은 사각형 형상의 보도블럭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런 형태의 보도블럭은 각 면과 면이 인접 보도블럭과 서로 접하면서 보행로를 포장하도록 시공되고 있다.
상기 종래 보도블럭(200)의 시공 중, 보행로의 진행에서 굴절부분이 발생하게 되면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문제점이 발생한다. 사각의 보도블럭이 각 네개의 면이 인접 보도블럭의 면과 접하도록 진행해면서,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어느 구간에서 굴절면을 만나게 되면, 보행로의 굴절과 보도블럭의 형태로 인하여 보행로의 가장자리에서 시공하고 있는 보도블럭 형태 그대로는 시공할 수 없는 빈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사용하던 보도블럭을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굴절면에서 발생한 빈 공간과 같은 형태로 제단하여 시공해 왔다.
따라서 종래 보도블럭을 시공 중에 보행로에 굴절구간이 발생하면 종래 보도블럭은 그 형태 그대로 시공되지 못하여 빈 공간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이는 다양한 굴절을 가지는 보행로의 경우에는 더욱 증가하게 되는 결과를 낳는다.
또한 상기 빈 공간은 숙련된 시공자의 경험과 눈짐작에 의해 보도블럭을 제단하고, 모양을 다듬은 후에 시공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종래 보도블럭을 빈 공간의 형태로 가공한 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공 후 버려지는 보도블럭으로 인해 경제적 손실이 크고 많은 시간도 소요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은 정면(b)와 배면(a)을 도시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럭몸체(100)의 일측 단부에 회전돌기(104)가 형성되고, 타측에 회전홈(102)가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돌기(104)가 인접한 블럭몸체(100)의 상기 회전홈(102)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서로 연결됨으로써, 보행로의 굴절을 따라 굴절되면 시공되어 별도의 블럭가공작업이나, 숙련공이 없이 편리하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100)의 일측 단부는 그 말단이 반원형인 회전판(105)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회전판(106)의 중심에는 회전돌기(104)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회전판(106)이 수용되어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회동공간(103)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돌기(104)가 끼워지게 형성된 회전홈(102)이 형성되어서,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보행로가 굴절된 상태를 따라 굴절되며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공간(103)은 그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서,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이 병렬적 연결과 직렬적 연결된 상태에서도 어려움 없이 회동 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은 시공을 위해 서로 연결하는데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측 굴절보도블럭의 회전돌기(104)가 타측 굴절보도블럭의 블럭몸체(100)의 후단에 형성된 회전홈(102)에 끼워져 서로 연결되도록 시공되며, 연결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블럭몸체(100)가 상기 회전돌기(104)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회동공간(103) 내에서 보행로의 굴절정도를 따라 이측 굴절보도블럭과 타측 굴절보도블럭의 회동을 조절해 굴절되게 시공한다.
이는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 4를 통해 자세히 알 수 있다. 이측 굴절보도블럭의 일측 단부의 회전돌기(104)가 위치한 부분이 타측 굴절보도블럭의 후단에 위치한 회전홈(102)를 덮도록 설치되며, 이측과 타측 굴절보도블럭은 결합한 이후에는 동일한 두께로 연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연결구성으로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보도블럭을 대체하여 보행로에 시공될 수 있으며,시공 이후라도 보행로의 굴절정도가 달라질 경우, 이에 대응하여 굴절보도블럭의 회동을 다시 조절하여 굴절 정도를 변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보행로의 굴절정도와 진행상황에 맞추어 굴절보도블럭들의 굴절정도를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종래의 경계석(300)이 설치된 굴절된 상태에서도 굴절된 경계석의 굴절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가장자리의 빈 공간이나,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보도블럭을 재단하여 끼워넣은 조각블럭이 발생하지 않고, 종래의 설치된 경계석 또는 보도블럭과 함게 자연스럽게 굴절되면서 보행로를 덮도록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종래 보조블럭에서 보행로 가장자리에 발생하였던 빈 공간들이 발생하지 않아 경제적 이익은 물론 시공자가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빈 공간을 메우기 위해 불규칙하게 재단한 조각 블럭들이 없으므로 보행자가 보행하며 시각적으로 느끼는 미적 만족도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보도블럭(200)에서는 굴절구간에 시공하면서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보도블럭(200)을 재단하고 끼워넣는 공정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에서는 이러한 공정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시공속도가 빨라지며, 숙련도가 부족한 시공자에 의해서도 손쉽게 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6내지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변화할 수 있는 보행로 환경에도 장기적 해결책이 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은 도 6 내지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종래의 보도블럭과 함께 시공될 수 있도록 보조블럭(112)이 보행로의 굴절률을 따라 회동한 굴절보도블럭의 측면에 설치되어 종래의 보도블럭과 함께 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조블럭(112)은 보행로 굴절에 따라 굴절보도블럭이 회동하면서 측면의 굴절된 부분과 접하며 설치될 수 있도록 굴절된 부분에 대응하는 기울기를 가지는 면을 가지게 된다. 바람직한 예의 하나로 상기 보조블럭(112)는 직각삼각형의 형상이 바람직하며, 이때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기울기는 다수의 기울기로 사전에 제작하여 시공시 적합한 기울기를 가지는 보조블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블럭의 일 형태로 제시하는 직각삼각형의 빗변에 해당하는 면이 굴절된 굴절보도블럭의 측면에 맞닿도록 설치되고, 높이에 해당하는 면은 종래의 보도블럭과 맞닿도록 시공되어 종래 보도블럭(200)과 함께 시공할 수 있다.
상기 보조블럭은 다양한 기울기를 가지는 직각삼각형으로 제조되어 시공상황에 맞는 기울기를 가지는 보조블럭을 사용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은 보행자의 안전과 편리를 높이기 위하여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 내지 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블럭몸체(100)의 상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10)에 설치되는 판형의 돌기패널(106)과 전광패널(108)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기패널(106)은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로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도을 수 있고, 상기 돌기가 화살표 모양과 같이 형성되어 시각적으로 보행자에게 방향정보를 제공하여 보행자의 보행을 유도할 수 있다.
역시 상기 전광패널(108)은 발광소자로 널리 쓰이는 LED소자가 바람직하고, 상기 소자의 발광을 위한 전원부와 제어부는 공지의 널리 쓰이는 기술과 다름이 없어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고 부가적인 설명도 삼가하기로 한다. 상기 전광패널(108)은 상기 블럭몸체(100)에 장착되어 내장된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야간에도 안전하게 보행자의 보행을 유도하거나 지리정보 및 이벤트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굴절보도블럭은 도 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기존의 보도블럭과 함께 상기의 보행자의 보행을 유도하는 패널(106)(108)이 장착된 굴절보도블럭이 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구체적 설명을 위한 예들로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블럭몸체 102 : 회전홈
103 : 회동공간 104 : 회전돌기
105 : 회전판 106 : 돌기패널
108 : 전광패널 110 : 수용공간
112 : 보조블럭 200 : 보도블럭
202 : 조각블럭 300 : 경계석

Claims (7)

  1. 판상으로 형성된 블럭몸체(100)의 양측 단부에는 회전돌기(104)를 구비한 회전판(105)과 회전홈(102)이 형성된 회동공간(103)이 얇은 두께로 형성되되,
    상기 블럭몸체(100)의 상부면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부면에 돌기를 구비한 돌기패널(106)이 상기 수용공간(110)에 결합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다수개의 상기 블럭몸체(100)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굴절되게 설치되면서 상기 블럭몸체(100)의 굴절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돌기가 보행을 유도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보도블럭.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보도블럭은 발광수단을 내장하여 상기 발광수단의 빛으로 보행자의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전광패널(108)을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보도블럭.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보도블럭은 서로 연결되어 굴절된 상태에서 굴절된 지점의 측면에 접하게 설치되어 공간을 막아주는 보조블럭(112)을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보도블럭.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00040899A 2010-04-30 2010-04-30 굴절보도블럭 KR101262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899A KR101262958B1 (ko) 2010-04-30 2010-04-30 굴절보도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899A KR101262958B1 (ko) 2010-04-30 2010-04-30 굴절보도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344A KR20110121344A (ko) 2011-11-07
KR101262958B1 true KR101262958B1 (ko) 2013-05-13

Family

ID=4539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899A KR101262958B1 (ko) 2010-04-30 2010-04-30 굴절보도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9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094Y1 (ko) * 2003-03-06 2003-05-22 신기철 도피 유도용 점자블럭
JP2005179949A (ja) * 2003-12-17 2005-07-07 Ibigawa Concrete Kogyo Kk 基礎構築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4370472B2 (ja) 2005-02-17 2009-11-25 揖斐川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壁面形成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094Y1 (ko) * 2003-03-06 2003-05-22 신기철 도피 유도용 점자블럭
JP2005179949A (ja) * 2003-12-17 2005-07-07 Ibigawa Concrete Kogyo Kk 基礎構築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4370472B2 (ja) 2005-02-17 2009-11-25 揖斐川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壁面形成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344A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2991B2 (en) Entrance floor system
KR102210147B1 (ko) 바닥형 보행신호등
WO2009039617A1 (en) A covering unit
ATE375417T1 (de) Sicherheitsverbesserungen für fahr- und rollbahnen von flughäfen
KR101406782B1 (ko) 도로경계석
RU169534U1 (ru) Тактильный указатель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на пешеход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KR101262958B1 (ko) 굴절보도블럭
CN104818679B (zh) 人行横道夜间安全通行方法及投光装置
WO2001057341A1 (en) Detectable warning and wayfinding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CZ289163B6 (cs) Dlaľební kostka
JP7275531B2 (ja) 交通安全システム
CN203200630U (zh) 连锁地面砖
EP0347113A1 (en) Paving and tiling
KR20130037598A (ko)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및 그의 시공 방법
JP4758744B2 (ja) 敷石の敷設法
CN205062691U (zh) 一种醒示路沿石
EP0495880B1 (en) Paving and tiling
JP2018084051A (ja) 視認性を変更可能な舗装表面への幾何学模様切削方法
CN211446453U (zh) 一种防滑建筑瓷砖
KR100589996B1 (ko) 기능성 보도블록
JP2592888Y2 (ja) 歩道用ブロック板
JP4648374B2 (ja) 横断歩道口
JP2007162336A (ja) 標識を備えた階段ブロック
JP2010065492A (ja) 透光性防音パネル
JP2010236256A (ja) 視覚障害者誘導用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