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365B1 -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 - Google Patents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365B1
KR101262365B1 KR1020110030903A KR20110030903A KR101262365B1 KR 101262365 B1 KR101262365 B1 KR 101262365B1 KR 1020110030903 A KR1020110030903 A KR 1020110030903A KR 20110030903 A KR20110030903 A KR 20110030903A KR 101262365 B1 KR101262365 B1 KR 101262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front connector
connector
prevent
swi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148A (ko
Inventor
박주호
Original Assignee
박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호 filed Critical 박주호
Priority to KR1020110030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365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1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with a ball-shaped valv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일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형성된 요입환홈 상에 다수개의 볼이 개재되는 전방연결구와, 상기 전방연결구의 타단으로 연결되어 다수개의 상기 볼을 타고 회동되는 연결 유니온과, 상기 연결 유니온의 타단에 결합되며 타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는 후방연결구를 포함하는 도장용 스위블에 있어서,
상기 후방연결구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도료의 역류를 방지하여 유통되는 도료의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역류방지부는 내부는 관통되어 상기 전방연결구 상에 위치되며, 일단이 상기 연결 유니온의 타단에 적층되되, 타단에는 환형의 제1삽입홈이 형성되는 수놈 그랜드;와, 내부는 관통되어 상기 전방연결구 상에 위치되며, 일단에는 상기 수놈 그랜드의 제1삽입홈에 삽입되는 환형의 제1삽입돌기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환형의 제2삽입홈이 형성되는 패킹;과, 내부는 관통되어 상기 전방연결구 상에 위치되되, 일단에는 상기 패킹의 제2삽입홈에 삽입되는 환형의 제2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암놈 그랜드;와, 일단은 상기 암놈 그랜드의 타단에 접촉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연결구 내부에 형성되는 단턱에 지지되어 상기 암놈 그랜드를 견고히 고정되도록 탄성 밀착시키는 탄성 스프링;과, 상기 후방연결구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후방연결구의 내부 개폐를 결정하되, 상기 전방연결구의 타단과 접촉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개폐 볼;과, 상기 전방연결구 타단의 외주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통 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도료호스의 꼬임을 방지하는 통상의 도장용 스위벨(Swivel)의 내부에 유통되는 도료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 펌프에서 제공하는 힘이 순간적으로 중단되어 발생되는 맥동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이고 균일한 도료의 도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A stamp swivel which prevents the surging}
본 발명은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료호스의 꼬임을 방지하는 통상의 도장용 스위벨(Swivel)의 내부에 유통되는 도료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 펌프에서 제공하는 힘이 순간적으로 중단되어 발생되는 맥동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이고 균일한 도료의 도포를 수행할 수 있는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료의 도장은 펌프의 압력을 이용하여 도료를 도료호스 내부로 이송시키고, 이송되는 도료는 도장기 등을 통해서 분사하는 방법으로 통상 도장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펌프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힘(압력)을 통해서 연속적인 도료의 이송이 수행되고, 연속적으로 이송된 도료는 상기 도장기를 이용한 연속적은 도료의 도포가 수행되는 것이다.
하지만, 통상의 펌프는 운전중 피스톤이 최상부에 위치하는 지점 및 최하부에 위치하는 지점에 도달시 힘의 공급이 순간 중단되어 도료호스 내부로 이송되는 도료의 이송 흐름이 중단되거나 역행하는 맥동현상이 발생되어 도장기를 통한 균일한 도료의 분사기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료의 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인해서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료호스의 꼬임을 방지하는 통상의 도장용 스위벨(Swivel)의 내부에 유통되는 도료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 펌프에서 제공하는 힘이 순간적으로 중단되어 발생되는 맥동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이고 균일한 도료의 도포를 수행할 수 있는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은 일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형성된 요입환홈 상에 다수개의 볼이 개재되는 전방연결구와, 상기 전방연결구의 타단으로 연결되어 다수개의 상기 볼을 타고 회동되는 연결 유니온과, 상기 연결 유니온의 타단에 결합되며 타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는 후방연결구를 포함하는 도장용 스위블에 있어서,
상기 후방연결구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도료의 역류를 방지하여 유통되는 도료의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역류방지부는 내부는 관통되어 상기 전방연결구 상에 위치되며, 일단이 상기 연결 유니온의 타단에 적층되되, 타단에는 환형의 제1삽입홈이 형성되는 수놈 그랜드;와, 내부는 관통되어 상기 전방연결구 상에 위치되며, 일단에는 상기 수놈 그랜드의 제1삽입홈에 삽입되는 환형의 제1삽입돌기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환형의 제2삽입홈이 형성되는 패킹;과, 내부는 관통되어 상기 전방연결구 상에 위치되되, 일단에는 상기 패킹의 제2삽입홈에 삽입되는 환형의 제2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암놈 그랜드;와, 일단은 상기 암놈 그랜드의 타단에 접촉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연결구 내부에 형성되는 단턱에 지지되어 상기 암놈 그랜드를 견고히 고정되도록 탄성 밀착시키는 탄성 스프링;과, 상기 후방연결구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후방연결구의 내부 개폐를 결정하되, 상기 전방연결구의 타단과 접촉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개폐 볼;과, 상기 전방연결구 타단의 외주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통 홈;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에 의하면, 도료호스의 꼬임을 방지하는 통상의 도장용 스위벨(Swivel)의 내부에 유통되는 도료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 펌프에서 제공하는 힘이 순간적으로 중단되어 발생되는 맥동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이고 균일한 도료의 도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의 분리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의 분리 정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의 A-A 단면도를,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A)은, 일단에는 수나사(1a)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형성된 요입환홈(1b) 상에 다수개의 볼(1c)이 개재되는 전방연결구(1)와, 상기 전방연결구(1)의 타단으로 연결되어 다수개의 상기 볼(1c)을 타고 회동되는 연결 유니온(2)과, 상기 연결 유니온(2)의 타단에 결합되며 타단에는 수나사(3a)가 형성되는 후방연결구(3)를 포함하는 도장용 스위블에 있어서,
상기 후방연결구(3)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도료의 역류를 방지하여 유통되는 도료의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역류방지부(100)는 수놈 그랜드(10)와, 패킹(20)과, 암놈 그랜드(30)와, 탄성 스프링(40)과, 개폐 볼(50)과, 유통 홈(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놈 그랜드(10)는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전방연결구(1) 상에 위치되며, 일단이 상기 연결 유니온(2)의 타단에 적층되되, 타단에는 환형의 제1삽입홈(11)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삽입홈(11)으로 삽설되는 후설될 상기 패킹(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20)은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전방연결구(1) 상에 위치되며, 일단에는 상기 수놈 그랜드(10)의 제1삽입홈(11)에 삽입되는 환형의 제1삽입돌기(21)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환형의 제2삽입홈(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수놈 그랜드(10)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후방연결구(3) 내부로 유통되는 도료가 상기 전방연결구(1)의 외주와 상기 연결 유니온(2) 내주 사이로 유통되어 상기 전방연결구(1)에 형성되는 다수의 볼(1c)이 도료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다수의 상기 볼(1c)이 도료에 노출되고, 상기 볼(1c)로 침투한 도료가 경화되어 굳어지게 되면 상기 볼(1c)을 타고 부드럽게 회전하는 상기 연결 유니온(2)의 회동이 방해되어 도료호스(4)의 꼬임을 방지하는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놈 그랜드(30)는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전방연결구(1) 상에 위치되며, 일단에는 상기 패킹(20)의 제2삽입홈(22)에 삽입되는 환형의 제2삽입돌기(31)가 형성되는 것으로, 후설될 상기 탄성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서 가압 밀착되어 상기 패킹(20)을 견고하게 밀착 고정시킨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스프링(40)은 일단은 상기 암놈 그랜드(30)의 타단에 접촉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연결구(3) 내부에 형성되는 단턱(41)에 지지되어 상기 암놈 그랜드(30)를 견고히 고정되도록 탄성 밀착시키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볼(50)은 상기 후방연결구(3)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후방연결구(3)의 내부 개폐를 결정하되, 상기 전방연결구(1)의 타단과 접촉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통 홈(60)은 상기 전방연결구(1) 타단의 외주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후방연결구(3) 내부로 도료가 유입되어 상기 개폐 볼(50)이 도료의 유통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전방연결구(1)의 타단을 폐쇄하더라도, 다수의 상기 유통 홈(60)을 통해서 도료의 유통을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A)의 유통 홈(60)은 2개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A)은 다음과 같이 동작하여 맥동현상을 방지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연결구(3)의 내부로 도료가 유입되어 유통되면, 유통되는 도료의 압력에 의해서 개폐 볼(50)이 도료의 유입방향으로 밀리면서 자연적으로 상기 후방연결구(3)의 내부가 개방되어 원활하게 도료가 유입된다.
이때, 도료의 유입방향으로 밀린 상기 개폐 볼(50)은 전방연결구(1)의 타단과 접촉되어 상기 전방연결구(1)의 타단이 폐쇄되지만, 상기 전방연결구(1)의 타단에 형성되는 유통 홈(60)을 통해서 원활한 도료의 유통이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연결구(1) 상에 형성되는 패킹(20)을 통해서 상기 전방연결구(1)와 연결 유니온(2) 사이로 도료의 침투가 견고히 방지되므로, 상기 전방연결구(1)에 형성된 다수의 볼(1c)이 도료에 노출되지 않아 상기 연결 유니온(2)의 회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되어 도료호스(4)의 꼬임이 원활하게 방지된다.
그런 후, 도료의 안정적인 유통 흐름이 유지되면, 유통되는 도료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개폐 볼(50)이 밀려 연속적으로 상기 후방연결구(3)의 내부가 개폐되다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의 작동으로 인한 맥동현상이 발생하여 도료가 유통되는 흐름이 한순간 역행되는 순간에 도료가 역류하는 압력에 의해서 밀려난 상기 개폐 볼(50)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후방연결구(3)의 내부가 폐쇄되어 도료의 역류가 방지된다.
즉, 펌프의 맥동현상으로 인한 유통되는 도료의 역류를 방지함으로, 도장시 맥동현상으로 인한 폐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의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A)은 도료호스(4)의 꼬임을 방지하는 통상의 도장용 스위벨(Swivel)의 내부에 유통되는 도료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부(10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 펌프에서 제공하는 힘이 순간적으로 중단되어 발생되는 맥동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이고 균일한 도료의 도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전방연결구 1a, 3a. 수나사
1b. 요입환홈 1c. 볼
2. 연결 유니온 3. 후방연결구
4. 도료호스
10. 수놈 그랜드 11. 제1삽입홈
20. 패킹 21. 제1삽입돌기
22. 제2삽입홈 30. 암놈 그랜드
31. 제2삽입돌기 40. 탄성 스프링
41. 단턱 50. 개폐 볼
60. 유통 홈 100. 역류 방지부
A.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

Claims (2)

  1. 일단에는 수나사(1a)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형성된 요입환홈(1b) 상에 다수개의 볼(1c)이 개재되는 전방연결구(1)와, 상기 전방연결구(1)의 타단으로 연결되어 다수개의 상기 볼(1c)을 타고 회동되는 연결 유니온(2)과, 상기 연결 유니온(2)의 타단에 결합되며 타단에는 수나사(3a)가 형성되는 후방연결구(3)를 포함하는 도장용 스위블에 있어서,
    상기 후방연결구(3)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도료의 역류를 방지하여 유통되는 도료의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역류방지부(100)는,
    내부는 관통되어 상기 전방연결구(1) 상에 위치되며, 일단이 상기 연결 유니온(2)의 타단에 적층되되, 타단에는 환형의 제1삽입홈(11)이 형성되는 수놈 그랜드(10);
    내부는 관통되어 상기 전방연결구(1) 상에 위치되며, 일단에는 상기 수놈 그랜드(10)의 제1삽입홈(11)에 삽입되는 환형의 제1삽입돌기(21)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환형의 제2삽입홈(22)이 형성되는 패킹(20);
    내부는 관통되어 상기 전방연결구(1) 상에 위치되되, 일단에는 상기 패킹(20)의 제2삽입홈(22)에 삽입되는 환형의 제2삽입돌기(31)가 형성되는 암놈 그랜드(30);
    일단은 상기 암놈 그랜드(30)의 타단에 접촉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연결구(3) 내부에 형성되는 단턱(41)에 지지되어 상기 암놈 그랜드(30)를 견고히 고정되도록 탄성 밀착시키는 탄성 스프링(40);
    상기 후방연결구(3)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후방연결구(3)의 내부 개폐를 결정하되, 상기 전방연결구(1)의 타단과 접촉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개폐 볼(50); 및
    상기 전방연결구(1) 타단의 외주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통 홈(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
  2. 삭제
KR1020110030903A 2011-04-04 2011-04-04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 KR101262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903A KR101262365B1 (ko) 2011-04-04 2011-04-04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903A KR101262365B1 (ko) 2011-04-04 2011-04-04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148A KR20120113148A (ko) 2012-10-12
KR101262365B1 true KR101262365B1 (ko) 2013-05-08

Family

ID=4728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903A KR101262365B1 (ko) 2011-04-04 2011-04-04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3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752B1 (ko) * 2013-07-29 2014-02-14 유성근 맥동현상 방지용 도장장치
KR101506260B1 (ko) 2013-11-25 2015-03-26 (주)예림도장기 커플러 기능을 갖는 고압 도장용 스위벨
KR200486883Y1 (ko) 2018-04-19 2018-07-11 (주)유니텍 안전 호스 스위블 니플
KR20200034538A (ko) 2018-09-21 2020-03-31 이종한 스위블 니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938Y1 (ko) * 2003-06-12 2003-09-06 정혜정 도장용 스위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938Y1 (ko) * 2003-06-12 2003-09-06 정혜정 도장용 스위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752B1 (ko) * 2013-07-29 2014-02-14 유성근 맥동현상 방지용 도장장치
KR101506260B1 (ko) 2013-11-25 2015-03-26 (주)예림도장기 커플러 기능을 갖는 고압 도장용 스위벨
KR200486883Y1 (ko) 2018-04-19 2018-07-11 (주)유니텍 안전 호스 스위블 니플
KR20200034538A (ko) 2018-09-21 2020-03-31 이종한 스위블 니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148A (ko) 201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365B1 (ko) 맥동현상을 방지하는 도장용 스위블
CN103453256B (zh) 带有加强翼夹持部和反向卡扣组件的扭锁连接器
KR101331060B1 (ko) 소방호스 꼬임 방지용 연결구
US11193616B2 (en) Hose connector
US9458610B2 (en) Plumbing connector
CA2505814C (en) Hose connection sleeve
KR101395468B1 (ko) 농업용 호스꼬임방지구
US6959881B2 (en) Nozzle assembly of dishwasher
US8783655B2 (en) Connector structure for pressure pipe
US20080111370A1 (en) Quick insert nozzle for tools
ITMI20000296A1 (it) Inserto con uscita a raccordo tassativamente per tubi flessibili per applicazioni oleodinamiche ed industriali
US20120097279A1 (en) Faucet structure
US20200326021A1 (en) Hose connector
KR102269854B1 (ko) 빨대
KR20220033442A (ko) 꼬임방지를 위한 소방호스와 수입 커플링 및 차입 커플링의 연결부 구조
CN206929787U (zh) 用于壁炉管道清洁的棒子
KR102225118B1 (ko) 수입 연결구와 차입 연결구를 이용한 꼬임 방지용 소방호스
US8500171B2 (en) Fluid distributor and collection device with collapsible laterals and knuckles
US9573731B2 (en) Adaptable tube connector
KR100623939B1 (ko) 호스 꼬임 방지 커넥터 및 그 제작방법
KR200302183Y1 (ko) 호스용 연결 구조물
KR102399658B1 (ko) 동심구조를 갖는 호스 커넥팅 어셈블리
KR102312659B1 (ko) 수입 연결구와 차입 연결구를 이용한 소화전밸브와 관창노즐 연결부의 꼬임 방지용 소방호스
US10074928B1 (en) Cable connecting assembly
JP3181246U (ja) 圧力管のジョイン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