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231B1 -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 - Google Patents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231B1
KR101262231B1 KR1020100029714A KR20100029714A KR101262231B1 KR 101262231 B1 KR101262231 B1 KR 101262231B1 KR 1020100029714 A KR1020100029714 A KR 1020100029714A KR 20100029714 A KR20100029714 A KR 20100029714A KR 101262231 B1 KR101262231 B1 KR 101262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er
head
acceleration sensor
axis acceleration
l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0419A (ko
Inventor
이철호
Original Assignee
노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화준 filed Critical 노화준
Priority to KR1020100029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231B1/ko
Publication of KR20110110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7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41Heads with visual indicators for aligning the golf clu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87Heads for 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축 가속도 센서에 의해 퍼터 헤드의 들림 방향과 정도를 정확하게 감지한 후에 이렇게 감지된 결과에 따라 다수의 LED 중에서 하나를 온시켜서 퍼터 헤드가 들림 방향과 정도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는 골프용 퍼터에서 골프공을 스트로크하는 부분인 헤드에 설치된 몸체에 장착된 3축 가속도 센서; 헤드 또는 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헤드의 수평 상태와 들림 방향을 표시하는 다수의 LED로 이루어진 LED 모듈; 및 몸체에 내장되고,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된 감지값에 의해 헤드의 수평 여부와 들림 방향을 판단한 후에 LED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MCU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Golf putter for correcting putting motion}
본 발명은 골프용 퍼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3축 가속도 센서에 의해 퍼터 헤드의 들림 방향과 정도를 정확하게 감지한 후에 이렇게 감지된 결과에 따라 다수의 LED 중에서 하나를 온시켜서 퍼터 헤드가 들림 방향과 정도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골퍼 스스로 퍼팅동작을 정확하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한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용 퍼터는 볼을 퍼팅을 통해 홀컵에 넣는 중요한 최종 단계에 사용하는 골프 클럽이므로 드라이브 클럽이나 아이언 클럽과는 다르게 퍼팅시 정교한 동작이 요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골프용 퍼터를 이용한 퍼팅동작은 어드레스, 백스윙 및 스트로크로 이어진다. 이러한 동작에서 어드레스 동작에서는 볼 뒤에 퍼터의 헤드를 수평하게 정열하고, 백스윙 동작에서는 어드레스 동작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헤드를 볼에 대하여 뒤쪽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백스윙의 완료 후 백스윙의 경로를 따라 헤드를 전진시켜 스토로크하는 것으로 완료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퍼팅동작 중 어드레스 동작에서 헤드를 수평으로 정렬하는 것과 백스윙에서 헤드를 몸의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일직선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퍼팅동작의 마지막 단계인 스트로크 동작을 정확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런데, 종래의 골프용 퍼터는 퍼팅동작에서 어드레스와 백스윙 자세를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배려가 없는 것이므로 골퍼는 단지 오랜 시간동안 연습을 통한 감각에 의해 바른 퍼팅동작을 익혀야지만 비로소 퍼팅동작을 능숙하게 할 수 있었던 것이다.
전술한 바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퍼팅동작 교정을 위한 골프용 퍼터를 2004년 제40,294호(출원인: 2003. 2. 27)로 특허출원하여 특허번호 제488,174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이러한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는 수평계의 원리와 마찬가지로 전도성 유동액의 기울어짐에 따라 해당 방향에 설치된 LED 접점을 온시킴으로써 퍼터의 들림 여부를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에 따르면 유동액에 의한 기계적인 접점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질 뿐만 아니라 복잡하고, 이외에도 다수의 LED를 채택할 수 없기 때문에 단지 들림 방향만을 알려줄 뿐 들림 정도는 알려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3축 가속도 센서에 의해 퍼터 헤드의 들림 방향과 정도를 정확하게 감지한 후에 이렇게 감지된 결과에 따라 다수의 LED 중에서 하나를 온시켜서 퍼터 헤드가 들림 방향과 정도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는 골프용 퍼터에서 골프공을 스트로크하는 부분인 헤드에 설치된 몸체에 장착된 3축 가속도 센서; 헤드 또는 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헤드의 수평 상태와 들림 방향을 표시하는 다수의 LED로 이루어진 LED 모듈; 및 몸체에 내장되고,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된 감지값에 의해 헤드의 수평 여부와 들림 방향을 판단한 후에 LED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MCU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서 LED 모듈은 수평 상태를 표시하는 수평상태 표시용 LED 및 수평상태 표시용 LED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각 들림 방향에 대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서 들림 방향과 정도를 표시하는 들림 정도 표시용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퍼터의 동작 상태를 알리는 사운드 및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배터리의 저전압 여부를 감지하는 저전압 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MCU는 저전압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감지값에 의해 배터리 전압이 기준전압 이하의 저전압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에 저전압인 경우에는 LED 모듈 또는 스피커를 통해 이를 경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서 MCU는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감지값에 의해 퍼터에 기준치 이상의 충격량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기준치 이상의 충격량이 인가된 경우에는 퍼터의 동작 감도를 다음 레벨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MCU는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감지값에 의해 퍼터가 전도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전도된 상태인 경우에는 배터리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MCU는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감지값에 의해 퍼터가 기준 시간 이상 무동작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기준 시간 이상 무동작 상태인 경우에는 배터리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에 따르면 3축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기구적인 구조를 단순화시킴은 물론이고 그 사이즈를 현저하게 줄일 수가 있다.
나아가, 퍼터 헤드의 들림 방향 뿐만 아니라 들림 정도까지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를 보고 보다 정확하게 본인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아울러, 3축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의사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감도 변경이나 전원 자동 차단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의 개략적인 외관을 보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의 본체 부분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의 개략적인 외관을 보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의 본체 부분의 평면도이다.
먼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회로 기판이 탑재되는 몸체(2)는 퍼터의 헤드(1) 뒤쪽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또한, 퍼터의 적소, 예를 들어 그립(G)에는 몸체(2)에 설치된 회로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T)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회로 기판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 스위치(SW1)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헤드의 상면에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터 헤드의 수평 상태와 들림 방향과 정도를 표시하는 다수의 LED가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드(1)의 상면 정 중앙에는 퍼터 헤드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파란색 LED(B)가 배치되고, 그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녹색 LED(G1),(G2), 황색 LED(Y1),(Y2) 및 적색 LED(R1),(R2)가 쌍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적색예를 들어 좌측에 배치된 임의의 LED가 온된 경우는 퍼터 헤드의 뒤쪽이 들린 것을 나타내는 반면에 우측에 배치된 임의의 LED가 온된 경우는 퍼터 헤드의 앞쪽이 들린 것을 나타낸다. 아울러, 중앙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LED가 온될수록 퍼터 헤드의 들림 정도가 더 심함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참조 번호 50은 사용자에게 퍼터의 각종 상태를 알려주거나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나타내는바, 이러한 스피커(50)는 몸체(2)의 적소, 예를 들어 상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인바, 이러한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2)에 내장된 회로 기판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의 전기적인 구성은 퍼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10), 퍼터 헤드의 들림 방향과 정도를 3차원적으로 감지하는 3축 가속도 센서(20), 배터리(BT)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보다 낮고 안정적인 직류전원(VCC)으로 변환하여 MCU(10)에 공급하는 레귤레이터(30), 전원 스위치(SW1)를 비롯한 각종 스위치(SW2),(SW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위치 모듈(40), 전술한 바와 같이 퍼터 헤드의 수평 상태나 들림 정도를 표시하는 LED 모듈(60), 스피커(50) 및 배터리(BT)의 저전압 여부를 감지하는 저전압 감지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MCU(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그 주변 메모리 및 LED 모듈(60)과 스피커(50)를 구동하는 각종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3축 가속도 센서(20)는 출력신호를 처리하여 물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는 센서로 이에 의하면 퍼터 헤드의 들림 정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3축 가속도 센서(20)는 물체의 운동 상태를 상세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활용 분야가 아주 넓고, 갖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 기차, 선박, 비행기 등 각종 수송수단, 공장자동화 및 로봇 등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는 필수적인 센서이다. 통신기기 등에 내장하는 가속도센서는 해마다 얇아지며 소형화되는 추세이다.
스위치 모듈(40)은 예를 들어 전원 스위치(SW1), 감도변경 스위치(SW2) 및 영점조정 스위치(SW3)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감도변경 스위치(SW2)나 영점조정 스위치(SW3)는 몸체(2)의 적소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저전압 감지부(70)는 분압 저항으로 이루어져서 배터리(BT)의 전압을 감지한 후에 MCU(10)에게 제공하는데, MCU(10)는 저전압 감지부(70)로부터 감지된 전압이 소정의 기준 전압에 미달하는 경우에 LED 모듈(60)을 통해 이를 사용자에게 경보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경보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인바,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MCU가 주체가 되어 수행함을 밝혀둔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단계 S10에서는 전원이 온, 즉 전원 스위치(SW1)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전원 스위치(SW1)가 온된 경우에 MCU(10)는 레귤레이터(30)에게 동작 개시 신호(Reg_EN)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레귤레이터(30)가 동작함으로써 MCU(20)에는 VCC 전압이 공급되게 된다.
단계 S10에서의 판단 결과 전원이 온된 경우에는 단계 S12로 진행하여 LED 모듈(60)에 있는 각각의 LED를 소정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온시킨 후에 오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보고 LED의 고정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LED 모듈(60)의 점검이 완료되면, 프로그램은 단계 S14로 진행하여 퍼터 헤드의 정중앙에 배치된 LED, 예를 들어 청색 LED(LED B)를 온시킴으로써 퍼팅의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되는데, 이와 동시에 스피커를 통해 해당하는 사운드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청각을 통해서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단계 S16에서는 퍼팅의 준비가 완료된 시점부터 3축 가속도 센서(20)로부터 감지값을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다시 단계 S18에서는 이렇게 입력받은 감지값에 의해 퍼터 헤드의 들림 정도를 연산한 후에 그 결과를 LED 모듈(60)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 S16은 퍼팅 동작의 어드레스, 백스윙 및 스트로크 동작 동안 지속적으로 수행되는데, 준비가 완료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예를 들어 6초 이내에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다시 준비 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스트로크가 완료된 후에는 어드레스, 백스윙 및 스트로크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 즉 그 들림 정도와 방향을 LED 모듈(60)을 통해 표시하게 되는데, 따라서 골퍼는 어드레스와 백스윙시 LED 모듈(60)의 온 상태를 보고 자신의 자세, 즉 퍼터 헤드의 상태를 확인한 후에 잘못된 경우에는 이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3축 가속도 센서(20)를 이용하여 손쉽게 동작 감도, 즉 들림 각도의 범위, 예를 들어 초보자의 경우에는 최대 20도, 중급자의 경우에는 최대 15도, 고급자의 경우에는 최대 10도 및 프로의 경우에는 최대 1도의 범위 등으로 LED 모듈(60)의 동작 감도 변경을 입력받을 수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가 손이나 발을 사용하여 퍼터의 후미에 소정의 기준치, 예를 들어 1g 이상의 충격을 가하면, 3축 가속도 센서(20)가 이를 감지하여 를 들어 1g 이상전달하고, MCU(10)는 이에 따라 단계 S21을 수행하여 현재의 감도를 다음 레벨로 차례대로 변경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감도 변경은 감도변경 스위치(SW2)를 조작하여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도 4 로 돌아가서, 단계 S20에서의 판단 결과,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2로 진행하여 3축 가속도 센서(20)의 감지값에 의해 퍼터가 뒤집혀졌는지를 판단하는데, 퍼터가 뒤집혀진 경우에는 사용자가 퍼팅 연습을 끝내고 퍼터를 보관하고자 하는 의미이므로 단계 S26으로 진행하여 현재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킴으로써 불필요하게 배터리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SW1)를 오프시키는 것을 깜빡하더라도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를 자주 교환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4에서는 3축 가속도 센서(20)의 감지값에 의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 이상, 예를 들어 5분 이상 퍼터의 움직임이 존재하지 않는 지를 판단하는데, 퍼터가 5분 이상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도 역시 사용자가 현재 다른 일을 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킴으로써 배터리 전력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 및 그 제어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LED 모듈은 퍼터의 헤드(1)가 아니라 몸체(2)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1: 퍼터 헤드 2: 몸체
10: MCU 20: 3축 가속도 센서
30: 레귤레이터 40: 스위치 모듈
50: 스피커 60: LED 모듈
70: 저전압 감지부

Claims (7)

  1. 골프용 퍼터에서 골프공을 스트로크하는 부분인 헤드에 설치된 몸체에 장착된 3축 가속도 센서; 상기 헤드 또는 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의 수평 상태와 들림 방향을 표시하는 다수의 LED로 이루어진 LED 모듈; 및 상기 몸체에 내장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된 감지값에 의해 상기 헤드의 수평 여부와 들림 방향을 판단한 후에 상기 LED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MCU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MCU는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감지값에 의해 퍼터가 기준 시간 이상 무동작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기준 시간 이상 무동작 상태인 경우에는 배터리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수평 상태를 표시하는 수평상태 표시용 LED; 및
    상기 수평상태 표시용 LED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각 들림 방향에 대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서 들림 방향과 정도를 표시하는 들림 정도 표시용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퍼터의 동작 상태를 알리는 사운드 및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저전압 여부를 감지하는 저전압 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MCU는 상기 저전압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감지값에 의해 상기 배터리 전압이 기준전압 이하의 저전압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에 저전압인 경우에는 상기 LED 모듈 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이를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감지값에 의해 퍼터에 기준치 이상의 충격량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기준치 이상의 충격량이 인가된 경우에는 퍼터의 동작 감도를 다음 레벨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감지값에 의해 퍼터가 전도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전도된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
  7. 삭제
KR1020100029714A 2010-04-01 2010-04-01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 KR101262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14A KR101262231B1 (ko) 2010-04-01 2010-04-01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14A KR101262231B1 (ko) 2010-04-01 2010-04-01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419A KR20110110419A (ko) 2011-10-07
KR101262231B1 true KR101262231B1 (ko) 2013-05-07

Family

ID=45026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714A KR101262231B1 (ko) 2010-04-01 2010-04-01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2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867B1 (ko) * 2018-09-06 2019-03-26 우암하이테크 주식회사 디지털 퍼팅 진단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867B1 (ko) * 2018-09-06 2019-03-26 우암하이테크 주식회사 디지털 퍼팅 진단 장치
CN110882527A (zh) * 2018-09-06 2020-03-17 宇岩高科技有限公司 数字推杆诊断装置
US10758805B2 (en) 2018-09-06 2020-09-01 Wooam Hitech Co., Ltd. Digital putting diagnosi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419A (ko) 201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5708B2 (en) Golf GPS device with hole recognition and hole selection
KR101081469B1 (ko) 골프 스윙 동작 보정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동작보정 장치
KR102424637B1 (ko) 움직임 훈련 보조물
US9889355B2 (en) Golf GPS device with a clip and changing user interface of the device based on clipping
KR101727298B1 (ko) 골프 에이밍 및 어드레스 보조장치, 이를 이용한 어드레스 방법
KR101871277B1 (ko) 골프 그립용 센서모듈과 스마트 골프 그립
KR101262231B1 (ko) 퍼팅동작 교정용 골프용 퍼터
KR20200137073A (ko) 에이밍 기능이 구비된 퍼팅정보 제공 장치
KR101030471B1 (ko) 골퍼 지향각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퍼 지향각 표시방법
KR101728144B1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101645126B1 (ko) 골프 연습용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스윙 축 변화 감지 방법
KR101044396B1 (ko) 골프용 퍼팅센서
KR101947546B1 (ko) 골프 퍼팅 연습 장치
KR200418102Y1 (ko) 골프연습장 스위치박스
JPH0984917A (ja) ゴルフスイング矯正装置
KR20170114083A (ko) 골프 어드레스 방향 보조장치.
KR200298900Y1 (ko) 골프용 어드레스 보조기
KR102014754B1 (ko) 골프채 스윙 궤적 표시장치
KR20240034090A (ko) 사용자의 골프 스윙을 보조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10006005A (ko) 골프 동작의 각속도 감지장치
JP2008246164A (ja) 活動量計
JP2011156305A (ja) パッティングアシストシステム
KR200253413Y1 (ko) 골프스윙자세 교정장치
KR20110106957A (ko) 퍼팅거리 표시기능을 갖춘 골프용 퍼터
KR100653680B1 (ko) 골프 스윙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