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385B1 - 고속혼합에 의한 니켈/지르코니아 코어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 고온열처리에 의해 균일 배열 나노구조 연료극막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속혼합에 의한 니켈/지르코니아 코어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 고온열처리에 의해 균일 배열 나노구조 연료극막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385B1
KR101261385B1 KR1020110039436A KR20110039436A KR101261385B1 KR 101261385 B1 KR101261385 B1 KR 101261385B1 KR 1020110039436 A KR1020110039436 A KR 1020110039436A KR 20110039436 A KR20110039436 A KR 20110039436A KR 101261385 B1 KR101261385 B1 KR 101261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sz
stabilized zirconia
nickel
core
n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1570A (ko
Inventor
최병현
지미정
안용태
이서환
이경진
설광희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39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385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4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 H01M4/865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layer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H01M4/8621Porous electrodes containing only metallic or ceramic material, e.g. made by sintering or sput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41Metals or alloys
    • H01M4/905Metals or alloys specially used in fuel cell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SOFC
    • H01M4/9066Metals or alloys specially used in fuel cell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SOFC of metal-ceramic composites or mixtures, e.g. cerm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연료극으로 사용하기 위해 니켈(Ni)과 안정화 지르코니아(YSZ)을 코어-쉘(core shell) 구조로 형성한 후, 그 코어-쉘을 연료극으로 사용하기 위해 고온에서 열처리 하므로서 stress를 가하여 나노분말이 형성되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균일한 배열을 갖는 나노구조 연료극막이 제조 되는 방법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혼합법을 이용하여 니켈(Ni) 금속 분말 주위에 안정화 지르코니아 세라믹 분말이 코팅된 5~10의 크기를 가진 코어-쉘 구조로 된 복합분말을 제조한 후, 1300~1500에서 열처리 하여 니켈과 안정화 지르코니아의 결정립이 균일한 나노크기를 가지고, 니켈산화물(NiO)과 안정화 지르코니아 혼합 시 불균일 혼합으로 인해 니켈입자의 응집 및 전도도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환원 처리 시 부피수축에 의한 강도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니켈(Ni)을 사용하므로서 혼합공정을 단순화시키면서 균일혼합이 가능하고 니켈 사용에 의해 환원분위기에서 부피수축이 억제되어 성능저하가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구성상 상호간의 연속적인 네트워크를 갖는 복합구조를 가짐으로써, 장기 안정성, 열 싸이클 안정성, 산화환원 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향상된, 나노 복합 구조를 갖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속혼합에 의한 니켈/지르코니아 코어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 고온열처리에 의해 균일 배열 나노구조 연료극막 제조방법{The method of forming Ni/YSZ core-shell by high speed mixing and use it manufacturing method for uniform nano-structure arrays by heat treatments}
본 발명은 나노 복합구조를 가지는 코어-쉘 발포에 의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나노구조 연료극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니켈 코어 금속분말에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을 코팅하여 코어-쉘 분말 제조 후 이를 열처리하여 니켈과 안정화 지르코니아 상호간의 연속적인 네트워크로 형성된 균일한 나노 복합구조를 가짐으로써, 환원분위기에서 팽창 억제, 장기안정성, 열 싸이클 안정성, 산화환원 안정성 및 기계적물성이 현저히 향상된 나노 복합구조를 가지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의 단위 셀은 고체전해질들을 가운데 두고 한쪽 면에는 공기극을, 그리고 다른 쪽 면에는 연료극을 부착한 형태로 만들어 진다.
연료극 재료로서는 일반적으로 산화니켈(NiO)과 안정화 지르코니아(YSZ)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고, 전해질로는 지르코니아(ZrO2)나 세리아(CeO2)에 이트리아(Y2O3), 세리아(CeO2), 스칸디아(Sc2O3), 산화가돌리늄(Gd2O3)등이 첨가되어 고온에서 열적안정성과 이온 전도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산화니켈과 안정화지르코니아가 혼합된 연료극은 혼합 방법이 간단한 장점은 있으나, 본말로 안정화지르코니아과 안정화지르코니아, 산화니켈과 산화니켈 또는 안정화 지르코니아과 산화니켈 사이의 인력이 서로 상이하므로 동일한 분산 조건에서 두 분말이 동시에 분산되지 못하고 분말들의 응집이 일어나게 된다. 특히, 분말의 크기 차이가 존재하는 겨우 상대적으로 큰 분말의 동종 응집이 연료극의 미세구조 불균일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산화니켈과 안정화지르코니아를 사용하여 환원 분위기 열처리 시 약 30%의 부피수축이 일어나게 된다. 부피수축이 일어나게 되면서 연료극의 강도 저하 및 크랙(crack)의 발생으로 인해 전기전도도의 저하를 가져오게 되는데 니켈(Ni)과 안정화지르코니아를 사용하게 되면 부피수축이 일어나지 않고 환원분위기에서 특성 저하를 일으키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료극을 구성하는 원료의 형상, 크기, 응집도 등의 불균일은 전기전도도, 연료투과도, 삼상계면 활성도 등이 연료극의 물성에 악영향을 주게 되고, 이는 단전지의 내구성과 기계적 물성 및 출력 특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결정립과 기공의 크기가 불균일하여 Ni의 치밀화와 조대화가 일어나고, 이렇게 발생된 Ni 상의 조대화는 열 싸이클과 산화환원 반응에 의한 부피변화가 발생하여 전해질의 손상을 가져오고, Ni, YSZ 및 기공으로 이루어진 삼상계면의 감소 때문에 전기화학적 활성도가 감소하여 단전지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선 종래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극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니켈(Ni) 금속 분말을 core로 사용하고 YSZ 분말을 shell로 사용하여 고속혼합 하여 Ni-YSZ core-shell 구조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분말을 사용하여 1300~1500에서 열처리를 통해 Ni와 YSZ의 결정립이 균일한 나노크기를 가지고, 이들 상호간 연속적인 네트워크를 가지는 나노 복합구조를 가지며 환원분위기에서 부피수축을 억제함에 따라 장기 안정성, 열 싸이클 안정성, 산화환원 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향상된 연료극 분말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은 고속혼합하여 나노(nano)크기에서 마이크로(㎛) 크기의 니켈 금속 분말과 나노(nano)크기의 안정화지르코니아(YSZ)분말을 빠른 속도로 혼합하여 입자 표면의 변화 및 구형의 코어-쉘(core-shell) 복합 분말을 제조 하였다. 제조된 복합분말의 경우 니켈 금속 분말이 코어로 사용되고, 니켈 금속 분말 표면에 안정화지르코니아 분말이 균일하게 코팅되어져 있음을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조된 코어-쉘 분말을 연료극으로 사용하기 위해 1300~1500로 열처리하여 코어-쉘을 갖는 나노분말을 합성하고 나노 복합구조를 갖는 니켈/안정화지르코니아 분말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코어-쉘 구조로 이루어진 나노 복합분말의 경우 니켈과 안정화지르코니아의 중량비는 70~30 : 30~70을 만족하는 것이 코어-쉘 구조의 형성과 본 발명에 따른 효과의 발생에 바람직하다.
나노 복합구조를 갖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을 제조하는 과정 중 코어-쉘 구조에서 나노 구조로 변화하는 공정을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속혼합에 의해 제조된 코어-쉘 분말의 경우 니켈 금속이 코어로 구형의 형태를 나타나게 되면 그 주변을 안정화지르코니아가 코팅하게 된다. 이때, 온도를 증가시키기 되면 니켈 표면에 표면장력(surface tension)이 작용하게 되면서 코어는 구형의 형태로 변하게 되고 기공이 제거되게 된다. 온도가 400~500에 도달하게 되면 니켈 입자 표면이 산화되어 산화니켈 산화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Rosenband et al.에 의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알루미늄 입자의 표면에 산화물 막이 형성되는 것과 동일하였다. 1450에 도달하게 되면 내부의 니켈-금속 입자가 녹게 되고 처음 형성되었던 산화물막은 니켈이 녹으면서 부피가 증가하여 인장응력(tensile stress)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1450에서 내부에서 녹은 니켈이 팽창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산화물 막을 관통하여 부석지게 되고 내부의 액상의 니켈 입자가 분출되어 안정화지르코니아 입자의 표면을 둘러싸거나 입자사이로 흘러나오게 되고, 유지시간과 냉각스케줄을 최적화하여 균일한 나노 구조를 갖는 연료극을 제조하였다.
산화니켈/안정화지르코니아 연료극의 경우 환원분위기에서 사용 시 약 30%의 부피 수축이 일어나게 된다. 이는 연료극의 강도 저하를 가져오고 표면과 내부에 크랙(crack)을 발생시켜 전기전도도의 손실을 나타낸다. 하지만 니켈/안정화지르코니아 연료극의 경우 니켈 금속을 사용하기 때문에 환원분위기에서 부피의 변화가 없어 강도 값의 저하를 가져오지 않고 니켈 입자 사이에서 크랙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 나노 복합배열을 하므로서 전기전도도의 손실을 가져오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속혼합법을 통해 니켈/안정화지르코니아 코어-쉘 분말을 제조하고 1300~1500에서 열처리하여 나노 복합구조를 갖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연료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나노 복합구조 연료극은 니켈과 안정화지르코니아 결정립의 크기가 나노이며 균일하기 때문에 기존 연료극에 비하여 표면 결함이 거의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열팽창거동이 삼차원적으로 연속적인 안정화지르코니아 네트워크의 지배를 받기 때문에 열팽창계수가 안정화지르코니아와 거의 유사한 값을 가진다. 또한, 니켈/안정화지르코니아 연료극의 경우 환원분위기에서 부피 수축이 억제되고, 균일한 혼합을 위해 장시간 혼합공정을 진행하지 않아도 조대한 Ni 결정립이 거의 없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도 기존 연료극에 비해 높은 값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조대한 구성상이 존재하지 않고 응집체가 거의 없기 때문에 Ni-YSZ-기공으로 구성되는 삼상계면의 길이가 가장 큰 구조를 제공할 수 있어 연료극의 전기화학적 활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도 1은 Ni/YSZ core-shell 복합구조를 도시한 현미경 사진
도2는 대기 분위기에서 승온 속도에 따른 Ni/YSZ 미세구조 사진
도3은 열처리 분위기에 따른 Ni/YSZ 미세구조 사진
도4는 Ni/YSZ 복합분말에서 Ni core의 크기에 따른 TG-DSC
도5는 나노 복합구조 연료극과 기존 상용 연료극의 전기전도도
(실시 예 1)
실시 예 1에서는 니켈/안정화지르코니아(Ni:YSZ=30~70:70~30) 코어-쉘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 마이크로 크기의 니켈와 나노 크기의 안정화지르코니아 분말을 사용하여 고속혼합기를 사용하여 5000prm이상에서 5분 이상으로 혼합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쉘 복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2)
실시 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니켈/안정화지르코니아(Ni:YSZ=30~70:70~30) 코어-쉘 복합분말을 대기분위기에서 열처리를 진행하였다. 승온 속도를 분당 20로 한 후 1450에서 열처리를 진행한 결과 산화막 형성되고 인장 응력에 의한 표면 파괴가 일어나면서 나노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기분위기에서 승온 속도의 변화에 따라 복합분말의 구조변화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대기분위기에서 열처리를 진행했을 경우 승온 속도가 빨라 질수록 입자크기가 줄어들고 응집되어 있는 입자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산화막의 두께 제어 및 환원분위기 부피수축 억제를 위해 수소분위기, 질소분위기로 열처리를 시작하여 산화막을 형성하는 온도인 400~600에서 대기분위기로 그 이후에는 다시 수소 및 질소분위기를 사용하여 열처리를 진행하였다. 열처리를 진행한 결과 대기분위기에서 열처리 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산화막을 형성 및 응력에 의한 표면 파괴가 일어나면서 나노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코어로 마이크로 크기의 니켈과 나노 크기의 니켈을 코어로 사용할 경우 산화반응이 일어나면서 산화막을 형성하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TG-DSC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나노 크기의 니켈을 코어로 사용 시 400~600에서 산화막을 형성하게 되고 마이크로 크기의 니켈을 코어로 사용 시 700~800에서 산화막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 예 3)
실시 예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 1~2의 Ni-YSZ(중량% 60:40)을 7000rpm에서 10분간 고속혼합 한 후 1450, Air 분위기에서 열처리한 연료극과 기존에 사용하던 연료극과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기존에 사용하던 연료극의 전기전도도의 경우 750, 800에서 각각 840, 775.7 S/cm의 값을 나타내었고, 본 발명에서 제조한 연료극의 경우 750, 800에서 각각 2,371, 2,253 S/cm의 값을 나타내었다.

Claims (7)

  1. NiO 또는 Ni와 안정화 지르코니아(YSZ) 분말을 사용하여 5,000rpm이상의 속도로 고속혼합하여 Ni or NiO 표면에 안정화 지르코니아(YSZ)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re-shell 구조의 세라믹 Ni or NiO-안정화 지르코니아(YSZ) 연료극 복합분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ore-shell 구조의 세라믹은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 가도리니움이 도포된 세리아(GDC), 스칸디움이 도포된 지르코늄(ScSZ), 란타늄-스트론튬-갈륨-마그네슘 산화물(LSG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re-shell 구조의 세라믹-Ni or NiO 복합분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안정화 지르코니아(YSZ)와 Ni or NiO의 중량비가 30~70:70~30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re-shell구조의 세라믹-Ni or NiO 분말.
  4. NiO 또는 Ni와 안정화 지르코니아(YSZ) 분말을 사용하여 5,000rpm이상의 속도로 고속혼합하여 Ni or NiO 표면에 안정화 지르코니아(YSZ)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re-shell 구조 분말을 1300~1500에서 열처리하여 마이크로 또는 나노 복합구조를 가지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은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 가도리니움이 도포된 세리아(GDC), 스칸디움이 도포도니 지르코늄(ScSZ), 란타늄-스트론튬-갈륨-마그네슘 산화물(LSG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6. 세라믹-Ni or NiO core-shell 구조를 형성하는 제 1단계;
    산화분위기 1100~1300에서 승온 속도를 10~25/min으로 하여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세라믹-Ni or NiO 복합소결체를 환원 분위기하에서 500~900로 2~4시간 동안 환원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복합구조를 가지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3단계에서 연료극이나 지지층 형성 시 Ni/안정화 지르코니아(YSZ) core-shell을 환원처리 없이 열처리 하여 연료극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조 방법.
KR1020110039436A 2011-04-27 2011-04-27 고속혼합에 의한 니켈/지르코니아 코어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 고온열처리에 의해 균일 배열 나노구조 연료극막 제조방법 KR101261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436A KR101261385B1 (ko) 2011-04-27 2011-04-27 고속혼합에 의한 니켈/지르코니아 코어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 고온열처리에 의해 균일 배열 나노구조 연료극막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436A KR101261385B1 (ko) 2011-04-27 2011-04-27 고속혼합에 의한 니켈/지르코니아 코어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 고온열처리에 의해 균일 배열 나노구조 연료극막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570A KR20120121570A (ko) 2012-11-06
KR101261385B1 true KR101261385B1 (ko) 2013-05-06

Family

ID=47508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436A KR101261385B1 (ko) 2011-04-27 2011-04-27 고속혼합에 의한 니켈/지르코니아 코어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 고온열처리에 의해 균일 배열 나노구조 연료극막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733B1 (ko) * 2012-05-22 2014-04-30 한국세라믹기술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연료극용 금속이온 고용된 니켈/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코어-셀 복합체의 제조방법
WO2014109586A1 (ko) * 2013-01-11 2014-07-17 지브이퓨얼셀 주식회사 응집현상 감소를 위한 박막형 sofc 스택
KR101516680B1 (ko) 2013-05-14 2015-05-06 한국세라믹기술원 하이드라진 환원제와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고체산화물연료전지용 연료극 코어-셀 복합체의 제조 방법
WO2015016565A1 (ko) * 2013-08-01 2015-0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 산화물 분말 및 이의 소결체를 포함하는 전해질
KR101679910B1 (ko) 2013-08-01 2016-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 산화물 분말 및 이의 소결체를 포함하는 전해질
US20190157698A1 (en) * 2016-08-10 2019-05-23 Daejoo Electronic Materials Co., Ltd. Core-shell structured composite powder for solid oxide fuel cell
US10637070B2 (en) * 2018-01-29 2020-04-28 Nissan North America, Inc. Highly porous anode catalyst layer structures for fuel flexible solid oxide fuel cells
KR102540652B1 (ko) * 2021-03-02 2023-06-07 한국세라믹기술원 출력특성 향상을 위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음극재 제조 방법 및 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570A (ko)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385B1 (ko) 고속혼합에 의한 니켈/지르코니아 코어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 고온열처리에 의해 균일 배열 나노구조 연료극막 제조방법
JP5489125B2 (ja) 全セラミックス固体酸化物形電池
JP5978448B2 (ja) 固体酸化物燃料電池または固体酸化物燃料電池サブコンポーネ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18419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の酸化ニッケル粉末材料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燃料極材料、燃料極、及び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Hsieh et al. Fabrication of electrolyte supported micro-tubular SOFCs using extrusion and dip-coating
JP2008004422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電極及び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637917B1 (ko) 수소이온 전도성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23189A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음극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Choi et al. Enhanc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metal-supported solid oxide fuel cells via an inner coating of Gd0. 1Ce0. 9O2-δ nanosol in the porous NiFe-metal support
JP4534188B2 (ja) 燃料電池用電極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JP2010251141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の複合型酸化ニッケル粉末材料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燃料極材料
US20130344415A1 (en) Solid oxide fuel cell and method of forming
JP5293382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燃料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368983C1 (ru) Высокотемпературный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ий элемент с электрофоретически осажденным твердым электролитом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WO2014027442A1 (ja)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の支持体を兼ねる燃料極および燃料極支持型の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
KR101572477B1 (ko)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의 지지체를 겸하는 연료극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474445A (zh) 固体氧化物燃料电池的阳极支撑体的制造方法和固体氧化物燃料电池的阳极支撑体
KR20150138482A (ko) 계면활성제와 초음파 분산을 이용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연료극용 니켈-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코어-셀 복합체 제조방법
KR101218968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음극재 및 그 제조방법
JP5422400B2 (ja) 固体電解質構造体の製造方法、固体電解質構造体、及びその固体電解質構造体を用いた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単セル
JP5624085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の製造方法及び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JP2007012498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燃料電極の製造方法及び燃料電池
RU252369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вердооксидного топливного элемента с двухслойным несущим катодом
KR20130043948A (ko) 고출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단위셀 제조기술
KR20180018231A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코어-쉘 구조의 복합 분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