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043B1 - 자동차 파워윈도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파워윈도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043B1
KR101261043B1 KR1020110028921A KR20110028921A KR101261043B1 KR 101261043 B1 KR101261043 B1 KR 101261043B1 KR 1020110028921 A KR1020110028921 A KR 1020110028921A KR 20110028921 A KR20110028921 A KR 20110028921A KR 101261043 B1 KR101261043 B1 KR 101261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alue
window
window glass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806A (ko
Inventor
김창원
Original Assignee
김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원 filed Critical 김창원
Priority to KR1020110028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04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5Contro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1Power supply
    • E05Y2400/612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의 전원공급부의 부하 상태를 제어부에서 확인하여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를 승,하강시킬 뿐만 아니라, 윈도우 글라스의 승, 하강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용 파워윈도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전원을 충방전하기 위한 배터리방식의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방전되는 배터리의 부하량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를 만족하지 않으면 차량의 윈도우글라스를 모두 동시에 작동시키지 않고, 홀센서에 의한 펄스값, 레귤레이터에 의한 토크값 및 전류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를 만족하지 않으면 차량의 원도우글라스를 하강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지, 주차중인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차속감지부; 윈도우글라스를 승하강시키는 모터를 제어하는 레귤레이터감지부; 차량 도어의 오픈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열림감지부; 윈도우글라스에 대한 사용자명령을 입력받아 모든 윈도우글라스를 닫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멀티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파워윈도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th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utomobile power window}
본 발명은 자동차 파워윈도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전원공급부의 부하 상태를 제어부에서 확인하여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를 승,하강시킬 뿐만 아니라, 윈도우 글라스의 승, 하강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 파워윈도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파워윈도우 관련 특허를 살펴보도록 한다.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21339호(2008.03.07 공개; 차량의 윈도우글라스 스위치 시스템)에 따르면, "차량의 운전석 도어 내면에 위치하여 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메인 스위치와; 각 도어에 대응하는 개수로 상기 메인 스위치 일측에 마련되되, 일단은 상기 메인 스위치에 병렬 연결되며, 타단은 각 도어 내부의 윈도우글라스 레귤레이터 모터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푸시버튼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윈도우글라스 스위치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Figure 112011023236697-pat00001
2)대한민국 공개특허 2007-0059663호(2007.06.12 공개; 차량의 통합형 스위치시스템)에 따르면, "운전석 도어의 암레스트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며 다수의 접점을 운전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이스틱과; 상기 조이스틱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을 선정하기 위한 모드스위치와; 상기 조이스틱의 움직임에 따른 접점의 위치 및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모드스위치를 통해 선택된 제어대상에 대해 상기 조이스틱의 움직임에 따른 적합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통합스위치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드스위치를 통해 운전자의 선택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스위치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Figure 112011023236697-pat00002
3)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0039029호(2002.05.25 공개; 주정차시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 자동 개폐방법)에 따르면, "전자제어 유니트(1)에서 윈도우 개폐모드 판단부(2)를 통해 현재 자동모드인지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자동모드 상태이고 위치감지센서(3)를 통해 사이드 윈도우 상태를 검출한 결과 개방된 상태이면 시동키 상태 검출부(5)를 통해 시동키(4)가 락 위치에 있는지를 계속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시동키 상태 검출부(5)를 통해 시동키(4)의 상태를 검출한 결과 락 위치에 있으면 타임 릴레이(6)를 작동시켜 레귤레이터(7)를 통해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8)를 상승시키면서 위치감지센서(3)를 통해 윈도우 글래스가 완전히 닫혀졌는지를 계속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8)가 완전히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 레귤레이터(7)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면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자동모드가 아닌 상태에서 수동모드 변환 인식부(10)를 통해 검출한 결과 사용자가 수동모드 변환스위치(9)를 조작한 상태로 인식되면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8)가 열려진 상태인지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한 결과 윈도우 글래스가 개방된 상태에 있으면 타임 릴레이(6)와 레귤레이터(7)를 정해진 시간동안 작동시켜 윈도우 글래스가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정차시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 자동 개폐방법."이 개시되었다.
Figure 112011023236697-pat00003
4)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24694호(2000.05.06, 공개; 파워 윈도우 닫힘 및 열림 제어방법)에 따르면, "탑승객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탑승유무를 감지하고, 파워 윈도우 포지션센서를 이용하여 윈도우의 닫힘 혹은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차량의 파워 윈도우장치의 파워 윈도우 닫힘 및 열림 제어방법에 있어서, 윈도우 자동 닫힘중 윈도우 구동모터로부터 과전류 검출이 있는가를 검사하는 제1과정과, 과전류 검출시 상기 포지션센서로부터 윈도우 닫힘신호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윈도우 닫힘신호 무입력시 과전류 검출된 윈도우측의 탑승위치에 탑승자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제3과정과, 탑승자 존재시 닫힘동작중인 상기 윈도우를 열림상태로 전환시키고, 탑승자 부존재시 닫힘동작중인 상기 윈도우를 홀딩시키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닫힘 및 열림 제어방법."이 개시되었다.
Figure 112011023236697-pat00004

차량의 주행중 운전자는 필요에 따라 도어의 글라스를 닫힘 또는 열림으로 제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개방된 도어 글라스를 긴급히 닫힘 상태로 유지해야 하거나 이와 반대로 닫힌 도어 글라스를 열림 상태로 유지해야 할 경우에, 종래에는 운전석 좌측 도어트림에 설치된 도어 메인 스위치를 작동시켜 글라스를 상,하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운전석 도어 트림 메인 스위치에는 프런트 도어 글라스 좌측 스위치 및 우측 스위치, 리어 도어 글라스 좌측 스위치 및 우측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차량의 편의장치 옵션에 따라 도어 열림/닫힘 스위치, 좌/우측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 스위치, 글라스 잠금 스위치 등 각종 스위치들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운전자가 모든 도어 글라스를 승,하강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총 4개)의 도어 글라스 스위치를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2개씩 즉, 프런트 또는 리어 도어 글라스를 승,하강 시키고 이후에 리어 또는 프런트 도어 글라스를 승, 하강시켜야 했다.
또한, 차량을 주차중이거나 탑승자가 하차할 경우 오픈된 도어 글라스를 닫힘 상태로 유지해야 하므로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글라스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글라스 닫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스위치를 작동해야함은 물론 글라스 작동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긴급히 글라스를 닫아야 할 경우에는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즉, 종래에는 운전석에 설치된 각각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를 지속적으로 위로 잡아당기거나 아래로 누르고 있어야 했다.
한편, 종래 발명에는 운전자가 윈도우 글라스를 한번에 조작 가능하도록 설계된 메인스위치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에 과부하가 발생된다. 차량의 각 도어에 설치되어 글라스를 승,하강 시키는 모터에서 발생된 많은 소비 전류 때문에 차량 전체에 과부하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차량의 충방전 시스템 및 차량 메인 휴즈박스에 열이 과다 발생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각 휴즈가 단락되며, 특히 차량 배선에 많은 전류가 흐름으로써 화재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피하면서 차량의 창문을 구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 도어로 연결되는 배선의 외경이 증대되어야 하고 각 파워 윈도우 스위치에 접점용량을 증가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릴레이와 휴즈가 추가되어야 한다. 이는 결국 차량의 원가를 상승시키고, 차량의 중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연비향상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상기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전원공급부의 부하상태를 제어부에서 확인하여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를 승,하강시킬 뿐만 아니라, 윈도우글라스의 승,하강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설계된 자동차파워윈도우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을 충방전하기 위한 배터리방식의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방전되는 배터리의 부하량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를 만족하지 않으면 차량의 윈도우글라스를 모두 동시에 작동시키지 않고, 홀센서에 의한 펄스값, 레귤레이터에 의한 토크값 및 전류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를 만족하지 않으면 차량의 원도우글라스를 하강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지, 주차중인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차속감지부; 윈도우글라스를 승하강시키는 모터를 제어하는 레귤레이터감지부; 차량 도어의 오픈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열림감지부; 윈도우글라스에 대한 사용자명령을 입력받아 모든 윈도우글라스를 닫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멀티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 제어부, 차속감지부, 레귤레이터감지부, 도어열림감지부, 멀티스위치를 이용하여 윈도우글라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자동차용 파워윈도우 제어방법으로는, 운전자가 상기 멀티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로 멀티스위치의 작동시작을 알리는 단계(S100); 자동차 배터리의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1); 상기 배터리의 부하량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차량의 윈도우글라스를 개별적으로,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단계(S102); 상기 배터리의 부하량이 기준값 이상이 아닐 경우, 차량의 모든 윈도우글라스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단계(S103); 차량의 홀센서에 의한 펄스값, 레귤레이터에 의한 토크값 및 전류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4); 상기 펄스값, 토크값 및 전류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를 만족하지 않으면 윈도우글라스를 하강시키는 단계(S105); 상기 펄스값, 토크값 및 전류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를 만족하면 윈도우글라스를 작동시키는 것을 완료하는 단계(S106)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수많은 전자장치가 탑재된 차량의 배터리 부하량에 따라서 원도우글라스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전원공급부족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전자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차량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도어트림에 설치된 윈도우글라스 버튼 배열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파워윈도우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파워윈도우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파워윈도우에서 멀티스위치 주변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파워윈도우 제어장치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파워윈도우 제어장치의 다른 구성에서 오토스위치 주변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윈도우글라스를 상승, 하강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누르는 멀티스위치(Multi switch)는 운전석도어스위치, 스티어링휠스위치, 리모콘스위치 형태로 모두 한꺼번에 구현할 수 있고 또한 각각 별도로 구현되도록 구성함도 바람직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운전석도어스위치인 경우를 예시하도록 한다.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원을 충방전하기 위한 배터리방식의 전원공급부(25), 상기 전원공급부(25)로부터 방전되는 배터리의 부하량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를 만족하지 않으면 차량의 윈도우글라스를 모두 동시에 작동시키지 않고, 홀센서에 의한 펄스값, 레귤레이터에 의한 토크값 및 전류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를 만족하지 않으면 차량의 원도우글라스를 하강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24)가 구비된다.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지, 주차중인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차속감지부(26), 윈도우글라스를 승하강시키는 모터를 제어하는 레귤레이터감지부(27), 차량 도어의 오픈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열림감지부(28), 윈도우글라스에 대한 사용자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멀티스위치(20)가 구비된다.
또한,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지 아니면 주차중인지를 파악하는 차속감지부와 도어 글라스를 승하강 시키는 모터를 제어하는 레귤레이터 감지부 및 도어가 열려있는지 아니면 닫혀 있는지 감지하는 도어열림감지부에서 제어부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어 글라스가 상승 작동을 수행하게 될 경우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 신호를 받은 제어부에서는 작동중인 글라스를 하강시키도록 구성해야 한다.
상기 글라스의 승,하강은 도어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수행되는데, 이는 차량이 고가이거나 편의장치가 많이 장착되는 차량일 경우 안티트랩 기능이 추가된 차량과 그렇지 않은 일반 차량으로 나눠지게 된다.
안티트랩의 기능은 차량의 글라스가 상승하는 경우 탑승자가 글라스에 상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글라스에 하중값이 가해질 경우 홀센서에 의해 상승하던 글라스가 다시 하강 되도록 구성된 안전장치이다. 또한, 안티트랩이 없는 일반 차량에서는 이와 같은 동일한 기능을 갖기 위해서는 레귤레이터의 토크 및 전류의측정값을 체크하여 정상유무를 판별하게 된다.
또한, 멀티 스위치는 필요에 따라 각기 다른 곳에 설치 및 제공된다.
이를테면 운전석 핸들에 별도의 스위치를 구성하거나 또한 리모컨 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하지만, 편의장비 확대를 본다면 모두에 설치함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효과를 가장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운전석 도어 트림의 통합 스위치에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운전자는 주행중이거나 차량을 주정차할 경우 모든 도어 글라스를 한꺼번에 승,하강시킬 경우 별도로 마련된 멀티 스위치를 작동시켜서 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안티트랩의 있는 차량과 그렇지 않은 차량은 홀센서 펄스값과 레귤레이터 토크 및 전류의 측정값 정상여부판단 기준치만 달리하고 모든 구성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처음 운전자가 멀티 스위치를 작동, 수행하는 과정에서 배터리의 부하값을 먼저 판단하고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4개의 창문을 동시에 승,하강시키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배터리의 부하값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미리 차량의 알고리즘에 입력된 2개 및 개별적으로, 차례로 윈도우글라스를 승,하강하게 구성하였다.
이 경우, 상승하던 윈도우글라스 어느 하나가 토크, 전류, 펄스 판단단계에서 문제 발생시 다시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하강된 글라스를 다시 멀티 스위치를 작동 시킬 경우 다시 한번 똑같은 방법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 중 상기 멀티스위치(20)는 도어트림(10)에 버튼 형태로 구현된 멀티스위치버튼(11)으로 도시되어 있고, 종래의 전방좌측윈도우스위치(12), 전방우측윈도우스위치(13), 후방좌측윈도우스위치(14), 후방우측윈도우스위치(15)가 인접한 위치에 구성된다.
한편, 상기 멀티스위치(2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종래의 오토스위치(도 5, 도 6의 참조부호 3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오토스위치(30)를 기준시간 이상 누르거나 윈도우글라스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누를 경우에 상기 멀티스위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어부(24)의 내부프로그램을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자동차 파워윈도우 제어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파워윈도우 제어방법을 정리해보도록 한다.
전원공급부, 제어부, 차속감지부, 레귤레이터감지부, 도어열림감지부, 멀티스위치를 이용하여 윈도우글라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자동차용 파워윈도우 제어방법에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이 구현된다.
단계 S100으로서, 운전자가 상기 멀티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로 멀티스위치의 작동시작을 알린다.
단계 S101로서, 자동차 배터리의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02로서, 상기 배터리의 부하량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차량의 윈도우글라스를 개별적으로, 순차적으로 작동시킨다. 예컨대, 2개 또는 개별적(1개씩) 차례로 도어 글라스를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2개 또는 개별적(1개씩)으로 글라스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서는 차량의 배터리 용량에 따라 제어가능 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개별적인 방법보다는 2개씩 승,하강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단계 S103으로서, 상기 배터리의 부하량이 기준값 이상이 아닐 경우, 차량의 모든 윈도우글라스를 동시에 작동시킨다.
단계 S104로서, 차량의 홀센서에 의한 펄스값, 레귤레이터에 의한 토크값 및 전류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05로서, 상기 펄스값, 토크값 및 전류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를 만족하지 않으면 윈도우글라스를 하강시킨다.
단계 S106으로서, 상기 펄스값, 토크값 및 전류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를 만족하면 윈도우글라스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완료한다.
예컨대, 본 발명은 S101 단계에 의한 배터리 부하량 판단, S104 단계에 의한 펄스, 토크, 전류 판단으로 이루어진 2단계의 판단을 토대로 차량에 설치된 윈도우글라스를 제어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S104 단계에서, 차량의 홀센서에 의한 펄스값, 레귤레이터에 의한 토크값 및 전류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승하는 윈도우 글라스는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별도로 멀티스위치(20)와 오토스위치(30)을 작동 시키지 않아도 반복 작동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10 ; 도어트림 11 ; 멀티스위치
12 ; 전방좌측윈도우버튼(front left window button)
13 ; 전방우측윈도우버튼(front right window button)
14 ; 후방좌측윈도우버튼(rear left window button)
15 ; 후방우측윈도우버튼(rear right window button)
20 ; 멀티스위치 21 ; 운전석도어스위치
22 ; 스티어링휠스위치 23 ; 리모콘스위치
24 ; 제어부 25 ; 전원공급부
26 ; 차속감지부 27 ; 레귤레이터감지부
28 ; 도어열림감지부 M1 ; 제 1 윈도우모터
M2 ; 제 2 윈도우모터 M3 ; 제 3 윈도우모터
M4 ; 제 4 윈도우모터 30 ; 오토스위치

Claims (5)

  1. 차량의 전원을 충방전하기 위한 배터리방식의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방전되는 배터리의 부하량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를 만족하지 않으면 차량의 윈도우글라스를 모두 동시에 작동시키지 않고, 홀센서에 의한 펄스값, 레귤레이터에 의한 토크값 및 전류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를 만족하지 않으면 차량의 원도우글라스를 하강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지, 주차중인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차속감지부;
    윈도우글라스를 승하강시키는 모터를 제어하는 레귤레이터감지부;
    차량 도어의 오픈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열림감지부;
    윈도우글라스에 대한 사용자명령을 입력받아 모든 윈도우글라스를 닫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멀티스위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파워윈도우 제어장치.
  2. 삭제
  3. 전원공급부, 제어부, 차속감지부, 레귤레이터감지부, 도어열림감지부, 멀티스위치를 이용하여 윈도우글라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자동차용 파워윈도우 제어방법으로는,
    운전자가 상기 멀티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로 멀티스위치의 작동시작을 알리는 단계(S100);
    자동차 배터리의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1);
    상기 배터리의 부하량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차량의 윈도우글라스를 개별적으로,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단계(S102);
    상기 배터리의 부하량이 기준값 이상이 아닐 경우, 차량의 모든 윈도우글라스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단계(S103);
    차량의 홀센서에 의한 펄스값, 레귤레이터에 의한 토크값 및 전류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4);
    상기 펄스값, 토크값 및 전류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를 만족하지 않으면 윈도우글라스를 하강시키는 단계(S105);
    상기 펄스값, 토크값 및 전류값이 미리 저장된 기준치를 만족하면 윈도우글라스를 작동시키는 것을 완료하는 단계(S106)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파워윈도우 제어방법.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부하값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에는 4개의 윈도우글라스를 동시에 승,하강시키도록 구성하고, 이와 반대로 배터리의 부하값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미리 차량의 알고리즘에 입력된 2개, 1개의 윈도우글라스를 차례로 승,하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파워윈도우 제어방법.




KR1020110028921A 2011-03-30 2011-03-30 자동차 파워윈도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261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921A KR101261043B1 (ko) 2011-03-30 2011-03-30 자동차 파워윈도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921A KR101261043B1 (ko) 2011-03-30 2011-03-30 자동차 파워윈도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806A KR20120110806A (ko) 2012-10-10
KR101261043B1 true KR101261043B1 (ko) 2013-05-06

Family

ID=4728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921A KR101261043B1 (ko) 2011-03-30 2011-03-30 자동차 파워윈도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0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0697B2 (en) 2015-12-03 2017-12-26 Korea Electrical Power Corporation Safety power window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0697B2 (en) 2015-12-03 2017-12-26 Korea Electrical Power Corporation Safety power window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806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92353B (zh) 汽车车窗智能控制系统及方法
CN107020931B (zh) 控制驻停车辆的天窗的方法
EP1591309B1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US8326498B2 (en) Vehicle anti-pinch control having variable threshold and method
CN103303241B (zh) 一种汽车落水逃生装置及其控制系统、控制方法
US9617777B2 (en) Vehicle window opening device
US9174514B2 (en) Glass operation based on temperature input/vehicle speed, final logic decided by customer
CN104746996A (zh) 一种汽车门窗一体控制系统及方法
CN102979403A (zh) 一种汽车延时自动升窗控制系统
KR101261043B1 (ko) 자동차 파워윈도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EP0368257B1 (en) Vehicle provided with an improved system for controlling the window and sunroof movement
KR101158564B1 (ko) 자동차의 안전 개방 장치
CN207260835U (zh) 一种车窗升降控制系统
JP2008019625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EP1632633A1 (en) Move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JP2008280790A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開閉システム
US9905067B2 (en) Automobile power window enable and disable method
KR101806704B1 (ko) 안전 사고 방지를 위한 가변형 액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9980075929A (ko) 자동차 파워윈도우의 안전장치
JP2002213141A (ja) 自動車の自動開閉窓制御装置
CN203257248U (zh) 一种延时自动升窗控制系统
US20130091773A1 (en) Power actuated rear gate arrangement
CN214943328U (zh) 用于车辆的车门控制装置及车辆
CN207177591U (zh) 车窗安全控制器
JP4507174B2 (ja) 自動車用エレベーター扉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