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017B1 - 명함 재단장치 - Google Patents

명함 재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017B1
KR101261017B1 KR1020110007289A KR20110007289A KR101261017B1 KR 101261017 B1 KR101261017 B1 KR 101261017B1 KR 1020110007289 A KR1020110007289 A KR 1020110007289A KR 20110007289 A KR20110007289 A KR 20110007289A KR 101261017 B1 KR101261017 B1 KR 101261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cutter
aligned
fram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6065A (ko
Inventor
정대원
Original Assignee
(주) 성원애드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성원애드피아 filed Critical (주) 성원애드피아
Priority to KR1020110007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0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86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1/00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함이 재단되기 전에 명함이 간편하게 정렬될 수 있고 1회의 작업으로 다수의 명함을 동시에 재단할 수 있으며, 명함의 재단이 완료된 후 잘려나간 테두리 부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명함 재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적어도 한 장의 명함을 세워진 상태로 정렬함과 아울러, 상기 정렬된 명함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정렬된 명함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커터 날이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된 커터 및 상기 정렬된 명함을 상기 커터를 향해 가압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커터에 의해 소정 형태로 절단되게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명함 재단장치{Apparatus for cutting out namecard}
본 발명은 명함 재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크기로 제작된 명함을 정렬하여 원하는 형태로 재단하고자 구비된 명함 재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에 제작되고 있는 명함은 인쇄물을 단순히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여 재단하는 직사각형 모양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의 직사각형의 명함은 저 비용으로 많은 양의 명함을 제작할 수 있어 인쇄물 재단 장치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재단되어지는 명함은 단조로울 뿐만 아니라 개성을 살릴 수 있는 명함을 제작하고자 한다면 명함에 인쇄되어 있는 문구나 도형으로 표현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상기의 단조로운 명함을 탈피하고자 제시된 바 있는 기존의 인쇄물 재단장치는 인쇄물의 크기와 형태에 맞도록 미리 제작된 복수 개의 단위 커터들을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인쇄물을 편집 배열시킨 것과 동일하게 사각의 프레임 내부에 배열 고정한 후 상기 프레임을 한 장씩 인쇄물을 절단하는 재단기의 왕복 테이블 위에 올려 인쇄물의 위치를 정렬시킨 후 재단기를 가동시킴으로써 인쇄물이 한 세트씩 단위 커터에 의해 재단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복수개의 단위 커터들을 제작하여야 하는데 이때 단위 커터들을 제작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소량으로 제작하는 인쇄물에는 수지가 맞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인쇄물 재단방법 및 장치는 한번의 동작으로 한 세트씩 재단이 되므로 재단하는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따른 인쇄물 재단장치는 명함을 재단할 때마다 작업자가 명함을 재단 테이블에 적재한 후 손이나 기구를 이용하여 정렬해야 하며, 명함 정렬이 끝난 후 명함의 상부에 커터를 올려놓아야 하므로, 그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명함 재단이 끝난 후 발생한 종이 부스러기를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치워야하므로,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명함이 재단되기 전에 명함이 간편하게 정렬될 수 있고 1회의 작업으로 다수의 명함을 동시에 재단할 수 있으며, 명함의 재단이 완료된 후 잘려나간 테두리 부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명함 재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적어도 한 장의 명함을 세워진 상태로 정렬함과 아울러, 상기 정렬된 명함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정렬된 명함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커터 날이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된 커터 및 상기 정렬된 명함을 상기 커터를 향해 가압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커터에 의해 소정 형태로 절단되게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명함 재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명함 재단장치에 따르면 많은 양의 명함을 한번의 작업브로 모두 재단할 수 있고, 또한 재단하는 커터 날 모양을 변경하여 사용하면 변경된 모양에 따른 다양한 모양의 명함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모양의 명함이 제작되어 질 수 있어 명함에 차별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명함이 재단되기 전에 명함이 간편하게 정렬될 수 있고, 명함의 재단이 완료된 후 잘려나간 테두리 부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 재단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명함 재단장치의 구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 재단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명함 재단장치의 구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명함 재단장치의 부분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 명함 재단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 재단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명함 재단장치의 구동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 재단장치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명함 재단장치의 구동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명함 재단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명함을 소정의 형태로 재단하기 위한 명함 재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명함 재단장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 상에 배치되어 적어도 한 장의 명함(20)을 세워진 상태로 정렬함과 아울러, 상기 정렬된 명함(2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200)와, 상기 정렬된 명함(20)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커터 날이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된 커터(300) 및 상기 정렬된 명함(20)을 상기 커터(300)를 향해 가압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커터(300)에 의해 소정 형태로 절단되게 하는 가압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프레임(100)은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명함 재단장치(10)가 지면과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한편, 프레임(100)의 일 측에는 버튼, 레버 등의 조작부(4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430)는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전원 버튼과, 방향변환 레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향변환 레버는 가압부(400) 및 지그장치(500)의 이동 방향을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안내부(200)는 상기 프레임(100) 상에 배치되어 적어도 한 장의 명함(20)을 세워진 상태로 정렬함과 아울러, 상기 정렬된 명함(2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명함(20)은 다수 장으로 쌓인 상태로 공급되어 한꺼번에 재단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안내부(200)는 명함(20)들을 쌓인 상태로 세워서 정렬함과 아울러, 명함(20)들을 정렬된 상태로 수평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내부(200)는 상기 정렬된 명함(20)의 일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측벽(210)과, 상기 측벽(210)과 수직하도록 상기 측벽(210)의 하단에 이웃하여 형성된 바닥면(220)을 포함하되, 상기 측벽(210)과 바닥면(220)은 상기 정렬된 명함(20)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취한다.
상기 측벽(210)과 바닥면(220)은 상기 프레임(100) 상에 장착된다. 그리고, 측벽(210)과 바닥면(220)은 90도의 각도를 이루게 배치된다. 이는 사용자가 측벽(210)과 바닥면(220) 사이에 명함(20)을 세워진 채로 놓게 되면, 측벽(210)과 바닥면(220)이 명함(20)의 4개 모서리들 중 인접한 2개 모서리들이 각각 맞닿게 되어 명함(20)이 자연스레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별도의 정렬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명함(20)을 정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터(300)는 상기 정렬된 명함(20)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커터 날이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명함의 모서리를 곡선으로 재단하고자 할 경우, 그 형상에 맞도록 커터(300)를 형성한 뒤, 장착한다.
커터(300)는 프레임(100) 상에서 안내부(20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커터(300)는 커터 날(310)이 정렬된 명함(20)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된다. 이는 커터 날(310)이 명함(20) 면과 수직을 이루어 명함(20) 면을 가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명함(20)이 원활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커터(300)는 커터 날(310)에 의해 명함(20)이 소정의 형태로 재단된 후, 명함(20) 공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앙 부위에 관통공(32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커터(300)에 형성된 중앙 관통공(320)의 면적은 명함(20)이 그 형태를 유지하면서 배출될 수 있도록 명함(20)의 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터(300)는 절단하여 얻고자 하는 명함(20)의 형태에 상응하여 다양한 형태의 커터(300)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0)과 탈착가능한 구조로 장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터(300)는 상기 커터(300)를 통과하면서 상기 명함(20)에서 잘려나간 테두리(21) 부분을 절단하는 보조커터(600)가 상기 명함(20) 면에 수직하도록 상기 커터(300)의 외측면에 추가로 장착된다.
상기 보조커터(600)는 상기 정렬된 명함(20)이 커터(300)의 커터 날(310)에 의해 절단되고 관통공(320)을 통과하면서 명함(20)과 분리되는 테두리(21) 부분이 쉽게 낙하될 수 있도록 절단해주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커터(600)는 보조커터 날(610)이 상기 명함(20) 면에 수직하도록 상기 커터(300)의 외측면 장착된다. 상기 명함(20)에서 분리된 테두리(21) 부분은 'l'자형, 'ㄱ'자형, 'ㄷ'자형 내지 'ㅁ'자형을 취한다. 상기 각 형태에 따라 상기 보조커터(600)는 다수 배치될 수 있다.
가압부(400)는 상기 정렬된 명함(20)을 상기 커터(300)를 향해 가압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커터(300)에 의해 소정 형태로 절단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가압부(400)는 전술한 안내부(200)에 정렬된 명함(20)이 세워진 상태에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명함(20)이 세워져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가압부(400)는 명함(20)이 놓인 상태에서 명함(20)에 있어 커터(300)를 향한 면의 반대쪽 면을 지지하고, 커터(300) 방향으로 명함(20)을 가압하여 수평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400)는 상기 안내부(200)에 정렬된 명함(20)을 상기 커터(300)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410)와, 상기 가압부재(410)를 수평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420)와, 상기 액추에이터(4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부(430)를 포함한다.
먼저, 가압부재(410)는 전술한 안내부(200)에 정렬된 명함(20)이 세워진 상태에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명함(20)이 세워져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가압부재(410)는 명함(20)이 놓인 상태에서 명함(20)에 있어 커터(300)를 향한 면의 반대쪽 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가압부재(410)는 액추에이터(420)와 연결됨으로써, 명함(20)을 지지한 채로 커터(300) 쪽으로 명함(20)을 수평이동시켜 명함을 절단하거나, 명함(20)이 절단된 후 커터(300)의 관통공(320)을 지나 커터(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재(410)는 명함(20)이 절단된 후 커터(300)의 커터 날(310)과 부딪칠 수 있는데, 그에 따라 커터 날(310)이 손상될 수 있다. 커터 날(3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압부재(410)에서 명함(20)을 지지하는 면에는 보호 부재(411)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부재(411)는 가압부재(410)에 단순히 면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거나,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호 부재(411)는 부직포, 쿠션재, 고무, 플라스틱이나, 나무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안내부(200)에 정렬되어 이송하는 명함(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정렬된 명함(20)의 상면 또는 측면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지그장치(500)를 추가로 장착한다.
상기 지그장치(500)는 상기 안내부(200)에 정렬된 명함(20)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명함(20)의 정렬이 흐트러지거나, 명함(20)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준다. 즉, 정렬된 명함(20)의 4개의 모서리 중 인접한 2개의 모서리는 상기 안내부(200)의 측벽(210) 및 바닥면(220)에 의해 지지되고, 나머지 2개의 모서리는 상기 지그장치(50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정렬된 명함(20)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부(200)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진 경우 상기 지그장치(500)도 상기 기울여진 명함(20)의 모서리와 대응하도록 마찬가지로 상기 안내부(200)와 같은 각도로 기울여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그장치(500)는 상기 안내부(200)에 정렬되어 이송하는 명함(20)의 상부측 모서리가 끼워져 이송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직각의 안내홈(511)을 구비하는 안내부재(510) 및 상기 안내부재(510)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520)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부재(510)는 상기 안내부(200)에 정렬되어 이송하는 명함(20)의 상부측 모서리가 끼워져 이송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직각의 안내홈(511)을 구비한다. 즉, 전술한 안내부(200)에 정렬된 명함(20)이 세워진 상태에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명함(20)이 세워져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안내부재(510)는 명함(20)이 놓인 상태에서 상기 안내부(200)와 접하지 않은 모서리 부분이 상기 안내홈(511)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안내부재(510)는 액추에이터(520)와 연결됨으로써 승강할 수 있다. 즉, 명함(20)을 안내부(200)에 정렬할 경우 공간확보를 위해 상승되고, 명함의 정렬이 완료된 다음에는 하강하여 명함을 지지하고 안내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520)는 유압, 공압 실린더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조작을 위해 상기 조작부(4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조작부(430)는 상기 액추에이터(520)의 승강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명함 재단장치 20 : 명함
100 : 프레임 200 : 안내부
210 : 측벽 220 : 바닥면
300 : 커터 400 : 가압부
410 : 가압부재 420 : 액추에이터
430 : 조작부 500 : 지그장치
510 : 안내부재 511 : 안내홈
520 : 액추에이터 600 : 보조커터

Claims (6)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적어도 한 장의 명함을 세워진 상태로 정렬함과 아울러, 상기 정렬된 명함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정렬된 명함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커터 날이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된 커터 및 상기 정렬된 명함을 상기 커터를 향해 가압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커터에 의해 소정 형태로 절단되게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명함 재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안내부에 정렬되어 이송하는 명함의 일측면과 상측면이 끼워져 이송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직각의 안내홈을 상방으로 경사지게 구비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진 지그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정렬된 명함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측벽과, 상기 명함의 하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측벽의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이웃하여 형성된 바닥면을 포함하되, 상기 측벽과 바닥면은 상기 정렬된 명함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커터는, 상기 커터를 통과하면서 상기 명함에서 잘려나간 테두리 부분을 절단하는 보조커터가 상기 명함 면에 수직하도록 상기 커터의 외측면에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재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안내부에 정렬된 명함을 상기 커터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를 수평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재단장치.
KR1020110007289A 2011-01-25 2011-01-25 명함 재단장치 KR101261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289A KR101261017B1 (ko) 2011-01-25 2011-01-25 명함 재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289A KR101261017B1 (ko) 2011-01-25 2011-01-25 명함 재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065A KR20120086065A (ko) 2012-08-02
KR101261017B1 true KR101261017B1 (ko) 2013-05-06

Family

ID=4687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289A KR101261017B1 (ko) 2011-01-25 2011-01-25 명함 재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0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213Y1 (ko) * 2004-08-20 2004-11-17 김민중 명함 제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213Y1 (ko) * 2004-08-20 2004-11-17 김민중 명함 제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065A (ko)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278B1 (ko) 종이 재단장치
KR20160063897A (ko) 용지더미 절단장치
EP2686453B1 (en) A machine for cutting leathers
KR101261017B1 (ko) 명함 재단장치
KR101544980B1 (ko) 모서리 라운드 펀칭기
KR100875277B1 (ko) 종이 재단장치
US11077978B2 (en) Product transfer apparatus and product transfer system
KR101581590B1 (ko) 데크 플레이트 상면 가공장치
JP2008200807A (ja) シート積層体の角丸切断装置
KR101755173B1 (ko) 인쇄물 코너 라운딩기
WO2019093407A1 (ja) 製品搬送装置及び製品搬送システム
CN202528327U (zh) 一种切钻机
JP5499285B2 (ja) シート材の裁断装置
CN108296562B (zh) 一种钢板切割工作台
JPH0829520B2 (ja) シートパレ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CN207421066U (zh) 贴泡棉装置
KR20120050422A (ko) 신용카드 펀칭기의 카드 회수장치
JP2013244535A (ja) 加工機のスキッドテーブル
CN216372430U (zh) 一种绿色印刷用的纸张裁切装置
KR20060102797A (ko) 가구형 종이절단기
CN205969258U (zh) 一种清废机中顶针的控制机构及含有该机构的清废机
CN212331150U (zh) 一种智能卡分切防错机构
KR101577294B1 (ko) 레일 이동 방식의 4축 재단기
TWM449687U (zh) 真空成型裁切機之緩衝構造
CN214490883U (zh) 一种用于镂空成型的人工裁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