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896B1 -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896B1
KR101259896B1 KR1020110086401A KR20110086401A KR101259896B1 KR 101259896 B1 KR101259896 B1 KR 101259896B1 KR 1020110086401 A KR1020110086401 A KR 1020110086401A KR 20110086401 A KR20110086401 A KR 20110086401A KR 101259896 B1 KR101259896 B1 KR 101259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
region
isolation layer
trench isolation
bipolar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3556A (ko
Inventor
유재현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110086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896B1/ko
Priority to US13/345,966 priority patent/US9130005B2/en
Publication of KR20130023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Bipolar junction transistors
    • H01L29/735Lateral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Bipolar junction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21Collector regions of bipolar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04Base region of bipolar transistors
    • H01L29/1008Base region of bipolar transistors of lateral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 Bipola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p형의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어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하는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이미터 영역과 제 1 베이스 영역 및 제 2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에 p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1 웰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에 n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2 웰과,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제 2 웰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이미터 영역에 n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이미터와, 제 1 웰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콜렉터 영역에 n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콜렉터와,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에 의해 이미터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제 1 베이스 영역 및 이미터 영역과 제 2 웰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베이스 영역에 p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베이스를 포함하며, 트리거링 전압을 낮출 수 있는 능력이 크고, 유지 전압의 증가를 가져오며, 항복 전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정전기 방전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BIPOLAR JUNCTION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정전기 방전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모스 트랜지스터(Metal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에 비해 전류 성능(current performance), 속도(speed), 그레인(grain) 측면에 있어서 우수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파워, RF IC 설계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미터(emitter), 베이스(base) 및 콜렉터(collector)로 구성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이미터로부터 방출된 전하의 이동 방향에 따라 수직(vertical)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수평(lateral)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내부 IC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로서, npn 구조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예시하였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용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p형의 반도체 기판(11)에 형성되어 이미터 영역,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하는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4)와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5) 및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16)을 포함한다.
반도체 기판(11)의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4)을 포함하는 이미터 영역과 베이스 영역에 p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1 웰(12)을 포함한다.
반도체 기판(11)의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16)을 포함하는 콜렉터 영역에 n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2 웰(1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4)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5)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 영역에 p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베이스(19)를 포함한다.
제 1 웰(12)과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16)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콜렉터 영역에 n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콜렉터(18)를 포함한다.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4)에 의해 베이스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이미터 영역에 n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이미터(17)를 포함한다.
이러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의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회로 설계시 입출력(I/O) 단자를 구성하여야 하며, 입출력 단자에 콜렉터를 연결하고, 이미터는 접지 단자(ground)에 연결하며, 베이스는 저항을 통해 접지 단자에 연결된다.
이러한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장치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며, 정전기 전압이 2000V이상으로 입출력 단자로 들어왔을 때, 정전기 전류를 빠르게 접지 단자로 빼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트리거링 전압(triggering voltage, Vt), 유지 전압(holding voltage, Vh),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 Vb)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만족하여야 한다.
그런데,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정전기 방전 보호 성능 측면에서는 수직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보다 열악한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2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미터(17)와 베이스(19)의 위치를 서로 바꾸는 방안이 사용되었다. 도 2와 같이 이미터와 베이스의 위치를 서로 바꿔주면 도 1과 비교할 때에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터널링 효과가 더 빨리 나타나기 때문에 트리거링 시점을 앞당길 수 있다.
불구하고, 이처럼 이미터와 베이스의 위치를 서로 바꾸는 것 만으로는 만족할만한 정전기 방전 보호 성능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반도체 장치 또한 그 크기가 증대되어야 하므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안은 한계점에 봉착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서,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변경하여 그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정전기 방전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으로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제 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어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하는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이미터 영역과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 및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1 웰과,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2 웰과,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제 2 웰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이미터 영역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이미터와, 상기 제 1 웰과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콜렉터 영역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콜렉터와,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에 의해 상기 이미터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제 1 베이스 영역 및 상기 이미터 영역과 상기 제 2 웰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웰 내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 3 웰과, 상기 제 2 웰 내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콜렉터 영역 및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의 하측에 형성된 제 4 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3 웰의 하측부터 상기 제 4 웰의 하측까지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과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 제 5 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상기 이미터 영역과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과의 사이에 형성된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으로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제 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어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하는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이미터 영역과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 및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1 웰과,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2 웰과,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제 2 웰과의 사이에 순차로 위치하는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과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제 1 웰과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콜렉터 영역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콜렉터와,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에 의해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이미터 영역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이미터와, 상기 제 1 웰 내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 3 웰과, 상기 제 2 웰 내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콜렉터 영역 및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의 하측에 형성된 제 4 웰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3 웰의 하측부터 상기 제 4 웰의 하측까지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과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 제 5 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과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과의 사이에 형성된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으로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제 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에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을 형성하여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이미터 영역 및 상기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1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2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제 2 웰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이미터 영역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이미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웰과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콜렉터 영역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콜렉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에 의해 상기 이미터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제 1 베이스 영역 및 상기 이미터 영역과 상기 제 2 웰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1 웰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웰 내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을 감싸도록 제 3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웰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2 웰 내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콜렉터 영역 및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의 하측에 제 4 웰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3 웰의 하측부터 상기 제 4 웰의 하측까지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과의 경계를 따라 제 5 웰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이미터 영역과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과의 사이에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으로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제 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에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하는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이미터 영역과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 및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1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웰 내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을 감싸도록 제 3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2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웰 내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콜렉터 영역 및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의 하측에 제 4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제 2 웰과의 사이에 순차로 위치하는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과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웰과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콜렉터 영역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콜렉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에 의해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이미터 영역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이미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베이스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 3 웰의 하측부터 상기 제 4 웰의 하측까지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과의 경계를 따라 제 5 웰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1 웰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과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과의 사이에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트리거링 전압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트리거링 전압을 낮출 수 있는 능력이 크고, 베이스 저항을 감소시켜서 유지 전압의 증가를 가져오며, 베이스 하단으로 깊은 전류 경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항복 전압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정전기 방전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변형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로서, npn 구조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예시하였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p형의 반도체 기판(101)에 형성되어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하는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 이미터 영역과 제 1 베이스 영역 및 제 2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p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1 웰(102)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n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2 웰(103)과,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제 2 웰(1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이미터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이미터(107)와, 제 1 웰(102)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콜렉터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콜렉터(108)와,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에 의해 이미터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제 1 베이스 영역 및 이미터 영역과 제 2 웰(1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베이스 영역에 p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베이스(109, 201)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p형의 반도체 기판(101)에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을 형성하여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한다.
이어서,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이미터 영역 및 제 1, 제 2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제 1 웰(102)을 형성하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제 2 웰(103)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제 2 웰(1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이미터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이미터(107)를 형성한다.
제 1 웰(102)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콜렉터 영역에는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콜렉터(108)를 형성한다.
이미터(107)가 형성된 이미터 영역으로부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에 의해 분리된 제 1 베이스 영역 및 이미터(107)가 형성된 이미터 영역과 제 2 웰(1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베이스 영역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베이스(109, 20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종래 기술에 따른 도 2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비교하여 보면, 종래 기술에 따라 P형 웰(12)과 N형 웰(13)의 경계 영역에 존재하였던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5)이 제거되었고, 제 1 웰(102) 내의 제 2 베이스 영역에 베이스(201)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비교할 때에 이미터(107)와 베이스(109)의 위치 변경에 의해 터널링 효과가 더 빨리 나타나기 때문에 트리거링 시점을 앞당길 수 있다. 또, 제 1 웰(102)과 제 2 웰(103) 및 베이스(201)를 가지고서 트리거링 전압(Vt)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트리거링 전압(Vt)을 낮출 수 있는 능력(capability)이 크다.
그리고, 베이스(201)의 추가로 인하여 베이스 저항을 감소시켜서 유지 전압(Vh)의 증가를 가져온다.
또한, 베이스(201)가 추가되지 않은 구조라면 이미터(107)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 1 웰(102)과 제 2 웰(103)의 표면으로 크라우딩(crowding)되지만, 베이스(201)의 추가로 인하여 베이스(201) 하단으로 깊은 전류 경로(deep current path)를 형성하며, 이러한 깊은 전류 경로로 인하여 항복 전압(Vh)이 높아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로서, 도 3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pnp 구조로 변경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로서, npn 구조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예시하였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p형의 반도체 기판(101)에 형성되어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하는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 이미터 영역과 제 1 베이스 영역 및 제 2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p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1 웰(102)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n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2 웰(103)과,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제 2 웰(1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이미터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이미터(107)와, 제 1 웰(102)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콜렉터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콜렉터(108)와,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에 의해 이미터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제 1 베이스 영역 및 이미터 영역과 제 2 웰(1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베이스 영역에 p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베이스(109, 201)와, 제 1 웰(102) 내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베이스(201)(제 2 베이스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 3 웰(202)과, 제 2 웰(103) 내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콜렉터(108)(콜렉터 영역)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의 하측에 형성된 제 4 웰(20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p형의 반도체 기판(101)에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을 형성하여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한다.
이어서,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이미터 영역 및 제 1, 제 2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제 1 웰(102)을 형성하며, 제 1 웰(102) 내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이후 공정에서 베이스(201)가 형성될 제 2 베이스 영역을 감싸도록 제 3 웰(20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제 2 웰(103)을 형성하며, 제 2 웰(103) 내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이후 공정에서 콜렉터(108)가 형성될 콜렉터 영역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의 하측에 제 4 웰(203)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제 2 웰(1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이미터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이미터(107)를 형성한다.
제 1 웰(102)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콜렉터 영역에는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콜렉터(108)를 형성한다.
이미터(107)가 형성된 이미터 영역으로부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에 의해 분리된 제 1 베이스 영역 및 이미터(107)가 형성된 이미터 영역과 제 2 웰(1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베이스 영역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베이스(109, 20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도 3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비교하여 보면, 제 3 웰(202)과 제 4 웰(203)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도 3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비교할 때에 제 1 웰(102)과 제 2 웰(103), 제 3 웰(202) 및 베이스(201)를 가지고서 트리거링 전압(Vt)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트리거링 전압(Vt)을 낮출 수 있는 능력(capability)이 더욱 향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로서, 도 5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pnp 구조로 변경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로서, npn 구조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예시하였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p형의 반도체 기판(101)에 형성되어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하는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 이미터 영역과 제 1 베이스 영역 및 제 2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p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1 웰(102)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n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2 웰(103)과,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제 2 웰(1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이미터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이미터(107)와, 제 1 웰(102)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콜렉터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콜렉터(108)와,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에 의해 이미터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제 1 베이스 영역 및 이미터 영역과 제 2 웰(1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베이스 영역에 p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베이스(109, 201)와, 제 1 웰(102) 내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베이스(201)(제 2 베이스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 3 웰(202)과, 제 2 웰(103) 내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콜렉터(108)(콜렉터 영역)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의 하측에 형성된 제 4 웰(203)과, 제 3 웰(202)의 하측부터 제 4 웰(203)의 하측까지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반도체 기판(101)과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 제 5 웰(20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p형의 반도체 기판(101)에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을 형성하여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한다.
이어서,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이미터 영역 및 제 1, 제 2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제 1 웰(102)을 형성하며, 제 1 웰(102) 내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이후 공정에서 베이스(201)가 형성될 제 2 베이스 영역을 감싸도록 제 3 웰(20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제 2 웰(103)을 형성하며, 제 2 웰(103) 내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이후 공정에서 콜렉터(108)가 형성될 콜렉터 영역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의 하측에 제 4 웰(203)을 형성한다.
또, 제 3 웰(202)의 하측부터 제 4 웰(203)의 하측까지 n형 불순물 이온을 깊게 주입하여 반도체 기판(101)과의 경계를 따라 제 5 웰(204)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제 2 웰(1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이미터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이미터(107)를 형성한다.
제 1 웰(102)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콜렉터 영역에는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콜렉터(108)를 형성한다.
이미터(107)가 형성된 이미터 영역으로부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에 의해 분리된 제 1 베이스 영역 및 이미터(107)가 형성된 이미터 영역과 제 2 웰(1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베이스 영역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베이스(109, 20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도 7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도 5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비교하여 보면, 제 5 웰(204)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도 5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비교하면, 이미터(107)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 5 웰(204)을 따라 베이스(201) 하단으로 깊은 전류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로서, npn 구조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예시하였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p형의 반도체 기판(101)에 형성되어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하는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 및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205)과, 이미터 영역과 제 1 베이스 영역 및 제 2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p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1 웰(102)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n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2 웰(103)과,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205)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이미터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이미터(107)와, 제 1 웰(102)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콜렉터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콜렉터(108)와,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에 의해 이미터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제 1 베이스 영역 및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205)과 제 2 웰(1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베이스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베이스(109, 201)와, 제 1 웰(102) 내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베이스(201)(제 2 베이스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 3 웰(202)과, 제 2 웰(103) 내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콜렉터(108)(콜렉터 영역)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의 하측에 형성된 제 4 웰(20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p형의 반도체 기판(101)에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 및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205)을 형성하여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한다.
이어서,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이미터 영역 및 제 1, 제 2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제 1 웰(102)을 형성하며, 제 1 웰(102) 내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이후 공정에서 베이스(201)가 형성될 제 2 베이스 영역을 감싸도록 제 3 웰(20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제 2 웰(103)을 형성하며, 제 2 웰(103) 내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이후 공정에서 콜렉터(108)가 형성될 콜렉터 영역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의 하측에 제 4 웰(203)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205)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이미터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이미터(107)를 형성한다.
제 1 웰(102)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콜렉터 영역에는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콜렉터(108)를 형성한다.
이미터(107)가 형성된 이미터 영역으로부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에 의해 분리된 제 1 베이스 영역 및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205)과 제 2 웰(1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베이스 영역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베이스(109, 20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도 8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도 5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비교하여 보면,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205)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도 5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비교하면, 정션 브레이크다운이 표면으로 올라오지 않고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205)의 아래에서 발생하므로 상대적으로 소자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로서, 도 8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pnp 구조로 변경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로서, 도 8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제 5 웰(204)을 추가로 형성한 것이다. 제 5 웰(204)을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대해서는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였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 및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 등에서 이미터(107)와 베이스(109)의 위치를 도 1과 같이 서로 바꿔서 구현 및 제조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 실시 예 중에서 몇 가지를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로서, 도 5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서 이미터(107)와 베이스(109)의 위치로 상호 변경한 변형 예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p형의 반도체 기판(101)에 형성되어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하는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이미터 영역,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 및 제 2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p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1 웰(102)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n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2 웰(203)과,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제 2 웰(103)과의 사이에 순차로 위치하는 제 1 베이스 영역과 제 2 베이스 영역에 p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베이스(109, 201)와, 제 1 웰(102)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콜렉터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콜렉터(108)와,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에 의해 제 1 베이스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이미터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이미터(107)와, 제 1 웰(102) 내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제 2 베이스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 3 웰(202)과, 제 2 웰(103) 내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콜렉터 영역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의 하측에 형성된 제 4 웰(20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p형의 반도체 기판(101)에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을 형성하여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한다.
이어서,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이미터 영역 및 제 1, 제 2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제 1 웰(102)을 형성하며, 제 1 웰(102) 내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이후 공정에서 베이스(201)가 형성될 제 2 베이스 영역을 감싸도록 제 3 웰(20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1)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제 2 웰(103)을 형성하며, 제 2 웰(103) 내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이후 공정에서 콜렉터(108)가 형성될 콜렉터 영역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의 하측에 제 4 웰(203)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과 제 2 웰(103)과의 사이에 순차로 위치한 제 1 베이스 영역 및 제 2 베이스 영역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베이스(109, 201)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 1 웰(102)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106)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콜렉터 영역에는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콜렉터(108)를 형성한다.
끝으로,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104)에 의해 베이스(109)(제 1 베이스 영역)로부터 분리된 이미터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이미터(107)를 형성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로서, 도 11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제 5 웰(204)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 5 웰(204)을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대해서는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였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 예에 따라 정전기 방전 보호 소자로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로서, 도 12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205)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205)을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대해서는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하였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반도체 기판 102 : 제 1 웰
103 : 제 2 웰 104 :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
106 :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 107 : 이미터
108 : 콜렉터 109, 201 : 베이스
202 : 제 3 웰 203 : 제 4 웰
204 : 제 5 웰

Claims (14)

  1. p형의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어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하는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이미터 영역과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 및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p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1 웰과,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n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2 웰과,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제 2 웰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이미터 영역에 n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이미터와,
    상기 제 1 웰과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콜렉터 영역에 n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콜렉터와,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에 의해 상기 이미터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제 1 베이스 영역 및 상기 이미터 영역과 상기 제 2 웰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에 p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베이스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웰 내에 p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 3 웰과,
    상기 제 2 웰 내에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콜렉터 영역 및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의 하측에 형성된 제 4 웰을 더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3 웰의 하측부터 상기 제 4 웰의 하측까지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과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 제 5 웰을 더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상기 이미터 영역과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과의 사이에 형성된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5. p형의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어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하는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이미터 영역과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 및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p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1 웰과,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n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제 2 웰과,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제 2 웰과의 사이에 순차로 위치하는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과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에 p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제 1 웰과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콜렉터 영역에 n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콜렉터와,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에 의해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이미터 영역에 n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이미터와,
    상기 제 1 웰 내에 p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 3 웰과,
    상기 제 2 웰 내에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콜렉터 영역 및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의 하측에 형성된 제 4 웰을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3 웰의 하측부터 상기 제 4 웰의 하측까지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과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 제 5 웰을 더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과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과의 사이에 형성된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8. p형의 반도체 기판에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을 형성하여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이미터 영역 및 상기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p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1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2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제 2 웰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이미터 영역에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이미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웰과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콜렉터 영역에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콜렉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에 의해 상기 이미터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제 1 베이스 영역 및 상기 이미터 영역과 상기 제 2 웰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에 p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1 웰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웰 내에 p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을 감싸도록 제 3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웰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2 웰 내에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콜렉터 영역 및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의 하측에 제 4 웰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3 웰의 하측부터 상기 제 4 웰의 하측까지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과의 경계를 따라 제 5 웰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이미터 영역과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과의 사이에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12. p형의 반도체 기판에 이미터 영역, 제 1 베이스 영역, 제 2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을 정의하는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 및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이미터 영역과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 및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p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1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웰 내에 p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을 감싸도록 제 3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콜렉터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제 2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웰 내에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콜렉터 영역 및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의 하측에 제 4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과 상기 제 2 웰과의 사이에 순차로 위치하는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과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에 p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웰과 상기 제 2 트렌치 소자분리막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콜렉터 영역에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콜렉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트렌치 소자분리막에 의해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이미터 영역에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이미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베이스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 3 웰의 하측부터 상기 제 4 웰의 하측까지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과의 경계를 따라 제 5 웰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1 웰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과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과의 사이에 제 3 트렌치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20110086401A 2011-08-29 2011-08-29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259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401A KR101259896B1 (ko) 2011-08-29 2011-08-29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US13/345,966 US9130005B2 (en) 2011-08-29 2012-01-09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401A KR101259896B1 (ko) 2011-08-29 2011-08-29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556A KR20130023556A (ko) 2013-03-08
KR101259896B1 true KR101259896B1 (ko) 2013-05-02

Family

ID=47742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401A KR101259896B1 (ko) 2011-08-29 2011-08-29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30005B2 (ko)
KR (1) KR1012598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0243A (ja) 2005-12-27 2007-07-12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03551A (ja) 2006-10-19 2008-05-0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5800B2 (en) * 2002-12-09 2004-11-09 Micrel, Inc. Bipolar junction transistor with reduced parasitic bipolar conduction
KR100504204B1 (ko) * 2003-04-01 2005-07-27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시모스 프로세스를 이용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489619B1 (ko) 2003-04-29 2005-05-17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7701038B2 (en) * 2005-10-31 2010-04-2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High-gain vertex lateral bipolar junction transistor
JP2007294613A (ja) 2006-04-24 2007-11-08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415764B2 (en) * 2009-06-02 2013-04-0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High-voltage BJT formed using CMOS HV processes
JP5544119B2 (ja) * 2009-07-07 2014-07-0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Esd保護素子
US8212292B2 (en) * 2009-11-20 2012-07-03 Freescale Semiconductor, Inc. High gain tunable bipolar transistor
US8648419B2 (en) * 2010-01-20 2014-02-1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ESD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US9029952B2 (en) * 2012-04-19 2015-05-12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0243A (ja) 2005-12-27 2007-07-12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03551A (ja) 2006-10-19 2008-05-0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49169A1 (en) 2013-02-28
KR20130023556A (ko) 2013-03-08
US9130005B2 (en) 201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8854B2 (en) TVS with low capacitance and forward voltage drop with depleted SCR as steering diode
US8835977B2 (en) TVS with low capacitance and forward voltage drop with depleted SCR as steering diode
KR101394913B1 (ko) 트렌치 소자분리를 사용한 래치업 없는 버티컬 tvs 다이오드 어레이 구조
KR101042140B1 (ko)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베이스 스내치를 사용한 대칭 블로킹 과도전압 억제기
TWI689076B (zh) 高突波雙向暫態電壓抑制器
CN103035638B (zh) 改进可调节的esd保护器件
US9991369B2 (en) ESD protection SCR device
CN104167414A (zh) 双槽区结隔离型电压钳位器件及其形成方法
US20130119433A1 (en) Isolation structure for esd device
CN105655325A (zh) 静电放电保护电路、结构及其制造方法
CN106229314A (zh) 静电放电保护器件及其制造方法
CN105470250B (zh) 过电压保护设备及方法
CN104704636A (zh) 具有用于负电压操作的隔离式scr的esd保护电路
US8963202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apparatus
US8598625B2 (en) ESD protection device with tunable design windows
US8859361B1 (en) Symmetric blocking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TVS) using bipolar NPN and PNP transistor base snatch
TW201917867A (zh) 半導體靜電放電保護元件
KR20130124560A (ko)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392569B1 (ko)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259896B1 (ko)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US8669639B2 (en) Semiconductor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2412237A (zh) 用于高电压静电放电防护的低电压结构的防护装置
US8686509B2 (en)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991173B2 (en) Bidirectional semiconductor device for protection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s
CN103390617B (zh) 用于esd器件的隔离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