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614B1 - 롤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롤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614B1
KR101259614B1 KR1020120016014A KR20120016014A KR101259614B1 KR 101259614 B1 KR101259614 B1 KR 101259614B1 KR 1020120016014 A KR1020120016014 A KR 1020120016014A KR 20120016014 A KR20120016014 A KR 20120016014A KR 101259614 B1 KR101259614 B1 KR 101259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od
roll
switch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용
Original Assignee
(주)한국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윈텍 filed Critical (주)한국윈텍
Priority to KR1020120016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614B1/ko
Priority to PCT/KR2013/001158 priority patent/WO201312239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50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2Parallel screens moving independent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8Parallel screens moving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7Cellular screens, e.g. box or honeycomb-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06B2009/785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by belts, straps, bands, tapes, cords, ta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3Structure or support of upper box

Abstract

본 발명은 롤 스크린의 위치에 관계없이 투과되는 빛의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편하고 신뢰성이 높은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롤 블라인드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이 중첩되어 형성된 롤 스크린과, 롤 스크린을 권취하는 권취봉과, 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제1 구동 기어와, 롤 스크린에 접하며 마찰력에 의해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중 어느 하나를 밀어올려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이 어긋나게 하는 마찰봉과, 마찰봉을 회전 구동하는 제어봉과, 권취봉이 회전하면 마찰봉과 제어봉 사이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롤 블라인드{Roll blind}
본 발명은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롤 스크린의 위치에 관계없이 투과되는 빛의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조작이 간편하여 신뢰성이 높은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블라인드란, 투명한 유리창 또는 유리벽 등에 설치되어 외부광의 투과량을 변화시켜 실내의 분위기를 조절하거나, 외부에서 실내가 잘 보이지 않도록 차단하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의 롤 블라인드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광투과율을 갖는 하나의 롤 스크린이 하나의 권취봉에 감겨 빛을 차단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롤 블라인드는 상부에 고정된 권취봉에 롤 스크린이 감겨 올라가는 구조로서,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롤 스크린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밖에 없었다.
롤 스크린의 높이를 조절하여 투광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일부분(하부)은 완전 투광되는 반면, 다른 일부분(상부)은 완전 차단되는 등 유리창 또는 유리벽의 전체면에 대하여 균일하게 투광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며, 따라서 투광량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투광부와 차광부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두 장의 롤 스크린을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하고, 중첩된 양을 조절함으로써,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롤 블라인드들은, 구조상 두 겹의 롤 스크린이 함께 완전히 아래로 내려간 후에야 투광량을 조절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73351호에는 롤 스크린의 위치에 상관없이 롤 스크린의 투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3351호 2011.06.2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롤 스크린의 위치에 관계없이 투과되는 빛의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편하고 신뢰성이 높은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이 중첩되어 형성된 롤 스크린과, 상기 롤 스크린을 권취하는 권취봉과, 상기 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제1 구동 기어와, 상기 롤 스크린에 접하며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 중 어느 하나를 밀어올려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이 어긋나게 하는 마찰봉과, 상기 마찰봉을 회전 구동하는 제어봉과, 상기 권취봉이 회전하면 상기 마찰봉과 상기 제어봉 사이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어봉이 회전하면 상기 권취봉의 회전을 제한한다.
상기 마찰봉과 상기 제어봉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어봉이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1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동력을 차단시키는 클러치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봉은 외주면에 돌출된 누름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권취봉에 결합된 스위치 기어와, 상기 스위치 기어와 상기 누름 돌기 사이를 슬라이딩 운동하며 일측이 상기 스위치 기어와 치합되는 스위치 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봉이 회전하면 상기 누름 돌기가 상기 스위치 블록을 밀어 상기 스위치 기어와 상기 스위치 블록을 치합시킨다.
상기 마찰봉과 상기 제어봉 사이에 개재되어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블록이 상기 스위치 기어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마찰봉과 상기 제어봉 사이의 동력 전달을 차단시킨다.
상기 제어봉은 상기 마찰봉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제2 구동부와 치합하는 제1 클러치기어와, 상기 마찰봉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클러치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하는 제2 클러치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블록과 상기 제1 클러치 기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위치 블록이 상기 누름 돌기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제1 클러치 기어를 상기 제2 클러치 기어로부터 이탈시키는 스위치 포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포크는 일단부가 상기 제1 클러치 기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스위치 블록과 경사 접촉을 하여, 상기 스위치 블록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제1 클러치 기어는 상기 마찰봉의 축방향으로 평행이동한다.
상기 마찰봉은 내부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롤 스크린과 접촉하여 마찰력 또는 부착력을 제공하는 마찰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은 서로 교대로 배치된 투광부와 차광부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은 각각 투광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을 연결하는 복수의 차광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 스크린의 위치에 관계없이 현재의 롤 스크린 위치에서 쉽게 투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롤 스크린을 개폐하기 위해 볼 체인을 작동시키더라도 롤 스크린의 투광량을 조절하는 제어봉이 함께 움직이지 않아, 불필요한 동력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불필요한 동작으로 인해 심미감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롤 스크린의 투광량을 조절한 후, 자체 무게에 의해 저절로 롤 스크린이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롤 블라인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롤 블라인드에 포함된 클러치 모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클러치 모듈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클러치 모듈의 주요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롤 블라인드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작동도이다.
도 7a는 도 1의 롤 블라인드의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동작 상태에서 주요 구성요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1의 롤 스크린의 투광량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동작 상태에서 주요 구성요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B-B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롤 스크린의 투광량이 조절된 상태에서 다시 롤 블라인드의 개폐동작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롤 블라인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1)는 롤 스크린(70)의 개폐 위치에 관계없이 롤 스크린(70)의 투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로서, 볼 체인(25)을 이용하여 롤 스크린(70)을 상하로 개폐하고, 마찰봉(62)을 이용하여 롤 스크린(70)의 투광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롤 블라인드(1)는 롤 스크린(70)을 권취하는 권취봉(61)과, 롤 스크린(70)의 투광량을 조절하는 마찰봉(62)과, 마찰봉(62)을 조작하는 제어봉(43)과, 마찰봉(62)과 제어봉(43) 사이의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21, 41, 42)를 포함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 프레임(3), 클러치 바디(10) 및 엔드 바디(90)로 구성되는 구조체 내부에는 롤 스크린(70)이 권취되는 권취봉(61)과 롤 스크린(70)의 투광량을 조절하는 마찰봉(62)이 각각 수용된다.
지지 프레임(3)은 클러치 바디(10) 및 엔드 바디(90)와 함께 롤 블라인드(1)의 지지 구조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수용된 권취봉(61)과 마찰봉(62)을 보호하고 천장 또는 창문틀 등에 롤 블라인드(1)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구조를 이루게 된다.
지지 프레임(3)은 클러치 바디(10)와 엔드 바디(90)를 연결하며, 내부의 권취봉(61)의 길이에 따라 그 길이는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3)은 권취봉(61)의 상부 또는 전후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전면을 연결하는 횡단면이 'ㄱ' 자 형상인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지지 프레임(3)은 지지 구조체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내부의 권취봉(61) 및 마찰봉(62)을 보호하고, 먼지 등의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도 함께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의 양단에는 클러치 바디(10)와 엔드 바디(90)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 바디(10)와 엔드 바디(90)의 사이에는 권취봉(61)과 마찰봉(6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클러치 바디(10)는 클러치 커버(50)와 결합하고 내부에 제1 구동기어(23), 제2 구동기어(44), 제1 클러치 기어(31), 제2 클러치 기어(32), 스위치 기어(21), 스위치 블록(41) 등을 포함하여 클러치 모듈(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클러치 모듈(2)은 권취봉(61)에 회전력을 전달하거나, 롤 블라인드(1)의 투광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클러치 바디(10)는 권취봉(61)이 삽입되는 제1 회전축(11)과 마찰봉(62)이 삽입되는 제2 회전축(12)을 포함한다. 제1 회전축(11)에는 제1 구동기어(23)와 스위치 기어(21)가 삽입되며, 제2 회전축(12)에는 제1 클러치 기어(31)와 제2 클러치 기어(32)가 삽입된다. 제1 구동기어(23)는 권취봉(61)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롤 스크린(70)을 개폐하고, 제1 클러치 기어(31)와 제2 클러치 기어(32)는 마찰봉(62)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롤 스크린(70)의 투광량을 조절한다.
제1 구동기어(23)와 스위치 기어(21)는 제1 회전축(11)에 함께 삽입되며, 서로 고정되어 있어 볼 체인(25)으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면 함께 회전한다. 제1 구동기어(23)와 스위치 기어(21)는 함께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형성된 후 서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구동기어(23)는 볼 체인(25)으로 구동되는 체인기어일 수 있으며,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각종 기어 또는 풀리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구동기어(23)는 볼 체인(25)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권취봉(61)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권취봉(61)에 감겨 있는 롤 스크린(70)은 권출/권취될 수 있다. 클러치 모듈(2)의 내부 구성 및 작동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엔드 바디(90)는 클러치 바디(10)와 함께 권취봉(61) 및 마찰봉(62)을 지지하며, 권취봉(61)과 마찰봉(62)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두 개의 엔드 샤프트(91, 92)를 포함하고 있다.
권취봉(61) 및 마찰봉(62)과 엔드 샤프트(91, 92) 사이에는 플러그(94, 95)와 코일 스프링(93, 94)이 각각 개재되어 있다. 플러그(95, 96)는 권취봉(61) 및 마찰봉(62)과 결합하여, 엔드 사프트(91, 92)에 권취봉(61)과 마찰봉(62)을 고정하게 된다.
한편, 코일 스프링(93, 94)은 권취봉(61) 및 마찰봉(62)의 장력을 유지하여 권취봉(61) 및 마찰봉(62)과 엔드 샤프트(91, 92) 사이에서 완충 작용을 하며, 권취봉(61)과 마찰봉(62)이 부드럽게 작동하도록 한다.
롤 스크린(70)은 투광부로 이루어진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 및,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을 연결하는 복수의 차광부(7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롤 스크린(70)은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이 중첩하여 형성되고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은 복수의 차광부(7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은 적어도 일부가 투광부로 이루어져 빛을 투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복수의 차광부(73)는 빛의 투과를 제한하는 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롤 스크린(70)은 제1 스크린(71), 제2 스크린(72) 및 차광부(73)의 중첩된 형상에 따라서 빛의 투과량이 달라지게 된다.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은 서로 중첩되어 하나의 권취봉(61)에 권취되며 동시에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개폐 동작을 한다. 롤 스크린(70)은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이동한다. 즉, 롤 스크린(70)이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에는 제1 스크린(71), 차광부(73) 및 제2 스크린(72)이 차례로 서로 밀착되도록 중첩된다.
따라서, 롤 스크린(70)은 개폐 동작 과정에서는, 롤 스크린(70) 자체의 투광량이 변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롤 스크린의 개폐 동작'이라 함은,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이 동시에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의미하며, '롤 스크린의 투광량을 조절'한다 함은, 제1 스크린(71), 제2 스크린(72) 및 차광부(73)의 중첩 형상 및 중첩량을 변화시켜 롤 스크린(70)으로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롤 스크린(70)은 서로 중첩된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 사이에 복수의 차광부(73)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롤 스크린(7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스크린(71), 제2 스크린(72) 및 차광부(73)는 측면 형상이 마치 사다리와 같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 사이의 간격이 커지고 차광부(73)가 수평 방향을 유지하게 되면, 롤 스크린(70)은 빛을 최대로 투과시키게 된다. 즉, 차단부(73)가 수평 방향을 이루면 롤 스크린(70)의 투광량이 최대가 된다.
반대로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고 차광부(73)가 수직 방향을 유지하게 되면, 롤 스크린(70)은 많은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차단부(73)가 수직 방향을 이루면, 제1 스크린(71) 및 제2 스크린(72)의 투광면을 가리게 되어 빛의 투과량이 줄어드는 것이다. 이러한 롤 스크린(70)의 투광량 조절 과정에 관하여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한편,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의 하단부에는 웨이트 부재(80)가 연결되어 있다. 웨이트 부재(80)는 롤 스크린(70)을 하부로 당겨주어 롤 스크린(70)의 전개를 도와주고, 롤 스크린(70)의 투광량 조절시에 제1 스크린(71)의 자동 복귀가 가능하게 한다. 웨이트 부재(80)는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을 동시에 연결하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거나,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에 각각 별도로 연결된 복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롤 스크린은 이와 같이 투광부로 이루어진 두 개의 스크린과, 그 사이를 연결하는 차광부로 이루어진 구조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에 사용되는 롤 스크린은 두 장의 스크린을 서로 중첩하고 두 스크린의 중첩 범위를 서로 어긋나게 변형하여 투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예로, 롤 스크린은 스트라이프 형상의 투광부와 차광부가 서로 교대로 형성된 두 장의 스크린이 서로 중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두 장의 스크린의 중첩 범위를 서로 어긋나게 조절하여 투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두 장의 스크린 중 어느 하나를 끌어 올려 스트라이프의 배열 위치에 변화를 주면 빛의 투과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클러치 모듈의 구조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롤 블라인드에 포함된 클러치 모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클러치 모듈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고, 도 5는 클러치 모듈의 주요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클러치 모듈(2)은 권취봉(61)과 마찰봉(62)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롤 블라인드(1)를 개폐하거나, 투광량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클러치 모듈(2)은 볼 체인(도 1의 25 참조)과 제어봉(43)에 의해 조작된다. 즉, 볼 체인을 조작하면 권취봉(61)이 회전하여 롤 블라인드(1)가 개폐되고, 제어봉(43)을 조작하면 마찰봉(62)이 회전하여 롤 블라인드(1)의 투광량이 조절된다.
클러치 모듈(2)은 클러치 바디(10)와 클러치 커버(5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 구동기어(23), 제2 구동기어(44), 스위치 기어(21), 제1 클러치 기어(31), 제2 클러치 기어(32), 스위치 블록(41), 스위치 포크(42), 스프링(22) 및 플러그(24, 33)를 포함한다.
클러치 바디(10)는 제1 구동기어(23)와 스위치 기어(21)가 삽입되는 제1 회전축(11)과, 제1 클러치 기어(31)와 제2 클러치 기어(32)가 삽입되는 제2 회전축(12)을 포함하고 있다. 제1 회전축(11)과 제2 회전축(12)은 설치 공간의 최소화를 위하여 서로 동일 수평면 위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축(11)이 제2 회전축(12)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거나, 반대로 제2 회전축(12)이 제1 회전축(11)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회전축(12)이 제1 회전축(11)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될 경우, 마찰봉(62)과 롤 블라인드(1) 사이의 마찰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롤 블라인드(1)의 투광량 조절이 더 용이할 수 있다.
제1 구동기어(23)는 스위치 기어(21)와 함께 제1 회전축(11)에 삽입되며, 볼 체인(도 1의 25 참조)의 조작에 의해 구동된다. 다만, 제1 구동기어(23)는 볼 체인(25)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기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조작을 위한 구동력의 종류에 따라 각종 풀리나 기어 등의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마찰봉(62)은 제2 회전축(12)에 결합된 클러치부(31, 32)에 의해 동력이 전달 또는 차단된다. 클러치부(31, 32)는 한 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원웨이(one way) 클러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치부(31, 3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축(12)에 삽입되는 제1 클러치 기어(31)와 제2 클러치 기어(32)로 구성되어, 제어봉(43)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동력을 전달하고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동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제1 클러치 기어(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휠(worm wheel)(311)과 래칫 기어(ratchet gear)(312)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클러치 기어(31)의 원통면에는 윔휠 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 방향(도 5의 x 방향)으로 래칫 기어(3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클러치 기어(31)의 웜휠(311)은 제어봉(43)의 제2 구동기어(44)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봉(43)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구동기어(44)는 웜기어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제2 클러치 기어(32)는 제1 클러치 기어(31)와 마주보는 면에 래칫 기어(321)가 형성되어 제1 클러치 기어(31)와 원웨이 클러치를 구성하게 된다. 제2 클러치 기어(32)는 마찰봉(62)과 결합되고, 제1 클러치 기어(31)는 x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어봉(43)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제2 클러치 기어(32)에 선택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스위치부(21, 41, 42)는 마찰봉(62)과 제어봉(43) 사이의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스위칭 동작을 하는 것으로서, 스위치 기어(21)와 스위치 블록(41)을 포함한다. 스위치부(21, 41, 42)는, 권취봉(61)이 회전하면 마찰봉(62)과 제어봉(43) 사이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고, 제어봉(43)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어봉(43)의 회전력을 마찰봉(62)에 전달할 수 있도록 스위칭 동작을 한다.
스위치부(21, 41, 42)는 제어봉(43)의 외주면에 돌출된 누름 돌기(45)에 의해 동작한다. 스위치 기어(21)는 권취봉(61)에 결합되어 있으며, 스위치 블록(41)은 스위치 기어(21)와 제어봉(43)의 누름 돌기(45)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스위치 블록(41)은 일단부가 스위치 기어(21)와 치합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으며, 다른 단부에는 스위치 포크(42)와 경사 접촉을 할 수 있도록 경사홈(411)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홈(411)은 도 5의 xy 평면(도 5에 표시된 좌표축 참조) 상에 직선 또는 곡선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 블록(41)이 스위치 기어(21)를 향하여 -y 방향으로 평행이동하면 스위치 포크(42)는 x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클러치 기어(31)를 제2 클러치 기어(32)와 치합시킨다. 스위치 포크(42)는 일단부가 제1 스위치 기어(21)와 결합하고, 타단부는 스위치 블록(41)의 경사홈(411)에 삽입되어 스위치 블록(41)과 경사결합된다. 따라서, 스위치 블록(41)이 y 방향 또는 -y방향으로 평행이동하면, 그에 따라 스위치 포크(42)와 제1 클러치 기어(31)는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평행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스위치부(21, 41, 42)의 스위칭 동작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이하, 도 6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롤 블라인드의 작동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롤 블라인드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1)는 롤 스크린(70)이 권취봉(61)에 권취되어 개폐 동작을 하며, 마찰봉(62)에 의해 투광량이 조절되는 구조이다. 이때, 권취봉(61)이 동작하는 동안 제어봉(43)은 동력 전달이 차단되어 회전하지 않는다.
먼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롤 블라인드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고, 그 다음에 도 7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롤 블라인드의 동작 과정에서 각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볼 체인(25)을 이용하여 권취봉(61)을 회전시키면 롤 스크린(70)이 상/하 방향으로 개폐된다.
권취봉(61)에 감겨있는 롤 스크린(70)은 마찰봉(62)을 경유하여 아래로 늘어져 있으며, 마찰봉(62)과 일정 면적 접하고 있어, 롤 스크린(70)이 개폐될 때 마찰봉(62)도 함께 회전한다. 즉, 마찰봉(62)은 권취봉(61)의 회전에 따라 피동되는 구조이다.
마찰봉(62)은 내부의 지지봉(621)과 지지봉(621)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된 마찰층(622)을 포함한다. 지지봉(621)은 마찰봉(62)을 지지하여 강성을 유지하는 부분이며, 마찰층(622)은 롤 스크린(70)과 접촉하여 마찰력 또는 부착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마찰층(622)은 고무, 실리콘과 같이 마찰계수가 높으며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접착 테이프와 같이 접착력을 갖는 재질이나, 벨크로와 같이 기계적인 결합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마찰층(622)은 롤 스크린(70)을 밀어 올릴 수 있을 정도의 마찰력을 갖는 물질이라면 어떠한 물질도 가능할 것이다.
볼 체인(25)을 시계 방향으로 당기면 권취봉(61)과 마찰봉(62)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롤 스크린(70)은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 닫히게 된다. 반대로, 볼 체인(25)을 반시계 방향으로 당기면 권취봉(61)과 마찰봉(62)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롤 스크린(70)은 윗방향으로 올라가 열리게 된다. 이때, 롤 스크린(70)의 동작과정 동안 제어봉(43)은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롤 스크린(70)은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의 간격이 최소화되고 차광부(73)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빛의 투과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은 완전히 밀착되어 하나의 원단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b를 참조하면, 볼 체인(25)을 이용하여 롤 스크린(70)을 닫은 상태에서 제어봉(43)을 회전시키면, 롤 스크린(70)의 투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볼 체인(25)을 이용하여 롤 스크린(70)이 위치를 조절한 후, 제어봉(43)을 회전시키면, 마찰봉(62)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롤 스크린(70) 중 마찰봉(62)과 접하고 있는 제1 스크린(71)은 위쪽으로 당겨 올려진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봉(62)이 제1 스크린(71)을 끌어 올리면서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은 서로 어긋나게 되며, 차단부(73)는 점차 수평 방향을 유지하게 된다. 차단부(73)가 수평 방향을 유지하면서,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여 롤 스크린(70)의 측면은 사다리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스크린(71)과 제2 스크린(72)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고 차단부(73)가 수평 방향을 이루면서, 롤 스크린(70)의 투광량은 증가하게 된다. 한편, 마찰봉(62)에 의해 끌어올려진 제1 스크린(71)은 권취봉(61)과 마찰봉(62) 사이에서 늘어진 형태로 유지된다.
이하, 도 7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롤 스크린이 동작하는 동안 스위치부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는 도 1의 롤 블라인드의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동작 상태에서 주요 구성요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c는 도 7a의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8a는 도 1의 롤 스크린의 투광량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동작 상태에서 주요 구성요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c는 도 8a의 B-B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롤 스크린의 투광량이 조절된 상태에서 다시 롤 블라인드의 개폐동작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롤 블라인드의 개폐 동작 과정에서의 스위치부의 동작을 나타낸다.
볼 체인(25)을 당기면, 롤 스크린(70)은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며, 권취봉(61)과 스위치 기어(21)는 함께 회전하게 된다. 스위치 기어(21)와 스위치 블록(41)은 서로 치합되되, 서로 경사 접촉을 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 블록(41)을 스위치 기어(21)를 향해 밀착시키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스위치 기어(21)의 회전력에 의하여 스위치 블록(41)은 쉽게 이탈될 수 있다. 즉, 스위치 기어(21)와 스위치 블록(41)이 서로 경사 접촉을 하여, 스위치 기어(21)가 회전을 할 때, 스위치 블록(41)은 스위치 기어(21)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누름 돌기(45)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된다.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스위치 블록(41)이 누름 돌기(45)를 향하여 y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면, 스위치 포크(42)는 경사홈(411)을 따라 -x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7b의 좌표축 참조). 이때, 스위치 포크(42)는 제1 클러치 기어(31)를 -x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클러치 기어(32)로부터 이탈시킨다. 제1 클러치 기어(31)가 제2 클러치 기어(32)로부터 이탈되면, 제어봉(43)과 마찰봉(62) 사이의 동력 전달이 차단된다.
또한, 스위치 블록(41)은 y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제어봉(43)의 누름 돌기(45)를 밀어 제어봉(43)을 일부 회전시킨다. 이때, 제어봉(43)은 누름 돌기(45)가 스위치 블록(41)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열된 채 유지되고, 누름 돌기(45)는 스위치 블록(41)의 슬라이딩 이동에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이어서,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롤 스크린(70)이 일정한 높이로 닫힌 상태에서 제어봉(43)을 이용하여 롤 스크린(70)의 투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롤 스크린(70)이 일정한 높이로 닫힌 상태에서 제어봉(43)이 제1 회전 방향(도 8a 에서 반시계 방향, 화살표 참조)으로 회전하면 마찰봉(도 6b의 62 참조)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마찰봉(6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롤 스크린(70)의 제1 스크린(71)이 위쪽으로 당겨 올려진다.
이 때, 구체적인 스위칭부(21, 41, 42)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제어봉(43)의 회전에 의해 누름 돌기(45)가 회전하면서 스위치 블록(41)은 -y 방향(도 8b의 좌표축 참조)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동된 스위치 블록(41)은 스위치 기어(21)에 치합된다.
스위치 블록(41)이 스위치 기어(21)를 향하여 -y 방향으로 평행이동하여 스위치 기어(21)에 치합되면, 스위치 기어(21)와 연동하는 권취봉(61)의 회전은 제한된다. 또한, 스위치 블록(41)은 스위치 포크(42)를 x 방향으로 평행이동시켜 제1 클러치 기어(31)와 제2 클러치 기어(32)를 치합시킨다.
한편, 제어봉(43)은 제1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회전 방향(도 8a 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동력이 마찰봉(62)에 전달되지 않는다. 제1 클러치 기어(31)와 제2 클러치 기어(32)는 각각 래칫 기어를 포함하고 있어,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원웨이 클러치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어봉(43)은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마찰봉(62)이 회전하지 않으며, 롤 블라인드(1)의 투광량이 변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도 9를 참조하면, 다시 볼 체인(25)을 동작시켜 롤 스크린(70)의 투광량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 체인(25)을 살짝 당기면 스위치 기어(21)가 살짝 회전하면서 스위치 블록(41)을 누름 돌기(45) 방향으로 살짝 밀어낸다. 이때, 스위치 블록(41)은 스위치 포크(42)를 이동시켜 제1 클러치 기어(31)를 제2 클러치 기어(32)로부터 분리시킨다.
따라서, 마찰봉(62)은 제어봉(43)과의 치합상태가 해제되어 자유롭게 회전 된다. 마찰봉(62)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면, 롤 스크린(70)의 하단부에 고정된 웨이트 부재(80)는 롤 스크린(70)을 당기는 효과를 발생시켜 상부로 밀려 올라간 제1 스크린(71)은 아래로 당겨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롤 스크린(70)은 투광량을 조절하기 이전의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롤 블라인드 2: 클러치 모듈
10: 클러치 바디 11: 제1 회전축
12: 제2 회전축 21: 스위치 기어
22: 스프링 23: 제1 구동기어
24: 플러그 31: 제1 클러치 기어
32: 제2 클러치 기어 33: 플러그
41: 스위치 블록 42: 스위치 포크
43: 제어봉 44: 제2 구동기어
45: 누름 돌기 50: 클러치 커버
61: 권취봉 62: 마찰봉
70: 롤 스크린 71: 제1 스크린
72: 제2 스크린 73: 차단부
80: 웨이트 부재 90: 엔드 바디

Claims (10)

  1.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이 중첩되어 형성된 롤 스크린;
    상기 롤 스크린을 권취하는 권취봉;
    상기 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제1 구동 기어;
    상기 롤 스크린에 접하며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 중 어느 하나를 밀어올려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이 어긋나게 하는 마찰봉;
    상기 마찰봉을 회전 구동하는 제어봉; 및
    상기 권취봉이 회전하면 상기 마찰봉과 상기 제어봉 사이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어봉이 회전하면 상기 권취봉의 회전을 제한하는 롤 블라인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봉과 상기 제어봉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어봉이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1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동력을 차단시키는 클러치부를 더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은 외주면에 돌출된 누름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권취봉에 결합된 스위치 기어; 및
    상기 스위치 기어와 상기 누름 돌기 사이를 슬라이딩 운동하며 일측이 상기 스위치 기어와 치합되는 스위치 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봉이 회전하면 상기 누름 돌기가 상기 스위치 블록을 밀어 상기 스위치 기어와 상기 스위치 블록을 치합시키는 롤 블라인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봉과 상기 제어봉 사이에 개재되어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블록이 상기 스위치 기어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마찰봉과 상기 제어봉 사이의 동력 전달을 차단시키는 롤 블라인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은 상기 마찰봉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제2 구동부와 치합하는 제1 클러치기어와, 상기 마찰봉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클러치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하는 제2 클러치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블록과 상기 제1 클러치 기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위치 블록이 상기 누름 돌기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제1 클러치 기어를 상기 제2 클러치 기어로부터 이탈시키는 스위치 포크를 더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포크는 일단부가 상기 제1 클러치 기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스위치 블록과 경사 접촉을 하여, 상기 스위치 블록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제1 클러치 기어는 상기 마찰봉의 축방향으로 평행이동하는 롤 블라인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봉은 내부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롤 스크린과 접촉하여 마찰력 또는 부착력을 제공하는 마찰층을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은 서로 교대로 배치된 투광부와 차광부를 각각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은 각각 투광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을 연결하는 복수의 차광부가 형성된 롤 블라인드.
KR1020120016014A 2012-02-16 2012-02-16 롤 블라인드 KR101259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014A KR101259614B1 (ko) 2012-02-16 2012-02-16 롤 블라인드
PCT/KR2013/001158 WO2013122399A1 (ko) 2012-02-16 2013-02-14 롤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014A KR101259614B1 (ko) 2012-02-16 2012-02-16 롤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614B1 true KR101259614B1 (ko) 2013-05-28

Family

ID=4866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014A KR101259614B1 (ko) 2012-02-16 2012-02-16 롤 블라인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59614B1 (ko)
WO (1) WO2013122399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050B1 (ko) * 2014-07-04 2015-02-11 (주)점보산업 기밀성 블라인드 장치
US20150047792A1 (en) * 2013-08-19 2015-02-19 Comfortex Window Fashions Cordless fabric venetian window shade assembly
KR20150131750A (ko) * 2014-05-16 2015-11-25 (주)한국윈텍 롤 블라인드
WO2016035919A1 (ko) * 2014-09-01 2016-03-10 주식회사 파나시아 캠방식을 이용하여 역세척을 제어하는 캔들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KR101706890B1 (ko) 2016-04-29 2017-02-16 주식회사 도매클럽 블라인드 장치
KR101776205B1 (ko) 2015-12-31 2017-09-11 (주)한솔아이엠비 블라인드의 쉐이드 구동 장치
US9963935B2 (en) 2013-03-15 2018-05-08 Hunter Douglas Inc. Position lock for roller supported architectural coverings
US10208537B2 (en) 2013-08-27 2019-02-19 Comfortex Window Fashions Device for adjusting fabric angle of double fabric blinds
KR102455384B1 (ko) 2022-04-05 2022-10-17 에스아이로직 주식회사 광고를 제공하는 블라인드형 전자 장치
US11638491B2 (en) 2019-11-26 2023-05-02 Cato Janitorial Services, Inc. Display case for window coverin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370B1 (ko) * 2016-01-05 2018-06-07 (주)인환경디자인연구소 이중 블라인드 시트의 각도조절 개폐장치
TWI651462B (zh) 2017-04-13 2019-02-2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408B1 (ko) 2009-11-28 2010-02-19 곽재석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
KR100998173B1 (ko) 2010-06-28 2010-12-07 (주)한국윈텍 듀얼 롤 블라인드
KR101048677B1 (ko) 2009-04-17 2011-07-12 (주)주원창호 이중 블라인드 시트의 승강중 개폐가 가능한 블라인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246B1 (ko) * 2010-07-14 2012-07-31 김정민 이중 블라인드원단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77B1 (ko) 2009-04-17 2011-07-12 (주)주원창호 이중 블라인드 시트의 승강중 개폐가 가능한 블라인드장치
KR100943408B1 (ko) 2009-11-28 2010-02-19 곽재석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
KR100998173B1 (ko) 2010-06-28 2010-12-07 (주)한국윈텍 듀얼 롤 블라인드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3935B2 (en) 2013-03-15 2018-05-08 Hunter Douglas Inc. Position lock for roller supported architectural coverings
US10975620B2 (en) 2013-03-15 2021-04-13 Hunter Douglas, Inc. Position lock for roller supported architectural coverings
US20150047792A1 (en) * 2013-08-19 2015-02-19 Comfortex Window Fashions Cordless fabric venetian window shade assembly
US9322210B2 (en) * 2013-08-19 2016-04-26 Comfortex Window Fashions Cordless fabric venetian window shade assembly
US9840867B2 (en) 2013-08-19 2017-12-12 Comfortex Window Fashions Cordless fabric venetian window shade assembly
US10208537B2 (en) 2013-08-27 2019-02-19 Comfortex Window Fashions Device for adjusting fabric angle of double fabric blinds
KR20150131750A (ko) * 2014-05-16 2015-11-25 (주)한국윈텍 롤 블라인드
KR101647483B1 (ko) 2014-05-16 2016-08-23 (주)한국윈텍 롤 블라인드
KR101492050B1 (ko) * 2014-07-04 2015-02-11 (주)점보산업 기밀성 블라인드 장치
WO2016035919A1 (ko) * 2014-09-01 2016-03-10 주식회사 파나시아 캠방식을 이용하여 역세척을 제어하는 캔들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KR101776205B1 (ko) 2015-12-31 2017-09-11 (주)한솔아이엠비 블라인드의 쉐이드 구동 장치
KR101706890B1 (ko) 2016-04-29 2017-02-16 주식회사 도매클럽 블라인드 장치
US11638491B2 (en) 2019-11-26 2023-05-02 Cato Janitorial Services, Inc. Display case for window coverings
KR102455384B1 (ko) 2022-04-05 2022-10-17 에스아이로직 주식회사 광고를 제공하는 블라인드형 전자 장치
KR20230143544A (ko) 2022-04-05 2023-10-12 에스아이로직 주식회사 구조물에 대향하는 패널을 제외한 패널간 광고 영상을 연결하는 블라인드형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2399A1 (ko)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614B1 (ko) 롤 블라인드
KR100998173B1 (ko) 듀얼 롤 블라인드
US10415305B2 (en) Window shade
US10443302B2 (en) Window shade
EP2759426B1 (en) Window shading assembly
JP6228973B2 (ja) 2つのブラインド上部レールを有するブラインド
KR101831841B1 (ko) 조광형 롤 블라인드
KR20190057857A (ko)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
US20070277937A1 (en) Adjustable light-receiving window assembly
KR101037049B1 (ko) 듀얼 롤 블라인드
JP5614830B2 (ja) 遮蔽装置、障害物検知手段、及び、駆動ユニット
KR101865370B1 (ko) 이중 블라인드 시트의 각도조절 개폐장치
JP6983622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WO2020179935A1 (ja) 回転駆動装置
KR101097938B1 (ko) 권취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JP6782126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JP6586001B2 (ja) 日射遮蔽装置
WO2023119697A1 (ja) 操作装置
JP6971741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JP2023133591A (ja) 遮蔽装置
JP2022173983A (ja) 操作装置
JP2022009536A (ja) 速度調整装置及び遮蔽装置
JP5757593B2 (ja) ブラインドの駆動装置
JP2024065636A (ja) 操作装置及び遮蔽装置
JP2003082962A (ja) ロールスクリーン付間仕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