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243B1 - 선재코일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선재코일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243B1
KR101259243B1 KR1020100089042A KR20100089042A KR101259243B1 KR 101259243 B1 KR101259243 B1 KR 101259243B1 KR 1020100089042 A KR1020100089042 A KR 1020100089042A KR 20100089042 A KR20100089042 A KR 20100089042A KR 101259243 B1 KR101259243 B1 KR 101259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control means
wire
duc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6868A (ko
Inventor
황중기
임성욱
김유미
신우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089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243B1/ko
Publication of KR20120026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24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권취 이송되는 선재코일을 송풍방식으로 냉각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선재코일 냉각장치는 그 구성 일예로서, 권취 이송되는 선재코일의 이송경로 주변에 하나 이상 배치되고 내부에는 격벽이 구비되어 송풍을 통하여 선재코일을 냉각토록 제공되는 선재코일 송풍 덕트; 및, 상기 송풍 덕트의 격벽 상부와, 인접한 덕트 측벽에 각각 구비되어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송풍을 조정토록 제공되는 복수의 송풍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선재 코일의 직경이나 겹침 밀도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특히, 선재코일 가장자리부분의 집중 제어 송풍을 구현토록 함으로써, 선재코일의 폭방향 균일 냉각을 가능하게 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는 한편, 냉각시 손실 공기가 없어, 궁극적으로 냉각설비의 전체 냉각능을 증대시키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선재코일 냉각장치{Apparatus for Cooling Wire-rod Coil}
본 발명은 권취 이송되는 선재코일을 송풍방식으로 냉각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선재 코일의 직경이나 겹침 밀도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특히, 선재코일 가장자리부분의 집중 제어 송풍을 구현토록 함으로써, 선재코일의 폭방향 균일 냉각을 가능하게 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는 한편, 냉각시 손실 공기가 없어, 궁극적으로 냉각설비의 전체 냉각능을 증대시킨 선재코일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선재 생산공정은, 가열로에서 빌렛(billet)을 대략 1100 ~ 1200 ℃로 가열한 후, 조압연, 중간조압연, 중간사상압연 및 사상압연을 거친 열간 공형선재를 수냉대에서 냉각시킨 후 권취공정을 거쳐 선재코일을 생산하고 그 다음 정정라인에 투입된다. 이때, 그 압연단계에 따라 직경 5.5 ~ 15mm 의 소구경 선재와 15 ∼ 42 mm의 대구경 선재를 생산하게 된다.
한편, 소구경 선재의 경우, 레잉-헤드(laying head)를 통하여 나선형 코일형태로 형성시키면, 이송 설비(이송 컨베이어)의 이송과 병행하여 열처리를 수행한 후, 집적기(reform tube)를 통하여 집적한 다음, 검사라인으로 투입된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기(110)에서 압연된 소재는 냉각수로 냉각하는 수냉대(120)에 의해 냉각되고, 권취기인 레잉-헤드(130)를 거치면서 권취된다.
이와 같이 권취된 선재코일(100)은 이송 컨베이어(140)의 롤러(142) 위에 연속적으로 낙하 안착되어 이송되고, 권취된 선재 코일은 이송 컨베이어(140)를 통과하면서 하부에 설치된 송풍유닛(150)으로부터 송풍되는 냉각매체 즉, 냉각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그리고, 권취된 선재코일(100)은 이송 컨베이어와 연계된 집적기(160)에 낙하되면서 최종 제품으로 집적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소구경 선재코일의 냉각 과정을 더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권취기인 레잉-헤드(130)에서 코일형태로 연속 권취되어 추출된 선재코일이 이송 컨베이어(140)의 이송 롤러(142)상에 낙하되어 이송되는 도중에, 이송 컨베이어 하부의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여러 대가 설치된 송풍유닛(150)에서 이송 컨베이어측으로 공기를 송풍하고, 이와 같은 송풍된 공기는 이송되는 선재코일(100)에 접촉하여, 고온상태의 선재코일은 집적이 이루어 지기 전에 저온으로 냉각되면서 선재코일의 열처리과정이 이루어 지게 된다.
이때, 권취 추출되어 이송 롤러로 낙하되는 선재코일의 온도는 대략 850~950 ℃ 정도이고, 냉각을 거친 선재코일은 대략 150~300℃ 정도까지 냉각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유닛(150)은, 송풍기(152)가 하부에 설치된 덕트(154)를 포함하고, 덕트 상부에는 도 2와 같이, 이송 롤러(142)사이로 배치되는 개구부분 즉, 노즐(156)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송풍유닛(150)을 일명 스텔모어 냉각대(stelmor)라 하는데, 송풍력의 세기 또는 선재코일(100)의 이송속도 등 냉각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냉각속도를 얻을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노즐(156)이 이송 롤러(142)사이에 배치되면서 적치되는 선재코일(100)의 폭방향으로 동일한 송풍을 구현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선재코일의 적치시 선재코일(100)의 가장자리부분(edge 부분)(도 2의 'A' 부분)과 중심부분(center 부분) 간의 적치밀도가 도 3과 같이 상당부분 차이가 발생하고, 결국 도 4와 같이, 동일한 송풍 환경하에서는, 냉각되는 소재의 변태가 발생하는 시점에서 최대 80 ℃ 정도의 온도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0.8 %의 탄소를 포함하고 직경이 5.5mm 인 선재코일의 경우, 레잉헤드(130)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코일의 중심부분과 가장자리부분의 온도이력에서 차이가 심하게 발생된다.
이와 같은, 적치밀도 차이에 따른 선재코일의 중심부분과 가장자리부분에서의 냉각속도 차이에 의한 온도편차에 의하여 선재코일의 폭방향으로 미세조직이 달라지고, 이는 결국 제품 불량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리고, 선재코일의 냉각편차에 의하여 선재코일의 미세 조직이 차이가 나는 경우(차이가 심한 경우), 추가적인 열처리 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이는 생산 원가를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선재코일의 폭방향 온도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종래에는 송풍유닛(150)의 덕트(154)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격벽을 설치하여 선재코일의 가장자리 부분에 보다 집중적으로 공기 송풍량을 집중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선재코일 자체의 링 직경에서 차이가 발생되므로, 실효성이 적은 문제가 있었다.
또는, 이송 컨베이어 상에서 선재코일의 가장자리 부분에 추가로 공기 또는 냉각수(미스트)를 분사시키는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 냉각능 제어도 어렵고, 별도의 복잡한 설비가 필요하고, 실질적으로 냉각속도를 지연하기 위하여 커버 체를 이송 컨베이어 상에 덮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설비의 배치 공간도 협소한 문제가 있다.
또는, 송풍유닛의 덕트 내측에 격벽에 단순하게 공기 방향을 제어하는 댐퍼를 설치하여 송풍공기를 가능한 선재코일 가장자리로 유도하는 방법도 있으나, 실제 선재코일의 적치밀도 차이에 의한 폭방향 온도 편차의 완전한 해소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선재코일의 링 직경이 차이가 나고, 적치되는 가장자리 부분이 폭을 갖는 경우, 특히 적치밀도의 편차가 심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코일 가장자리 부분의 냉각능을 제공하는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선재 코일의 직경이나 겹침 밀도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특히, 선재코일 가장자리부분의 집중 제어 송풍을 구현토록 함으로써, 선재코일의 폭방향 균일 냉각을 가능하게 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는 한편, 냉각시 손실 공기가 없어, 궁극적으로 냉각설비의 전체 냉각능을 증대시킨 선재코일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권취 이송되는 선재코일의 이송경로 주변에 하나 이상 배치되고 내부에는 격벽이 구비되어 송풍을 통하여 선재코일을 냉각토록 제공되는 선재코일 송풍 덕트; 및,
상기 송풍 덕트의 격벽 상부와, 인접한 덕트 측벽에 각각 구비되어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송풍을 조정토록 제공되는 제1 및 제2 송풍 제어수단들;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송풍 제어수단들은, 덕트의 송풍 출구에 인접하여 각각 회동하거나, 연결유닛을 매개로 서로 연동하면서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부분의 송풍을 제어토록 제공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의 하부에 추가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 제3의 송풍 제어수단을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내지 제3 송풍 제어수단들은, 송풍 덕트의 수직방향으로 신장되는 디플렉터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및 제3 송풍 제어수단들은, 격벽 상,하부에 제공되는 체결유닛과 상기 체결유닛에 연계되는 모터 구동되는 회동축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송풍 제어수단은, 상기 송풍 덕트의 측벽에 제공된 체결유닛에 조립되고, 상기 체결유닛과 연계되는 모터로서 구동되는 회동축 또는, 덕트 측벽 사이에 연결되는 구동실린더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송풍 제어수단들을 연동토록 사이에 연계되는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송풍 제어수단들에 형성된 장홈을 통하여 연결되는 연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봉은 제2 송풍 제어수단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송풍 제어수단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스프링이 지지되되, 제1 송풍 제어수단에 회동축이 연계되어 제1 송풍 제어수단의 회동으로 제2 송풍 제어수단이 연동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은, 덕트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구동수단을 매개로 덕트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격벽에 구비되는 제1 및 제3 송풍 제어수단들과 연계되는 회동축의 모터는 상기 격벽에 장착되어 일체로 이동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송풍 덕트를 가로질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격벽에 구비된 이동블록에 체결되는 볼 스크류를 포함하여, 볼 스크류 작동시 격벽들이 송풍 제어수단들을 탑재한 상태에서 이동토록 제공되고, 상기 격벽의 이동을 지지토록 격벽을 가로질러 제공되는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에 의하면, 선재 코일의 직경이나 겹침 밀도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특히, 선재코일 가장자리 부분의 집중 제어 송풍을 구현토록 함으로써, 선재코일의 폭방향 균일 냉각을 가능하게 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재코일의 냉각시 손실 공기가 없어, 궁극적으로 냉각설비의 전체 냉각능을 증대시키고, 이는 선재코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등의 여러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선재코일 제조단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서 선재코일 냉각대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종래 냉각대를 이용한 선재 냉각시 선재 적치밀도 및 적치밀도에 의한 온도 편차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종래 선재코일의 중심부와 가장자리간 온도이력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 냉각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에서 제 1 내지 제3 송풍 제어수단의 격벽 및 송풍 덕트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 냉각장치에서, 제1 내지 제3 송풍 제어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l0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 냉각장치를 통한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부분의 집중 냉각상태를 도시한 모식도
도 11은 종래와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 냉각장치에 의한 선재코일의 중심부와 가장자리 부분의 냉각온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송풍 제어수단의 다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 송풍 제어수단을 연결유닛을 매개로 연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도시한 구성도 및 분해사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 냉각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구성도 및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6 내지 도 9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 냉각장치(1)를 전체 구성, 일부 분해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물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1)는, 압연단계에 직경 5.5 ~ 15mm 으로 압연되는 소구경 선재코일에 적용 가능한 것이다.
예컨대,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1)는 그 구성 일예로서, 권취 이송되는 선재코일(10)의 이송경로 주변에 하나 이상 배치되고 내부에는 송풍을 제어하는 격벽(22)이 구비되어 냉각매체의 송풍을 통하여 선재코일을 냉각토록 제공되는 선재코일 송풍 덕트(20) 및, 상기 송풍 덕트(20)의 상기 격벽(22)의 상부와, 인접한 덕트 측벽(20a)에 각각 구비되어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송풍을 제어토록 제공되는 복수의 송풍제어수단(30)(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2를 참조하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 덕트(20)의 상부에는 이송 롤러(12)사이에 배치되는 송풍노즐(24)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송풍 덕트(20)의 하부에는 송풍기(26)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송풍 덕트(20)는 실제로는 도 1과 같이, 단위 송풍 덕트가 여러개 배열되고, 단위 송풍 덕트의 길이는 대략 3m 정도일 수 있는데,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1)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와 높이를 갖는 단위 덕트들로 제공되는 송풍 덕트(20)의 내부에 마주하는 한쌍의 격벽(22)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는 제1 및 제3 송풍 제어수단(30)(50) 및, 상기 제1 송풍 제어수단(30)에 인접하여, 송풍 덕트(20)의 측벽(20a)의 상부에 제공되는 제2 송풍 제어수단(40)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9a 내지 도 9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1)는 덕트 노즐(24)의 상측으로 이송 롤러(12)를 통하여 진행되는 선재코일(10)가 레잉헤드(도 1의 130 참조)에서 불출되어 코일형태로 권취되면서 이송 롤러 위로 낙하될 때, 그 가장자리 부분이 들쏙날쏙하는 경우 특히, 선재코일의 권취 직경 자체가 가변되는 경우에도, 제1,2 송풍 제어수단(30)(40)은 서로 협력하여, 회동되면서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부분에 가장 집중적으로 송풍을 구현하도록 송풍 방향을, 덕트 출구 부근에서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결국, 도 9b와 도 9c와 같이, 선재코일(10)의 직경이 변경되는 경우,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는, 적어도 송풍 출구측으로 한쌍으로 제공된 제1,2 송풍 제어수단(30)(40)을 통하여 직경이 가변되는 선재코일의 적치밀도가 가장 높은 코일 가장자리 부분에의 집중 송풍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송풍 제어수단(30)은 격벽(22)의 상부에서 격벽의 좌우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2 송풍 제어수단(40)은 덕트의 측벽에서 수직상태에서 좌우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더하여,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1)는 격벽(22)의 하부에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제1 송풍 제어수단(30)과 같은 구조의 제3 송풍 제어수단(50)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송풍 덕트(20)의 내부에 덕트 측벽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한쌍의 격벽(22)도 실질적으로 이송되는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부분(도 2의 'A' 참조)을 보다 집중 냉각하도록 송풍 방향으로 조정하는 역활을 한다.
따라서, 도 6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1)에서는 일차적으로 선재코일의 냉각 환경에 따라, 격벽(22)의 하측에 배치되는 송풍기(26)에 근접한 위치의 제3 송풍 제어수단(50)을 회동시키어, 본 발명의 제1,2 송풍 제어수단에 영향을 주는 격벽(22)과 송풍 덕트(20)의 양측벽 사이의 공간으로 송풍량이 더 집중되도록 조정하는 역활을 한다.
그리고, 제3 송풍 제어수단(50)을 통하여, 격벽과 덕트 측벽 사이에 보다 집중적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2 송풍 제어수단(30)(40)의 회동 각도에 따라서,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부분에 정확하게 송풍이 집중되도록 제어(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1)에서, 실질적인 송풍방향을 선재코일의 가장자리 부분에 집중 가능하게 하는, 앞에서 설명한 상기 1 내지 제3 송풍 제어수단(30)(40)(50)은, 송풍방향을 제어하는송풍 덕트의 수직방향으로 신장되는 디플렉터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송풍 제어수단(30)(40)(50)인 제1 내지 3 디플렉터는 각각의 모터와 연계되어 개별적으로 회동 작동될 수 있거나, 다음에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송풍 제어수단들은 서로 연동하도록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3 송풍 제어수단(30)(50)은, 격벽(22)의 상부와 하부에 제공되는 체결유닛(70)과 상기 체결유닛(70)에 연계되는 모터(76)로서 구동되는 회동축(72)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격벽(22)의 상부와 하부에 제공된 제1,3 송풍 제어수단(30(50)은, 모터 회동에 따라 격벽에서 수직선상으로 좌우로 회동되면서 송풍량이나 송풍 속도를 제어한다.
즉, 도 7에서는 격벽 상부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지만, 격벽 하부도 동일한 구조로 도 7과 같이, 제1,3 송풍 제어수단(30)(50)이 제공될 수 있는데, 체결유닛(70)은, 격벽(22)의 상단과 하단에 접합 또는 조립된 체결파이프(74b)와 상기 체결파이프(74a)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3 송풍 제어수단(30)(50)인 디플렉터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접합 또는 조립되는 다른 체결파이프(74a)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덕트(20)의 외부에 덕트에 형성된 구멍(h)으로 인입되고, 모터(76)와 커플링(72a)을 매개로 연결되는 회동축(72)은, 체결파이프들을 통과하여 끝에서 너트(N)와 와셔(W)로 고정되고, 제1,3 디플렉터측 체결파이프(74a)는 통과하는 회동축(72)과 체결볼트(B)로 제공된다.
따라서, 덕트(20)의 브라켓트(72b)에 체결된 구동모터(76)가 작동되는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제1,3 송풍 제어수단(30)(50)의 디플렉터들은 도 9와 같인 원하는 각도로 제어되면서 송풍방향, 숭풍량이나 송풍 속도를 제어 가능하게 한다.
다음,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덕트 측벽(20a)의 송풍 출구측에 제공되는 제2 송풍 제어수단(40)도,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제1,3 송풍 제어수단(30)(50)과 같은 구조로, 예컨대 체결유닛(70)의 체결파이프(74a)(74b)들이 제2 디플렉터와 덕트 측벽에 접합되는 지지판(75)상에 접합 또는 조립된 상태에서 덕트 외부의 구동모터(76)와 커플링(72a)(72b)으로 연결된 회동축(72)이 조립될 수 잇다.
또는, 도 12에서 도시한 비와 같이, 상기 제2 송풍 제어수단(40)인 제2 디플렉터는 덕트 측벽(20a)에 설치된 브라켓트(78c)에 구비된 힌지블록(78b)과 상기 제2 디플렉터의 일면에 제공된 힌지블록(78a)사이에 연결된 구동실린더(78)를 통하여 회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송풍 제어수단(40)의 디플렉터는 덕트 측벽 때문에, 제1,3 송풍 제어수단과는 다르게 그 회동범위가 제안되므로, 구동 실린더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2 송풍 제어수단(40)은, 구동모터(76) 또는 구동실린더(78)를 이용하여 도 9와 같이, 적절하게 회동 작동되면서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로 송풍을 더 집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9 및, 도 12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1)의 상기 제1 내지 제3 송풍 제어수단(30)(40)(50)들은, 도 10과 같이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적어도 링 폭방향으로 가장 높은 송풍속도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도 9와 같이 제1,2 송풍 제어수단의 폭이 끝에서 좁아지면서 송풍 속도를 증폭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1에서 탄소(C) 0.8 %를 포함하는 직경 5.5mm의 선재의 경우, 기존(예를 들어 도1)과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송풍 제어수단을 이용한 선재코일의 냉각시, 시간 경과에 따른 선재코일의 중심부분과 가장자리부분의 온도 차이가 본 발명인 경우에 더 좁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선재코일 냉각장치(1)는, 선재코일의 폭방향 온도편차를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 도 13a 및 도 13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코일 냉각장치(1)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제1 내지 제2 송풍 제어수단(30)(40)을 서로 연동하도록 하여, 송풍 제어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모터(76) 또는 구동실린더(78)(도 12)의 설치수를 줄인 것이다.
따라서, 설비의 간소화를 가능하게 하고, 이 경우 제1,2 송풍 제어수단(30)(40)인 제1,2 디플렉터간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선재코일 가장자리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속도 또는 송풍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한편, 그 송풍방향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각각의 구동모터나 구동실린더로 제1,2 송풍 제어수단을 개별적으로 그 회전량을 제어하는 것에 비하여, 도 13의 제1,2 송풍 제어수단의 연동 구성은 송풍 조건은 일정하지만, 선재코일 가장자리에 일정한 송풍 조건을 구현 가능하게 하면서, 설비 간소화로 비용을 줄이는 이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때, 도 13a 및 도 1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 송풍 제어수단(30)(40)은, 연결유닛(60)을 매개로 서로 연동하면서 선재코일의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송풍을 제어토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송풍 제어수단(30)과 제2 송풍 제어수단(40)을 연동토록 제공되는 상기 연결유닛(60)은, 상기 제1,2 송풍 제어수단인 제1,2 디플렉터에 형성된 장홈(62)을 통하여 연결되는 연결봉(64)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연결봉(64)은, 일측은 상기 제1 디플렉터의 장홈(62)을 통과하여 연결봉 머리부분이 지지되고, 장홈을 통과한 연결봉에는 스프링(66)을 개재하여 너트(스톱링)(67)이 볼트(B)로 체결되고, 연결봉의 타측은 제2 디플렉터의 장홈(62)을 관통하여 나사부에 각각 너트(N)와 와셔(W)가 체결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송풍 제어수단의 디플렉터에 연계된 구동모터(76)가 작동하여, 회동축(72)에 조립된 제1 디플렉터는 회동되고, 예를 들어 도 13a에서, 제1 송풍 제어수단(30)인 제1 디플렉터가 좌측으로 회동하면, 상기 제2 디플렉터는 연결봉이 고정되어 있어 장홈에서 보상되면서 회동되고, 반대로 제1 디플렉터가 우측으로 회동하면, 제1 디플렉터는 연결봉을 통하여 제2 디플렉터를 최대 덕트 측벽(20a)까지 이동시킨다.
이때, 연결봉이 덕트 측벽에 접촉하여 더이상 이동이 어려우면, 제1 디플렉터는 스프링(66)을 압축하면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13에서와 같이, 제1,2 송풍 제어수단(30)(40)은 연결유닛(60)을 매개로 하나의 구동모터(76)를 통한 제1 송풍 제어수단의 제1 디플렉터에만 회동력이 전달되어도 제2 송풍 제어수단(40)의 제2 디플렉터의 회동이 구현되는 것이다.
다음, 도 14a 및 도 14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송풍 덕트(20)의 내측에 구비된 격벽(22)을 구동수단(80)을 매개로 덕트 내부에서 선재코일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면, 상기 격벽(22)에 연계되는 제1 및 제3 송풍 제어수단(30)(50) 자체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앞에서 설명한 격벽이 고정되는 것 보다 더 폭넓은 송풍 제어를 구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7,8과 같이 상기 격벽(22)에 연계된 제1,3 송풍 제어수단(30)(50)의 제1,3 디플렉터의 회동을 위하여 덕트 외부에 제공된 구동모터(76)를 격벽(22)에 브라켓트 등의 접합 철물을 이용하여 배치하는 것이다.
즉, 격벽의 이동시 구동모터가 같이 이동하면서 제1,3 송풍 제어수단의 회동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80)은, 도 14a 및 도 1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 덕트(20)의 측벽(20a)를 가로질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격벽(22)에 구비된 이동블록(82)에 체결되는 볼 스크류(84)를 포함하고, 상기 볼 스크류(84)는 덕트 외부의 모터(86a)와 커플링(86b)으로 연결되고, 모터는 브라켓트(88c)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22)을 관통하는 가이드봉(86)이 송풍 덕트(20)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격벽(22)은 덕트 측벽에서 멀어지거나 좁아진다.
이때, 상기 격벽에 설치된 이동블록의 나사방향과 이에 체결되는 스크류봉의 양측 나사방향은 반대로 되어 있어, 구동모터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격벽들은 덕트에서 같은 거리로 이동하여 멀어지거나 좁아진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도 14b와 같이, 상기 가이드봉(86)이 통과하는 격벽에는 가이드봉을 지지하는 지지링(86a)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선재코일 냉각장치 10.... 선재코일
20.... 송풍 덕트 22.... 격벽
30,40,50.... 제1 내지 제3 송풍 제어수단 60.... 연결유닛
70.... 체결수단 72.... 회동축
76.... 구동모터 78..... 구동실린더
80.... 구동수단 84.... 볼 스크류
86.... 가이드 봉

Claims (7)

  1. 권취 이송되는 선재코일의 이송경로 주변에 하나 이상 배치되고 내부에는 격벽이 구비되어 송풍을 통하여 선재코일을 냉각토록 제공되는 선재코일 송풍 덕트; 및,
    상기 송풍 덕트의 격벽 상부와, 인접한 덕트 측벽에 각각 구비되어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송풍을 조정토록 제공되는 제1 및 제2 송풍 제어수단들;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송풍 제어수단들은, 덕트의 송풍 출구에 인접하여 각각 회동하거나, 연결유닛을 매개로 서로 연동하면서 선재코일의 가장자리부분의 송풍을 제어토록 제공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하부에 추가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 제3의 송풍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송풍 제어수단들은, 송풍 덕트의 수직방향으로 신장되는 디플렉터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및 제3 송풍 제어수단들은, 격벽 상,하부에 제공되는 체결유닛과 상기 체결유닛에 연계되는 모터 구동되는 회동축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풍 제어수단은, 상기 송풍 덕트의 측벽에 제공된 체결유닛에 조립되고, 상기 체결유닛과 연계되는 모터로서 구동되는 회동축 또는, 덕트 측벽 사이에 연결되는 구동실린더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송풍 제어수단들을 연동토록 연계되는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송풍 제어수단들에 형성된 장홈을 통하여 연결되는 연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봉은 제2 송풍 제어수단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송풍 제어수단의 일측에 고정되면서 스프링이 지지되되, 제1 송풍 제어수단에 회동축이 연계되어 제1 송풍 제어수단의 회동으로 제2 송풍 제어수단이 연동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덕트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구동수단을 매개로 덕트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격벽에 구비되는 제1 및 제3 송풍 제어수단과 연계되는 회동축의 모터는 상기 격벽에 장착되어 일체로 이동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송풍 덕트를 가로질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격벽에 구비된 이동블록에 체결되는 볼 스크류를 포함하여, 볼 스크류 작동시 격벽들이 송풍 제어수단들을 탑재한 상태에서 이동토록 제공되고,
    상기 격벽의 이동을 지지토록 격벽을 가로질러 제공되는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냉각장치.
KR1020100089042A 2010-09-10 2010-09-10 선재코일 냉각장치 KR101259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042A KR101259243B1 (ko) 2010-09-10 2010-09-10 선재코일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042A KR101259243B1 (ko) 2010-09-10 2010-09-10 선재코일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868A KR20120026868A (ko) 2012-03-20
KR101259243B1 true KR101259243B1 (ko) 2013-04-29

Family

ID=4613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042A KR101259243B1 (ko) 2010-09-10 2010-09-10 선재코일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2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493A1 (ko) * 2014-12-09 2016-06-16 주식회사 포스코 Ahss 열연코일의 열처리 방법, 이를 이용한 냉간 압연방법 및 열처리장치
KR101662559B1 (ko) * 2015-06-08 2016-10-06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가열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9859B (zh) * 2018-01-11 2020-01-17 上海大学 斯太尔摩空冷线及其风箱风嘴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8737A (ja) 1997-03-31 1998-12-15 Kawasaki Steel Corp 熱延コイルの冷却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328054B1 (ko) * 1997-12-02 2002-05-10 이구택 고탄성스프링용선재의제조방법
KR20090051967A (ko) * 2007-11-20 2009-05-25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코일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8737A (ja) 1997-03-31 1998-12-15 Kawasaki Steel Corp 熱延コイルの冷却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328054B1 (ko) * 1997-12-02 2002-05-10 이구택 고탄성스프링용선재의제조방법
KR20090051967A (ko) * 2007-11-20 2009-05-25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코일 냉각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493A1 (ko) * 2014-12-09 2016-06-16 주식회사 포스코 Ahss 열연코일의 열처리 방법, 이를 이용한 냉간 압연방법 및 열처리장치
CN105934288A (zh) * 2014-12-09 2016-09-07 Posco公司 Ahss热轧卷板的热处理方法、利用其的冷轧方法及热处理装置
KR101662559B1 (ko) * 2015-06-08 2016-10-06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가열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868A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243B1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CN105522008A (zh) 一种高效风冷装置
KR101568612B1 (ko) 선재코일 서냉장치
KR101242956B1 (ko) 다단 송풍형 선재코일 냉각장치
KR101484474B1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KR100916061B1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KR101271997B1 (ko) 선재코일 냉각 장치 및 방법
KR101795966B1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KR101568608B1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KR100815922B1 (ko) 선재의 균일 냉각을 위한 선재 냉각 장치의 롤러 배열방법
JPH03236423A (ja) 圧延線材用冷却装置
KR101568602B1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CN205341522U (zh) 一种高效风冷装置
KR101546275B1 (ko) 선재코일용 냉각장치
KR100847030B1 (ko) 선재 균일 냉각 장치 및 균일 냉각 방법
KR101309943B1 (ko) 선재코일 냉각 장치
KR101259289B1 (ko) 선재코일 냉각 장치 및 방법
JP2002361316A (ja) 帯材の冷却装置
KR101091452B1 (ko) 이송선재의 온도편차가 적은 선재 이송장치
KR20050067849A (ko) 열간압연선재의 균일냉각장치 및 그 방법
KR101726759B1 (ko) 설비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멘드럴 코일박스
KR101289181B1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KR100376511B1 (ko)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
CN115889711B (zh) 一种纳米晶带材在线冷却装置及冷却方法
KR200302664Y1 (ko) 선재 송풍냉각기의 풍속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