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511B1 -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511B1
KR100376511B1 KR10-1999-0017195A KR19990017195A KR100376511B1 KR 100376511 B1 KR100376511 B1 KR 100376511B1 KR 19990017195 A KR19990017195 A KR 19990017195A KR 100376511 B1 KR100376511 B1 KR 100376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d
cooling
conveyor roller
air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3731A (ko
Inventor
임성욱
유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1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511B1/ko
Publication of KR20000073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69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간 압연된 선재가 비동심 링형태로 컨베이어 롤러에 의해 이송될 때 중앙부와 대비하여 적치밀도가 높은 양측면부를 상하부에서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된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권취기(130)를 통과하여 링형태로 컨베이어 롤러(10)상으로 적치되어 이송되는 선재(150)를 하부에서 덕트(20)와 노즐(30)을 통해 상부로 송풍되는 냉각공기를 이용하여 냉각하도록 된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재(150)의 양단부측 이송경로를 따라 형성된 측벽(160)의 각 내측에 설치되어 노즐(30)의 양끝단부에서 올라오는 냉각공기를 차단하여 선재(150)의 양측면으로 유도하도록 된 측방향 송풍유도부(40)와, 상기 컨베이어 롤러(10)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측벽(160)에 형성된 송풍구(162)를 통해 선재(150)의 양측면 상단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된 상부 송풍부(6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여, 냉각공기를 선재(150)의 양측면부 및 상단부로 공급한다.

Description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AN APPARATUS FOR COOLING WIRE ROD IN WIRE ROD MANUFACTURING UNIT}
본 발명은 연속식 압연기에서 선재를 열간 압연한 후 권취기를 거쳐 냉각설비인 컨베이어 롤러에 낙하시킴으로써 그 선재가 이송되면서 균일하게 냉각되도록 하는 선재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간 압연된 선재가 비동심 링형태로 컨베이어 롤러에 의해 이송될 때 중앙부와 대비하여 적치밀도가 높은 양측면부를 상하부에서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된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재제조공정은 연속주조에 의해 제조된 빌렛(billet)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여러 단계의 연속식 압연기에 의해 열간 압연하여 소정의 직경을 가진 선재로 제조한 후 최종 목표로 하는 재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냉장치에 의해 냉각개시온도로 조정한 뒤 강제송풍냉각설비에 의해 냉각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선재의 냉각공정은 열간 압연한 선재를 적정한 냉각개시온도까지 수냉장치에 의해 급랭한 후, 권취기에 의해 비동심 링형태로 감아 강제송풍 냉각설비인 컨베이어 롤러에 낙하시킴으로써, 선재가 이송되면서 하부의 송풍기를 통한 송풍 냉각에 의해 냉각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선재제조를 수행하기 위한 선재제조설비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한 빌렛을 소정의 직경으로 열간 압연하기 위한 연속식 선재압연기(110), 열간 압연된 선재를 냉각개시온도까지 급랭하기 위한 수냉장치(120), 적정한 냉각개시온도까지 급랭된 직선형태의 선재를 비동심 링형태로 감기 위한 권취기(130), 및 권취된 선재(150)를 컨베이어롤러(142)상에 얹혀진 상태로 이송시키면서 하부의 송풍기에 의해 냉각제어하기 위한 강제송풍 냉각장치(14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선재제조시 1,000℃ 이상의 고온으로 열간 압연된 선재는 직선형태로 수냉장치(120)를 통과하기 때문에 선재 길이방향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또는 선재단면의 표면과 중심부가 균일하게 수냉되지만, 이후 냉각제어를 위한 강제송풍 냉각장치(140)에서는 선재가 권취기(130)에 의해 비동심 링형태로 컨베이어 롤러(142)상에 얹혀 겹쳐진 상태로 이송되면서 미도시된 하부의 송풍기에 의해서만 냉각되기 때문에 선재의 하단부와 대비하여 상단부의 균일한 냉각이 곤란하다.
또한, 도2a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롤러(142)상에서는 선재(150)가 비동심형 링형태로 적치되어 이송되기 때문에 거의 단일 링으로 구성된 중앙부(154)와 대비하여 최대 4개의 링이 겹쳐진 다층 형태로 구성된 측면부(152)는 적치밀도가 매우 높아, 단위면적당 동일한 송풍량으로 냉각이 이루어지는 경우 중앙부(152)와 측면부(154)를 균일하게 냉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측면부(154)의 경우 하단에 위치한 1∼2개의 링은 하부에서의 송풍에 의해 우선적으로 냉각이 되나 상단에 위치한 1∼2개의 링은 하단에 위치한 링보다 냉각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지게 된다. 이들 도2b와 도2c에 그래프도로 나타내었는바, 우선 도2b에서 살펴보면, 직경 8㎜ 이하인 소경 선재의 적치밀도비를 나타낸 a-a' 그래프에서는 중앙부 대비 측면부의 적치 밀도비가 최대 4배 정도이며, 직경 8㎜ 이상인 대경선재의 적치밀도비를 나타낸 b-b' 그래프에서는 중앙부 대비 측면부의 적치밀도비가 최대 2배 정도이다. 이러한 적치밀도비의 차이는 결국 도2c에서 보이는 것처럼 측면부의 선재온도가 중앙부보다도 높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며 따라서 측면부의 냉각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불균일하게 냉각이 이루어질 경우 변태개시시점 및 변태진행영역이 달라지므로 결국 최종제품의 재질편차를 유발하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열간압연선재의 대표적인 냉각방법이며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채용되고 있는 스텔모어(Stelmor) 방식은, 열간압연후 수냉장치(120)에 의해 750∼900℃로 냉각개시온도까지 급랭하다 선재를 권취기(130)에서 비동심 링형태로 감아 컨베이어 롤러(142)상에 낙하시킨 후 강제송풍 냉각장치(140)의 하부 송풍기로부터 초당 20∼50m 속도로 바람을 불어 냉각하는 방식으로써, 이 방식은 송풍기의 모터로 폭방향으로의 전체적인 풍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송풍기 각도를 변경하여 폭방향 풍속분포를 조절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으나, 이와같은 방법들은 제조되는 선재의 전체 규격 및 치수에 대해 고정되어 있어 가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폭방향으로 선재의 온도분포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송풍기 입측에 인입되는 바람의 양을 중앙부와 측면부로 분배하는 장치인 댐퍼(Damper)가 제안되어 풍량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결국 하부에서의 송풍방식이기 때문에 적치밀도가 높은 측면부의 하단의 링들은 냉각속도가 빨라지게 되나 상단의 링들은 상대적으로 느려지게 되어 균일한 냉각이 곤란하다. 한편, 미국특허 제4,023,392호에 개시된 선재냉각장치는 체인방식의 냉각컨베이어상으로 선재가 이송되면서 냉각될 때 적치밀도가 높은 측면부에 바람이 나오는 노즐을 수직으로 집중 배열하여 중앙부 대비 송풍량을 증가시킴으로서 균일한 냉각을 도모하였지만, 롤러방식에 적용할 경우 냉각설비를 전면적으로 개조함에 다른 설비비가 많이 들게 되며, 또한 선재 직경에 따라 링의 적치밀도를 조정해야 하지만 체인방식은 비동심 링이 냉각컨베이어에 낙하된 후 각 링들이 체인홈에 걸쳐져 이송됨으로써 링 간격이 고정되어 이송되기 때문에 적정한 링간격 조정이 어렵게 된다. 또한, 이 방식도 스텔모아와 동일하게 하부 송풍방식이기 때문에 측면부의 상하부 균일냉각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미국특허 제3,832,788호에서는 상하부로 운동하는 수평롤러에 의해 측면부의 접촉한 선재가 분리될 때 추가적인 송풍기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측면부의 덕트를 통하여 측면에서 송풍함으로서 균일하게 냉각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지만, 선재를 기계적으로 강제운동시키기 때문에 제품에 흠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며 송풍기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비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선재가 비동심 링형태로 적치된 상태로 컨베이어 롤러상에 얹혀 이송될 때 그 선재가 얹혀지지 않는 부분인 선재 단부의 외측으로 공급되는 냉각공기를 적치밀도가 높은 양끝단부로 유도함과 동시에 컨베이어 롤러에 의해 구동되는 별도의 냉각팬을 설치하여 그에 의해 선재 측면부 상단을 냉각할 수 있도록 하여 선재의 균일한 냉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재제조설비의 강제송풍 냉각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2a는 컨베이어 롤러 상에 얹혀진 선재의 적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2b 및 도2c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강제송풍 냉각방법을 이용한 경우의 선재의 적치밀도와 폭방향 온도분포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냉각장치를 구성하는 측방향 송풍유도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측방향 송풍유도부가 직경이 작은 선재인 경우와 직경이 큰 선재인 경우의 각각에 대한 동작상황을 도시한 설명도;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송풍부의 각 실시예를 Ⅰ-Ⅰ'선에서 바라본 도면;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컨베이어 롤러
20 ... 덕트
30 ... 노즐
40 ... 측방향 송풍 유도부
42 ... 고정판
44 ... 유동판
54 ... 연결핀
60 ... 상부 송풍부
62 ... 냉각팬
130 ... 권취기
150 ... 선재
160 ... 측벽
162 ... 송풍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권취기를 통과하여 링형태로 컨베이어 롤러상으로 적치되어 이송되는 선재를 하부에서 덕트와 노즐을 통해 상부로 송풍되는 냉각공기를 이용하여 냉각하도록 된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재의 양단부측 이송경로를 따라 형성된 측벽의 각 내측에 설치되어 노즐의 양끝단부에서 올라오는 냉각공기를 차단하여 선재의 양측면으로 유도하도록 된 측방향 송풍유도부와, 상기 컨베이어 롤러로부터 회전동력을제공받아 측벽에 형성된 송풍구를 통해 선재의 양측면 상단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된 상부 송풍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의 평면 구성도로서, 선재압연기에 의해 열간압연된 후 수냉장치에 의해 냉각된 선재가 권취기(130)에 의해 강제송풍냉각장치(1)의 컨베이어 롤러(10)상에 비동심 링형태로 낙하되어 적치된 상태로 이송되면서 하부에 설치된 송풍기(미도시)로부터 분사되어 덕트(20)와 노즐(30)을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개략의 구성은 종래와 유사하다. 물론, 이러한 강제송풍 냉각장치(1)를 지나면서 선재(150)는 750∼900℃의 냉각개시온도로부터 변태되어 목표로 하는 재질을 가진 최종제품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자등은 선재(150)가 비동심 링형태로 낙하되어 이송되어질 때 필연적으로 많이 적치되어지는 측면부와 단일링으로 형성된 중앙부가 존재하게 되며, 따라서 동일한 송풍량으로 냉각을 시킬 경우에는 많이 적치되어 있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 사이에는 냉각속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불균일하게 냉각이 이루어지고, 또한 측면부의 각 링들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도 불균일한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에 기인하여, 선재의 냉각편차가 발생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도3에 나타낸 바와같이, 열간압연후 권취낙하된 선재(150)는 컨베이어 롤러(10)상에 얹혀져 이송된다. 이 컨베이어 롤러(10)의 양단부는 선재(150)의 이송경로를 따라 설치된 냉각 컨베이어 측벽(160)을 각각 관통하고, 일측 단부가 모터(170)에 연결됨으로써 회전구동된다. 물론, 상기 컨베이어 롤러(10)의 양측 단부는 베어링 블록등과 같은 롤러 샤프트 지지대(12)에 의해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컨베이어 롤러(10)의 하부에는 바람이 올라올 수 있도록 송풍노즐(30)이 갖추어져 있으며 그 하부에 송풍기에 의해 발생된 바람이 공급되는 덕트(2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컨베이어 롤러(10)상으로 이송되는 선재(150)와 측벽(160) 사이에는 마찰방지 및 선재직경에 따라 달라지는 링 직경에 의해 여유공간이 주어져 있다. 즉, 송풍노즐(30)을 통해 상부로 공급되는 냉각공기중 선재(150)의 직경을 초과하는 양 단부측으로 올라오는 공기는 선재(150)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고 버려지는 것으로, 선재 냉각에 기여하지 않고 단순히 손실되고 만다.
본 발명은 이렇게 버려지는 냉각공기를 이용하고자 하며, 이를 측방향 송풍유도부(40)가 담당하게 된다. 상기 측방향 송풍유도부(40)는 선재(150)의 직경을 초과하여 양 단부측으로 벗어나 상향하는 냉각공기를 선재(150)의 적치밀도가 높은 양측면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 롤러(1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냉각팬(62)에 의해 선재(150)의 양측면부 상단을 냉각하고자 하며, 이를 상부 송풍부(60)가 담당하게 된다. 이는 냉각팬(62)에 의해 발생되는 별도의 냉각공기를 선재(150)의 적치밀도가 높으면서 상향공기에 의해 상대적으로 냉각이 적게 이루어지는 선재(150)의 양측면부 상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측방향 송풍유도부(40)는 도5 및 도6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컨베이어 롤러(10)상에 적치되는 선재(150)의 높이보다 약간 더 높은 위치에 있도록 측벽(160)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고, 측벽(160)에 고정되는 고정판(42)과 상기 고정판(42)의 전방측 단부에 후방측 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된 유동판(44)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유동판(44)의 전방측 단부의 위치는 선재(150)의 양측단부의 직상부까지 연장되거나 그에 약간 덜 미치는 위치까지 연장된 상태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측방향 송풍유도부(40)는 냉각이 필요한 구역에 일정간격마다 또는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42)의 전방측 단부와 유동판(44)의 후방측 단부에는 원통모양의 단관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연결용 파이프(46a)(46b)를 각각 고정하며, 상기 고정판(42)의 전방측 단부와 유동판(44)의 후방측 단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용 파이프(46a)(46b)가 서로 교대로 위치하도록 하여, 일측 단부에 머리부를 형성하고 타측 단부에 나사부를 형성한 핀(48)을 상기 연결용 파이프(46a)(46b)로 끼운 다음, 상기 핀(48)의 나사부에 너트(49)를 끼움으로써 유동판(44)이 핀(48)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42)의 양측단부중 적어도 일측 단부에는 나사형 지지핀(51)이 일체로 고정되고, 이에 부합하는 유동판(44)의 단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이면서 선재(150) 방향으로 적정간격 떨어져 위치하는 나사형 지지핀(52a)(52b)이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핀(51)과 어느 하나의 지지핀(52a)(52b)이 연결막대(54)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막대(54)는 일측 단부에 상기 지지핀(51)이 끼워질 수 있는 구멍(54a)을 형성하고 타측 단부에 상기 지지핀(52a)(52b)이 끼워질 수 있는 구멍(54b)을 형성하여 각각의 구멍(54a)(54b)에 지지핀(51)과 어느 하나의 지지핀(52a)(52b)이 끼워진 상태로 고정판(42)과 유동판(44)에 장착될 수 있고, 이렇게 장착된 후에는 지지핀(51)(52a)(52b)에 너트(56)가 체결된다. 즉, 적정거리 떨어진 지지핀(52a)(52b)의 어느 것이 연결핀(54)의 구멍(54b)에 끼워지는가에 따라 유동판(44)이 고정판(42)에 장착된 상태의 선회각도가 결정되며, 이러한 선회각도는 상향하는 냉각공기의 흐름경로를 결정하게 된다.
도6a 및 도6b가 이러한 작용을 잘 보여주는데, 직경이 작은 경우, 예컨대 직경이 8㎜ 이하인 선재의 경우와 같이 중앙부와 대비하여 측면부의 최대 적치밀도가 4배 정도인 때에는 선재의 적치높이가 높고 중량이 가벼워 권취기에 의해 컨베이어 롤러상으로 낙하되는 경우 적치상태가 불규칙하여 높이가 높고 폭이 넓게 형성되면 송풍방향(F1)을 보다 완만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도6a와 같은 상태로 유동판(44)의 선회각도(α)가 보다 작게, 예컨대 30도 이하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직경이 큰 경우, 예컨대 직경이 8㎜ 이상인 선재의 경우와 같이 중앙부와 대비하여 측면부의 최대 적치밀도가 2배 정도로써 적치높이가 낮고 중량이 무거워 권취기에 의해 컨베이어롤러상으로 낙하되는 경우 적치상태가 비교적 규칙적으로 나타나 높이가 낮고 폭이 좁게 형성되면 송풍방향(F1)을 보다 급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도6b와 같은 상태로 유동판(44)의 선회각도(β)가 보다 크게, 예컨대 30도에서 45도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유동판(44)의 선회각도는 유동판(44)에 형성된 지지핀(52a)(52b)의 어느 것이 연결핀(54)의 구멍(54b)에 끼워지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핀(52a)(52b)의 수량을 다수개로 하는 경우 유동판(44)의 선회각도를 보다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핀(54)의 형상은 지지핀(51)(52a)(52b)에 간섭되지 않도록 적정하게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상부 송풍부(60)는 도3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측벽(160) 각각의 외부측에서 선재(150)가 위치하는 중앙측으로 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는 냉각팬(62)을 가지며, 이 냉각팬(62)은 벨트(64a) 또는 체인(64b)에 의해 컨베이어 롤러(10)의 풀리(12a) 또는 스프로켓(12b)에 연결됨으로써 회전동력을 제공받고, 이 냉각팬(62)에 의해 발생된 바람은 냉각 컨베이어 측벽(160)을 관통하여 형성된 송풍구(162)를 통하여 컨베이어 롤러(10)상을 이송하고 있는 선재(150)의 적치밀도가 높은 측면부의 상단쪽으로 분사된다. 물론, 상기 상부 송풍부(60)도 냉각이 필요한 구역에 일정간격마다 또는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냉각팬(62)은 송풍정도에 따라 적정한 개수로 설치되어야 한다.
도7a 및 도7b는 도3에 도시된 상부 송풍부(60)의 각 실시예를 Ⅰ-Ⅰ'선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각각 컨베이어 롤러(10)의 회전동력을 냉각팬(62)에 벨트(64a)를 통해 전달하는가 또는 체인(64b)을 통해 전달하는가에 따른 실시예이다. 즉, 벨트(64a)를 사용하는 경우 냉각팬(62)의 회전축(62a)에도 그에 부합하는풀리(62b)를 장착하고, 체인(64b)을 사용하는 경우 냉각팬(62)의 회전축(62a)에도 그에 부합하는 스프로켓(62b')을 장착하는 통상의 형태를 보인다.
이들의 어느 경우도 마찬가지이지만, 냉각팬(62)의 회전속도, 즉 냉각팬(62)의 회전에 의한 송풍량은 냉각팬(62)의 회전축(62a)에 갖추어진 풀리(62b) 또는 스프로켓(62b')의 직경과 컨베이어 벨트(10)에 갖추어진 풀리(12a) 또는 스프로켓(12b)의 직경비에 의존하며, 이는 설비에서 요구하는 선재의 냉각정도에 따라 적정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은, 컨베이어 롤러(10)상을 이송하는 선재(150)를 강제송풍에 의해 냉각할 때 적치된 선재의 중앙부와 적치밀도가 높은 측면부의 하단부는 종래와 같이 하부 송풍에 의해 냉각되는 반면, 적치된 선재(150)에 대한 측면부에 있어서의 측표면쪽은 노즐(30)의 양끝단부에서 올라와 측방향 송풍유도부(40)에 의해 유도된 냉각공기에 의해 냉각되고, 또한 측면부에 있어서의 상부면쪽은 송풍구(162)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팬(62)의 냉각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균일한 선재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종래에 버려졌던 노즐(30)의 양끝단부에서 올라오는 냉각공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별도의 냉각공기를 컨베이어 롤러(10)의 회전동력과 냉각팬(62)을 이용하여 발생시켜 그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노즐(30)의 양끝단부에서 올라오는 냉각공기가 측방향 송풍유도부(40)에 의해 선재(150)의 측면으로 변경됨으로써 상기 냉각팬(62)에 의해 발생되어 송풍구(162)를 통해 선재(150)의 측면 상단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간섭되지 않아 선재(150)의 양측면 및 상단의 냉각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에 의하면, 비동심 링형태로 적치된 상태로 컨베이어 롤러상에 얹혀 이송되는 선재에 대하여 중앙부에 비하여 적치밀도가 높은 양끝단부와 그 상단부를 측방향 송풍유도부와 상부 송풍부에 의해 중앙부와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음으로써 폭방향 및 길이방향의 재질특성이 균일하여 단선발생없이 신선가공성이 우수한 선재를 제조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권취기(130)를 통과하여 링형태로 컨베이어 롤러(10)상으로 적치되어 이송되는 선재(150)를 하부에서 덕트(20)와 노즐(30)을 통해 상부로 송풍되는 냉각공기를 이용하여 냉각하도록 된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재(150)의 양단부측 이송경로를 따라 형성된 측벽(160)의 각 내측에 설치되어 노즐(30)의 양끝단부에서 올라오는 냉각공기를 차단하여 선재(150)의 양측면으로 유도하도록 된 측방향 송풍유도부(40)와,
    상기 컨베이어 롤러(10)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측벽(160)에 형성된 송풍구(162)를 통해 선재(150)의 양측면 상단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된 상부 송풍부(6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송풍유도부(40)는, 측벽(160)의 내측에 고정된 고정판(42)과, 상기 고정판(42)의 전방측 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유동판(4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판(42)의 적어도 일단부에 형성된 지지핀(51)에 연결핀(54)의 일단부가 끼워지며, 상기 연결핀(54)의 타단부는 유동판(44)에 선재(150)측으로 떨어져 위치하는 다수개의 지지핀(52a)의 어느 하나에 끼워짐으로써 유동판(44)의 회전각도가 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
KR10-1999-0017195A 1999-05-13 1999-05-13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 KR100376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195A KR100376511B1 (ko) 1999-05-13 1999-05-13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195A KR100376511B1 (ko) 1999-05-13 1999-05-13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731A KR20000073731A (ko) 2000-12-05
KR100376511B1 true KR100376511B1 (ko) 2003-03-17

Family

ID=19585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195A KR100376511B1 (ko) 1999-05-13 1999-05-13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5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052B1 (ko) * 2015-03-26 2016-03-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재의 냉각장치
CN107685083B (zh) * 2017-09-17 2019-02-05 浙江毅美材料有限公司 一种水箱拉丝机的模具冷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4307A (en) * 1981-03-18 1982-09-24 Kobe Steel Ltd Cooling device for hot rolling wire rod
JPS59113918A (ja) * 1982-12-21 1984-06-30 Nippon Steel Corp リング状線材のコンベア搬送における衝風冷却装置
KR850008558U (ko) * 1984-04-18 1985-11-20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선재냉각 조절장치
KR20000013232U (ko) * 1998-12-24 2000-07-15 이구택 선재 송풍냉각기의 풍속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4307A (en) * 1981-03-18 1982-09-24 Kobe Steel Ltd Cooling device for hot rolling wire rod
JPS59113918A (ja) * 1982-12-21 1984-06-30 Nippon Steel Corp リング状線材のコンベア搬送における衝風冷却装置
KR850008558U (ko) * 1984-04-18 1985-11-20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선재냉각 조절장치
KR20000013232U (ko) * 1998-12-24 2000-07-15 이구택 선재 송풍냉각기의 풍속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731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3856A (en) Controlled cooling apparatus for hot rolled wire rods
KR100376511B1 (ko) 선재제조설비의 선재냉각장치
US4468262A (en) Method of cooling hot-rolled wire rods
US4397449A (en) Apparatus for cooling hot-rolled wire rods
KR100325094B1 (ko) 선재의균일냉각장치
KR100815922B1 (ko) 선재의 균일 냉각을 위한 선재 냉각 장치의 롤러 배열방법
KR100916061B1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KR101242956B1 (ko) 다단 송풍형 선재코일 냉각장치
KR100620762B1 (ko) 열간압연선재의 균일냉각장치 및 그 방법
JPS6411089B2 (ko)
JP7352080B2 (ja) 熱延鋼板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KR20120026868A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JP2693976B2 (ja) 熱間圧延線材の空冷装置
KR100847030B1 (ko) 선재 균일 냉각 장치 및 균일 냉각 방법
KR100928572B1 (ko) 코일형 선재의 균일 냉각 장치
US5196156A (en) Rod cooling system
RU217958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хлаждения горячекатаного стального прутка
KR20120058260A (ko) 속도 가변형 선재코일 냉각 장치 및 방법
KR101242898B1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KR200295763Y1 (ko) 고온선재의 공냉장치
KR100334216B1 (ko) 냉각 컨베이어 상에 중첩 패턴으로 배출되는 링들을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한 장치
KR100402008B1 (ko) 선재제조설비의 선재 냉각장치
KR200302664Y1 (ko) 선재 송풍냉각기의 풍속 조절장치
KR20120073677A (ko) 선재코일의 균일 냉각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13152B1 (ko) 선재냉각용 편심구동형 컨베이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