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288B1 - Korean-style house tile roof structure - Google Patents

Korean-style house tile roof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288B1
KR101257288B1 KR1020130013231A KR20130013231A KR101257288B1 KR 101257288 B1 KR101257288 B1 KR 101257288B1 KR 1020130013231 A KR1020130013231 A KR 1020130013231A KR 20130013231 A KR20130013231 A KR 20130013231A KR 101257288 B1 KR101257288 B1 KR 101257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korean
rafter
tile
raf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2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천득염
양정무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3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2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2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06Insulation of the roof covering characterised by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12Insulation of the roof covering characterised by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roof structure comprising a supporting framework of roof purlins or raf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4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at roof intersections, e.g. valley tiles, ridge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PURPOSE: A Korean-style house roof tile is provided to simplify a structure and to reduce weight of a roof due to dry construction. CONSTITUTION: A Korean-style house roof tile comprises a rafter(110), a pillow timber(120), an extension rafter(130), a run-off bout(140), an insulating material or a waterproof material, a roofing tile hanger(160), and a ridge roof supporting board(170). The rafter comprises a short rafter(111) and a long rafter(113). The pillow timber is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intersecting with the short rafter and the long rafter on a section in which the short rafter and the long rafter are connected. The extension rafter is closely arranged to the rafter and the pillow timber. The run-off bout is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rafter and finishes a surface of the extension rafter. The insulating material or a waterproof material is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un-off bout. The roofing tile hanger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material or the waterproof material to hang a gear. The ridge roof supporting board is arranged at a top end of a roof to support a ridge roof(60).

Description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Korean-style house tile roof structure}Korean-style house tile roof structure

본 발명은 적심과 보토를 채워 구성한 한옥지붕을 대체하는, 목재를 이용하여 구성한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식시공을 기반으로 한식형 기와지붕의 자연스러운 현수곡선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시공이 용이한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orean roof tile structure constructed using wood, which replaces the hanok roof formed by filling the soil and the clay,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natural suspension curve of the Korean roof tile roof based on dry constru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orean roof tile structure that is easy to construct.

한옥지붕의 바탕이 되는 서까래는 둔각의 꺽인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반면, 지붕의 마감은 곡선형으로 마무리된다. 전통 한옥은 이 사이에 적심과 보토(흙)를 채워 넣는다. 흙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값이 싸며, 성형 등 취급이 간편한 재료이다. 하지만 지붕을 과도하게 무겁게 하고, 삼투작용으로 물기를 빨아들여 목재를 상하게 하며, 부착된 기와를 동결융해에 따른 수축팽창에 의하여 파손케 하는 치명적 약점을 함께 가지고 있다.The rafters on which the Hanok roof is based consist of obtuse angled straight lines, while the finish of the roof is curved. Traditional hanok is filled with soaking and clay. Soil is a material that can be easily obtained from the surrounding area, is cheap, and is easy to handle, such as molding. However, it has a fatal weakness that makes the roof excessively heavy, soaks up water by osmosis and damages the wood, and damages the attached tile by shrinkage expansion due to freeze-thawing.

흙을 사용한 지붕의 무거움을 부분적이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지붕 속에 소위 "헛집"이라는 것을 구성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지붕의 바탕이 되는 서까래(장연, 단연)가 이루는 둔각이 180도에 근접할수록 바탕은 직선에 가깝게 되어 지붕을 얇게 할 수 있다. 반면 둔각이 작아질수록 지붕의 중간 부분은 깊게 채워 넣어야만 완만한 곡선으로 표현이 가능해진다. "헛집"은 후자와 같이 구성된 서까래 바탕에서 지붕에 과도한 흙이 채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들 중 하나이다. 적심은 서까래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허드레 목재를 채워 1차적으로 지붕의 곡선형을 이루는 것인데, 이 적심 부분을 목재로 구성한 빈 공간으로 대체하는 것이 "헛집"이다. 주로 또 다른 서까래를 바탕 서까래 위에 올려 둔각을 가로질러, 둔각선과 지붕마감 곡면 사이의 깊이를 완화하여 지붕 무게를 경감한다. 사례로서, 2000년경에 해체 보수된 "경복궁 근정전"의 지붕에 적용된 "헛집"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다.To partially solve the heaviness of the roof with soil, a method of constructing a so-called "hut" in the roof was used. The closer the obtuse angle formed by the rafters (long edge, short edge) that is the base of the roof is closer to 180 degrees, the closer to the straight line the thinner the roof can be. On the other hand, as the obtuse angle becomes smaller, the middle part of the roof must be deeply filled in order to express a gentle curve. A hut is one of the ways to prevent the roof from being overfilled with the latter rafters. Wetting consists of filling the timb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afters to form a curvilinear roof, which is replaced by an empty space made of wood. The roof weight is reduced by releasing the depth between the obtuse line and the roof finish surface, mainly by placing another rafter on the rafters across the obtuse angle. As an example, we can grasp the reality of the "house" applied to the roof of "Gyeongbok Palace", which was dismantled and repaired around 2000.

하지만 "헛집"은 지붕 채움을 모두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적심'만을 대체하고, 두꺼워진 흙 채움을 지붕 곡의 완화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해소하는 정도이다. 헛집 위에는 지붕의 형태를 완성하고 기와를 설치하기 위해 보토와 강회다짐 및 알매(흙)가 설치되기 때문이다.However, the "house" does not replace all of the roof fills, but only replaces the 'wet', and partially eliminates the thickened soil fill through the relief of the roof tunes. Botos, lime compacts, and falcons are installed on the barn to complete the shape of the roof and install the tiles.

본 발명은 기존의 한옥지붕 구성 기법과는 달리, 목재구성을 통하여 지붕 하중 경감, 시공편의 달성,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흙(보토)의 사용을 배제한 상태에서 한옥지붕의 곡선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흙은 하중을 증가시키고 구조체의 안전 및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흙을 사용하지 않고서 지붕곡을 표현하고, 기와를 부착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existing hanok roof construction techniques, to reduce the load on the roof, to achieve the construction piece, cost reduction through the wood configuration, to be able to express the curved shape of the hanok roof in the state of excluding the use of soil (botto) will be. Soil increases the load and has a great impact on the safety and durability of the structure. Therefore, it is to devise a method for expressing roof valleys and attaching tiles without using soil.

또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을 단순화시키고 시공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보토 채우기와 같은 습식시공법이 아닌 건식시공으로 지붕을 경량화하고 한식형 기와지붕의 전통적인 현수곡선을 표현할 수 있는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construction and easy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lightweight construction of the roof by dry construction rather than wet construction methods such as filling, and traditional suspension of Korean roof tiles It is to provide a Korean-style roof structure that can represent a curve.

또한, 재료비 및 전문 숙련공에 의한 높은 인건비를 절감하여 비용부담이 적고, 인력소모, 공사기간, 하자율 등을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reduce the cost of materials and high labor costs by professional skilled workers, and to provide a cost-effective, Korean-style roof tile structure that can reduce labor consumption, construction period, defect ra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재를 사용한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는 전통한옥에서 지붕을 구성하는 적심, 보토, 강회다짐 및 알매흙으로 구성된 기존의 지붕층을 지붕 상부에서 하부로 내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덧서까래와 이 부재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는 배게목(받침목재),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지붕을 덮어 마감하며 기와이기의 바탕이 되는 덧개판(서까래를 덮는 개판, 덧서까래를 덮는 덧개판)을 덮는 구조체로 대체하는 것을 포함한다.Korean-style roof structure using the ti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the traditional roof layer from the top of the roof consisting of red roofing, boto, limyeo compacts and almead constituting the roof from top to bottom The rafters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of descending, the pillows (adjustment timbers) to properly adjust the height of the members, and the coverings covering the roofs and the roofs (the rafters covering the rafters) Replacement with a covering structure).

기와지붕의 종단 및 횡단 방향의 자연스러운 현수곡선은 지붕구조를 구성하는 부재의 다각(多角)의 분절을 통하여 표현한다. 이 분절은 덧서까래의 3단 분절에서 시작하여 상부 부재로 갈수록 분절의 수효를 점진적으로 더해가는 구성으로, 지붕 상부외관의 마감에 있어서 50여개의 분절로 현수곡선에 가깝게 설치되는 바닥기와를 포함한다.Natural suspension curves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of the tile roof are expressed through the multiple segments of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roof structure. This segment starts from the three-segment segment of the rafters and gradually adds the number of segments to the upper member. The segment includes a bottom tile that is installed close to the suspension curve with about 50 segments at the finish of the roof top facade. .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단연과 장연의 상부 면에서 표면을 마감하기 위한 개판이 설치되고, 설치된 상기 개판과 상기 덧서까래와 덧개판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단열과 결로의 하부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발수효과가 있는 단열판이 더 포함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 gating plate for finishing the surface at the top and the top surface of the short and long smoke is installed, to block the inflow of condensation and condensation in the empty space formed between the installed gutter and the rafters and pads In order to further include a heat insulating plate having a water repellent effect.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덧개판의 상부 면에 기와 복사열을 차단하기 위한 반사단열판과 목구조 보존에 효과가 있는 투습방수지를 설치하며, 기와를 걸기 위한 기와걸이 대를 더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is installed a reflective insulating plate for blocking the radiating heat and th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resin effective for preserving the wooden structure, and further includes a tile rack for hanging the tile.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덧서까래와 덧개판의 최상단에는 용마루를 받치기 위한 단의 마련을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top of the paddle rafters and the padding plate includes the provision of a stage for supporting the ridg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을 단순화시키고, 보토 등을 사용하는 습식 시공법이 아닌 건식 시공을 기반으로 지붕의 무게를 줄여 경량화 된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weight Korean roof structure with a simplified structure and reduced weight of the roof based on dry construction rather than wet construction using a bot and the like.

또한, 덧서까래를 이용한 건식 시공법의 한계인 부자연스러운 성형의 한계를 극복하여, 한식형 기와지붕의 전통적인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지붕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oof structure that can express the traditional design of the Korean roof tile roof by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unnatural molding, which is a limitation of the dry construction method using a rafter.

아울러, 재료비, 인건비 등 비용부담이 적고, 인력소모, 공사기간, 하자율 등을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less cost burden such as material costs, labor cost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n economical Korean roof tile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labor consumption, construction period, defect r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의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의 덧서까래를 이용하여 현수곡선을 형성하는 개념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의 덧서까래 설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의 덧서까래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의 용마루받침대를 보여주는 요부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의 열기의 이동 전달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orean roof t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Korean roof t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forming a suspension curve by using a pullover of a Korean-style roof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rafters of Korean-style tile roof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rafters of Korean-style tile roof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ridge base of the Korean roof t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heat transfer form of the heat of the Korean roof t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100)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100)의 구성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100)의 덧서까래(130)를 이용하여 기와지붕의 현수곡선을 형성하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100)의 덧서까래(130)가 지붕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100)의 덧서까래(130)가 다양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는 서까래(110), 베개목(120), 덧서까래(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Korean roof tile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Korean roof tile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view of forming a suspension curve of a roof tile using the rafters 130 of the Korean-style roof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form in which the rafters 130 of the Korean-type roof structure 100 are installed to form a roof, and FIG. 5 shows the rafters 130 of the Korean-type roof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various connections.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Korean-style roof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after 110, a pillow neck 120, the rafters 130.

전통 한옥지붕에서 지붕 채움으로 드러나는 모양은, 종단면 상으로 욱은(안으로 조금 우묵하게 우그러져 굽은 듯하다) 현수곡선과 횡단면 상 양끝 부분을 곡선으로 들어 올린 모양을 이룬다. 종단은 서까래(장연, 단연)의 둔각으로 형성된 바탕을 적심과 보토를 채워서 욱은 곡선으로 지붕 마감 면을 구성한다. 깊은 곳은 두껍게, 얕은 곳은 얇게 채운다. 횡단의 앙곡은 중앙에서 양끝으로 갈수록 두껍게 채워서 지붕면을 높여가는 방식으로 이룬다. 통상의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는 기둥(10)과 상기 기둥(10)의 상단부에 결구(結構)되는 처마도리(20), 상기 처마도리(20)에 결구되는 다수의 들보(30) 중 지붕의 내림방향 중간영역을 지지하도록 횡방향 배치되는 중도리(40), 상기 중도리(40) 위에서 중도리(40)와 교차배치되며 지붕의 삼각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서까래 및 지붕의 좁아지는 상부에서 횡방향 배치하여 다수의 서까래를 지지하는 종도리(50)을 포함한다.In the traditional Hanok roof, the shape of the roof fills up the shape of the suspension curve (which looks a little hollow inwardly) in the longitudinal section and the curves of both ends of the cross section. The end is filled with wetting and filling of the base formed at the obtuse angle of the rafter (long edge, short edge) to form the finishing surface of the roof with thick curves. Fill deep and thin shallows. The cross of Anggok is formed by raising the roof surface by filling it thicker from the center to both ends. A typical Korean tile roof structure has a roof 10 of a roof 10 and a plurality of beams 30 formed on the eaves 20. Centrally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support the intermediate region in the down direction, a plurality of rafters cross-arranged with the middle purlin 40 above the middle purlin 40 and forming a triangular shape of the roof and laterally disposed in the narrowing upper part of the roof Includes a claw hammer 50 supporting a plurality of rafte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의 구조체에서 상기 서까래(110)는 단연(111)과 장연(113)으로 이루어진다.In the structure of the Korean roof tile ro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fter 110 is composed of a leading edge 111 and a long edge 113.

상기 단연(111)과 장연(113)은 지붕의 내림방향에 따라 배치되고, 배치된 상기 단연(111)과 장연(113)이 지붕의 규격에 따라 폭방향 이격하며 다수개가 배치된다.The leading edge 111 and the leading edge 113 is dispos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roof descending, and the arranged leading edge 111 and the leading edge 113 ar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roof and are arranged in plurality.

한편, 상기 단연(111)은 길이방향 상단부 일측이 상기 종도리(50)에 교차하며 결구되고, 지붕의 삼각 형태를 이루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중도리(40)에서 교차하며 결구된다.On the other hand, the edge 111 is one side of the upp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rossed and crosses the bellows 50, is formed to be inclined to form a triangular shape of the roof and crosses in the middle purlin (40).

또한, 상기 장연(113)은 상단부 일측이 상기 중도리(40)에 교차하여 결구됨과 동시에 상기 단연(111)의 하단부에서 지붕의 내림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단연(111)과 장연(113)이 결합되는 수단은 장연(113)이 단연(111)의 폭만큼 이동하여 측면부에서 길이방향 연장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단연(111)과 장연(113)의 상·하부를 가공하여 형상맞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끝단부에서 맞댐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시공을 단순화시키고 방법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장연(113)이 단연(111)의 폭만큼 이동하여 측면부에서 길이방향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ng side 113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crosses the middle purlin (40) and at the same time extending along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roof at the lower end of the end 111. Here, the means 111 and the leading edge 113 is coupled means that the leading edge 113 may b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ide portion by moving the width of the leading edge (111). Alternatively,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hort edge 111 and the long edge 113 may be processed and combined by shape matching. Or, it may be coupled by butt at the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 edge 113 is moved by the width of the short edge 111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ide so as to simplify the construction and to facilitate the method.

또한, 상기 장연(113)은 상기 단연(111)의 경사면보다 완만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는 곧 한식형 기와지붕의 특징인 아래를 향할수록 방사상 뻗어나가는 형상의 디자인을 표현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러한 형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연(111)과 장연(113)이 각각 다른 경사면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그 연장되는 연결영역에서 지붕의 꺽인 형태의 지붕곡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ong edge 113 is to form a gentle slope than the slope of the edge 111. This is to express the design of the radially extending shape toward the bottom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roof tile roof. Therefore, in order to express such a shape, the short edge 111 and the long edge 113 must form different inclined surfaces, respectively, so that the roof valley of the roof shape is formed in the extending connection region.

목재구성으로 욱은 곡선을 표현하는 것은, 다각형의 각이 많아질수록 원이나 호의 곡선에 근접하게 나타나는 점에서 착안하였다. 즉 각의 분절 수를 증가시켜 최종적으로 드러나는 지붕면을 곡선형에 가깝게 만들어 해결하였다. 바탕을 이루는 서까래는 둔각으로 장연과 단연의 길이는 대략 2:1 정도의 비율이다.(장연은 처마를 내밀기 때문에 단연에 비해 길다) 서까래를 바탕으로 설치되는 지붕 구성 목재의 매 켜마다 분절의 수를 증가시키고 균등한 거리마다 나타날 수 있도록 하였다. 통상의 5량 가구에서는 3단 분절을 기본으로 하고, 3량 가구에서는 2단 분절 등 기와지붕을 시공할 때 그 규모에 따라 더욱 많은 분절을 형성하며 상기 지붕곡이 형성된다.Representation of the thick curve in the composition of wood was conceived in that the more the angle of the polygon is, the closer it is to the curve of the circle or arc.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angle segments was increased to solve the problem by making the final roof surface close to curved. The underlying rafters are obtuse, with a length of about 2: 1 between the length and length of the edges (the length is longer than the edges because it extends the eaves). And increased so that they appear at even distances. In a typical five-room household, three-segment segments are used as the basis. In the three-family household, when the tile roof is constructed, such as two-segment segments, more segments are formed according to the scale, and the roof valley is formed.

한편, 지붕곡 부분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덧서까래(130)를 지지하도록 베개목(120)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100)에서 상기 베개목(120)은 상기 덧서까래(130)를 아래에서 받치며 지지하고, 지붕의 현수곡선을 이루기 위한 역할과 동시에 상기 중도리(40)와 같이, 구조체 전체의 보강역할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illow neck 12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of portion so as to support the rafters 13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Korean type roof tile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ow neck 120 supports and supports the rafters 130 from below, and at the same time serves to form a suspension curve of the roof. As in 40), it can serve as a reinforcement for the whole structur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베개목(120)은 상기 단연(111)과 장연(113)이 결합되는 영역 위에서 상기 단연(111) 및 장연(113)과 교차하며 횡방향 길게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단연(111)과 장연(113)의 폭과 대응되는 짧은 형태로도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에서는 전체적인 구조의 보강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중도리(40)와 평행을 이루며, 횡방향 길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개목(120)은 지붕곡 부분의 상부면 위로 배치될 때, 빈공간이 생기지 않고 상기 서까래(110)와 밀착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그 접촉부를 지붕곡 부분과 대응되도록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2, the pillow neck 120 may be disposed to ext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ntersect the short edge 111 and the long edge 113 on a region where the short edge 111 and the long edge 113 are coupled to each other, or It may also be possible in a short form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edge 111 and the long edge 113. However, in the Korean roof ti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be parallel to the middle purlin 40 so as to reinforce the overall structure, and to be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pillow neck 12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of valley portion, it is preferable to process the contac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oof valley portion so as to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afters 110 without creating an empty space. Do.

한편, 상기 덧서까래(130)는 지붕의 내림방향을 따라 상기 서까래(110)와 베개목(120)에 밀착하며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꺽인 형태의 서까래(110)에 종래의 보토, 알매 등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덧서까래(130)를 배치하여 자연스러운 현수곡선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덧서까래(130)는 설치된 상기 서까래(110)에 대응하며 그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지붕의 규격,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지붕의 내림방향으로 3개의 덧서까래(130)가 상.하부를 각각 연장하며 결합하고, 결합된 덧서까래(130)를 폭방향 이격하며 다수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덧서까래(130)가 연장하며 결합되는 수단은 도 5를 참조하면, 도 5 (A)와 같이 측면 맞댐에 의해 결합할 수 있으며 또는, 도 5 (B)와 같이 상.하 끝단부에서 대향하며 맞댐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afters 130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afters 110 and the pillow neck 120 in the direction of the roof down. Referring to FIG. 2, the rafters 130 may be arranged in a curved rafter 110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a bot, a hawk, or the like to achieve a natural suspension curve. The rafter 130 may correspond to the installed rafter 110 and may be disposed thereon, or may be variously arranged according to the standard and shape of the roof. For example, referring to Figure 4, the three rafters 130 in the down direction of the roof may be coupled to extend the upper and lower, respectively, a plurality of combined rafters 130 in the width direction spaced apart. The means that the scavenger 130 is extended and coupled with reference to FIG. 5 may be coupled by side engagement as shown in FIG. 5 (A), or faced at upper and lower ends as shown in FIG. 5 (B). It can be combined by butt.

한편, 상기 덧서까래(130)의 상부면에는 덧서까래(130)의 표면을 마감하기 위한 덧개판(140)이 마련된다. 상기 덧개판(140)은 합판형태로서, 상기 덧서까래(130)의 상부면 위에서 교차하여 덮어 고정된다. 이는 지붕의 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써, 층이나 골이 생기지 않도록 평편하게 고정되며, 덧서까래(130)의 미세한 꺽임부분을 마감하여 자연스러운 현수곡선을 이루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paddle board 130 is provided with a pad plate 140 for closing the surface of the paddle board 130. The padding plate 140 is in the form of plywood, is covered and fixed to cros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ddle pad 130. This is to form a surface of the roof, it is fixed flat so as not to form a layer or a valley, and finish the fine bent portion of the rafters 130 to achieve a natural suspension curve.

또한, 상기 덧개판(140)의 상부면 위로 단열, 방음, 방수 등을 위한 단열재(150) 또는 방수재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heat insulator 150 or a waterproof material for the insulation, sound insulation, waterproofing, or both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140.

상기 단열재(150)는 통상의 무기질 단열재(150)인 유리질, 광물질, 금속질단열재 또는 유기질 단열재인 발포폴리스티렌, 발포폴리우레탄, 플라스틱단열재 등의 단열재(15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는 달궈진 기와에서 전달되는 복사열을 차단하고 열을 반사할 수 있는 열반사단열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열재(150)위로 방수포로 감싸며 빗물 등의 침투로부터 방지할 수 있다.The heat insulator 150 may selectively use any one or more of heat insulators 150, such as glass, minerals, metal insulators or organic insulators such as expanded polystyrene, foamed polyurethane, and plastic insulators. . Korean-style roof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e to use a heat reflection insulating material that can block the radiant heat transmitted from the heated tile and reflect the heat, wrapped with a tarpaulin o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50, such as rain water It can prevent from infiltration.

한편, 상기 단열재(150) 또는 방수재의 상부면에는 기와를 걸기 위한 기와걸이대(160)가 설치된다. 상기 기와걸이대(160)는 기와 잇기를 할 때 기와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거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기와걸이대(160)는 지붕의 횡방향 가로지르며 설치되고, 그 설치된 기와걸이대(160)는 지붕의 내림방향으로 이격하며 지붕의 규격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형태는 시공이나 제작이 용이하도록 사각형태의 각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태나 크기는 크게 제한하지 아니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or 150 or waterproof material is provided with a tile rack (160) for hanging the tile. The roof tile rack 160 is to prevent the fall of the roof tile when the tile is connected to be fixed by mounting. Roof tile rack 160 is installed to cross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roof, the installed tile rack 160 is spac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roof may be installed in plurality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roof.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hape of the rectangular square material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r production, the shape and size is not largely limited.

한편, 지붕의 최상단에는 용마루(60)를 받치기 위한 용마루받침대(170)가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top of the roof is provided with a ridge pedestal 170 for supporting the ridge 60.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용마루(60)는 지붕의 최상단부에 설치하게 되는데, 지붕의 최상단부에는 다수의 덧서까래(130)가 삼각 형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마루(60)를 설치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형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용마루(60)가 놓일 수 있는 평편한 면이 형성된 용마루받침대(170)를 지붕의 최상단부에 설치하여 상기 용마루(60)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6, the ridge 60 is installed on the top end of the roof, a plurality of rafters 130 is arranged in a triangular shape on the top end of the roof is suitable for installing the ridge 60 It does not form. Therefore, the ridge floor support 170 having a flat surface on which the ridge floor 60 is formed may be installed at the top end of the roof to stably install the ridge floor 6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100)에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연(111)과 장연(113)이 연장하여 연결되는 지붕곡 부분 위에 상기 덧서까래(130)가 배치되는데, 그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게 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2 in the Korean-style roof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ddle claws 130 are formed on the roof valley portion where the edge 111 and the long edge 113 are extended and connected. Arranged, with spaces between them.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는 상기 단연(111)과 장연(113)의 상부면에 개판(115)을 설치하고, 이 개판(115)과 상기 덧서까래(130)의 공간에서 구조적 안정과 단열, 방음, 방수, 공기의 단축을 위해 충진재(116)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Korean-type tile roof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top surface of the edge 111 and the long edge 113, the plate 115 and the paddle board 130 of It is preferable to use the filler 116 for structural stability and insulation, sound insulation, water resistance, and shortening of air in the space.

여기서 상기 충진재(116)는 진흙이나 생석회, 마사토 등을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에 제시된 비율에 따라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충진재(116)의 재료는 크게 제한하지 아니한다.
Here, the filler 116 is preferably used by mixing water according to the ratio of mud, quicklime, masato, etc. according to the standard specification for cultural property repair, the material of the filler 116 is not greatly limi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의 시공단계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이에 대해 후술하는 규격 및 사이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제한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step and the effect of the Korean roof t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tions and sizes to be described later are not limited only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통상의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인 기둥(10)과 상기 기둥(10)의 상단부에 결구(結構)되는 처마도리(20), 상기 처마도리(20)에 결구되는 다수의 도리(30), 상기 다수의 도리(30) 중 지붕 내림면의 길이방향 중간영역에서 횡방향 지지하며 배치되는 중도리(40)와 지붕의 좁아지는 상부에서 횡방향 지지하며 배치되는 종도리(50)에 있어서,First, a pillar 10 of a conventional Korean roof structure and the eaves 20 to be ended in the upper end of the column 10, a plurality of purlins 30 to be connected to the eaves 20, In the middle of the plurality of purlins (30) in the longitudinal middle area of the roof lower surface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40 and the longitudinal purse (50)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narrowing upper portion of the roof,

상기 종도리(50)의 상부면에서 상단부가 결구되고, 하단부는 상기 중도리(40)에 결구되며 경사지게 지붕의 삼각형태를 경사 이룬다. 이와 같은 형태로 폭방향 즉, 종도리(5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다수의 단연(111)이 설치된다.The upper end of the bellows 5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middle purlin 40 and inclined to form a triangular shape of the roof inclined. In this manner, a plurality of edges 111 are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llows 50.

다음, 상기 장연(113)은 상기 설치된 단연(111)의 하단부에서 상단부가 연장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처마도리(20)를 향하며 단연(111)과 대응되는 다수의 장연(113)이 설치된다. 이때,상기 장연(113)은 단연(111)보다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한다.Next, the long edge 113 is coupled to the upper end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installed edge 111, the lower e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ng edges 113 to the eaves (20) corresponding to the edge 111. At this time, the long edge 113 is to make a gentle slope than the short edge (111).

다음, 상기 단연(111)과 장연(113)의 상부면 위로 개판(115)이 덮어진다. 개판(115)의 두께나 크기는 크게 제안하지 아니하며, 두께 30mm 판재 및 11mm OSB합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크기는 1,220 x 2,440 크기인 가장 일반적인 합판을 사용하는 것이 재료를 구하기가 쉽고 가공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지붕이 만나거나 지붕의 최상단부 등의 부분은 형태에 맞게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개판(115)을 단연(111)과 장연(113)의 상부면에서 밀착되도록 설치한다.Next, the open plate 115 is covered over the upper surfaces of the short edge 111 and the long edge 113. The thickness or size of the open plate 115 is not largely suggested, and a thickness of 30 mm and 11 mm OSB plywood may be us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most common plywood having a size of 1,220 x 2,440 because the material is easy to obtain and easy to process. In addition, the part where the roof meets or the upper end of the roof may be processed to suit the shape. The open plate 115 is instal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111 and the long edge 113.

상기한 바탕 위에 다수의 켜가 설치되어 지붕곡을 이룬다.A plurality of layers are installed on the base to form a roof valley.

첫 번째 켜는 '덧서까래'와 그것을 받치기 위한 부재인 배게목'이다.(상기한 "헛집"에 해당한다) 긴 각재를 지붕 경사면을 3분하는 지점에 서까래와 직교 방향으로 고정한다. 장연과 단연의 길이 비율(2:1) 상, 장연의 중간을 분절하면 각 길이가 보다 균등해진 3단 분절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이때 가운데 '배게목'은 높이를 다른 것에 비해 크게 하여 둔각의 깊이를 완화한다. 덧서까래를 서까래와 같은 길이 방향으로 '배게목'에 올려 태워 고정한다. 상기 단연(111)과 장연(113)의 결합영역에 베개목(120)이 배치된다. 베개목(120)은 단면이 직사각형형태의 각재로써, 바닥폭은 100mm 내지 120m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편, 80mm 내지 150mm의 특정 값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높이는 그 위치에 따라 다르게 가공하여 사용된다. 또한, 베개목(120)은 단연(111)과 장연(113)이 연결될 때 형성된 지붕곡 부분과 대응하도록 바닥부를 가공하여 밀착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도리(40)와 마찬가지로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을 위해 바람직하다.The first turn is the 'Rockfish' and the cravings that are the members to support it. (This is the "house" above.) The long lumber is fixed at right angles to the rafters at the point where the roof slope is divided into three. In the length ratio between the long and short edges (2: 1), the middle segment of the long lead can be obtained to form a three-segment form in which each length becomes more even. At this time, the 'back pillow' increases the height of the other to reduce the depth of the obtuse angle. The rafters are fixed by placing them on the 'back pillow' in the same length as the rafters. Pillow neck 120 is disposed in the coupling region of the edge 111 and the long edge 113. The pillow neck 120 i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a rectangular shape, the bottom width is preferably used 100mm to 120mm, on the other hand, may be used to a specific value of 80mm to 150mm. In addition, the height is processed and u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addition, the pillow neck 120 is preferably disposed close to the processing by processing the bottom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roof portion formed when the leading edge 111 and the long edge 113 is connected, it is arrang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ike the purlin 40 It is desirable for structural stability.

두 번째 켜는 덧서까래 위를 덮는 '덧개판'이다. 특히 '덧개판'으로 덧서까래의 분절 부분을 알맞게 덮을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한다. 즉 분절 부분의 덧서까래와 덧개판은 삼각형 모양의 공백이 형성되도록 하여 분절의 수를 늘이는 것이다. '덧개판'은 합판을 가로로 깔되, 합판 면 주변부를 못 박아 고정한다. 이로서 덧서까래의 3단 분절은 덧개판에 이르러 5단 분절이 되었다. 덧서까래(130)는 바닥폭이 50mm 내지 70mm, 높이 80mm 내지 100mm의 각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지붕의 규격에 따라 바닥폭이 40mm 내지 80mm, 높이 90mm 내지 110mm의 특정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덧서까래(130)는 상기 단연(111) 및 장연(113) 위에서 대응하며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지붕의 규격 및 형태에 따라 더 추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단연(111)과 장연(113)의 결합부의 지붕곡으로 인하여 공간이 생기게 된다. 그 공간을 충진재로 메워 보충될 수 있으며, 충진재는 진흙이나 생석회, 마사토 등으로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에 제시된 비율에 따라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덧서까래(130)의 표면을 마감하는 덧개판(140)이 설치된다. 덧개판(140)은 상기 개판(115)과 동일한 형태의 합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층이나 골이 생기지 않도록 평편하게 고정하며, 덧서까래(130)의 미세한 꺽임 부분을 마감하도록 한다.The second turn is the 'paddle' covering the rafters. In particular, the 'paddle' should be installed to cover the segmented part of the rafters properly. In other words, the rafters and paddles of the segmental part increase the number of segments by forming a triangular gap. 'Paddle' is laid horizontally, nailed around the plywood surface and fixed. As a result, the three-segment of rafters became the five-segment when it reached the lamellar plate. In addition, the rake 130 is preferably a floor width of 50mm to 70mm, a height of 80mm to 100mm of the angle, and can also be used as a specific value of the floor width 40mm to 80mm, height 90mm to 110mm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roof. . In addition, the fork 13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and corresponding to the top 111 and the long edge 113, it may be further arrang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roof. At this time, the space due to the roof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edge 111 and the long edge 113 is created. The space can be replenished by filling with filler,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mixture of water according to the ratio set forth in the Standard Specification for Cultural Heritage Repair such as mud, quicklime and masato. The paddle plate 140 which finishes the surface of the paddle board 130 is installed. The paddle plate 140 may use the same type of plywood as the open plate 115, and is fixed flat so that no layer or valley occurs, and finishes the fine bent portion of the paddle pad 130.

세 번째 켜는 덧개판 면에 연암(평고대 위에 올라가는 기와 받침부재로 기와 설치의 기준이 된다) 골 간격으로 설치하는 바닥기와 틀이다. 같은 원리로 덧개판의 분절 부분을 건너질러 분절의 수를 증가시킨다. 덧개판의 5단 분절이 바닥기와 틀에 이르면 8단으로 분절된다. 덧개판(140)의 상부면에서 단열과 방수를 위한 단열재(150) 및 방수재가 배치된다. 단열재(150)는 두께 100mm의 발포폴리스티렌 단열재를 상기 덧개판(140)에 밀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크게 제한하지 아니한다. 또는, 달궈진 기와에서 전달되는 복사열을 차단하기 위해 열반사단열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설치된 단열재(150) 위로 빗물로부터 방수할 수 있도록 방수재를 덮어 고정한다. 상기 방수재의 상부 면에 기와걸이대(160)를 설치한다. 기와걸이대(160)는 단면이 45mm x 45mm의 사각형 각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형태나 다른 크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기와걸이대(160)은 지붕의 횡방향 길게 배치되며, 지붕의 내림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다수개가 설치된다.The third is the floor and the frame installed at the interval between the bones on the side of the paddle board (the base and base of the tile and the supporting member that is the base of the tile). In the same principle, increase the number of segments across the segment of the disc. When the five-segment of the disc plate reaches the base and the frame, it is divided into eight-segments. Insulating material 150 and the waterproofing material for the insulation and waterproofing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plate 140.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50 may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xpanded polystyrene heat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100 mm to the pad plate 140, and the thickness thereof is not largely limited. Or, it is preferable to use a heat reflection insulating material to block the radiant heat transferred from the heated tile. Next, to cover and fix the waterproofing material to be waterproof from the rain over the installed insulation (150). Roof tile rack 16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proofing material. Roof tile rack 160 is preferably a cross-section 45mm x 45mm rectangular box, it is not limited to this may be used in other forms or different sizes. The roof tile rack 160 i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roof,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wn surface of the roof is installed.

마지막 켜는 물고기 비늘처럼 포개어 설치하는 바닥기와(암기와)이다. 포개어지는 길이에 따라 다르겠지만, 표준으로 볼 수 있는 3장 포갬 시 '8.33분절/m'로 추산되며, 한옥지붕의 한쪽 종단면 상으로 보면 30에서 50 정도의 분절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각 켜마다 분절을 고르게 하고, 그 수를 늘이는 방법으로, 기와에 까지 이르게 되면 전통 한옥지붕의 현수곡선에 가까운 형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지붕의 최상단부에서 용마루(60)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도록 용마루받침대(170)가 마련된다. 용마루받침대(170)는 상기 종도리(50)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용마루(60)가 놓여질 수 있도록 평편한 형태로 마련된다.The last one is a floor tile (memory tile) that is laid over like fish scales.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nest, it is estimated to be '8.33 segment / m' in the three-frame foaming, which can be seen as a standard, and 30 to 50 segments are generated on on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hanok roof. In this way, each segment is evenly divided and its number is increased, and when it reaches the roof tile, it is possible to form a shape close to the suspension curve of the traditional Hanok roof. In addition, the ridge base 170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ridge 60 at the top end of the roof. The ridge base 170 is provided in a flat shape so that the ridge 60 may be placed in the same length direction as the bellows 50.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에 일반적으로 규격화하는 기와, 무시멘트 성형기와, 합성수지 일체형 성형기와, 금속기와 등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tiles generally standardized in the Korean tile roof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ementless molding machine, a synthetic resin integrated molding machine, and a metal group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한옥지붕 횡단의 앙곡 표현은, 선자서까래를 들어 올리는 긴 삼각형 받침부재인 (갈모)산방을 응용한 부재를 설치하여 해결하였다. 이 "산방형 부재"를 배게목 열의 양 끝에 설치하여, 그 부분의 덧서까래 높이를 들어올린다. "산방형 부재"의 길이는 '배게목'이 설치된 길이의 1/4(두 번 양분한 길이)이며 마구리의 높이는 설치 위치의 박공 상단까지로 종단면 상 위치별로 다르다.(종단의 욱은 곡선형과 박공 상부의 곡선형은 다르다) 여기에서 박공은 앙곡 표현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산방형 부재"로 형성된 앙곡의 변화는 박공 상단에서 끝난다. 박공은 한옥지붕 횡단 앙곡의 종결자 역할을 한다.
Angok expression of Hanok roof crossing was solved by installing a member that applied (galmo) ridge, which is a long triangular support member that lifts the rafters. These "scattered member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illow neck row, raising the height of the rafters of that part. The length of the "scattered member" is 1/4 (double bisected) of the length of the 'plum', and the height of the ridge varies from one position on the longitudinal section to the top of the gable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The gables here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expression of anggok. That is, the change in the angular formed by the "scattered member" ends at the top of the gable. The gable serves as the terminator of the Hanok roof crossing Anggok.

지붕에서 여름 태양의 복사열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겨울철 실내 온기가 유출되는 것을 막아 쾌적한 실내 열(熱)환경을 조성한다. 보토의 단열성능은 0.204w/mk℃인 반면, 스티로폼 0.037w/mk℃, ALC블록 0.092w/mk℃ 정도이다. 바꾸어 말하면, 스티로폼 두께 10cm와 같은 단열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ALC블록은 25cm, 보토(흙)는 55cm가 되어야 한다. 전통 한옥지붕에서는 20~30cm 두께의 보토와 적심 및 천정 상부의 구조공간에 의하여 단열성능을 확보하였다. 지붕이 두꺼울수록 단열 측면의 이점이 많겠지만, 하중의 증가로 이어져 구조적 불합리함을 초래한다.It prevents the radiant heat of the summer sun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roof and prevents the warmth of the winter in the winter, creating a pleasant indoor heat environment.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bot is 0.204w / mk ℃, while Styrofoam 0.037w / mk ℃ and ALC block 0.092w / mk ℃. In other words, the ALC block should be 25cm and the clay (55cm) should be 55cm in order to achieve insulation performance such as 10cm thick styrofoam. In the traditional Hanok roof, the insulation performance was secured by the 20 ~ 30cm thick clay, wetting and structural space on the ceiling. The thicker the roof, the more the benefits of the insulation side, but leading to an increase in load, resulting in structural irrationality.

본 발명에서는 지붕 단열재로 두께 100mm '비드법 단열판'을 사용하여, 지붕의 하중을 절감하면서 보다 우수한 단열성능을 추구하였다. 또한 단열판은 발수성능이 있어 빗물, 결로수가 단열재의 공극에 스며서 단열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100mm thick 'bead method insulation plate' as the roof insulation, while pursuing the load of the roof better insulation performance was pursued. In addition, the insulating plate has a water-repellent performance, it is effective to prevent rain water, condensation water from penetrating the air gap of the insulating material to lower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도리 위에 서까래를 얹어 한옥지붕의 바탕을 구성한다. 전통 한옥지붕에서 서까래 사이에서 도리와 서까래개판 사이에 작은 흙벽을 설치한 곳이 있다. 이곳을 "당골막이(벽)", 줄여서 "당골"이라 부른다. '당골' 흙의 건조 수축과 주변 나무 부재의 건조수축, 비틀림 변형에 의해 외풍(웃풍)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설치 장소가 높고 좁아 단열재를 설치가 어렵기 때문에, 전통 한옥에서 대표적으로 "열교(熱橋, heat bridge)"가 발생하는 부위이다. 특히, 수축변형에 의한 벌어짐은 서까래개판에 집중된다. 건조수축 후 탈락된 '당골'이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가라앉는 것이다.A rafter is placed on the torii to form the basis of the hanok roof. In the traditional Hanok roof, there is a small earthen wall between the torii and the rafters. This place is called "carnacle" (wall), or "carnel" for short. 'Dangerous' is often caused by dry shrinkage of the soil, dry shrinkage of the surrounding wood members, and torsional deformations, and because of the high and narrow installation place, it is difficult to install insulation materials. "Heat bridge". In particular, the gap due to shrinkage deformation is concentrated in the rafter opening. After the shrinkage of shrinkage, the 'dangerous bone' sinks down by gravity.

본 발명에서는 '당골'이 설치될 도리 상부의 개판을 여는 것으로 해결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was solved by opening the open plate of the top of the purlin to be installed 'dangerous'.

'당골'을 열린 개판 사이로, 개판보다 높게 설치하여 여분을 둠으로써 건조수축 후에도 '당골'과 개판의 틈이 벌어지는 것을 원초적으로 방지하였다. 또한 '당골'과 지붕의 단열재를 이어 붙임으로써 보다 확실한 열교차단 효과를 거둔다. 개판을 여는 것은 '당골'설치 작업의 효율을 개선한다. 당초 지붕 하부에서 발판을 놓고 올려다보며 도리와 개판 사이의 좁은 틈에 '당골'을 설치하였지만, 이제 지붕에 올라가 열린 개판 사이로 설치가 이루어져, 작업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게 되었다.By installing the 'dangerous' between open gutters, and leaving more than the gutter, the gap between the 'dangerous bone' and the gutter is prevented from opening even after dry shrinkage. In addition, by bonding the 'carbon' and the insulation of the roof, a more effective thermal crosslinking effect is obtained. Opening up the game improves the efficiency of the 'carousel' installation work. Originally, he looked up from the bottom of the roof and placed a 'galley' in the narrow gap between the purlin and the open ground, but now it was installed on the roof between the open ground to reduce the difficulty of the work.

이와 같이, 시공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열기가 전달되는 형태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일사(日射), 기와, 덧개판(140), 덧서까래(130), 베개목(120), 개판(115), 천장, 실내의 순서대로 복사, 전도, 대류에 의해 열이 전달된다. 여기서 기와와 덧개판(140)의 사이에 형성된 방수층 및 단열재(150)로 인하여 열의 복사와 전도로부터 1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덧서까래(130)와 베개목(120) 사이에서 빈공간을 메우는 충진재(116)로써 복사열을 2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orm in which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Korean-style roof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7, the first solar radiation, roof tile, paddle board 140, paddle pad 130, pillow neck 120, paddle board 115, ceiling, and room in order of radiation, conduction, and convection. Heat is transferred by Here, due to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heat insulator 150 formed between the roof tile and the pad plate 140, it can be primarily suppressed from the radiation and conduction of heat. In addition, the radiant heat may be secondarily suppressed as the filler 116 filling the empty space between the padlock 130 and the pillow neck 120.

또한, 덧개판(140) 및 개판(115)으로써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기온 연동구간을 방수처리를 통해 구조체 및 단열층을 보호하고, 가급적 바깥단열로 처리하여 결로될 수 있는 구간을 외부쪽으로 위치하도록 하며 실내기온과 연동 되도록 하여 알맞은 기온과 쾌적한 실내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heat transfer may be blocked by the paddle plate 140 and the plate plate 115. Therefore, the external air temperature interlocking section protects the structure and the insulation layer through waterproofing, and if possible, it can be confined to the outside by placing the section that can be condensed by external insulation and interlocking with the indoor air temperature to form a suitable temperature and pleasant interior. have.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는 구성을 단순화시키고, 보토 등을 사용하는 습식시공법이 아닌 건식시공으로 기반으로 시공이 용이하며, 경량화된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Hereinafter, as described above, the Korean roof ti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construction, and is easy to construct based on dry construction instead of wet construction using a bot, etc., and a lightweight Korean roof structure. Can be provided.

또한, 덧서까래(130)를 이용한 건식시공으로 한식형 기와지붕의 전통적인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Korean-style roof structure that can express the traditional design of the Korean roof tile roof by the dry construction using the clapper 130.

아울러, 재료비, 인건비 등 비용부담이 적고, 인력소모, 공사기간, 하자율 등을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less cost burden such as material costs, labor cost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n economical Korean roof tile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labor consumption, construction period, defect rat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는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진술한 실시예 외에도 서까래(110), 베개목(120), 덧서까래(130)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the Korean-style roof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just described for example an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form of the rafter 110, pillow neck 120, the rafters 130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changed in the form of course.

10 : 기둥 20 : 처마도리
30 : 다수의 들보 40 : 중도리
50 : 종도리 60 : 용마루
100 :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 110 : 서까래
111 : 단연 113 : 장연
115 : 개판 116 : 충진재
120 : 베개목 130 : 덧서까래
140 : 덧개판 150 : 단열재
160 : 기와걸이대 170 : 용마루받침대
10: pillar 20: eaves
30: multiple beams 40: midori
50: Jongdori 60: Dragon Ridge
100: Korean type roof structure 110: rafters
111: by far 113: by Jang Yeon
115: Opening 116: Filling material
120: pillow neck 130: rafters
140: pad 150: heat insulating material
160: tile racks 170: ridge base

Claims (6)

기와지붕을 형성하기 위해 마련된 처마도리, 다수의 도리, 중도리, 종도리, 서까래, 용마루를 포함하는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서까래는 지붕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단연과, 상기 단연의 길이방향 하단부에서 연장 결합되는 다수의 장연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연과 장연이 결합되는 영역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베개목; 및
상기 베개목을 상부에서 상기 단연 및 장연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덮으며 배치되어 자연스러운 현수곡선을 형성하는 다수의 덧서까래;를 포함하는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
In the Korean-style roof structure including a eaves, a plurality of purlins, mid-doris, bells, rafters, ridges provided to form a roof tile,
The rafter consists of a plurality of edges arranged along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oof, and a plurality of long edges extending from the longitudinal bottom of the edge;
A pillow neck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an area where the short and long edges are coupled; And
Korean roof tile roof structure comprising a; a plurality of rapeseed to form a natural suspension curve is arranged covering the pillow neck in the sam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short and long lead at the to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덧서까래의 상부면에는 지붕의 표면을 마감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덧개판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Korean roof ti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lack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paddle to close the surface of the roof.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덧개판의 상부면에는 지붕의 단열과 방수를 위한 단열재 또는 방수재 또는 이들 모두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
3. The method of claim 2,
Korean-style roof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further comprises a heat insulating material or waterproof material or both of the insulation and waterproofing of the roof.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 또는 방수재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기와를 걸기 위한 기와걸이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Korean-style roof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or waterproof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ile rack for hanging the ti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덧서까래의 최상단에는 상기 용마루를 받치기 위한 용마루받침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Korean-style roof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idge support for supporting the ridge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rafters.
제 1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연과 장연의 상부면에서 표면을 마감하기 위한 개판이 설치되고,
설치된 상기 개판과 상기 덧서까래 사이에 형성되는 빈공간에 개재되어, 공기의 단축 및 빈공간을 보강하기 위한 충진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식형 기와지붕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Opening plate is installed to finish the surf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ort and long lead,
It is interposed in the empty space formed between the installed plate and the paddle, the Korean roof ti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ller for reinforcing shortening and empty space of the air.
KR1020130013231A 2013-02-06 2013-02-06 Korean-style house tile roof structure KR1012572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231A KR101257288B1 (en) 2013-02-06 2013-02-06 Korean-style house tile roof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231A KR101257288B1 (en) 2013-02-06 2013-02-06 Korean-style house tile roof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7288B1 true KR101257288B1 (en) 2013-04-23

Family

ID=48443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231A KR101257288B1 (en) 2013-02-06 2013-02-06 Korean-style house tile roof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28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7456A (en) * 1996-02-13 1997-08-19 Sekisui Plastics Co Ltd Combination structure of roof and wall
JP2009013684A (en) 2007-07-05 2009-01-22 Tesuku:Kk External heat insulation structure of wooden building
KR20110135469A (en) * 2010-06-11 2011-12-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Root structure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KR101202617B1 (en) 2010-04-06 2012-11-19 최원철 Lightening roof structures of traditional Korean building by using engineered wo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7456A (en) * 1996-02-13 1997-08-19 Sekisui Plastics Co Ltd Combination structure of roof and wall
JP2009013684A (en) 2007-07-05 2009-01-22 Tesuku:Kk External heat insulation structure of wooden building
KR101202617B1 (en) 2010-04-06 2012-11-19 최원철 Lightening roof structures of traditional Korean building by using engineered wood
KR20110135469A (en) * 2010-06-11 2011-12-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Root structure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60245A (en) A kind of anastrophe energy-saving roof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205024919U (en) Roofing system
US20150368897A1 (en) Method of insulating a building
Sharma et al. Traditional and vernacular buildings are ecological sensitive, climate responsive designs-study of Himachal Pradesh
CN212773195U (en) Flat tile roof ridge node structure
KR101257288B1 (en) Korean-style house tile roof structure
Elias-Ozkan et al. Thermal performance of three different strawbale buildings at the Kerkenes Eco-center
KR101277060B1 (en) Han-o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an-ok
CN203040288U (en) High-efficiency solar greenhouse
KR101202617B1 (en) Lightening roof structures of traditional Korean building by using engineered wood
US2387487A (en) Construction of pitched roofs
EP0824623B1 (en) Building component
CN215406717U (en) Adobe brick wall body and heat preservation roof connected with wall body
Dobszay Building Constructions of stone cladded roof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CN218541142U (en) Archaize building's roofing structure
ITMI940825U1 (en) SELF-ASSEMBLING SYNTHETIC FLOORING FOR FLAT ROOFS AND INTERNAL AND / OR EXTERNAL SURFACES EVEN SUBJECT TO A CHEMICAL ATTACK
CN220434080U (en) Waterproof composite structure for wood structure slope roof
CN212984383U (en) Chinese concrete roof structure
Pericleanu et al.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authentic traditional housing model. Case study-the peasant house in the Danube Delta area
Berežanskytė et al. The traditional sacral wooden construction in Lithuania between XVIII and XIX century
JPH0538167Y2 (en)
Grecchi et al. Building Technical Upgrade
Lione et al. Performance adjustment: a key to the survival of existing buildings
JPH063880Y2 (en) Basic structure of building
JPH0538168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