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252B1 - 도장장치 - Google Patents

도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252B1
KR101257252B1 KR1020100094530A KR20100094530A KR101257252B1 KR 101257252 B1 KR101257252 B1 KR 101257252B1 KR 1020100094530 A KR1020100094530 A KR 1020100094530A KR 20100094530 A KR20100094530 A KR 20100094530A KR 101257252 B1 KR101257252 B1 KR 101257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drying chamber
inlet
hydraulic cylind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2953A (ko
Inventor
임찬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4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25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2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3/0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2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밀폐된 내부를 갖는 작업실 안에, 피도장물을 도료에 침지시켜 도포하는 침지탱크와, 도료가 도포된 피도장물을 수용하여 건조하는 건조챔버를 설치하고, 작업실 천정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으로 피도장물을 침지탱크와 건조챔버 사이를 이동시키며 도장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도장작업이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도료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과정이 연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환경 및 안전 유해요인이 없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도장장치{PA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장작업이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도료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과정이 연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환경 및 안전 유해요인이 없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재로 된 제품은 그 자체로 부식 등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제품 그대로 사용하기가 부적합하다.
따라서, 제품에 도료를 도장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다양한 색깔을 가진 도료를 도장하여 필요한 색상이 나타나도록 한 제품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 및 안전 유해요인이 없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장치는, 밀폐된 내부를 갖는 작업실; 상기 작업실의 천정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피도장물을 승강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작업실의 바닥에 윗면만이 노출되도록 매설되어 액상의 도료를 저장하며,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피도장물을 상기 도료에 침지시켜 도포하는 침지탱크; 및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으며,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침지탱크로부터 이동하여 하강하는 상기 도료가 도포된 피도장물을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건조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실 내부의 공기는 집진기로 이동하여 정화되고, 상기 피도장물은 상기 침지탱크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트레이 위에 안치되어 상기 도료에 침지되며, 상기 도료가 도포된 상기 피도장물은 상기 건조챔버의 입구와 출구를 경유해서 상기 수용공간을 관통하는 컨베이어 위에 올려져 이송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이동수단은 후크로 상기 피도장물을 걸고 상기 후크와 연결되는 제1와이어를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드럼으로 권치시켜 상기 피도장물을 승강시킬 수 있다.
삭제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도료를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제2와이어를 매개로 제1유압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승강함이 좋다.
상기 건조챔버에는 입구와 출구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입구와 출구에는 각각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는 제2유압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상기 입구와 출구를 개폐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유압실린더는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건조챔버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피도장물이 접근하면 신호를 생성해서 출력하는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건조챔버의 입구에 설치되는 센서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2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도료가 도포된 피도장물을 상기 건조챔버의 수용공간에 넣고 상기 컨베이어를 일정 시간 동안 정지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챔버에는 70∼80℃의 열풍이 공급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5∼10분 동안 상기 컨베이어를 정지시켜 상기 피도장물에 도포된 도료를 건조시킴이 좋다.
상기 작업실의 벽체는 내부를 투시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도장작업이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도료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과정이 연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환경 및 안전 유해요인이 없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장장치에서 피도장물에 도료를 도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장장치에서 도료가 도포된 피도장물을 건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장장치에서 피도장물에 도료를 도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도장장치에서 도료가 도포된 피도장물을 건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장장치는 밀폐된 내부를 갖는 작업실(10)을 구비한다.
작업실(10)의 벽체는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시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벽체의 일부에 투시창을 만들어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작업실(10) 밖에서 도장작업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작업을 원활하게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다.
작업실(10) 내에서 피도장물(1)의 공정간 이동은 이동수단(2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동수단(20)은 작업실(10)의 천정에 설치되는 레일(13)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피도장물(1)을 승강시킨다.
이동수단(20)은 후크(21)로 피도장물(1)을 걸고 그 후크(21)와 연결되는 제1와이어(23)를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하는 드럼(미도시)으로 권치시켜 피도장물(1)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20)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호이스트(hoist)일 수 있다.
작업실(10)의 바닥에는 액상의 도료를 저장하는 침지탱크(31)가 매설된다.
침지탱크(31)는 작업실(10)의 바닥에 윗면만이 노출되도록 매설되어 액상의 도료를 저장하며, 이동수단(20)에 의해 하강하는 피도장물(1)을 도료에 침지시켜 도포한다.
이때, 피도장물(1)은 침지탱크(31)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트레이(33) 위에 안치되어 도료에 침지된다.
이동수단(20)이 피도장물(1)을 하강시켜 트레이(33) 위에 올려놓으면, 트레이(33)가 침지탱크(31)의 바닥으로 하강함으로써 피도장물(1)을 도료에 침지시켜 도포한다.
트레이(33)는 도료를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33a)을 다수개 형성하여 트레이(33)와 접하는 피도장물(1)의 하면에도 도료가 원활히 도포되도록 한다.
이처럼 도료의 도포가 완료되면, 트레이(33)는 상승하여 피도장물(1)을 침지탱크(31)로부터 빼내는데, 트레이(33)의 승강은 제2와이어(35)를 매개로 제1유압실린더(37)와 연결됨으로써 제1유압실린더(37)의 신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유압실린더(37)는 침지탱크(31)와 나란하게 입설되어 제2와이어(35)를 끌어당기거나 놓음으로써 트레이(33)를 승강시킬 수 있다.
도면부호 39는 제2와이어(35)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롤러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침지탱크(31)에는 도료투입관이 연결되어 작업실(10) 밖에서 도료를 채울 수 있고, 도료투입관의 중간에 밸브를 장착해서 도료의 투입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도장물(1)에 대한 도료의 도포가 완료되면, 이동수단(20)은 도료가 도포된 피도장물(1)을 들어올린 후 레일(13)을 따라 이동한 다음 다시 도료가 도포된 피도장물(1)을 하강시켜 컨베이어(41)에 올려 놓는다.
컨베이어(41)는 체인컨베이어로 이루어짐이 좋다.
컨베이어(41)는 건조챔버(50)를 관통해서 설치되며, 도료가 도포된 피도장물(1)을 건조챔버(50)에 출입시킨다.
건조챔버(5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으며, 그 수용공간에 컨베이어(41)를 통해서 도료가 도포된 피도장물(1)이 들어오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열풍으로 건조시킨다.
열풍은 관(61)을 통해서 건조챔버(50)에 유입되며, 건조챔버(50)와 연결되는 관(61)의 단부에는 팬(미도시)을 장착하여 열풍을 건조챔버(50)에 불어넣어 줌이 좋다.
건조챔버(50)에는 입구(51)와 출구(52)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그 입구(51)와 출구(52)에는 도어(53,54)가 각각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도어(53)을 "전문(53)", 도어(54)를 "후문(54)"이라고 한다.
컨베이어(41)는 건조챔버(50)의 입구(51)와 출구(52)를 경유해서 수용공간을 관통하게 설치되어 도료가 도포된 피도장물(1)을 출입시킨다.
이때, 전문(53)과 후문(54)은 제2유압실린더(미도시)의 신축에 의해 작동하여 입구(51)와 출구(52)를 개폐하는데, 상하로 승강해서 또는 좌우로 이동해서 입구(51)와 출구(52)를 개폐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유압실린더는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PC)와 같은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수단은 건조챔버(50)의 입구(51)와 출구(52)에 각각 설치되어 피도장물(1)이 접근하면 신호를 생성해서 출력하는 센서(55,5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55,56)의 작동에 따라 제2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한다.
센서(55,56)는 리미트스위치가 될 수 있고,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등 어떤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제어수단은 건조챔버(50)의 입구(51)에 설치되는 센서(55)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면 제2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전문(53)을 이동시킴으로써 입구(51)를 개방하고, 그 개방된 입구(51)를 통해 도료가 도포된 피도장물이 건조챔버(50)의 수용공간에 들어오면 전문(53)으로 입구(51)를 닫은 후 컨베이어(41)를 일정 시간 동안 정지시켜 건조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어수단은 시간을 카운팅해 전문(53)을 닫거나 컨베이어(41)가 정지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수단은 센서(55)로부터 신호를 받는 즉시 시간을 카운트해 일정 시간이 되면 제2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전문(53)이 입구(51)를 닫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건조챔버(50)에는 70∼80℃의 열풍이 공급되며, 제어수단은 5∼10분 동안 컨베이어(41)를 정지시켜 피도장물(1)에 도포된 도료를 건조시킨다.
이처럼 건조가 완료되면, 제어수단은 컨베이어(41)를 다시 작동시켜 피도장물(1)을 이송시키는데, 건조챔버(50)의 출구(52)에 설치되는 센서(56)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면 제2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후문(54)을 이동시킴으로써 출구(52)를 개방해 건조된 피도장물(1)이 건조챔버(50)를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제어수단은 예컨대, 센서(56)로부터 신호를 받는 즉시 시간을 카운트해 일정 시간이 되면 제2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피도장물(1)이 건조챔버(50)를 빠져나간 후 후문(54)이 출구(52)를 닫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작업실(10)의 공기는 집진기(미도시)로 이동하여 정화되어 방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장작업이 작업자가 밖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도료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과정이 연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환경 및 안전 유해요인이 전혀 없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1:피도장물 10:작업실
13:레일 20:이동수단
21:후크 23:제1와이어
31:침지탱크 33:트레이
33a:구멍 35:제2와이어
37:제1유압실린더 39:가이드롤러
41:컨베이어 50:건조챔버
51:입구 52:출구
53,54:도어 55,56:센서
61:관

Claims (12)

  1. 밀폐된 내부를 갖는 작업실;
    상기 작업실의 천정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피도장물을 승강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작업실의 바닥에 윗면만이 노출되도록 매설되어 액상의 도료를 저장하며,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피도장물을 상기 도료에 침지시켜 도포하는 침지탱크; 및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으며,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침지탱크로부터 이동하여 하강하는 상기 도료가 도포된 피도장물을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건조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실 내부의 공기는 집진기로 이동하여 정화되고,
    상기 피도장물은 상기 침지탱크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트레이 위에 안치되어 상기 도료에 침지되며,
    상기 도료가 도포된 상기 피도장물은 상기 건조챔버의 입구와 출구를 경유해서 상기 수용공간을 관통하는 컨베이어 위에 올려져 이송되는, 도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후크로 상기 피도장물을 걸고 상기 후크와 연결되는 제1와이어를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드럼으로 권치시켜 상기 피도장물을 승강시키는, 도장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도료를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 더 형성되는, 도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제2와이어를 매개로 제1유압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승강하는, 도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챔버에는 입구와 상기 출구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입구와 출구에는 각각 도어가 설치되는, 도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제2유압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상기 입구와 출구를 개폐하는, 도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압실린더는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건조챔버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피도장물이 접근하면 신호를 생성해서 출력하는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도장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건조챔버의 입구에 설치되는 센서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2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도료가 도포된 피도장물을 상기 건조챔버의 수용공간에 넣고 상기 컨베이어를 일정 시간 동안 정지시키는, 도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챔버에는 70∼80℃의 열풍이 공급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5∼10분 동안 상기 컨베이어를 정지시켜 상기 피도장물에 도포된 도료를 건조시키는, 도장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실의 벽체는 내부를 투시가능하게 형성되는, 도장장치.
KR1020100094530A 2010-09-29 2010-09-29 도장장치 KR101257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530A KR101257252B1 (ko) 2010-09-29 2010-09-29 도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530A KR101257252B1 (ko) 2010-09-29 2010-09-29 도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953A KR20120032953A (ko) 2012-04-06
KR101257252B1 true KR101257252B1 (ko) 2013-04-23

Family

ID=4613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530A KR101257252B1 (ko) 2010-09-29 2010-09-29 도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2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1293A (zh) * 2015-03-26 2015-07-01 安徽安簧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复杂类锻件浸油、淋油、吹干一体化装置
KR101622279B1 (ko) * 2015-11-20 2016-05-18 주식회사 한진테크 침전식 코일 포장장비
KR101622276B1 (ko) * 2015-11-20 2016-05-18 주식회사 한진테크 침전식 코일 포장방법
KR102176127B1 (ko) 2020-03-13 2020-11-09 윤산비 도장부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781B1 (ko) * 2013-04-22 2014-08-0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정밀부품의 침지식 방청액 자동 도포장치
KR101527923B1 (ko) * 2013-05-20 2015-06-10 (주) 지스트 침지식 코팅기
CN104307690B (zh) * 2014-11-19 2016-07-06 浙江归创医疗器械有限公司 医疗导管表面涂层固化机
KR102429783B1 (ko) * 2020-07-22 2022-08-05 (유)인터테크 실시간 페인팅 작업 진행 정보 제공 지원 시스템
CN111957528A (zh) * 2020-08-13 2020-11-20 芜湖鑫沃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零部件生产加工用上漆装置
KR102524753B1 (ko) * 2021-05-26 2023-04-24 (주)명광 화장품 용기의 코팅 및 자동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2764A (ja) 2000-09-28 2002-04-09 Tachi S Co Ltd 簡易浸漬塗装機
JP2003239096A (ja) 2002-02-14 2003-08-27 Sekisui House Ltd 電着塗装体験装置
US20050031800A1 (en) 2001-09-29 2005-02-10 Nobuharu Hama Metal surface coating treatment device and surface coated metal manufacturing method
KR100920240B1 (ko) * 2009-02-12 2009-10-08 정규복 주조용 노즐의 디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2764A (ja) 2000-09-28 2002-04-09 Tachi S Co Ltd 簡易浸漬塗装機
US20050031800A1 (en) 2001-09-29 2005-02-10 Nobuharu Hama Metal surface coating treatment device and surface coated metal manufacturing method
JP2003239096A (ja) 2002-02-14 2003-08-27 Sekisui House Ltd 電着塗装体験装置
KR100920240B1 (ko) * 2009-02-12 2009-10-08 정규복 주조용 노즐의 디핑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1293A (zh) * 2015-03-26 2015-07-01 安徽安簧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复杂类锻件浸油、淋油、吹干一体化装置
KR101622279B1 (ko) * 2015-11-20 2016-05-18 주식회사 한진테크 침전식 코일 포장장비
KR101622276B1 (ko) * 2015-11-20 2016-05-18 주식회사 한진테크 침전식 코일 포장방법
KR102176127B1 (ko) 2020-03-13 2020-11-09 윤산비 도장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953A (ko) 201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252B1 (ko) 도장장치
CN105435993B (zh) 用于装甲车涂装的输送系统及输送方法
KR101097680B1 (ko) 방화문 자동 도장장치
CN207772215U (zh) 清洗轮胎模具的设备
CN105181567B (zh) 铝合金低倍腐蚀试验装置
KR20160047010A (ko) 좁은 벽면 및 모서리 외벽 도장장치
KR20160062415A (ko) 스프레이식 도장 설비
CN215365992U (zh) 一种水封式进出料的酸洗间
CN101306417A (zh) 一种用于镇流器的涂装工艺
CN111713275B (zh) 粮仓粮层处理一体化钻杆设备
CN219483162U (zh) 一种自动喷漆装置
AU2020313283A1 (en) Method and elevator arrangement
CN101879495B (zh) 涂塑花键轴无流挂自动浸涂底漆机构
CN101544333A (zh) 楼房户外输送机
CN218251041U (zh) 一种阀门生产用自动喷漆工装
JP6180922B2 (ja) 被覆物の除去方法
CN217732485U (zh) 一种防潮桥式起重机
US20060289247A1 (en) Elevator system
CN110714728A (zh) 一种电动遥控猫道上钻具移运的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80101362A (ko) 물류 창고의 물류 출하 장치 및 출하 방법
CN214160231U (zh) 一种吊顶喷涂线
JP2003329366A (ja) 塗装乾燥炉
WO2006088467A2 (en) Elevator system
CN211776792U (zh) 酸洗密闭间专用的联动机制的快速升降门
CN203750749U (zh) 自动喷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