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716B1 -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 - Google Patents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716B1
KR101256716B1 KR1020100086157A KR20100086157A KR101256716B1 KR 101256716 B1 KR101256716 B1 KR 101256716B1 KR 1020100086157 A KR1020100086157 A KR 1020100086157A KR 20100086157 A KR20100086157 A KR 20100086157A KR 101256716 B1 KR101256716 B1 KR 101256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ld
support main
eject
hold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3321A (ko
Inventor
강호석
Original Assignee
(주)우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리텍 filed Critical (주)우리텍
Priority to KR1020100086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716B1/ko
Publication of KR20120023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37Heating or coo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75Displays, monitors, TV-sets, computer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홀더블록(40)에 상부금형(60)을 부착한 상형(1)과, 하부홀더블록(80)에 하부금형(90)을 부착한 하형(2)으로 구분되는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에 있어서, 용융수지가 공급되는 상형(1)의 상부홀더블록(40)에 핫런너(45)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젝트블록(50)을 형성하되, 상형(1)의 일측에 형성한 실린더(57) 또는 구동모터(58)에 의하여 작동하는 슬라이더(55)를 상부홀더블록(40)으로 삽입하여, 상기 슬라이더(55)의 작동에 따라 이젝트블록(50)이 작동하도록 한 사출금형을 제공함으로써, 용융수지의 유입시 생성되는 게이트형상 및 이젝트핀(51)이 접하여 생성되는 이젝트형상이 서포트메인(S)의 동일한 일측면에 생성되므로, 서포트메인(S)에 요구되는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출성형 후 사상작업에 따른 노동력 손실을 절감하여 궁극적으로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용융수지의 공급수단으로 핫런너(hot-runner)를 적용함으로써 런너(runner)의 발생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INJECTION MOLD FOR THE SUPPORT MAIN}
본 발명은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판디스플레이장치에 소요되는 서포트메인(Support Main)의 사출금형에 있어, 용융수지의 공급수단과 제품의 취출수단을 사출금형의 상형에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사출성형 된 서포트메인의 동일한 일측면에 대하여 게이트형상 및 이젝트형상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제품의 만족도를 향상함과 아울러 사출성형 후 사상작업에 따른 노동력 손실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론 용융수지의 공급수단으로 핫런너(hot-runner)를 적용하여 런너(runner)의 발생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는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노트북, 모니터, 벽걸이형 TV, 휴대폰, 네비게이션 등 평판디스플레이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가 사용되는 전자기기의 폭발적인 보급과 함께 더욱 얇고 가벼운 기기에 대한 수요로 인하여, 상기의 평판디스플레이장치에 소요되는 각종 부품에 대한 연구개발 또한 촉진되고 있는바, 그 중 서포트메인(Support Main)에 관하여 하기에서 살펴본다.
통상적으로 평판디스플레이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정패널(liquid crystal panel)ㆍ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ㆍ서포트메인(Support Main)ㆍ커버버툼(cover bottom)ㆍ탑커버(top cover)로 구성되는데, 상기 액정패널 및 액정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서포트메인에 수납됨과 아울러 상기 서포트메인을 매개로 하여 전면의 탑커버 및 배면의 커버버툼과 일체화한다.
한편,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서포트메인(S)은 사각테 형상으로서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되는데, 상기 액정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과 도광판 등의 부품이 정확히 제자리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필요한 강도를 갖는 일반적인 조건을 만족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서포트메인(S)의 일측 전면에 대해서는 사출성형시 발생하는 게이트형상 및 이젝트형상이 남아 있어서는 안 되는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즉, 사출성형시 용융수지가 주입된 부분의 제품에서 발생하는 작은 돌기 형태의 게이트형상 및 제품의 취출을 위한 이젝트핀(eject pin)이 접하는 부분의 제품에서 발생하는 원형의 자국으로서 이젝트형상의 경우, 서포트메인(S)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은 허용되지만 다른 일측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종래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에 의하면 사출성형 된 서포트메인의 양측면에 게이트형상과 이젝트형상이 나누어져 형성됨에 따라, 일측의 게이트형상 또는 이젝트형상을 완전히 제거하는 사상작업을 반드시 필요로 하였는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갖는 종래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의 구조를 하기에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종래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은 크게 상형(100)과 하형(200)으로 구분되는데, 상형(100)은 상측으로부터 탑플레이트(110)ㆍ런러제거블록(120)ㆍ상부홀더블록(130)ㆍ상부금형(140)이 적층된 구조로서, 탑플레이트(110)는 스프루부시(111, sprue bush) 및 런너(runner: 용융수지가 유로 내에서 일체로 경화된 것)용 취출핀(112)이 형성되고, 런저제거블록(120)은 상기 취출핀(112)에 의하여 취출된 런너(R)를 제거하며, 상부홀더블록(130)은 상부금형(140)이 고정설치되는 한편, 상기 상부홀더블록(130) 및 상부금형(140)에는 용융수지가 공급되는 유로(131)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하형(200)은 하측으로부터 보텀플레이트(210)ㆍ스페이스블록(220)ㆍ하부홀더블록(230)ㆍ하부금형(240)이 적층된 구조로서, 보텀플레이트(210)에는 가압봉(215)이 관통하는 삽입공(211)이 형성되고, 스페이스블록(220)에는 이젝트핀(226)을 구비한 이젝트블록(225)이 내설되며, 하부홀더블록(230)은 하부금형(240)이 고정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홀더블록(230) 및 하부금형(240)에는 상기 이젝트핀(226)이 관통하는 통공(231)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금형(140)이 부착된 상부홀더블록(130)의 양측에는 경사핀(135)이 형성되고, 하부금형(240)이 부착된 하부홀더블록(230)의 양측에는 슬라이더코어(25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금형(140)ㆍ하부금형(240)ㆍ슬라이더코어(250)의 조합에 의하여 캐비티(cavity)가 형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형(100)과 하형(200)이 합형된 상태에서 상부금형(140)ㆍ하부금형(240)ㆍ슬라이더코어(250)에 의하여 형성되어진 캐비티(cavity)의 내부로 용융수지가 유입되어 서포트메인(S)이 성형되고, 이후 상형(100)과 하형(200)의 분리에 따라 상부금형(140)ㆍ하부금형(240)ㆍ슬라이더코어(250)가 해체되면 가압봉(215)이 이젝트블록(225)을 밀어올려 이젝트핀(226)이 서포트메인(S)을 하부금형(240)에서 취출한다.
한편, 상형(100)의 유로(131) 내에서 경화된 런너(R)는 탑플레이트(110)의 취출핀(112)에 결착된 상태에서 상부홀더블록(130)이 런너제거블록(120)에서 분리됨에 따라 유로(131)에서 취출되고, 곧바로 탑플레이트(110)와 런너제거블록(120)이 분리됨으로써 런러(R)가 취출핀(112)에서 탈락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의 구조에 의하면, 사출성형 된 서포트메인(S)의 일측면에는 런너(R) 제거시 발생하는 작은 돌기 형상의 게이트형상이 발생하고, 아울러 서포트메인(S)의 타측면에는 이젝트핀(226)의 선단이 접하는 자국으로 원형의 이젝트형상이 생성되므로, 결과적으로 서포트메인(S)에 요구되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고, 이를 만족하기 위하여 게이트형상 또는 이젝트형상을 완벽하게 제거하는 사상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노동력 손실에 따른 생산성 저하가 불가피하였다. 뿐만 아니라, 런러(R)의 발생에 따른 원료손실 및 런러(R)를 재사용하기 위한 후처리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포트메인의 일측 전면에 대하여 게이트형상 및 이젝트형상의 생성을 배제하여 품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하고, 아울러 사출성형 후 사상작업에 따른 노동력 손실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데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론 런너(runner)의 발생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는 데 부가적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의 구조는, 상부홀더블록에 상부금형을 부착한 상형과, 하부홀더블록에 하부금형을 부착한 하형을 구비하되, 상형에서부터 공급된 용융수지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마주하는 캐비티(cavity)로 유입되도록 한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용융수지가 공급되는 상형의 상부홀더블록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홀더블록의 공간부에는 이젝트핀을 구비한 이젝트블록을 상하 작동가능토록 형성하며, 상기 상부금형에는 상기 이젝트핀이 관통하는 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용융수지의 유입에 따라 생성되는 게이트형상 및 이젝트핀이 접하여 생성되는 이젝트형상이 서포트메인의 동일한 일측면에 생성되도록 한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상부홀더블록의 일측면에 가이드홀을 형성하고, 상기 이젝트블록의 일측면에는 경사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이젝트블록과 상부금형 사이에 리턴스프링을 형성하며, 상기 이젝트블록의 경사면과 접하는 다른 경사면을 일측 선단에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한 슬라이더를 형성하되, 상기 슬라이더를 작동케 하는 실린더 또는 구동모터를 상형의 일측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실린더 또는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른 슬라이더 및 이젝트블록의 작동에 의하여 제품이 취출되도록 한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에 부가적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홀더블록의 상측에 히팅블록을 형성하되 히팅블록에는 용융수지가 공급되는 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유로 내에서 용융수지가 경화되지 않도록 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홀더블록에는 상기 유로부터 용융수지를 공급받는 핫런너(hot-runner)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금형은 캐비티(cavity)로 용융수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핫런너의 선단이 요입되도록 한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용융수지의 공급수단과 제품의 취출수단을 사출금형의 상형에 복합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출성형 된 서포트메인의 동일한 일측면에 대하여 게이트형상 및 이젝트형상이 형성됨에 따라, 서포트메인에 요구되는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출성형 후 사상작업에 따른 노동력 손실을 절감하여 궁극적으로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용융수지의 공급수단으로 핫런너(hot-runner)를 적용함으로써 런너(runner)의 발생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는 부가적인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서포트메인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의 구조를 나타내는 작용상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의 구조를 나타내는 작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의 구조를 나타내는 작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의 구조에 관하여 살펴보되, 우선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사출금형은, 상부홀더블록(40)에 상부금형(60)을 부착한 상형(1)과, 하부홀더블록(80)에 하부금형(90)을 부착한 하형(2)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되, 상형(1)에서부터 공급된 용융수지가 상부금형(60)과 하부금형(90)의 조합에 의하여 생성된 캐비티(cavity)로 유입되어 서포트메인(S)을 사출성형한다.
상기 본 발명의 사출금형에 있어 상형(1)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상형(1)은 상측으로부터 탑플레이트(10)ㆍ히팅블록(30)ㆍ상부홀더블록(40)ㆍ상부금형(60)이 적층된 구조로서, 탑플레이트(10)는 스프루부시(11)를 구비하고, 상기 탑플레이트(10)의 하측과 상부홀더블록(40)의 상측 사이에 형성한 히팅블록(30)은 유로(31) 및 가열수단을 구비하되, 바람직하게는 내부공간을 갖는 스페이스블록(20)을 탑플레이트(10)의 하측에 형성하여 상기 스페이스블록(20)의 내부공간에 히팅블록(30)이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에 있어, 상기 히팅블록(30)은 스프루부시(11)로부터 용융수지가 공급되는 유로(31)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공급된 용융수지가 유로(31) 내에서 경화되지 않도록 하는 통상의 가열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가열수단은 외부에서 가열된 열매체유가 순환할 수 있도록 히팅블록(30)의 내부에 열매체유 순환통로(35)를 형성하거나, 또는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 않으나 전열히터를 히팅블록(30)에 내설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히팅블록(30)의 하측에 형성한 상부홀더블록(40)에는 상기 유로(31)부터 용융수지를 공급받는 공지의 핫런너(45, hot-runner)를 형성하고, 상부홀더블록(40)의 하측에 고정설치한 상부금형(60)에는 상기 핫런너(45)의 선단이 요입되도록 함으로써, 상형(1)과 하형(2)의 합형시 생성되는 캐비티(cavity)로 용융수지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홀더블록(40)에는 공간부(41)를 형성하여 이젝트핀(51)을 구비한 이젝트블록(50)을 상기 공간부(41) 내에서 상하 작동가능토록 형성하되, 상기 이젝트핀(51)이 상부금형(60)에 형성한 통공(62)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출성형된 서포트메인(S)을 상부금형(60)에서 취출할 수 있는바, 바람직하게는 상부홀더블록(40)의 일측면에 가이드홀(42)을 형성하고, 상기 이젝트블록(50)의 일측면에는 경사면(52)을 형성하며, 상기 이젝트블록(50)의 경사면(52)과 접하는 다른 경사면(56)을 일측 선단에 형성한 슬라이더(55)를 상기 가이드홀(42)에 회전하지 않도록 삽입하되, 상기 슬라이더(55)를 작동케 하는 실린더(57)를 상형(1)의 일측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실린더(57)에 의한 슬라이더(55)의 작동에 따라 이젝트블록(50) 및 이젝트핀(51)이 하강하여 상부금형(60)의 밀착된 서포트메인(S)이 상부금형(60)에서 취출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홀더블록(40)의 공간부(41)에 형성한 이젝트블록(50)과 상부홀더블록(40)의 하측에 고정설치한 상부금형(60) 사이에 리턴스프링(53)을 형성함으로써, 실린더(57)의 작동에 따른 슬라이더(55)의 복귀시 리턴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이젝트블록(50)이 원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슬라이더(5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58)를 이용하여 작동할 수도 있는바, 일측 선단에 경사면(56)을 형성한 슬라이더(55)의 타측단에 나사축(59)을 체결함과 아울러 상기 나사축(59)을 구동하는 구동모터(58)를 상형(1)의 일측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58)의 작동에 따른 슬라이더(55) 및 이젝트블록(50)의 작동에 의하여 이젝트핀(51)이 상부금형(60)에 밀착된 서포트메인(S)을 취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55)는 가이드홀(42)의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43"은 슬라이더(55)의 작동을 감안하여 가이드홀(42)에 형성한 부시(43)이다. 그리고, "70"은 상부금형(60)이 부착된 상부홀더블록(40)의 양측에 형성한 슬라이더코어(70)이며, "85"는 하부금형(90)이 부착된 하부홀더블록(80)의 양측에 형성한 경사핀(85)으로서, 상기 슬라이더코어(70)는 상기 경사핀(85)의 삽탈에 따라 수평으로 작동하여 상부금형(60) 및 하부금형(90)에 대하여 결합하거나 분리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의 도시에 있어 핫런너(45)ㆍ이젝트핀(51)ㆍ리턴스프링(53)의 경우 도면상 가상의 중심선의 기준으로 어느 일측에만 간략히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상기 중심선의 양측에 대하여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형(1)과 하형(2)이 합형된 상태에서 상부금형(60)ㆍ하부금형(90)ㆍ슬라이더코어(70)에 의하여 형성되어진 캐비티(cavity)의 내부로 용융수지가 유입되어 서포트메인(S)이 성형되는데, 이때 상기 용융수지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히팅블록(30) 및 핫런너(45)를 통하여 캐비티(cavity)로 유입됨에 따라 런너(runner)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후, 상형(1)과 하형(2)의 작동에 따라 상부금형(60) 및 하부금형(90)이 분리되면서 슬라이더코어(70)가 연동하면, 서포트메인(S)은 하부금형(90)에서 분리되어 상부금형(6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실린더(57) 또는 구동모터(58)에 의한 슬라이더(55)의 작동에 의하여 이젝트블록(50) 및 이젝트핀(51)이 하강함으로써, 상부금형(60)에 밀착된 서포트메인(S)이 이젝트핀(51)에 의하여 취출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57) 또는 구동모터(58)의 작동에 따라 슬라이더(55)가 복귀하면 리턴스프링(53)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젝트블록(50) 및 이젝트핀(51)이 원위치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의 구조에 의하면, 용융수지의 유입에 따라 생성되는 게이트형상 및 이젝트핀(51)이 접하여 생성되는 이젝트형상이 서포트메인(S)의 동일한 일측면에 생성되므로, 결과적으로 서포트메인(S)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게이트형상 또는 이젝트형상을 제거하는 사상작업을 간소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편으론 런너(runner)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원료손실 및 후처리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피할 수 있다.
1: 상형 2: 하형 10: 탑플레이트
11: 스프루부시 20: 스페이스블록 30: 히팅블록
31: 유로 35: 순환통로 40: 상부홀더블록
41: 공간부 42: 가이드홀 45: 핫런너
50: 이젝트블록 51: 이젝트핀 52: 경사면
53: 리턴스프링 55: 슬라이더 56: 경사면
57: 실린더 58: 구동모터 59: 나사축
60: 상부금형 62: 통공 70: 슬라이더코어
80: 하부홀더블록 85: 경사핀 90: 하부금형
S: 서포트메인

Claims (4)

  1. 삭제
  2. 상부홀더블록(40)에 상부금형(60)을 부착한 상형(1)과, 하부홀더블록(80)에 하부금형(90)을 부착한 하형(2)을 구비하되, 용융수지가 공급되는 상형(1)의 상부홀더블록(40)에 핫런너(45)를 형성한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더블록(40)의 상측에 히팅블록(30)을 형성하되, 히팅블록(30)에는 유입된 용융수지를 핫런너(45)로 공급하는 유로(31)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유로(31) 내에서 용융수지가 경화되지 않도록 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홀더블록(40)에는 공간부(41)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홀더블록(40)의 일측면에 가이드홀(42)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홀더블록(40)의 공간부(41)에는 이젝트핀(51)을 구비한 이젝트블록(50)을 상하 작동가능토록 형성하되, 상기 이젝트블록(50)의 일측면에는 경사면(52)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이젝트블록(50)과 상부금형(60) 사이에 리턴스프링(53)을 형성하며;
    상기 이젝트블록(50)의 경사면(52)과 접하는 다른 경사면(56)을 일측 선단에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홀(42)에 삽입한 슬라이더(55)를 형성하되, 상기 슬라이더(55)를 작동케 하는 실린더(57)를 상형(1)의 일측에 형성하는 한편, 상기 상부금형(60)에는 상기 이젝트핀(51)이 관통하는 통공(6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실린더(57)의 작동에 따른 슬라이더(55) 및 이젝트블록(50)의 작동에 의하여 서포트메인(S)이 취출되도록 하되, 용융수지의 유입에 따라 생성되는 게이트형상 및 이젝트핀(51)이 접하여 생성되는 이젝트형상이 서포트메인(S)의 동일한 일측면에 생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
  3. 상부홀더블록(40)에 상부금형(60)을 부착한 상형(1)과, 하부홀더블록(80)에 하부금형(90)을 부착한 하형(2)을 구비하되, 용융수지가 공급되는 상형(1)의 상부홀더블록(40)에 핫런너(45)를 형성한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더블록(40)의 상측에 히팅블록(30)을 형성하되, 히팅블록(30)에는 유입된 용융수지를 핫런너(45)로 공급하는 유로(31)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유로(31) 내에서 용융수지가 경화되지 않도록 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홀더블록(40)에는 공간부(41)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홀더블록(40)의 일측면에 가이드홀(42)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홀더블록(40)의 공간부(41)에는 이젝트핀(51)을 구비한 이젝트블록(50)을 상하 작동가능토록 형성하되, 상기 이젝트블록(50)의 일측면에는 경사면(52)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이젝트블록(50)과 상부금형(60) 사이에 리턴스프링(53)을 형성하며;
    상기 이젝트블록(50)의 경사면(52)과 접하는 다른 경사면(56)을 일측 선단에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홀(42)에 삽입한 슬라이더(55)를 형성하되, 상기 슬라이더(55)의 타측단에 나사축(59)을 체결함과 아울러 상기 나사축(59)을 구동하는 구동모터(58)를 상형(1)의 일측에 형성하는 한편, 상기 상부금형(60)에는 상기 이젝트핀(51)이 관통하는 통공(6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58)의 작동에 따른 슬라이더(55) 및 이젝트블록(50)의 작동에 의하여 서포트메인(S)이 취출되도록 하되, 용융수지의 유입에 따라 생성되는 게이트형상 및 이젝트핀(51)이 접하여 생성되는 이젝트형상이 서포트메인(S)의 동일한 일측면에 생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
  4. 삭제
KR1020100086157A 2010-09-02 2010-09-02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 KR101256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157A KR101256716B1 (ko) 2010-09-02 2010-09-02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157A KR101256716B1 (ko) 2010-09-02 2010-09-02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321A KR20120023321A (ko) 2012-03-13
KR101256716B1 true KR101256716B1 (ko) 2013-04-19

Family

ID=4613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157A KR101256716B1 (ko) 2010-09-02 2010-09-02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416B1 (ko) * 2018-02-06 2019-03-12 주식회사 센트랄 차량부품 인서트 사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021B1 (ko) * 2012-06-25 2019-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가스킷의 제조방법
KR200466034Y1 (ko) * 2012-09-04 2013-04-03 (주)우리텍 이젝터 핀을 은닉한 사출금형
CN108189344A (zh) * 2018-03-22 2018-06-22 珠海市通晶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注塑模具
CN108501319A (zh) * 2018-05-10 2018-09-07 苏州中米光电有限公司 一种手柄模具
JP2022030937A (ja) * 2020-08-07 2022-02-18 船井電機株式会社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208Y1 (ko) * 1987-03-24 1990-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출 금형의 제품 취출 장치
KR930003660Y1 (ko) * 1990-11-27 1993-06-21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사출제품의 웰드라인(weld line)개선용 게이트(Gate)
KR950017155A (ko) * 1993-12-17 1995-07-20 김주용 사출성형기의 성형품 취출장치
KR200227970Y1 (ko) * 2001-01-19 2001-06-15 엘지전자주식회사 사출금형의 제품취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208Y1 (ko) * 1987-03-24 1990-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출 금형의 제품 취출 장치
KR930003660Y1 (ko) * 1990-11-27 1993-06-21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사출제품의 웰드라인(weld line)개선용 게이트(Gate)
KR950017155A (ko) * 1993-12-17 1995-07-20 김주용 사출성형기의 성형품 취출장치
KR200227970Y1 (ko) * 2001-01-19 2001-06-15 엘지전자주식회사 사출금형의 제품취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416B1 (ko) * 2018-02-06 2019-03-12 주식회사 센트랄 차량부품 인서트 사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321A (ko)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716B1 (ko) 서포트메인용 사출금형
US7867430B2 (en) Injection mold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MX2007010537A (es) Molde para maquina de moldeo por inyeccion.
CN104870123A (zh) 金属合金注射成型突起
CN104903026A (zh) 金属合金注射成型溢流口
CN101934577A (zh) 制造厚壁塑料部件特别是光学部件的方法及设备
US8070479B2 (en) Injection mold device
CN1986194A (zh) 注射成形方法及其装置
CN206870278U (zh) 深腔厚壁塑料件微发泡注塑模具
JP4961437B2 (ja) 射出成形方法
CN102514160B (zh) 注塑模具斜顶机构及安装有该机构的注塑模具
CN207327468U (zh) 冰箱饰件挂针式注塑成型模具
CN105479672A (zh) 一种注塑机喷嘴
CN205044084U (zh) 笔记本电池外壳的精密模具
EP2570250A1 (en) Injection molding die device for producing cabinet of thi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cabinet of thin display device
KR20200031877A (ko) 실리콘 성형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카세트타입 사출 금형 장치
KR200433762Y1 (ko) 사출성형기용 다중 노즐장치
JP2013082116A (ja) 射出成形装置
KR100890905B1 (ko) 금형 장치
TW200924084A (en) Method of sealing and molding electronic component with resin and mold
CN211842949U (zh) 放大镜模具结构
KR101444087B1 (ko) 전자기기 케이스의 커버 내부재 사출 성형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커버 내부재 형성 방법
KR102493406B1 (ko) 금형
CN101168279A (zh) 模具进料结构及其制作壳体的方法
KR100855934B1 (ko) 사출기용 핫 런너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사이드 사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