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705B1 -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705B1
KR101256705B1 KR20090024447A KR20090024447A KR101256705B1 KR 101256705 B1 KR101256705 B1 KR 101256705B1 KR 20090024447 A KR20090024447 A KR 20090024447A KR 20090024447 A KR20090024447 A KR 20090024447A KR 101256705 B1 KR101256705 B1 KR 101256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holes
filtration membrane
filtration
membrane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24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028A (ko
Inventor
이광진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024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705B1/ko
Priority to CN201080013469.9A priority patent/CN102361682B/zh
Priority to PCT/KR2010/001773 priority patent/WO2010110580A2/ko
Priority to US13/258,964 priority patent/US20120097596A1/en
Publication of KR20100106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2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6Specific gas distributors or gas int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막 모듈에 대한 산기 세정을 실행함에 있어 소모되는 에너지 대비 최대의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기관의 수평 의존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하는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여과 장치는, 복수개의 여과막 모듈들; 상기 여과막 모듈들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산기관; 및 상기 여과막 모듈들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산기관과 이웃하는 제2 산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산기관에는 다수의 제1 산기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제1 산기홀들은 제1 기준 산기홀을 포함하고 - 여기서 상기 제1 기준 산기홀은 상기 다수의 제1 산기홀들 중에서에 상기 제2 산기관과 최단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산기홀임 -, 상기 제2 산기관에는 다수의 제2 산기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제2 산기홀들은 제2 기준 산기홀을 포함하며 - 여기서 상기 제2 기준 산기홀은 상기 다수의 제2 산기홀들 중에서 상기 제1 기준 산기홀과 최단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산기홀임-,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산기홀들 간의 거리는 하기의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식 1: 0.9*2*(H+d)*tan(θ/2) ≤ D ≤ 1.1*2*(H+d)*tan(θ/2)
여기서, D는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산기홀들 간의 거리(m)이고, H는 상기 여과막 모듈들의 높이(m)이고, d는 상기 제1 기준 산기홀과 상기 여과막 모듈들 간의 거리(m)이며, θ는 산기각임.
여과 장치, 산기관, 산기홀

Description

여과 장치{Apparatus for Filtering}
본 발명은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여과막 모듈에 대한 산기 세정을 실행함에 있어 소모되는 에너지 대비 최대의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기관의 수평 의존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하는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온에서의 가열이나 상변화를 이용하는 분리 방법에 비하여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방법은 많은 장점들이 있는데, 가장 큰 장점들 중 하나는 여과막의 세공 크기에 따라 원하는 수질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공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여과막을 이용하면 고온에서의 가열 등의 조작이 필요 없기 때문에, 미생물 등을 사용하는 분리 공정에 여과막이 사용될 경우 미생물이 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여과막 모듈의 하나로는, 처리하고자 하는 유체의 수조에 여과막 모듈을 직접 침지시키고 여과막 내부에 음압(negative pressure)을 가하여 유체만을 선택적으로 여과막 내부로 투과시킴으로써 불순물 또는 슬러지 등의 고형 성분을 분리하는 흡입식 여과막 모듈이 있다. 흡입식 여과막 모듈을 채택하여 여과장치를 제조하면 유체의 순환을 위한 설비가 필요 없어 시설비나 운전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단위시간에 얻을 수 있는 투과 유량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처리하여야 할 유체를 여과막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가압 여과시키는 가압식 여과막 모듈의 경우에는 단위시간에 얻을 수 있는 투과 유량이 흡입식 중공사막 모듈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유체 순환을 위한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여과막 모듈에 의한 수처리가 진행됨에 따라 오염 물질에 의한 여과막 오염 현상이 야기되어 여과막의 투과 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양한 형태의 여과막 오염 물질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막 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오염된 여과막을 세정하는 방법 역시 다양한 방식이 요구된다. 오염된 여과막의 세정은 그 세정 목적에 따라 유지 세정(maintenance cleaning)과 회복 세정(recovery cleaning)으로 분류될 수 있다.
회복 세정은 수 처리 탱크 내에서 장시간 수 처리를 진행함에 따라 막 오염이 누적되어 여과막 모듈의 막 투과 성능이 심각하게 저하된 경우에 비교적 장시간 행하여 지는 세정으로서 여과막의 투과 성능을 회복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반면, 유지 세정은 여과막 모듈에 의한 수 처리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수 처리를 중지한 상태에서 잠시 동안 행하여 지는 세정으로서 여과막의 투과 성능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이러한 유지 세정은 주로 물리적 세정에 의해 수행된다. 물리적 세정은 백워싱(backwashing)과 산기(aeration)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백워싱 방식은 수 처리를 잠시 중지한 상태에서 공기 또는 물을 여과막을 통해 역류시킴으로써 막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 방식이다. 반면, 산기 방식은, 산기관을 통해 공기를 막 아래에서 막을 향해 분출시켜 공기 방울이 솟아오르도록 함으로써 공기 방울 자체에 의해 여과막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수 처리 탱크에 담겨 있는 물의 상승 또는 순환을 야기시킴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한다.
산기 방식의 유지 세정의 경우, 공기를 분출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블로어(blower)가 이용되는데, 여과 작업이 수행되는 중에 산기 세정을 위해 이러한 블로어가 계속 가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에너지 소모가 요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소모 대비 산기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 즉 산기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산기 세정을 위해 공기를 분출하는 산기관은 그 공기 분출에 대한 반작용 등으로 인해 초기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곤 한다. 이와 같이 산기 세정 도중에 산기관이 수평 상태를 벗어나게 됨에 따라 산기관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가 일측으로 쏠리게 되고, 그 결과 여과막 전체에 대한 고른 세정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기관의 수평 상태를 철저하게 유지하여야 하지만, 산기관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로 인해 야기되는 여과 장치의 진동을 감안할 때 이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차선책으로, 산기관이 어느 정도 수평 상태를 벗어나더라도 산기관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쏠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즉 산기관의 수평 의존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관련 기술의 제한 및 단점들에 기인한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여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은 여과막 모듈에 대한 산기 세정을 실행함에 있어 소모되는 에너지 대비 최대의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산기관의 수평 의존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된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그러한 기술로부터 자명할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학습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은 물론이고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특정된 구조에 의해 실현되고 달성될 것이다.
위와 같은 이점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복수개의 여과막 모듈들; 상기 여과막 모듈들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산기관; 및 상기 여과막 모듈들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산기관과 이웃하는 제2 산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산기관에는 다수의 제1 산기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제1 산기홀들은 제1 기준 산기홀을 포함하고 - 여기서 상기 제1 기준 산기홀은 상기 다수의 제1 산기홀들 중에서에 상기 제2 산기관과 최단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산기 홀임 -, 상기 제2 산기관에는 다수의 제2 산기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제2 산기홀들은 제2 기준 산기홀을 포함하며 - 여기서 상기 제2 기준 산기홀은 상기 다수의 제2 산기홀들 중에서 상기 제1 기준 산기홀과 최단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산기홀임-,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산기홀들 간의 거리는 하기의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가 제공된다.
식 1: 0.9*2*(H+d)*tan(θ/2) ≤ D ≤ 1.1*2*(H+d)*tan(θ/2)
여기서, D는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산기홀들 간의 거리(m)이고, H는 상기 여과막 모듈들의 높이(m)이고, d는 상기 제1 기준 산기홀과 상기 여과막 모듈들 간의 거리(m)이며, θ는 산기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여과막 모듈; 및 상기 여과막 모듈의 아래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산기홀들이 형성된 산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산기홀의 직경은 5 내지 7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가 제공된다.
위와 같은 일반적 서술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본 발명을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특허청구범위의 발명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여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여과막의 유지 세정 또는 회복 세정 시에 여과막 부위만을 집중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세정 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세정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여과막의 유지 세정 또는 회복 세정 시에 여과막 부위만을 집중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여과막의 세정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드는 변경 및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여과막 모듈로서 중공사막 모듈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중공사막 모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평막 모듈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여과막 모듈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중공사막의 양 말단 모두로부터 투과수를 수거하기 위하여 2 개의 헤더를 사용하는 양단 집수 방식은 물론이고, 중공사막의 한쪽 말단으로부터만 투과수를 수거하기 위하여 1개의 헤더를 사용하는 단단 집수 방식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여과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과 장치(100)는 복수개의 여과막 모듈(110)들을 포함한다. 여과막 모듈(110)은 여과막으로서 중공사막 다발을 이용하는 중공사막 모듈이거나, 또는 여과막으로서 평막을 이용하는 평막 모듈일 수 있 다. 다만, 넓은 표면적으로 인해 차지하는 공간 대비 수처리 능력이 평막 모듈에 비해 우수한 중공사막 모듈이 더 유리하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여과막 모듈(110)은 처리하고자 하는 유체가 유입되는 처리조(미도시)에 여과막 모듈을 침지시키고 여과막 내부에 음압(negative pressure)을 가하여 유체만을 선택적으로 여과막 내부로 투과시킴으로써 유체에 섞여 있던 불순물 또는 슬러지의 고형 성분을 분리하는 침지형 여과막 모듈을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여과막 모듈(110)은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중공사막의 길이방향이 처리조의 바닥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이거나, 또는 중공사막의 길이방향이 처리조의 바닥면에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는 수평형 중공사막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여과막 모듈(110)은 여러개의 모듈들이 프레임(미도시)에 결합된 형태로 주로 이용된다. 복수개의 여과막 모듈(110)들을 통해 얻어진 여과수(permeate water)는 공통의 배관(130)을 통해 여과수 저장 탱크(미도시)로 보내진다.
한편, 고형 성분을 비롯한 막 오염 물질이 존재하는 하/폐수를 여과막 모듈(110)을 이용하여 처리할 경우, 막 오염 물질에 의한 여과막 표면의 오염으로 인해 수 처리가 진행됨에 따라 여과막의 투과 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여과막 모듈(110)에 의한 수처리가 진행되는 동안 여과막의 투과 성능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산기 방식에 의한 유지 세정(maintenance cleaning)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막 표면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산기(aeration)를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과장치(100)는 여과막 모듈(110)들 아래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산기관(aeration tube)(120)들을 더 포함한다. 산기관(120)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복수개의 산기관(120)들은 공통의 배관(140)을 통해 에어 공급부(미도시), 예를 들어 블러어(blower)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다.
산기관(120)에는 다수개의 산기홀(aeration hole)(12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산기관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다수개의 산기홀(121)들을 통해 여과막 모듈(110)들을 향해 위로 분출된다.
도 2 및 도 3은 산기관(120)에 산기홀(121)들이 형성되는 다양한 태양을 예시한다.
도 2에서 예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산기관(120)은 산기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산기홀(121)들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산기관(120)은 산기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된 다수의 산기홀 쌍(122)들을 포함하고, 상기 산기홀 쌍(122)들 각각은 산기관(120)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2개의 산기홀들(122a, 122b)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산기관(120)은 하나의 산기관으로부터 더욱 많은 에어 량을 여과막 모듈(110)들을 향해 분출할 수 있어 여과막의 오염 방지를 위한 충분한 난류(turbulant flow)를 형성시키는데 더욱 유리하다.
본 발명의 여과 장치(100)의 산기관(120)들은, 상기 제1 실시예에 의한 산기관(120)들만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제2 실시예에 의한 산기관(120)들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들이 교대로 배열된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과 작업이 수행되는 중에 산기관(120)들을 통해 에어를 계속 분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에너지 소모가 요구되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 대비 산기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본 발명자가 연구를 거듭한 결과, 산기 효율은 산기관(120)들 사이의 간격과 깊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산기관(120)들 사이의 간격이 지나치게 큰 여과 장치를 예시하고, 도 5는 산기관(120)들 사이의 간격이 지나치게 작은 여과 장치를 예시하며, 도 6은 산기관(120)들이 최적의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본 발명의 여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산기관(120)에는 산기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산기홀 쌍(122)들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산기홀(122a, 122b)을 통해 분출된 공기는 처리되어야 할 유체 내에 버블들을 형성하고 이 버블들은 일정 각도(이하, '산기각'으로 칭함)를 이루면서 여과막 모듈(110)들 측으로 상승하면서 오염물질들을 여과막 표면으로부터 분리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기관(120)들 사이의 간격이 지나치게 클 경우, 더욱 정확하게는 서로 이웃하는 산기관(120)들의 산기홀들(122a, 122b) 사이의 거 리가 지나치게 클 경우, 산기관(120)의 개수가 줄어들게 되어 산기 에너지 면에서는 다소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산기관(120)들에 의해 각각 만들어져 여과막 모듈(110)들 측으로 각각 상승하는 버블들이 여과막 모듈(110)들의 최상부에 도달할 때가지 서로 만나지 못하게 되고, 그 결과, 상승하는 버블과 접촉하지 못하는 여과막이 존재하게 된다. 이는 여과 장치가 여과막 오염에 취약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수처리 진행에 따른 투과 유량의 급격한 감소를 야기한다.
반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기관(120)들 사이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을 경우, 더욱 정확하게는 서로 이웃하는 산기관(120)들의 산기홀들(122a, 122b) 사이의 거리가 지나치게 작을 경우, 각 산기관(120)들에 의해 각각 만들어져 여과막 모듈(110)들 측으로 각각 상승하는 버블들이 여과막 모듈(110)들의 최상부에 도달하기도 전에 오버랩된다. 따라서, 모든 여과막이 산기관(120)들로부터 상승하는 버블과 접촉할 수 있어 여과막의 오염 방지 측면에서는 유리하다. 그러나, 상승하는 버블들이 여과막 모듈(110)들의 최상부에 도달하기 전에 오버랩되는 공간은 필요 이상의 많은 버블들이 통과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그 만큼의 에너지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기홀들(122a, 122b)로부터 일정 산기각(θ)을 이루며 상승하는 버블들이 여과막 모듈(110)들의 최상부에 도달할 때 비로소 서로 만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산기 효율의 측면에서 가장 유리하다. 따라서, 허용 오차를 10%로 설정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이웃하는 산기관(120)들의 산기홀들(122a, 122b) 사이의 거리가 다음과 같이 조절된다.
여과막 모듈(110)들의 아래에 위치하는 산기관(120)들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산기관(120)들을 각각 제1 및 제2 산기관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산기관(120)에는 다수의 제1 산기홀들(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제1 산기홀들(122)은 제1 기준 산기홀(h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준 산기홀(h1)은 상기 다수의 제1 산기홀들(122) 중에서 상기 제2 산기관(120)과 최단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산기홀을 지칭한다. 상기 제2 산기관(120)에도 다수의 제2 산기홀들(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제2 산기홀들(122)은 제2 기준 산기홀(h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기준 산기홀(h2)은 상기 다수의 제2 산기홀들(122) 중에서 상기 제1 기준 산기홀(h1)과 최단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산기홀을 지칭한다.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산기홀들(h1, h2) 간의 거리는 하기의 식 1을 만족하도록 조절된다.
식 1: 0.9*2*(H+d)*tan(θ/2) ≤ D ≤ 1.1*2*(H+d)*tan(θ/2)
여기서, D는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산기홀들(h1, h2) 간의 거리(m)이고, H는 상기 여과막 모듈(110)들의 높이(m)이고, d는 상기 제1 기준 산기홀(h1)과 상기 여과막 모듈(110)들 간의 거리(m)이며, θ는 산기각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과막 모듈(110)들의 높이(H)가 1.8 m이고, 제1 기준 산기홀(h1)과 여과막 모듈(110) 사이의 거리(d)가 0.1 m이고, 산기각(θ)이 2.9°일 때, 제1 및 제2 기준 산기홀들(h1, h2) 간의 거리(D)는 0.096 m이다.
산기관(12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산기홀(122)들 간의 간격은 상 기 제1 및 제2 기준 산기홀들(h1, h2) 간의 거리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산기관(12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산기홀(122)들로부터 발생하는 버블들 각각은 여과막 모듈(110)의 최상부에 도달하기 전에 서로 오버랩되기 때문에 여과막의 오염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소비 에너지 측면에서, 하나의 산기관(120)에 산기홀(122)의 개수를 증가시키더라도 그에 따른 소비 에너지의 증가는 미미하다. 따라서, 산기관(12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산기홀(122)들 간의 간격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산기홀들(h1, h2) 간의 거리보다 같거나 작더라도 소비 에너지의 유의미한 증가를 야기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는 산기 과정에서 소모되는 에너지 양이 산기홀(121, 122)의 직경의 크기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다음의 실험을 통하여 알게 되었다.
먼저, 산기홀의 직경의 크기가 각각 8mm, 5mm, 및 3mm인 3 종류의 산기관들을 제작하였다. 산기관 내에서 서로 이웃하는 산기홀들 간의 간격은 100mm로서 동일하였다. 모든 다른 조건을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산기홀로부터 분출되는 에어 유량(Air Flux)(L/min)의 증가에 따른 소요 에너지(인버터 주파수: Inverter Frequency)(Hz)의 변화를 3 종류의 산기관 각각에 대하여 측정한 결과, 도 7의 그래프를 얻었다.
도 7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산기홀로부터 동일한 에어 유량, 예를 들어 400L/min의 에어를 분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에너지 양은 산기홀의 직경 크기가 3mm인 경우에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고, 직경이 8mm인 경우에 가장 낮음을 알 수 있다. 즉, 위 실험 결과로부터, 산기홀의 직경이 5mm 이상인 여과장 치가 에너지 소모량 관점에서 유리함을 알 수 있다.
반면, 산기홀의 직경이 지나치게 클 경우 산기관의 수평 의존도가 커지게 되어 여과막 전체에 대한 균일한 세정을 담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산기를 위해 공기를 분출하는 산기관(120)은 그 공기 분출에 대한 반작용 등으로 인해 초기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곤 한다. 산기 도중에 산기관(120)이 수평 상태를 벗어나게 되면 산기관(120)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가 일측으로 쏠리게 되고, 그 결과 여과막 전체에 대한 고른 세정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산기관(120)이 수평 상태를 벗어날 때 산기관(120)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쏠림 현상 정도, 즉 산기관(120)의 수평 의존도가 산기홀(121, 122)의 직경 크기와 깊은 관련이 있음이 다음의 실험을 통하여 밝혀졌다.
먼저, 산기홀의 직경의 크기가 각각 8mm 및 5mm인 2 종류의 산기관들을 제작하였다. 산기관 내에서 서로 이웃하는 산기홀들 간의 간격은 100mm로서 동일하였다. 모든 다른 조건을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처리조 바닥면과 약 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산기관들을 기울인 상태에서 400 L/min의 에어 유량으로 에어를 분출하게 한 후 수면을 촬영한 결과, 도 8 및 도 9의 사진을 얻었다.
도 8 및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8mm 직경의 산기홀들을 갖는 산기관들이 처리조 바닥면과 5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에어를 분출할 경우 분출되는 공기가 일측으로 심각하게 쏠림에 반해, 5mm 직경의 산기홀들을 갖는 산기관들이 처 리조 바닥면과 5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동일한 양의 에어를 분출할 경우 분출되는 공기의 쏠림 현상이 미미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산기홀(121, 122)을 통해 동일 에어 유량을 분출하는데 있어 소모되는 에너지 양을 적게하면서도 산기관(120)의 수평 의존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산기홀(121, 122)의 바람직한 직경은 5 내지 7 mm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여과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산기관에 산기홀들이 형성되는 다양한 태양을 예시하고,
도 4는 산기관들 사이의 간격이 지나치게 큰 경우를 예시하고,
도 5는 산기관들 사이의 간격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를 예시하고,
도 6은 산기관들이 최적의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본 발명의 여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산기홀로부터 분출되는 에어 유량(Air Flux)(L/min)의 증가에 따른 소요 에너지(인버터 주파수: Inverter Frequency)(Hz)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8은 8mm 직경의 산기홀들을 갖는 산기관들을 처리조 바닥면과 약 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인 상태에서 400 L/min의 에어 유량으로 에어를 분출하게 한 후 수면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9는 5mm 직경의 산기홀들을 갖는 산기관들을 처리조 바닥면과 약 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인 상태에서 400 L/min의 에어 유량으로 에어를 분출하게 한 후 수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100 : 여과 장치 110 : 여과막 모듈
120 : 산기관 121, 121a, 121b, 122 : 산기홀
130 : 여과수 배관 140 : 에어(air) 배관
h1, h2 : 제1 및 제2 기준 산기홀

Claims (10)

  1. 복수개의 여과막 모듈들;
    상기 여과막 모듈들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산기관; 및
    상기 여과막 모듈들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산기관과 이웃하는 제2 산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산기관에는 다수의 제1 산기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제1 산기홀들은 제1 기준 산기홀을 포함하고 - 여기서 상기 제1 기준 산기홀은 상기 다수의 제1 산기홀들 중에서 상기 제2 산기관과 최단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산기홀임 -,
    상기 제2 산기관에는 다수의 제2 산기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제2 산기홀들은 제2 기준 산기홀을 포함하며 - 여기서 상기 제2 기준 산기홀은 상기 다수의 제2 산기홀들 중에서 상기 제1 기준 산기홀과 최단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산기홀임-,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산기홀들 간의 거리는 하기의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식 1: 0.9*2*(H+d)*tan(θ/2) ≤ D ≤ 1.1*2*(H+d)*tan(θ/2)
    여기서, D는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산기홀들 간의 거리(m)이고, H는 상기 여과막 모듈들의 높이(m)이고, d는 상기 제1 기준 산기홀과 상기 여과막 모듈들 간의 거리(m)이며, θ는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산기홀들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버블들이 상기 여과막 모듈들 측으로 상승하면서 각각 이루는 각도인 산기각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막 모듈들은 중공사막 모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 모듈들은 중공사막의 길이방향이 처리조의 바닥면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 모듈들은 중공사막의 길이방향이 처리조의 바닥면에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는 수평형 중공사막 모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막 모듈들은 평막 모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산기홀들은 상기 제1 및 제2 산기관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기홀들은 다수의 제1 산기홀 쌍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산기홀 쌍들 각각은 상기 제1 산기관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2개의 제1 산기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산기홀들은 다수의 제2 산기홀 쌍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산기홀 쌍들 각각은 상기 제2 산기관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2개의 제2 산기홀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기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제1 산기홀들 간의 간격 및 상기 제2 산기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제2 산기홀들 간의 간격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산기홀들 간의 거리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산기홀들의 직경은 5 내지 7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KR20090024447A 2009-03-23 2009-03-23 여과 장치 KR101256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24447A KR101256705B1 (ko) 2009-03-23 2009-03-23 여과 장치
CN201080013469.9A CN102361682B (zh) 2009-03-23 2010-03-23 过滤系统
PCT/KR2010/001773 WO2010110580A2 (ko) 2009-03-23 2010-03-23 여과 장치
US13/258,964 US20120097596A1 (en) 2009-03-23 2010-03-23 Filte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24447A KR101256705B1 (ko) 2009-03-23 2009-03-23 여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028A KR20100106028A (ko) 2010-10-01
KR101256705B1 true KR101256705B1 (ko) 2013-05-02

Family

ID=4278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24447A KR101256705B1 (ko) 2009-03-23 2009-03-23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097596A1 (ko)
KR (1) KR101256705B1 (ko)
CN (1) CN102361682B (ko)
WO (1) WO201011058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1948A1 (ko) * 2014-01-27 2015-07-3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여과장치 및 그것을 위한 산기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415A (ko) * 2011-09-30 2013-04-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산기부 및 그것을 포함한 여과장치
CN107902754A (zh) * 2017-12-25 2018-04-13 湖州富优得膜分离科技有限公司 膜片曝气mbr装置
CN110066007B (zh) * 2019-04-30 2022-02-01 广州细润环保科技有限公司 过滤单元、膜堆反应器、柱式反应器及其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955A (ja) 1996-07-23 1998-02-10 Hitachi Zosen Corp 膜分離装置
JPH11244674A (ja) 1998-03-06 1999-09-14 Kurita Water Ind Ltd 浸漬型膜分離装置
KR100624154B1 (ko) * 2004-10-21 2006-09-19 주식회사 코오롱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1509A3 (en) * 1998-08-12 2008-06-11 Mitsubishi Rayon Co. Ltd. A detergent for separating membrane
US6706189B2 (en) * 1998-10-09 2004-03-16 Zenon Environmental Inc. Cyclic aeration system for submerged membrane modules
KR100544383B1 (ko) * 2002-12-14 2006-01-23 박헌휘 산기관 일체형 중공사분리막 모듈
KR100569681B1 (ko) * 2003-11-17 2006-04-10 주식회사 코오롱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
KR100666669B1 (ko) * 2006-02-10 2007-01-09 (주)필로스 분리막모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침지형 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955A (ja) 1996-07-23 1998-02-10 Hitachi Zosen Corp 膜分離装置
JPH11244674A (ja) 1998-03-06 1999-09-14 Kurita Water Ind Ltd 浸漬型膜分離装置
KR100624154B1 (ko) * 2004-10-21 2006-09-19 주식회사 코오롱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1948A1 (ko) * 2014-01-27 2015-07-3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여과장치 및 그것을 위한 산기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0580A2 (ko) 2010-09-30
CN102361682A (zh) 2012-02-22
CN102361682B (zh) 2015-01-21
KR20100106028A (ko) 2010-10-01
WO2010110580A3 (ko) 2010-12-09
US20120097596A1 (en)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0273B2 (ja) ろ過装置
WO2001000307A2 (en) Self cleaning filter
JP2008513187A5 (ko)
WO2014192432A1 (ja) 濾過モジュール及び濾過装置
KR101256705B1 (ko) 여과 장치
JP2015071167A (ja) ろ過装置及びそのための中空糸膜モジュール
KR20120111207A (ko)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
KR20150112845A (ko) 여과장치
JP5175695B2 (ja) 膜分離装置
JP5837985B2 (ja) ろ過装置
WO2014192433A1 (ja) 濾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浸漬式濾過方法
KR101578941B1 (ko) 중공사막 모듈과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및 그 여과장치의 제조방법
KR101049242B1 (ko) 수처리용 여과기 및 그 산기관
KR20090104499A (ko)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US20110024345A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puller used therefor
EP1688174A1 (en) Membrane filtration tank and process for filtering a liquid
KR20100092227A (ko)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포함한 여과 시스템
KR101685356B1 (ko)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시스템
KR20170079917A (ko) 여과장치 및 그것을 위한 산기부
KR100509557B1 (ko) 중공사막 모듈
KR101764062B1 (ko) 침지식 분리막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KR20060021552A (ko) 중공사막 모듈과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KR101417292B1 (ko) 산기관 및 초음파 발생장치가 일체형으로 부착된 막모듈
KR101777554B1 (ko) 여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중공사막 모듈
KR20000040752A (ko) 중공사를 이용한 수처리용 분리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