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846B1 -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846B1
KR101254846B1 KR1020090120139A KR20090120139A KR101254846B1 KR 101254846 B1 KR101254846 B1 KR 101254846B1 KR 1020090120139 A KR1020090120139 A KR 1020090120139A KR 20090120139 A KR20090120139 A KR 20090120139A KR 101254846 B1 KR101254846 B1 KR 101254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power generation
load
powe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3184A (ko
Inventor
최지현
박재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846B1/ko
Priority to JP2010267941A priority patent/JP5243516B2/ja
Publication of KR20110063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하는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전장치에서 생성된 DC 전력을 전력변환장치에서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로 전송하고 상기 부하에서의 전력 사용량을 계량하는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변환장치 및 부하 간에 연결된 제1 전력선에서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제1 전류측정부; 상기 부하 및 전력량계 간에 연결된 제2 전력선에서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제2 전류측정부; 상기 제1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량을 이용하여 상기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을 계산하는 발전량 계산부; 상기 제2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량을 이용하여 상기 부하에서의 전력 사용량에 따른 부하량을 계산하는 부하량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을 각각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발전 시스템, 발전량, 부하량, 전류측정, 전류량

Description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GENERATION POWER AND LOAD POWER FOR 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력을 발전하는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하는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 시스템은 전력을 발전시키는 시스템으로서, 발전기의 이용뿐만 아니라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발전시키는 시스템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여 고객에게 제공하고 고객은 이러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면서 남는 에너지를 저장해 두거나 전력을 운용하면서 거래할 수 있다.
최근 많은 가정이나 대규모 공장 등의 수용가들이 발전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고 그 이용수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고객이 직접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고 운영하며 매도할 수 있는 시스템이 형성되면 고객은 전기 에너지의 발전량 및 부하 단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고객 입장에서는 발전에 따른 잉여 발전량, 남는 전력을 매도하기 위한 매도량, 자가발전 부족으로 인해 전력회사로부터 매수하는 매수량 등에 대한 파악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고객들은 이들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경제적 이득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발전 시스템(10)의 경우 발전장치(11)에서 발전된 DC 전력을 전력변환장치(12)에서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고객인 다수의 부하(13)로 공급한다. 각 부하(13)에서 사용되는 부하량은 계측장치(14)에서 계측한다. 만약, 이와 같이 발전된 전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외부의 전력회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전력변환장치(12) 및 계측장치(14)는 내부에 통신장치를 구비하고 있어 두 장치(12,14) 간에는 전력선 통신 또는 무선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계측장치(14)는 내부의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전력변환장치(12)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전력변환장치(12)로부터 발전량 정보를 수신한 후, 그 수신된 발전량 정보 및 자신이 계측한 부하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발전 시스템(10)의 경우 전력변환장치(12) 및 계측장치(14) 간의 통신이상 발생시에 사용자는 발전량 및 부하량의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력변환장치(12) 및 계측장치(14)에 모두 통신장치를 내장하여야 하기 때문에 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전력변환장치(12)로부터 계측장치(14)로 전달하는 발전량 정보는 DC 성분의 전력을 AC 성분의 전력으로 변환한 데이터이므로 부하(13)에 직접 공급되는 AC 성분의 정확한 발전량 정보가 아니다. 따라서, 종래의 발전 시스템(10)에서는 부하(13)에서 사용하는 정확한 부하량은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전력변환장치(12)의 성능저하나 다른 불량 요인으로 인해 AC 전력으로의 변환시 변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 정확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전 시스템에서 전력변환장치와 부하 간의 전력공급선 및 부하와 측정장치 간의 전력선에서 각각 발전량 및 부하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하는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와 저렴한 비용으로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을 측정하는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전장치에서 생성된 DC 전력을 전력변환장치에서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로 전송하고 상기 부하에서의 전력 사용량을 계량하는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변환장치 및 부하 간에 연결된 제1 전력선에서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제1 전류측정부; 상기 부하 및 전력량계 간에 연결된 제2 전력선에서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제2 전류측정부; 상기 제1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량을 이용하여 상기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을 계산하는 발전량 계산부; 상기 제2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량을 이용하여 상기 부하에서의 전력 사용량에 따른 부하량을 계산하는 부하량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을 각각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러한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전력선에서의 전류량을 동시에 측정하는 제3 전류측정부; 상기 제3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각각의 전류량을 이용하여 상기 발전 시스템의 발전량 및 상기 부하에서의 부하량을 계산하는 전력량 계산부; 및 상기 발전량 계산부 및 부하량 계산부에서 각각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과 상기 전력량 계산부에서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을 비교하는 비교부; 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에서 양자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발전량 계산부 및 부하량 계산부에서 각각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을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비교부에서의 비교결과 양자의 차이가 상기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양자의 차이를 보정하여 상기 발전량 및 부하량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2,3 전력변환장치는 각각 변류기(C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전 시스템에서 정확한 발전량 및 부하량 데이터를 획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전 시스템에서 부가적인 통신장치 없이 발전량과 부하량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단순해지고 비용이 절감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발전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발전량 및 부하량 정보를 적시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력시장 등에서 매수시기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100)는 제1 전류측정부(110), 제2 전류측정부(120), 발전량 계산부(130), 부하량 계산부(140), 제어부(150) 및 표시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100)는 발전 시스템에 적용된다. 이러한 발전 시스템은 발전장치(300)에서 생성된 DC 전력을 전력변환장치(400)에서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하(500)로 전송하고, 이 부하(500)에서의 전력 사용량을 계량하는 전력량계(600)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전력변환장치(400)에서 부하(500)로 전력선을 통해 전류를 제공함으로써 전력을 공급하며, 또한 부하(500)에서 전력량계(600) 전력선을 통해 전류를 제공함으로써 전력량계(600)가 부하단에서의 전력 사용량을 계량하도록 한다.
제1 전류측정부(110)는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400)와 부하(500) 간에 연결된 제1 전력선에서의 전류량을 측정한다. 다시 말하면, 전력변환장치(400)에서 DC 전력을 AC 전력으로 변환한 후 부하(50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제1 전력선을 통해 전류를 제공하는 경우, 이러한 제1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일례로 제1 전류측정부(110)는 변류기(CT:Current Transformer)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류측정부(120)는 발전 시스템의 부하(500)와 전력량계(600) 간에 연결된 제2 전력선에서의 전류량을 측정한다. 다시 말하면, 부하(500)에서의 전력 사용량을 계량하기 위해 부하(500)에서 제2 전력선을 통해 전력량계(600)로 전류를 제공하는 경우, 이러한 제2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일례로 제2 전류측정부(120)는 변류기(CT:Current Transformer)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량 계산부(130)는 제1 전류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전류량을 이용하여 발전 시스템에서 발전한 전력의 발전량을 계산한다. 일례로 발전량은 부하(500)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과 제1 전류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전류량의 곱으로 계산될 수 있다.
부하량 계산부(140)는 제2 전류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전류량을 이용하여 부하(500)에서의 전력 사용량에 따른 부하량을 계산한다. 일례로 이러한 부하량은 부하(500)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과 제2 전류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전류량의 곱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부하량은 부하단에서의 전력 사용량을 의미한다.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발전량 계산부(130) 및 부하량 계산부(140)에서 각각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을 표시부(16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표시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발전량 계산부(130) 및 부하량 계산부(140)에서 각각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을 표시한다. 예컨대, 이러한 표시부(160)는 발전량 및 부하량을 사용자(고객)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200)는 제1 전류측정부(210), 제2 전류측정부(220), 제3 전류측정부(230), 발전량 계산부(240), 부하량 계산부(250), 전력량 계산부(260), 비교부(270), 제어부(280) 및 표시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200)도 상술한 바와 같이 발전 시스템에 적용된다.
제1 전류측정부(210)는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400)와 부하(500) 간에 연결된 제1 전력선에서의 전류량을 측정하고, 제2 전류측정부(220)는 발전 시스템의 부하(500)와 전력량계(600) 간에 연결된 제2 전력선에서의 전류량을 측정한다. 일례로 제1 및 제2 전류측정부(210,220)는 변류기(CT)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전류측정부(230)는 상기한 제1 및 제2 전력선에서의 전류량을 동시에 측정한다. 다시 말하면, 발전 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400)에서 DC 전력을 AC 전력으로 변환한 후 부하(50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제1 전력선을 통해 전류를 제공하는 경우와, 부하(500)에서의 전력 사용량을 계량하기 위해 부하(500)에서 제2 전력선을 통해 전력량계(600)로 전류를 제공하는 경우에, 이러한 제1 전력선 및 제2 전력선에 각각 전류량을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다. 일례로, 제3 전류측정부(230)도 변류기(CT)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량 계산부(240)는 제1 전류측정부(210)에서 측정된 전류량을 이용하여 발전 시스템에서 발전한 전력의 발전량을 계산하고, 부하량 계산부(250)는 제2 전류측정부(220)에서 측정된 전류량을 이용하여 부하(500)에서의 전력 사용량에 따른 부하량을 계산한다.
전력량 계산부(260)는 제3 전류측정부(230)에서 측정된 제1 및 제2 전력선에서의 각 전류량을 이용하여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에서의 부하량을 동시에 계산한다.
비교부(270)는 발전량 계산부(240) 및 부하량 계산부(250)에서 각각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과, 전력량 계산부(260)에서 각각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을 비 교한다. 이는 동일한 제1 및 제2 전력선에 대하여 발전량 계산부(240) 및 부하량 계산부(250)에서 각각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과, 전력량 계산부(260)에서 각각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을 서로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는 제1 및 제2 전류측정부(210,220)에서 측정한 발전량 및 부하량이 정확하게 측정되었는지를 제3 전류측정부(230)에서 측정한 발전량 및 부하량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280)는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한다. 특히, 제어부(280)는 발전량 계산부(240) 및 부하량 계산부(250)에서 각각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을 표시부(29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표시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발전량 계산부(240) 및 부하량 계산부(250)에서 각각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을 표시한다.
특히, 이러한 표시부(290)는 비교부(270)의 비교결과에서 양자, 즉 발전량 계산부(240) 및 부하량 계산부(250)에서 각각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과, 전력량 계산부(260)에서 각각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 간에 차이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 있는 경우 발전량 계산부(240) 및 부하량 계산부(250)에서 각각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을 표시한다.
또한, 이러한 표시부(290)는 비교부(270)의 비교결과에서 양자에 차이가 발생할 경우 그 차이를 보정한 후 발전량 계산부(240) 및 부하량 계산부(250)에서 각각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을 표시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이러한 표시부(290)는 비교부(270)에서의 비교결과 양자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람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최근 에너지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신재생 에너지 발전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 풍력 등 무한의 자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업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매우 유용하게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발전 시스템에서 발전된 전력을 축전지에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에 따라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고, 전력시장이 형성되는 경우 전력을 매도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전된 에너지를 효율적, 경제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발전 시스템에 생성된 전력의 발전량 및 부하에서 사용하는 전력의 부하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본 발명은 발전 시스템에서 부하에 전후로 연결된 전력선에서 발전량과 부하량을 측정하므로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가정이나 대규모 공장 등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회사나 전력을 사용하는 수요가 입장에서 정확한 발전량 및 부하량을 이용하여 요금 등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전력, 송배전 등의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210 : 제1 전류측정부 120,220 : 제2 전류측정부
130,240 : 발전량 계산부 140,250 : 부하량 계산부
150,280 : 제어부 160,290 : 표시부
230: 제3 전류측정부 260 : 전력량 계산부
300 : 발전장치 400 : 전력변환장치
500 : 부하 600 : 전력량계

Claims (6)

  1.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에 있어서,
    제1 전력선을 경유하여 부하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측정하는 제1 전류측정부;
    제2 전력선을 경유하여 상기 부하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량을 측정하는 제2 전류측정부;
    상기 제1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량을 이용하여 상기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을 계산하는 발전량 계산부;
    상기 제2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량을 이용하여 상기 부하에서의 전력 사용량에 따른 부하량을 계산하는 부하량 계산부;
    상기 제1 및 제2 전력선에서의 전류량을 동시에 측정하는 제3 전류측정부;
    상기 제3 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각각의 전류량을 이용하여 상기 발전 시스템의 발전량 및 상기 부하에서의 부하량을 계산하는 전력량 계산부; 및
    상기 발전량 계산부와 부하량 계산부에서 각각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과 상기 전력량 계산부에서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류측정부, 제2 전류측정부 및 제3 전류측정부는,
    각각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를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비교부에서의 비교결과 양자의 차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발전량 계산부 및 상기 부하량 계산부에서 각각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을 표시하거나,
    상기 비교부에서의 비교결과와 관계없이 상기 계산된 발전량 및 부하량을 각각 표시하는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비교부에서의 비교결과 양자의 차이가 상기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람을 표시하는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비교부에서의 비교결과에 따른 양자의 차이를 보정하여 상기 발전량 및 부하량을 표시하는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장치.
  6. 삭제
KR1020090120139A 2009-12-04 2009-12-04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 장치 KR101254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139A KR101254846B1 (ko) 2009-12-04 2009-12-04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 장치
JP2010267941A JP5243516B2 (ja) 2009-12-04 2010-12-01 発電システムにおける発電量及び負荷量測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139A KR101254846B1 (ko) 2009-12-04 2009-12-04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184A KR20110063184A (ko) 2011-06-10
KR101254846B1 true KR101254846B1 (ko) 2013-04-15

Family

ID=4428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139A KR101254846B1 (ko) 2009-12-04 2009-12-04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243516B2 (ko)
KR (1) KR1012548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290B1 (ko) * 2011-11-24 2013-07-2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의 에너지 관리방법
NO334364B1 (no) * 2012-05-03 2014-02-17 Kongsberg Maritime As Prediktivt reguleringssystem.
KR101963445B1 (ko) * 2015-04-02 2019-07-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032406B1 (ko) * 2017-12-29 2019-10-15 주식회사 에이치엔에스솔루션 재난 경보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45501B1 (ko) * 2018-05-23 2019-02-08 주식회사 광명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와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4658A (ja) * 1993-08-26 1995-03-10 Hitachi Ltd 電力変換システム
JP2006351418A (ja) 2005-06-17 2006-1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力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3521B2 (ja) * 1993-11-25 2001-11-26 シャープ株式会社 系統連系型逆変換装置
JPH10201106A (ja) * 1997-01-07 1998-07-31 Yokogawa M & C Kk 太陽光発電モニターシステム
JP2002098720A (ja) * 2000-09-26 2002-04-05 Sekisui Chem Co Ltd 電力供給系における電力モニターシステム
JP2002139527A (ja) * 2000-10-31 2002-05-17 Canon Inc 太陽光発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2296307A (ja) * 2001-03-29 2002-10-09 Sekisui Chem Co Ltd 電力モニタ装置
JP2006115622A (ja) * 2004-10-15 2006-04-27 Hanshin Electric Co Ltd 使用電力監視方法および使用電力監視システム
JP2009182661A (ja) * 2008-01-30 2009-08-13 Kyocera Corp 通信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4658A (ja) * 1993-08-26 1995-03-10 Hitachi Ltd 電力変換システム
JP2006351418A (ja) 2005-06-17 2006-1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力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184A (ko) 2011-06-10
JP2011120460A (ja) 2011-06-16
JP5243516B2 (ja)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4774B2 (ja) 電力計測システム、電力計測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758406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power flow in a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Selvam et al.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for smart grid applications
JP5604089B2 (ja) 消費電力計測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消費電力計測方法
JP2006217742A (ja) 配電系統の電圧分布計算装置、区間負荷計算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20130335062A1 (en) Pow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254846B1 (ko)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 장치
JP6209951B2 (ja) トランス接続相判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RU263584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напряжения и мощности каждой фазы в сети среднего напряжения
JP2013044752A (ja) 位相識別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7071614A1 (en) Method for operating energy consumption metering system and energy consumption metering system
US20170292999A1 (en) Transformer monitoring and data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Weniger et al. Emerging performance issues of photovoltaic battery systems
KR20130070132A (ko)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WO2017145461A1 (ja) 送電ルート状態検出装置、送電ルート状態検出システム、送電ルート状態検出方法、送電ルート状態検出プログラム、および電力変換装置
JP5427007B2 (ja) 電力監視システム
JP2014059245A (ja) 電力表示器
KR102352938B1 (ko) Dcu 검침량 연계 변압기 부하 감시시스템
KR101719953B1 (ko) 전력량 모니터링 장치
WO2008095277A1 (en) Hybrid renewable power monitor and data logger
Qin et al. Power system reliability based on voltage weakest bus identification
EP3575805B1 (en) Dc substa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an electrical energy flow in said substation
Singh et al. Network controlled distributed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smart cities
JPWO2017033881A1 (ja) 配電系統監視システムおよび配電系統監視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12379176A (zh) 一种变压器损耗获取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