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718B1 - 엠보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엠보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4718B1 KR101254718B1 KR1020100057798A KR20100057798A KR101254718B1 KR 101254718 B1 KR101254718 B1 KR 101254718B1 KR 1020100057798 A KR1020100057798 A KR 1020100057798A KR 20100057798 A KR20100057798 A KR 20100057798A KR 101254718 B1 KR101254718 B1 KR 1012547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ethylene
- film
- protective film
- embossed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29920001684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04702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29920010126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92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7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037 poly(vinyl butyr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MRUUYMBEFNIIR-UHFFFAOYSA-N C(C1)CC1C1C=CCCC1 Chemical compound C(C1)CC1C1C=CCCC1 WMRUUYMBEFNII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64 ad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57 residual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36 safety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3—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엠보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면 또는 양면에 엠보무늬가 형성되며 제1 폴리에틸렌필름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이 다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엠보 보호필름으로서 제1 폴리에틸렌필름은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 내지 70 중량%,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0 내지 60 중량%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2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고 제2 폴리에틸렌필름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50 내지 80 중량%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2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함으로써 점착시트의 운송, 보관 및 가공시 점착시트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 면 또는 양면에 엠보무늬가 형성되며 제1 폴리에틸렌필름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이 다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점착시트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엠보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호필름은 필름, 시트, 판 형태의 플라스틱, 금속, 유리 등 제품의 운송, 보관 및 가공시에 발생되는 표면의 스크래치, 오염, 부식 등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보호필름은 상기 제품의 표면에 일시 점착되어 있다가 상기 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는 특성이 요구된다. 또한, 보호필름은 일회성 제품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가능한 저렴한 것이 좋다.
종래의 보호필름으로는 매우 저렴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을 주성분으로 한 기재 필름에 아크릴계, 우레탄계, 고무계 등의 접착제를 도포한 제품이 널리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필름들은 피착재로부터 박리될 때 접착제 또는 미건조 잔류용제 등의 성분이 피착제에 전사되어 잔류되는 문제가 심각히 제기되어왔다.
또한, 필름, 시트, 판 형태의 피착재의 표면에 구비된 보호필름은 상기 피착재가 통상 절단, 재단, 적층 등의 많은 가공공정을 거치는 동안 부득이하게 가장자리 부분이 일부 박리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보호필름이 돌돌 말려 다시 원상태로 완벽히 점착되기 어려워지는 소위 컬(Curl) 현상이라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보호필름은 점착시트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이형성을 보유하기 위하여 이형제를 도포하여 이용하였으나 이형제가 점착시트에 전이되어 점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한 면 또는 양면에 엠보무늬가 형성되며, 제1 폴리에틸렌필름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이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엠보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박리성, 안티컬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엠보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엠보 보호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1. 한 면 또는 양면에 엠보무늬가 형성되며 제1 폴리에틸렌필름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이 다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엠보 보호필름으로서, 상기 제1 폴리에틸렌필름은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 내지 70 중량%,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0 내지 60 중량%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엠보 보호필름.
2. 위 1에 있어서, 제2 폴리에틸렌필름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50 내지 80 중량%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2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엠보 보호필름.
3. 위 1에 있어서, 엠보 보호필름에 형성된 엠보무늬의 심도는 20 내지 60 ㎛인 엠보 보호필름.
4. 위 1에 있어서, 엠보 보호필름의 두께는 50 내지 150 ㎛인 엠보 보호필름.
5. 위 4에 있어서, 엠보 보호필름의 두께와 엠보무늬의 심도의 차이는 20 ㎛이상인 엠보 보호필름.
6. 위 4에 있어서, 제1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이 적층되어 2층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제1 폴리에틸렌필름:제2 폴리에틸렌필름의 두께 비율은 4:6인 엠보 보호필름.
7. 위 4에 있어서, 제1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이 적층되어 3층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제1 폴리에틸렌필름:제2 폴리에틸렌필름:제1 폴리에틸렌필름의 두께 비율은 3:4:3인 엠보 보호필름.
8. 위 1에 있어서,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의 밀도는 0.920 내지 0.930 g/㎠, 용융지수는 2 내지 5 g/10min인 엠보 보호필름.
9. 위 1 또는 2에 있어서,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의 밀도는 0.919 내지 0.925 g/㎠, 용융지수는 2.5 내지 10 g/10min인 엠보 보호필름.
10. 위 1 또는 2에 있어서,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의 밀도는 0.950 내지 0.965 g/㎠, 용융지수는 4 내지 10 g/10min인 엠보 보호필름.
11. 제1 다중압출기에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 내지 70 중량%,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0 내지 60 중량%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20 내지 40 중량%를 투입한 후 210 내지 220 ℃에서 용융시킴으로써 제1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2 다중압출기에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50 내지 80 중량%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20 내지 50 중량%를 투입한 후 210 내지 220 ℃에서 용융함으로써 제2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제1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들을 다이스에서 압출하여 엠보무늬가 형성된 스틸롤 및 고무롤 사이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엠보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12. 위 11에 있어서, 제2 엠보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조성물들을 다이스에서 압출하는 단계 사이에,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 내지 70 중량%,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0 내지 60 중량%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20 내지 40 중량%를 제3 다중압출기에 투입하여 210 내지 220 ℃에서 용융시킴으로써 제1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엠보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13. 위 11에 있어서, 고무롤에 엠보무늬가 형성된 보호필름 제조방법.
본 발명의 엠보 보호필름은 자동차 안전유리 보강제로 사용되는 점착시트의 표면에 구비되어 점착시트가 운송, 보관 및 가공시 이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엠보 보호필름은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을 포함하는 제1 폴리에틸렌필름과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을 포함하는 제2 폴리에틸렌필름이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므로 박리성, 안티컬성(anti-curl)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엠보 보호필름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호필름에 이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한 면 또는 양면에 엠보무늬를 형성한다. 이때, 엠보무늬의 심도가 20 내지 60 ㎛일 때 이상적인 박리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 폴리에틸렌필름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이 2층으로 구비된 엠보 보호필름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폴리에틸렌필름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이 3층으로 구비된 엠보 보호필름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엠보 보호필름에 형성된 엠보무늬 및 이의 심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엠보 보호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엠보 보호필름이 점착시트에 점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폴리에틸렌필름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이 3층으로 구비된 엠보 보호필름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엠보 보호필름에 형성된 엠보무늬 및 이의 심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엠보 보호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엠보 보호필름이 점착시트에 점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한 면 또는 양면에 엠보무늬가 형성되며 제1 폴리에틸렌필름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이 다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엠보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엠보 보호필름(10)은 제1 폴리에틸렌필름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이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예컨대 제1 폴리에틸렌필름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이 2층 또는 3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엠보필름이 2층으로 적층된 엠보 보호필름(10)은 제1 폴리에틸렌필름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 순으로 구비된 것이고(도 1), 3층으로 적층된 엠보 보호필름(10)은 제1 폴리에틸렌필름, 제2 폴리에틸렌필름 및 제1 폴리에틸렌필름 순으로 구비된 것이다(도 2).
본 발명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엠보 보호필름에 이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엠보 보호필름(10)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엠보무늬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엠보무늬의 심도는 20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5 ㎛이다(도 3). 심도가 20 ㎛미만인 경우에는 박리성이 저하되어 작은 움직임에도 엠보 보호필름이 쉽게 떨어지므로 점착시트의 표면을 보호할 수 없으며, 심도가 60 ㎛초과인 경우에는 박리력이 너무 강하여 점착시트에서 엠보 보호필름을 제거시 제거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에틸렌필름은 표면거칠기를 높여 우수한 박리성을 갖기 위하여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 내지 70 중량%,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0 내지 60 중량%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인장강도 저하로 인해 엠보 보호필름을 박리 시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함량이 7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박리력 저하 및 컬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의 함량이 6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박리력 저하 및 컬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박리력 저하 및 컬이 발생할 수 있고, 함량이 5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엠보 보호필름을 박리시 끓어지는 현상 및 가공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에틸렌필름은 우수한 안티컬성을 갖기 위하여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50 내지 80 중량%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2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가공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함량이 8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컬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컬이 발생할 수 있고, 함량이 4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가공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은 밀도가 0.920 내지 0.930 g/㎠, 용융지수가 2 내지 5 g/10min인 것이 바람직하며, 엠보 보호필름의 강도를 증대시켜 박리 시 엠보 보호필름이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때, 밀도가 0.920 g/㎠미만인 경우에는 엠보 필름의 강도는 증대되나, 가공성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0.930 g/㎠초과인 경우에는 가공성이 좋아지나, 엠보 필름의 끊어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용융지수가 2 g/10min미만인 경우에는 다이스의 수지 흐름이 좋지 못하여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5 g/10min초과인 경우에는 다이스의 수지 흐름에 있어 두께 조절이 어렵고 보호필름의 폭 줄어듬으로 인해 가공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은 밀도가 0.919 내지 0.925 g/㎠, 용융지수가 2.5 내지 10 g/10min인 것이 바람직하며, 엠보 보호필름의 가공성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밀도가 0.919 g/㎠미만인 경우에는 지정된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의 밀도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의 밀도에 있어 박리력 감소 및 컬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0.925 g/㎠초과인 경우에는 보호필름의 수축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용융지수가 2.5 g/10min미만인 경우에는 다이스에서 수지 흐름이 좋지 못하여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10 g/10min초과인 경우에는 다이스의 용융된 수지 흐름에 있어 두께 조절이 어렵고 보호필름의 폭 줄어듬으로 인해 가공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은 밀도가 0.950 내지 0.965 g/㎠, 용융지수가 4 내지 10 g/10min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폴리에틸렌필름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높은 표면거칠기를 제공하여 우수한 박리성을 부여하며 보호필름에 엠보무늬 형성 및 원하는 높이의 심도를 얻기가 용이하고, 제2 폴리에틸렌필름에 작용되는 경우에는 우수한 안티컬성을 부여한다. 이때, 밀도가 0.950 g/㎠미만인 경우에는 컬 및 박리력 감소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0.965 g/㎠초과인 경우에는 보호필름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용융지수가 4 g/10min미만인 경우에는 다이스에서 수지 흐름이 좋지 못하여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으, 10 g/10min초과인 경우에는 다이스의 용융된 수지 흐름에 있어 두께 조절이 어렵고 보호필름의 폭 줄어듬으로 인해 가공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엠보 보호필름(10)은 두께가 5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30 ㎛이다. 엠보 보호필름의 두께가 50 ㎛미만인 경우에는 보호필름에 엠보무늬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두께가 150 ㎛초과인 경우에는 박리성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폴리에틸렌필름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이 2층으로 구비되는 경우의 엠보 보호필름(10)은 제1 폴리에틸렌필름 : 제2 폴리에틸렌필름의 두께 비율이 4:6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층으로 구비되는 경우의 엠보 보호필름(10)은 제1 폴리에틸렌필름 : 제2 폴리에틸렌필름 : 제1 폴리에틸렌필름의 두께 비율이 3:4:3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엠보 보호필름(10)의 두께 비율이 상기 기재된 두께의 비율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안티컬성이 불량하여 엠보 보호필름이 돌돌 말릴 수 있으며, 박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엠보 보호필름(10)의 두께와 심도의 차이가 20 ㎛미만인 경우에는 점착시트로부터 엠보 보호필름(10)을 박리시 엠보 보호필름(10)이 끊어질 수 있으므로 차이가 20 ㎛이상이 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 보호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엠보 보호필름 제조방법은 먼저, 2층의 엠보 보호필름(도 1)을 제조하려면 제1 다중압출기(1)에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 내지 70 중량%,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0 내지 60 중량%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20 내지 40 중량%의 재료를 투입하여 210 내지 220 ℃에서 용융함으로써 제1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또한, 제2 다중압출기(2)에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50 내지 80 중량%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20 내지 50 중량%의 재료를 투입하여 210 내지 220 ℃에서 용융함으로써 제2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3층의 엠보 보호필름을 제조하려면 제3 다중압출기(3)에 제1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을 추가로 투입한다.
본 발명의 엠보 보호필름에 사용된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은 산화방지제가 처방된 수지이므로 별도로 산화방지제를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산화방지제가 처방되지 않은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융시 수지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 각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0.1 내지 0.2 중량부가 각각 추가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가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산화방지의 효과가 없을 수 있으며, 0.2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엠보 보호필름에 분진이 발생되어 점착시트를 오염시킬 수 있다.
용융된 제1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은 티-다이(T-die)공정으로 다이스(4)에서 압출된 후 엠보무늬가 형성된 스틸롤(6)과 고무롤(5) 사이를 통과하여 엠보무늬가 형성된다. 이러한 엠보무늬는 엠보 보호필름(10)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엠보무늬가 보호필름(10)의 한 면에만 형성되는 경우는 스틸롤(6)에만 엠보무늬가 형성된 것을 사용하며, 엠보무늬가 보호필름(10)의 양면에 형성되는 경우는 스틸롤(6) 및 고무롤(5) 모두에 엠보무늬가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스틸롤(6)과 고무롤(5) 사이를 통과한 엠보 보호필름은 냉각되어 와인더(7)에 권취된다.
이렇게 형성된 엠보 보호필름(10)은 점착시트(11)의 표면을 보호하도록 라미네이터(12)로 점착시트(11)의 상면 및 하면에 라미네이팅된 후 와인더(7)로 권취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점착시트는 PVB(poly vinyl butacite)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호필름이 구비될 수 있는 점착시트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2 내지 6.
제1 압출기에는 하기 표 1의 제1 폴리에틸렌필름에 기재된 비율로 재료들을 투입한 후 210 내지 220 ℃에서 용융시켜 제1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또한, 제2 압출기에는 하기 표 1의 제2 폴리에틸렌필름에 기재된 비율로 재료들을 투입한 후 210 내지 220 ℃에서 용융시켜 제2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렇게 용융된 제1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을 다이스에서 압출하여 엠보무늬가 형성된 스틸롤 및 고무롤 사이를 통과시켜 2층의 엠보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내지 9 및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추가로 제3 압출기에 하기 표 1의 제1 폴리에틸렌필름에 기재된 비율로 재료들을 투입한 후 210 내지 220 ℃에서 용융시켜 제1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여 3층의 엠보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8 및 9의 엠보 보호필름은 스틸롤과 고무롤 모두에 엠보무늬가 형성된 것을 사용하여 양면에 엠보무늬가 형성되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7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엠보무늬가 형성되지 않은 롤을 사용하여 엠보무늬, 예컨대 심도가 형성되지 않은 엠보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제1 폴리에틸렌필름 | 제2 폴리에틸렌필름 | 보호필름의 두께(㎛) | 엠보무늬 심도(㎛) | ||||||
LLDPE (중량%) |
LDPE (중량%) |
HDPE (중량%) |
LLDPE (중량%) |
LDPE (중량%) |
HDPE (중량%) |
제1 면 | 제2 면 | ||
실시예 1 | 60 | 20 | 20 | - | 80 | 20 | 100 | 30 | - |
실시예 2 | 60 | 20 | 20 | - | 60 | 40 | 90 | 30 | - |
실시예 3 | 20 | 60 | 20 | - | 80 | 20 | 120 | 40 | - |
실시예 4 | 20 | 60 | 20 | - | 60 | 40 | 110 | 50 | - |
실시예 5 | 30 | 30 | 40 | - | 60 | 40 | 60 | 20 | - |
실시예 6 | 30 | 30 | 40 | - | 50 | 50 | 100 | 40 | - |
실시예 7 | 70 | - | 30 | - | 80 | 20 | 130 | 50 | - |
실시예 8 | 60 | 20 | 20 | - | 80 | 20 | 140 | 20 | 20 |
실시예 9 | 70 | - | 30 | - | 80 | 20 | 150 | 30 | 30 |
비교예 1 | 60 | 20 | 20 | - | 80 | 20 | 100 | - | - |
비교예 2 | 60 | 20 | 20 | - | 60 | 40 | 90 | 5 | - |
비교예 3 | 20 | 60 | 20 | - | 80 | 20 | 120 | 100 | - |
비교예 4 | 70 | - | 30 | - | - | 100 | 110 | 50 | - |
비교예 5 | 30 | 20 | 50 | - | 60 | 40 | 100 | 45 | - |
비교예 6 | 50 | 50 | - | 50 | 50 | - | 110 | 60 | - |
비교예 7 | 60 | 20 | 20 | - | 80 | 20 | 130 | 65 | 65 |
시험예.
1. 박리성: 롤을 이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엠보 보호필름을 점착시트에 라미네이팅한 후 50 ℃의 온도에서 72시간 숙성시켰다. 숙성 후 90°각도에서 3m/min 속도로 보호필름을 벗기는데 필요한 강도를 측정하였다(기준값: 100gf/50mm 이하 : 박리 시 양호, 120gf/50mm 이상 : 박리 시 문제).
2. 안티컬성 1: 엠보 보호필름을 25 mm로 제작하여 유연도 측정기로 유연도를 측정하였다(기준값: TD가 1.37 mN 이상).
3. 안티컬성 2: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엠보 보호필름을 3×1m로 절단한 후 폭방향을 고정시키고 엠보 보호필름을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겨 보호필름이 말리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 : 컬이 생기지 않음.
△ : 컬이 1 ~ 5mm 이하 생긴 경우.
× : 컬이 6mm 이상 생긴 경우.
4. 가공성: TD 방향의 5cm 간격으로 두께 측정 시 편차로 엠보 보호필름의 표면상태를 확인하였다.
○ : 10㎛ 이하.
△ : 11 내지 20㎛.
× : 21㎛ 이상.
박리성(gf/50mm) | 안티컬성 1 | 안티컬성 2 | 가공성 | |
실시예 1 | 82 | 1.38 | ○ | ○ |
실시예 2 | 80 | 1.54 | ○ | ○ |
실시예 3 | 79 | 1.44 | ○ | ○ |
실시예 4 | 76 | 1.57 | ○ | ○ |
실시예 5 | 64 | 1.79 | ○ | △ |
실시예 6 | 62 | 1.88 | ○ | △ |
실시예 7 | 80 | 1.52 | ○ | △ |
실시예 8 | 113 | 2.14 | ○ | ○ |
실시예 9 | 91 | 3.19 | ○ | △ |
비교예 1 | 297 | 2.78 | ○ | ○ |
비교예 2 | 261 | 1.99 | ○ | ○ |
비교예 3 | 61 | 0.97 | × | ○ |
비교예 4 | 71 | 2.23 | ○ | × |
비교예 5 | 63 | 1.93 | ○ | × |
비교예 6 | 102 | 0.73 | × | × |
비교예 7 | 63 | 0.25 | × | △ |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9의 엠보 보호필름은 비교예 1 내지 7의 보호필름에 비하여 박리성, 안티컬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9의 엠보 보호필름은 엠보무늬가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 1 및 미세하게 엠보무늬가 형성된 비교예 2에 비하여 이상적인 박리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 제1 다중압출기 2: 제2 다중 압출기
3: 제3 다중압출기 4: 다이스
5: 고무롤 6: 스틸롤
7: 외인더 10: 엠보 보호필름
11: 점착시트 12: 라미네이터
3: 제3 다중압출기 4: 다이스
5: 고무롤 6: 스틸롤
7: 외인더 10: 엠보 보호필름
11: 점착시트 12: 라미네이터
Claims (13)
- 삭제
- 한 면 또는 양면에 엠보무늬가 형성되며 제1 폴리에틸렌필름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이 다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엠보 보호필름으로서,
상기 제1 폴리에틸렌필름은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 내지 70 중량%,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0 내지 60 중량%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폴리에틸렌필름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50 내지 80 중량%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2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엠보 보호필름.
- 제2항에 있어서, 엠보 보호필름에 형성된 엠보무늬의 심도는 20 내지 60 ㎛인 엠보 보호필름.
- 제2항에 있어서, 엠보 보호필름의 두께는 50 내지 150 ㎛인 엠보 보호필름.
- 제4항에 있어서, 엠보 보호필름의 두께와 엠보무늬의 심도의 차이는 20 ㎛이상인 엠보 보호필름.
- 제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이 적층되어 2층으로 이루어지고, 제1 폴리에틸렌필름:제2 폴리에틸렌필름의 두께 비율은 4:6인 엠보 보호필름.
- 제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이 적층되어 3층으로 이루어지고, 제1 폴리에틸렌필름:제2 폴리에틸렌필름:제1 폴리에틸렌필름의 두께 비율은 3:4:3인 엠보 보호필름.
- 제2항에 있어서,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의 밀도는 0.920 내지 0.930 g/㎠, 용융지수는 2 내지 5 g/10min인 엠보 보호필름.
- 제2항에 있어서,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의 밀도는 0.919 내지 0.925 g/㎠, 용융지수는 2.5 내지 10 g/10min인 엠보 보호필름.
- 제2항에 있어서,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의 밀도는 0.950 내지 0.965 g/㎠, 용융지수는 4 내지 10 g/10min인 엠보 보호필름.
- 제1 다중압출기에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 내지 70 중량%,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0 내지 60 중량%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20 내지 40 중량%를 투입한 후 210 내지 220 ℃에서 용융시킴으로써 제1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2 다중압출기에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50 내지 80 중량%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20 내지 50 중량%를 투입한 후 210 내지 220 ℃에서 용융함으로써 제2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제1 및 제2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들을 다이스에서 압출하여 엠보무늬가 형성된 스틸롤 및 고무롤 사이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엠보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제2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조성물들을 다이스에서 압출하는 단계 사이에,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 내지 70 중량%,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0 내지 60 중량%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20 내지 40 중량%를 제3 다중압출기에 투입하여 210 내지 220 ℃에서 용융시킴으로써 제1 폴리에틸렌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엠보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고무롤에 엠보무늬가 형성된 엠보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7798A KR101254718B1 (ko) | 2010-06-18 | 2010-06-18 | 엠보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7798A KR101254718B1 (ko) | 2010-06-18 | 2010-06-18 | 엠보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7848A KR20110137848A (ko) | 2011-12-26 |
KR101254718B1 true KR101254718B1 (ko) | 2013-04-15 |
Family
ID=4550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7798A KR101254718B1 (ko) | 2010-06-18 | 2010-06-18 | 엠보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471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2771B1 (ko) * | 2014-07-07 | 2015-03-18 | (주)동은하이텍 |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30834A (ko) * | 1997-10-01 | 2001-04-16 |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 엠보싱 처리된 중합체 배향 필름 |
JP2003136653A (ja) | 2001-11-01 | 2003-05-14 | Kohjin Co Ltd | ポリエチレン系架橋シュリンクフイルム |
JP2004175023A (ja) | 2002-11-28 | 2004-06-24 | Sekisui Film Kk | 滑り止めフィルム |
KR100459815B1 (ko) | 2004-02-27 | 2004-12-03 | 주식회사 명기 | 다층필름 엠보싱 처리 방법 |
-
2010
- 2010-06-18 KR KR1020100057798A patent/KR1012547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30834A (ko) * | 1997-10-01 | 2001-04-16 |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 엠보싱 처리된 중합체 배향 필름 |
JP2003136653A (ja) | 2001-11-01 | 2003-05-14 | Kohjin Co Ltd | ポリエチレン系架橋シュリンクフイルム |
JP2004175023A (ja) | 2002-11-28 | 2004-06-24 | Sekisui Film Kk | 滑り止めフィルム |
KR100459815B1 (ko) | 2004-02-27 | 2004-12-03 | 주식회사 명기 | 다층필름 엠보싱 처리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7848A (ko) | 2011-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93168B2 (ja) | 加熱工程用表面保護フィルム | |
TW201120180A (en) | Adhesive film | |
KR101154877B1 (ko) | 편광판 제조공정용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 |
WO2011034045A1 (ja) | 表面保護フィルム | |
KR101254718B1 (ko) | 엠보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
JP2018145365A (ja) | 表面保護フィルム | |
KR101316706B1 (ko) | 도광판 보호용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 |
KR101653808B1 (ko) | 편광판 제조공정용 자기점착성 보호필름 | |
KR100854562B1 (ko) | 유리 보호 필름 제조 방법 | |
JP2010111721A (ja) | 表面保護フィルム | |
JP6565907B2 (ja) | 複層フィルム及び巻回体 | |
TW201132733A (en) | Surface-protection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base film for a surface-protectio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CN112739754B (zh) | 聚乙烯醇缩醛树脂薄膜和其薄膜卷以及层叠体 | |
JP2016043560A (ja) | 積層二軸延伸フィルム | |
JP5230326B2 (ja) | 逐次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1553815B1 (ko) | 자기 점착성 보호필름 | |
KR101363862B1 (ko) | 도전성 표피 일체형 발포체의 제조방법 | |
JP2002226610A (ja) | 離型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 |
KR101624334B1 (ko) | 단열재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WO2023090358A1 (ja) | 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光学シート、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 |
KR101502330B1 (ko) |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용 보호필름 | |
KR20190086158A (ko) | 헤드라이너용 핫멜트 필름 | |
KR102208467B1 (ko) | 폴리에스테르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08686B1 (ko) | 실리콘 필름층이 형성된 내열 레이저 가공용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 |
JP5573549B2 (ja) | 表面保護フィル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