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146B1 -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 - Google Patents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146B1
KR101253146B1 KR1020130005846A KR20130005846A KR101253146B1 KR 101253146 B1 KR101253146 B1 KR 101253146B1 KR 1020130005846 A KR1020130005846 A KR 1020130005846A KR 20130005846 A KR20130005846 A KR 20130005846A KR 101253146 B1 KR101253146 B1 KR 101253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lens mold
spindle
shoote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규
신영대
Original Assignee
조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대규 filed Critical 조대규
Priority to KR1020130005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Abstract

본 발명은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시 콘텍트렌즈 몰드가 대기시간 없이 신속하게 자동으로 스핀들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가공시간을 단축함과 더불어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파스피더로부터 공급된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를 상기 스핀들 선단 측으로 이송시키는 슈터와; 상기 슈터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슈터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슈터의 선단에 배치되며, 상기 슈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를 공급받아 상기 스핀들의 선단에 장착시키는 몰드장착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contact lens mold installating unit}
본 발명은 콘텍트렌즈 몰드를 스핀들에 장착시키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시 콘텍트렌즈 몰드가 대기시간 없이 신속하게 자동으로 스핀들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가공시간을 단축함과 더불어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텍트렌즈는 안구(眼球)의 앞면에 밀착시켜 눈의 굴절이상을 교정하는 렌즈로, 시야가 넓으면서 성에가 잘 끼지 않고, 착용상태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등의 장점이 있어 안경으로 교정하기 어려운 경우나 미용 적인 측면, 운동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콘텍트렌즈는 착용자의 안구(眼球) 형상과 대응되도록 대략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안구(眼球) 중 동공과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곡면부와, 곡면부의 외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착용자의 안구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엣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콘텍트렌즈는 콘텍트렌즈 몰드 일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핀들 선단에 공급되고, 스핀들이 회전하는 경우 동반 회전되면서 스핀들 부근에 구비된 절삭부에 의해 가공이 이루어지는데,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장치 및 콘텍트렌즈의 가공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콘텍트렌즈 몰드용 가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콘텍트렌즈 몰드를 가공하는 제1 및 제2 절삭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콘텍트렌즈 몰드용 가공장치(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스핀들(120)과, 본체(110)의 상면 중 스핀들(120)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스핀들(120)에 콘텍트렌즈 몰드(M)를 공급하는 몰드공급암(130)과, 본체(110)의 상면 타측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콘텍트렌즈 몰드(M)를 몰드공급암(130)이 그립 할 수 있도록 콘텍트렌즈 몰드(M)를 몰드공급암(130)의 하방으로 이송하는 파스피더(140)와, 본체(110)의 상면 중 스핀들(120)의 선단 하방에 설치되는 제1 절삭부(150)와, 본체(110)의 상면 중 스핀들(120)의 선단 측방에 설치되는 제2 절삭부(16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콘텍트렌즈 몰드용 가공장치(100)는 파스피더(140)의 내부로 콘텍트렌즈 몰드(M)가 공급되면 파스피더(140)가 공급된 콘텍트렌즈 몰드(M)를 몰드공급암(130)의 하방으로 이송하고, 몰드공급암(130)이 공급된 콘텍트렌즈 몰드(M)를 그립 한 상태에서 스핀들(120)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회동되어 스핀들(120)의 선단에 콘텍트렌즈 몰드(M)를 공급한다.
이후, 콘텍트렌즈 몰드(M)는 스핀들(120)이 회전함에 따라 동반회전하는 상태에서 제1 절삭부(150)가 외면 일측에 접촉되어 곡면부가 가공되고, 스핀들(120)의 측방에 설치된 제2 절삭부(160)가 콘텍트렌즈 몰드(M)의 엣지영역에 접촉되면서 엣지부가 절삭되어 콘텍트렌즈의 가공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콘텍트렌즈 몰드용 가공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콘텍트렌즈 몰드를 별도의 인력 없이 스핀들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화를 이루고는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갖는다.
몰드공급암이 한 번의 구동으로 파스피더에 정렬된 콘텍트렌즈 몰드를 하나씩 스핀들로 공급하기 때문에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시간 및 가공효율이 저하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콘텍트렌즈 몰드의 표면 가공이 제1절삭부에 의한 1차 가공 이후 필수적으로 수행되는 엣지가공을 별도의 제2절삭부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2절삭부의 배치에 따른 제작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1절삭부 및 제2절삭부의 가공이 각각의 공정을 통해 구현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공정이 원활치 못한 경우 제품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정확하게는, 제2절삭부가 콘텍트렌즈 몰드의 엣지영역에 수직으로 접촉되는 경우 콘텍트렌즈 몰드의 표면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콘텍트렌즈 몰드의 엣지영역 일부가 파손되어 불량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파스피더와 몰드공급암이 스핀들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장비가 대형화될 수밖에 없고, 더불어 스핀들로 공급되는 콘텍트렌즈 몰드의 공급에 대한 정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시 콘텍트렌즈 몰드가 대기시간 없이 신속하게 자동으로 스핀들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가공시간을 단축함과 더불어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핀들이 구비된 스핀들헤드와; 복수개의 콘텍트렌즈 몰드를 정렬시켜 이송시키는 파스피더와; 상기 파스피더로부터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를 공급받아 상기 스핀들에 장착시키는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과;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 표면에 안구에 대응되는 1차곡면 영역, 동공에 대응되는 2차곡면 영역 및 테두리에 대응되는 3차곡면 영역을 가공하는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유닛;으로 구성된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장치의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에 있어서, 상기 파스피더로부터 공급된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를 상기 스핀들 선단 측으로 이송시키는 슈터와; 상기 슈터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슈터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슈터의 선단에 배치되며, 상기 슈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를 공급받아 상기 스핀들의 선단에 장착시키는 몰드장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슈터는 상기 스핀들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파스피더의 일측에 결합 된 제1슈터와, 상기 제1슈터와 인접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스핀들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제2슈터로 구성되되, 상기 제1,2슈터의 내측에는 상기 파스피더로부터 공급된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가 배출되는 가이드홈이 연통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핀들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제1슈터의 선단에는 상기 제2슈터가 슬라이딩 될 때 상기 제1슈터의 상기 가이드홈을 선택적으로 막아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의 낙하를 방지하는 출몰가능한 스톱퍼를 갖는 제1실린더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은, 일측이 상기 스핀들헤드에 결합된 고정블럭과, 상기 제2슈터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고정블럭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블럭에 고정된 제2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제2슈터를 슬라이딩시키는 이동블럭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몰드장착수단은, 상기 스핀들로 향하는 상기 이동블럭의 선단측에 구비된 제2회전실린더와 축 결합되어 회전하며, 둘레 일측에는 상기 슈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가 수용되도록 외측으로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캠과; 상기 캠의 외측둘레면을 따라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캠 회전시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의 둘레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커버; 및 상기 캠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캠과 함께 연동하며, 상기 캠의 회전을 통해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가 상기 스핀들과 일직선상으로 얼라인 됐을 때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를 상기 스핀들의 선단에 장착시키는 푸싱수단;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회전실린더와 상기 캠 사이에는 상기 제2회전실린더 축과 상기 캠 축이 이격된 상태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가 구비되되,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제2회전실린더와 축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종동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을 이룬상태로 상기 캠과 축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구동,종동기어와 상기 캠 사이에는 상기 이동블럭에 고정되어 상기 캠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캠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일부가 절개된 백커버플레이트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푸싱수단은, 상기 캠의 일측 표면에 직교되게 결합 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캠의 상기 수용홈과 일직선상을 이루도록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며, 선단이 상기 수용홈과 인접된 상태로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가 상기 스핀들과 얼라인 됐을 때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를 푸싱하여 상기 스핀들에 장착시키는 로더가 구비된 제3실린더; 및 상기 캠과 상기 제3실린더 사이의 상기 고정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로더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에 의하면,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시 콘텍트렌즈 몰드가 대기시간 없이 신속하게 자동으로 스핀들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가공시간을 단축함과 더불어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텍트렌즈 몰드용 가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콘텍트렌즈 몰드를 가공하는 제1 및 제2 절삭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이 구비된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장치에 공급되는 콘텍트렌즈 몰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가공이 완료된 콘텍트렌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이 구비된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정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이 구비된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장치의 구성중 스핀들헤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이 구비된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장치의 구성중 파스피더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을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이 구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측면도이며,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이 구비된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장치의 구성중 가공수단 및 셋팅수단을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이 구비된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장치의 구성중 가공수단, 구동수단 및 셋팅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며,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이 구비된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장치의 구성중 캠의 하강과 가공수단의 슬라이딩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이 구비된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콘텍트렌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 내지 도 24는 가공수단이 구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이 구비된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장치는, 정렬을 이룬상태로 자동으로 공급되는 콘텍트렌즈 몰드에 구비된 콘텍트렌즈의 표면에 착용자의 안구(眼球) 위치에 밀착되도록 콘텍트렌즈의 전체적인 두께를 가공하는 1차곡면 가공과, 동공(瞳孔)에 밀착되어 실질적인 시력을 갖도록 하는 2차곡면 가공과, 착용시 이물감이 없고 부드러운 착용감을 갖도록 콘텍트렌즈의 테두리에 엣지가공인 3차곡면을 가공하게 된다. 이때, 가공은 하나의 바이트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후술하게 되는 각 장치 간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은 L/M가이드 또는 암.수 결합 된 구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구조이며, 그 구조를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후술하게 되는 실린더들은 각 장치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구동모터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400)이 구비된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장치(700)는 베이스(B)와; 상기 베이스(B)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에 콘텍트렌즈 몰드(M)가 장착되는 스핀들(210)이 구비된 스핀들헤드(200)와; 상기 베이스(B) 일측에 구비되며, 바이브레이팅 동작을 통해 수납된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M)를 정렬시켜 이송시키는 파스피더(300)와; 상기 스핀들헤드(200)와 상기 파스피더(3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파스피더(300)로부터 공급된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M)를 상기 스핀들(210)에 장착시키는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이하, 몰드장착유닛이라 한다)(400); 및 상기 스핀들(210) 선단측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에 안구에 대응되는 1차곡면 영역, 동공에 대응되는 2차곡면 영역 및 테두리에 대응되는 3차곡면 영역을 가공하는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유닛(이하, 몰드가공유닛이라 한다)(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전의 콘텍트렌즈 몰드(M)는 별도의 가공을 통해 형성된 원통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하측은 콘텍트렌즈 몰드(M)가 후술하는 스핀들(210)에 장착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상측의 표면에는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장치(700)에 의해 표면이 가공되는 콘텍트렌즈(C)가 부착되어 있다.
도 4는 몰드장착유닛(400)이 구비된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장치(700)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콘텍트렌즈(C)를 나타내고 있으며, 가공 완료된 콘텍트렌즈(C)는 1차곡면, 2차곡면 및 3차곡면 가공을 통해 서로 다른 곡면 및 두께를 이루고 있다.
도 5 내지 도 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몰드장착유닛(400)이 구비된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장치(700)는, 베이스(B)와, 스핀들헤드(200)와, 파스피더(300)와, 몰드장착유닛(400) 및 몰드가공유닛(500)으로 크게 구성된다.
베이스(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헤드(200), 몰드장착유닛(400) 및 몰드가공유닛(500)이 설치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의 함체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후술하게 되는 구동수단(520) 및 셋팅수단(530)의 일부가 배치된다.
또한, 베이스(B)에는 콘트롤러(630)와 표시부(6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콘트롤러(630)는 스핀들헤드(200)와, 파스피더(300)와, 몰드장착유닛(400) 및 몰드가공유닛(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부를 제어하고, 표시부(640)는 콘트롤러(6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베이스(B)와 인접된 위치에 배치되어 각 부에 셋팅되는 설정 값이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콘트롤러(630)를 제어하고 더불어 각 부의 수동 또는 자동 공정에 따른 선택적 제어와 함께 각 실린더의 상태 체크 및 각 부의 구동시간을 제어한다.
스핀들헤드(20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B) 일측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선단에는 가공대상물인 콘텍트렌즈 몰드(M)가 장착되는 스핀들(21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즉, 콘텍트렌즈 몰드(M)의 개방된 부위가 스핀들(210)의 선단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스핀들(210)의 회전을 통해 콘텍트렌즈 몰드(M)의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스핀들헤드(200)는 스핀들(21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베이스(B)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된 하우징(220)과, 하우징(220)의 저부에 구비되며 스핀들(210)과 벨트(Belt)로 연결되어 스핀들(210)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240)로 구성되어 있다.
정확하게는 하우징(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스핀들(210)이 벨트에 의해 서로 연결됨에 따라 제1구동모터(24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다.
이때, 하우징(220)에는 하우징(220)을 후술하는 몰드가공유닛(500)을 향해 전.후로 슬라이딩시키는 수평이송수단(235)이 구비된다.
수평이송수단(235)은 하우징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수평이송가이드(231)와, 수평이송가이드(231)를 관통한 상태로 정.역회전하면서 수평이송가이드(231)를 전.후로 이송시키는 회전부재(233)와, 회전부재(233)가 결합된 상태로 베이스(B)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부재(233)를 정.역회전시키는 제1회전실린더(230)로 구성된 다.
즉, 하우징(220)은 제1회전실린더(230)의 구동을 통해 정.역회전하는 회전부재(233)에 의해 수평이송가이드(231)가 이동하기 때문에 전.후로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하우징(220)을 전.후로 슬라이딩시키는 이유는,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3차곡면 가공이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1,2차곡면 가공 완료 이후 복귀하는 바이트(516a)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2차곡면 가공이 완료된 시점 또는 이후에 하우징(220)을 즉시 후퇴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하우징(220)의 후퇴를 통해 콘텍트렌즈 몰드(M)가 장착된 스핀들(210)이 후퇴되도록 하는 것이다.
정확하게는,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에 가공되는 3차곡면이 1,2차곡면 보다 상대적으로 곡률이 작기 때문에 바이트(516a)의 진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3차곡면 가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만일 바이트(516a)가 먼저 진입하고 하우징(220)이 후퇴하는 경우 정밀성이 조금이라도 떨어지게 되면 바이트(516a)의 사전 접촉에 의해 콘텍트렌즈(C) 표면에 단턱과 같은 흠집이 형성되어 결국 콘텍트렌즈(C)의 불량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이때, 수평이송가이드(231) 및 회전부재(233)는 스크류방식 또는 볼스크류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해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 스크류방식을 체택하는 경우 나사산이 사다리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다리꼴 형태의 나사산은 산과의 거리가 넓기 때문에 제1회전실린더(230)의 적은 회전으로도 하우징(220)의 이동량을 극대화 할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하우징(220)의 이동량은 제1회전실린더(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트롤러(63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제1회전실린더(230)에는 하우징(220)의 스핀들(210) 선단이 콘텍트렌즈 몰드(M)의 가공위치에 셋팅되도록 회전부재(233)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제1커플링(230a) 및 제1다이얼(230b)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커플링(230a)은 고정볼트(미 도시)의 풀림과 조임에 의해 회전부재(233)를 고정하며, 제1다이얼(230b)은 제1커플링(230a)이 풀림상태일 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부재(233)를 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220)을 슬라이딩시켜 스핀들(210)의 위치를 가변시키게 된다.
제1커플링(230a) 및 제1다이얼(230b)을 통해 스핀들(210)을 셋팅하는 이유는, 하우징(220)이 콘텍트렌즈 몰드(M)의 1,2차곡면 가공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제1회전실린더(230)에 의해 후퇴하기 때문에 복귀되는 과정에서 항상 초기위치로 셋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파스피더(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B) 일측에 구비되며, 바이브레이팅 동작을 통해 수납된 콘텍트렌즈 몰드(M)를 정렬시켜 이송시키는 것으로, 복수개의 콘텍트렌즈 몰드(M)가 수납되는 원통형 수납함(310)과, 수납함(310) 둘레면을 따라 나선형태로 형성되어 콘텍트렌즈 몰드(M)를 몰드장착유닛(400)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레일(3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이송레일(320)에는 이송하는 콘텍트렌즈 몰드(M)의 개방된 위치가 스핀들(210) 방향으로 향하도록 정렬시키는 안내레일(33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파스피더(300)는 무작위로 수납함(310)에 수납되는 복수개의 콘텍트렌즈 몰드(M)가 수납함(310) 하부에 구비된 바이브레이터(미도시)의 진동에 의해 이송레일(320)을 타고 수납함(310)의 상측으로 점진적으로 이송되도록 함과 동시에 안내레일(330)에 의해 콘텍트렌즈 몰드(M)의 개방된 위치가 스핀들(210) 방향으로 향하도록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몰드장착유닛(400)은, 도 5 내지 도 7 및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헤드(200)와 파스피더(300) 사이에 배치되며 파스피더(300)로부터 공급된 콘텍트렌즈 몰드(M)를 스핀들(210)에 장착시키는 것으로, 슈터(410)와, 이송수단(420) 및 몰드장착수단(430)으로 구성되어있다.
슈터(410)는 파스피더(300)로부터 정렬된 상태로 공급된 콘텍트렌즈 몰드(M)를 하우징(220)의 스핀들(210) 선단 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슈터(410)는 스핀들(210)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파스피더(300)의 일측에 결합 된 제1슈터(411)와, 제1슈터(411)와 인접된 상태로 배치되어 스핀들(210)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제2슈터(41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2슈터(411,413)의 내측에는 파스피더(300)로부터 공급된 콘텍트렌즈 몰드(M)가 배출되는 가이드홈(411a,413a)이 연통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가이드홈(411a,413a)을 통해 이송되는 콘텍트렌즈 몰드(M)가 제1,2슈터(411,413)의 경사에 대해 이탈이 없이 안정적인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일, 외부의 환경이 안정적일 경우 제1,2슈터(411,413)의 가이드홈(411a,413a)은 오픈 되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스핀들(210) 방향으로 향하는 제1슈터(411)의 선단에는 제2슈터(413)가 후술하는 이송수단(420)에 의해 슬라이딩 될 때 연통되게 형성된 가이드홈(411a)을 선택적으로 막아 콘텍트렌즈 몰드(M)의 낙하를 방지하는 출몰가능한 스톱퍼(415a)를 갖는 제1실린더(41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슈터(411)와 인접되게 배치된 제2슈터(413)가 스핀들(210)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순간 제1슈터(411)의 선단과 제2슈터(413)의 후단 사이에 이격이 발생되기 때문에 제1슈터(411)의 슬라이딩과 동시에 제1실린더(415)의 구동에 의해 스톱퍼(415a)가 출몰함으로써 제1슈터(411)의 가이드홈(411a)을 폐쇄하여 이송중인 콘텍트렌즈 몰드(M)의 낙하를 막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슈터(410)가 2개의 슈터(410)인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만일 스톱퍼(415a)를 갖는 제1실린더(415)가 파스피더(300)의 이송레일(320) 선단에 구비된 경우 하나의 슈터(410)가 슬라이딩 될 수도 있으므로 슈터(410)의 개수를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송수단(420)은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터(410)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제1,2슈터(411,413) 중 제2슈터(413)를 이송시키는 것으로, 일측이 스핀들헤드(200)의 하우징(220)에 고정되게 결합 된 고정블럭(421)과, 제2슈터(413)가 고정된 상태로 고정블럭(421)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고정블럭(421)에 고정된 제2실린더(425)와 연결되어 제2슈터(413)를 슬라이딩시키는 이동블럭(4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고정블럭(421)은 일측이 하우징(220)에 고정된 상태이고 타측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슈터(410)와 접할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동블럭(423)은 고정블럭(421)의 절곡된 부위에 고정블럭(421)을 타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송수단(420)은 고정블럭(421)에 고정된 제2실린더(425)의 구동에 의해 이동블럭(423)이 고정블럭(421)을 타고 슬라이딩 되도록 함으로써 제2슈터(413)도 함께 이송되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결국 파스피더(300)로부터 제1슈터(411)를 거쳐 제2슈터(413)의 가이드홈(413a)으로 공급된 콘텍트렌즈 몰드(M)를 하우징(220)의 스핀들(210) 선단으로 이동시키게 된다(도 13 및 도 14 참조).
한편, 고정블럭(421)이 하우징(220)에 결합된 것은 하우징(220)의 전.후 슬라이딩 이동시 고정블럭(421)이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블럭(421), 슈터(410) 및 후술하게 되는 몰드장착수단(430)도 함께 연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고정블럭(421), 슈터(410) 및 몰드장착수단(430)이 함께 연동하는 일체구조를 이룸으로써, 스핀들(210)에 콘텍트렌즈 몰드(M) 장착시 콘텍트렌즈 몰드(M)를 통해 하우징(220)으로 전달되는 몰드장착수단(430)의 로더(443a) 압력에 대한 힘의 균형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이 방지되어 결국 하우징(220)의 밀림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만일, 하우징(220)이 몰드장착수단(430)의 로더(443a) 압력에 의해 밀리는 경우, 하우징(220)의 초기상태 복귀시 밀림에 따른 거리만큼의 이격이 발생되기 때문에 초기셋팅에 따른 치수변동이 발생되어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두께 가공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문제를 갖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수단(420)이 고정블럭(421)과 이동블럭(423)으로 된 구조이지만, 그 구조를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결합방법을 통해 구성될 수도 있다.
몰드장착수단(430)은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터(410)의 선단에 배치되며 슈터(410)로부터 배출되는 콘텍트렌즈 몰드(M)를 공급받아 스핀들(210)의 선단에 장착시키는 것으로, 제2회전실린더(431)와, 캠(432)과, 가이드커버(433)와, 푸싱수단(4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회전실린더(431)는 스핀들(210)로 향하는 이동블럭(423)의 선단측 즉 하우징(220) 측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캠(432)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제2회전실린더(431)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모터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캠(432)은 부채꼴 형상으로 제2회전실린더(431)와 축 결합되어 회전하며, 둘레의 어느 일측에는 슈터(410) 중 제2슈터(413)의 가이드홈(413a)으로부터 배출되는 콘텍트렌즈 몰드(M)가 수용되도록 외측으로 개방된 수용홈(4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수용홈(432a)은 내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수용홈(432a)으로 수용된 콘텍트렌즈 몰드(M)가 캠(432)의 회전시 스핀들(210)의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캠(432)에 수용홈(432a)이 하나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개의 수용홈(432a)이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에 그 개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는, 수용홈(432a)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캠(432)의 회전을 통해 각 수용홈(432a)으로 수용되는 콘텍트렌즈 몰드(M)가 계속적으로 스핀들(210)로 공급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2회전실린더(431)와 캠(432) 사이에는 제2회전실린더(431) 축과 캠(432) 축이 이격된 상태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동기어(434) 및 종동기어(435)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구동기어(434)는 제2회전실린더(431)와 축 결합되어 회전하며, 종동기어(435)는 구동기어(434)와 치합을 이룬상태로 캠(432)과 축 결합되어 구동기어(434)의 회전에 의해 캠(432)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기어(434)와 종동기어(435)를 이용하여 제2회전실린더(431)와 캠(432)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이유는, 이동블럭(423)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때 제2실린더(425) 또한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하는 제2실린더(425)가 하우징(22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캠(432)의 수용홈(432a) 중심과 스핀들(210)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회전실린더(431)와 캠(432)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동기어(434)와 종동기어(435)가 구비되었지만, 만일 제2실린더(425)와 하우징(220)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구조일 경우 제2회전실린더(431)와 캠(432)이 동일한 선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기 때문에 구조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구동,종동기어(434,435)와 캠(432) 사이에는 이동블럭(423)에 고정되어 캠(432)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캠(432)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일부가 절개된 백커버플레이트(436)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는 캠(432)의 회전시 수용홈(432a)에 수용된 콘텍트렌즈 몰드(M)가 스핀들(210)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도 13 및 도 14 참조).
가이드커버(433)는 회전하는 캠(432)의 외측둘레면을 따라 인접되게 배치되며, 캠(432) 회전시 수용홈(432a)에 수용된 콘텍트렌즈 몰드(M)가 캠(432)의 둘레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푸싱수단(440)은 캠(432)에 결합된 상태로 캠(432)과 함께 연동하며, 캠(432)의 회전을 통해 콘텍트렌즈 몰드(M)가 스핀들(210)과 일직선상으로 얼라인 됐을 때 외측으로부터 콘텍트렌즈 몰드(M)를 푸싱하여 스핀들(210)의 선단에 장착시킨다.
이때 푸싱수단(440)은, 캠(432)의 일측 표면에 직교되게 결합 된 고정브라켓(441)과, 캠(432)의 수용홈(432a)과 일직선상을 이루도록 고정브라켓(441)에 고정되며 선단이 수용홈(432a)과 인접된 상태로 콘텍트렌즈 몰드(M)가 스핀들(210)과 얼라인 됐을 때 콘텍트렌즈 몰드(M)를 푸싱하여 스핀들(210)에 장착시키는 로더(443a)가 구비된 제3실린더(443)와, 캠(432)과 제3실린더(443) 사이의 고정브라켓(441)에 구비되어 로더(443a)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445)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드가공유닛(500)은 도 15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210) 선단측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스핀들(210)에 장착된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에 안구에 대응되는 1차곡면 영역, 동공에 대응되는 2차곡면 영역 및 테두리에 대응되는 3차곡면 영역(엣지)을 가공하는 것으로, 가공수단(510)과, 구동수단(520) 및 셋팅수단(530)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공수단(510)은 스핀들(210) 회전시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과 접촉하면서 콘텍트렌즈(C)의 표면에 1차곡면, 2차곡면 및 엣지영역인 3차곡면을 가공하는 것으로, 회동부재(511)와, 제1슬라이더부재(512)와, 제2슬라이더부재(513)와, 제3회전실린더(514)와, 제4실린더(515) 및 바이트척(516)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동부재(511)는 판상의 직사각 형상으로 저면으로는 후술하게 되는 구동수단(520)의 제1회전축(521)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1회전축(521)의 회전에 의해 회동하게 된다.
제1슬라이더부재(512)는 판상의 직사가 형상으로 회동부재(511)의 상부측에 스핀들(210)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슬라이더부재(513)는 제1슬라이더부재(51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판상으로 제1슬라이더부재(512)의 상부측에 스핀들(210)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3회전실린더(514)는 제1슬라이더부재(512)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3회전실린더(514)의 구동을 통해 제2슬라이더부재(513)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제3회전실린더(514)는 제1슬라이더부재(512)의 일측에 배치되어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1차곡면, 2차곡면 및 엣지영역인 3차곡면 가공을 위해 제2슬라이더부재(513)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키게 되며, 이때 제2슬라이더부재(513)는 제3회전실린더(514)의 축(S)과 연결된 상태이다.
제4실린더(515)는 제3회전실린더(514)의 맞은편 즉 회동부재(511)의 타측에 고정 배치되어 콘텍트렌즈 몰드(M)의 공급 및 배출시 제1슬라이더부재(512)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즉, 제4실린더(515)는 콘텍트렌즈 몰드(M)의 공급 및 배출시 제1슬라이더부재(512)를 선택적으로 후퇴시킴으로써 콘텍트렌즈 몰드(M)와 바이트(516a)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바이트척(516)은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과 접촉하면서 표면을 가공하는 바이트(516a)가 구비되며, 제2슬라이더부재(513)의 상측에 전후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의 바이트척(516) 및 바이트(516a)는 통상적인 것임에 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가공수단(510)은 후술하는 제1회전축(521)의 회전에 의해 회동부재(511)가 회동을 하게 되고, 회동부재(511)의 회동에 의해 상측에 배치된 제1,2슬라이더부재(512,513) 및 바이트척(516)도 함께 연동하게 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즉, 회동부재(511)의 회동에 의해 제1,2슬라이더부재(512,513) 및 바이트척(516)이 함께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스핀들(210)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1,2,3차곡면이 가공되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한편, 제1슬라이더부재(512)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키는 이유는, 콘텍트렌즈 몰드(M)가 몰드장착수단(430)을 통해 스핀들(210)의 선단에 장착될 때 바이트(516a)가 후방으로 순간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바이트(516a)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고 더불어 가공이 완료된 콘텍트렌즈 몰드(M)의 배출시 후술하는 배출셔터(610)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바이트(516a)가 콘텍트렌즈 몰드(M) 가공을 위해 항상 셋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며 다양한 크기를 갖는 콘텍트렌즈 몰드(M)의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더불어, 회동부재(511) 및 제1,2슬라이더부재(512,513)의 회동은 회동이 시작되는 시점과 종료되는 시점 사이의 각도가 0도~90도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콘텍트렌즈 몰드(M)의 표면 가공시 콘텍트렌즈 몰드(M)가 스핀들(210)에 장착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콘텍트렌즈 몰드(M)의 중심까지만 가공하면 가공이 완료되기 때문이다.
한편, 제3회전실린더(514)에는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1차곡면 및 2차곡면 가공을 위해 바이트(516a)를 가공위치에 셋팅되도록 제2슬라이더부재(513)를 수동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3커플링(514a) 및 제3다이얼(514b)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3커플링(514a)은 고정볼트(미 도시)의 풀림과 조임에 의해 제2슬라이더부재(513)와 연결된 제3회전실린더(514)의 축(S)을 고정하며, 제3다이얼(514b)은 제3커플링(514a)이 풀림상태일 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축(S)을 이동시킴으로써 결국 제2슬라이더부재(513)를 슬라이딩시켜 제2슬라이더부재(513)의 상측에 구비된 바이트(516a)를 콘텍트렌즈 몰드(M) 가공 위치에 셋팅되도록 한다.
제3커플링(514a) 및 제3다이얼(514b)을 통해 바이트(516a)를 셋팅하는 것은, 바이트(516a)의 셋팅에 의해 대량으로 가공되는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1,2차곡면이 동일하게 가공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후술하게 되는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3차곡면 가공시 축(S)의 전.후 이동 이후 바이트(516a)의 복귀상태가 항상 초기에 셋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하여,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회전실린더(514)의 단부에는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3차곡면 가공량이 제어되도록 제2슬라이더부재(513)를 제한적으로 전.후 슬라이딩시키는 회전제어장치(518)가 구비된다.
회전제어장치(518)는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에 1,2차곡면을 가공한 바이트(516a)가 복귀하는 과정에서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3차곡면 영역에 엣지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제3회전실린더(514)의 축(S)을 중심에 위치되게 수용한 상태로 제3회전실린더(514) 단부에 구비된 축고정부재(518a)와, 제3회전실린더(514)의 축(S)과 결합되어 축(S)과 연동하는 회전스톱퍼(518b)와, 축고정부재(518a)의 표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회전스톱퍼(518b)의 회전반경을 제어하는 한 쌍의 회전제어블럭(518c)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회전제어장치(518)는 축고정부재(518a)에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회전제어블럭(518c)의 위치에 따라 회전스톱퍼(518b)의 회전이 제한되는 구조를 이룸에 따라 축(S)의 슬라이딩 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결국 제2슬라이더부재(513)에 구비된 바이트(516a)의 이동범위가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며, 여기서 회전스톱퍼(518b)에 의한 바이트(516a)의 이동범위는 최초 1차곡면 가공이 시작되는 위치로부터 3차곡면 영역이 시작되는 위치이다.
따라서, 복귀하는 바이트(516a)가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3차곡면 영역에 근접하게 되면 회전스톱퍼(518b)의 회전에 의해 3차곡면 영역으로 진입하면서 3차곡면인 엣지를 가공하는 것이다.
더하여, 회전제어장치(518)의 외부에는 회전제어장치(518)가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커버하는 보호캡(519)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공수단(510)의 구조를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으며, 다양한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동수단(520)은 가공수단(5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공수단(510)을 회동시키는 것으로, 가공수단(510)의 회동부재(511)의 저면에 결합된 제1회전축(521)과, 베이스(B) 내부에 구비된 제2구동모터(522)와, 내부로 제1회전축(521)이 삽입고정되며 제2구동모터(522)와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회전부재(523)와, 제1회전축(521)이 관통된 상태로 제1회전부재(523)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는 외부로 돌출된 돌출바(524a)가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비틀림스프링(524b)이 마련되어 제1회전부재(523)의 회전을 통한 비틀림스프링(524b)의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해 회전하는 제2회전부재(524)로 구성된다.
즉, 가공수단(510)은 제1회전부재(523)가 제2구동모터(522)와 벨트로 연결된 상태임에 따라 제2구동모터(52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제1회전부재(523)의 내부로 삽입고정된 제1회전축(521)이 연동하게 됨으로써 결국 제1회전축(521)과 결합된 회동부재(511)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1회전축(521)의 회전과 함께 제2회전부재(524)도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부재(524)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바(524a)가 후술하게 되는 셋팅수단(530)의 제2회전축(539) 하단에 형성된 고정홈(539a)에 삽입되고, 외주연에 마련된 비틀림스프링(524b)의 일단 및 타단이 제1회전부재(523) 및 제2회전부재(524)에 각각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2구동모터(522)에 의해 제1회전부재(523)가 회전할 때 제2회전부재(524)도 함께 자유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돌출바(524a)가 제2회전축(539)의 고정홈(539a)에 삽입된 상태임에 따라 제2회전부재(524)의 회전을 구속하게 되고 이로 인해 비틀림스프링(524b)의 양단이 각각 제1회전부재(523) 및 제2회전부재(524)에 고정된 상태임을 감안하면 제2회전부재(524)는 비틀림스프링(524b)의 조임 또는 풀림이 이루어질 때 까지만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베이스(B)의 내부에는 제1회전부재(523)를 지지하는 상판(525a)과 제2구동모터(522)를 지지하는 하판(525b)이 상호 결합되게 배치되되, 상판(525a)의 일측 상부에는 상판(525a)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슬라이더부재(526)가 구비되고, 제3슬라이더부재(526)의 상측에는 제3슬라이더부재(526)와 축 결합되어 제3슬라이더부재(526)를 회동시키는 회동지지대(527)가 구비된다.
즉, 상판(525a) 및 하판(525b)은 제1회전부재(523) 및 제2구동모터(522)가 베이스(B) 내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제3슬라이더부재(526)는 후술하는 셋팅수단(530)의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 두께에 따른 가공량 조절을 위해 슬라이딩 되는 조정블럭(532)의 이동 시 이동에 따른 거리 값이 보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회동지지대(527)는 조정블럭(532)이 스핀들(210) 방향에 대해 대각선으로 이동되는 경우 회동지지대(527)를 중심으로 상판(525a) 및 하판(525b)이 회동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대각선 거리 값이 보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후술하게 되는 셋팅수단(530)의 지지체(534) 일측에 고정되어 있다.
셋팅수단(530)은, 도 15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수단(510)과 구동수단(520)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수단(520)에 의해 회전하며,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두께에 따른 2차곡면 가공량을 조정하는 것으로, 내캡(531)과, 제2회전축(539)과, 조정블럭(532)과, 외캡(533) 및 지지체(534)로 구성되어 있다.
내캡(531)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측에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1회전축(521)을 회전가능하게 감싼 상태로 후술하는 조정블럭(532)에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회전축(539)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캡(531)이 내주연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수용하고, 하단에는 제2회전부재(524)가 일부 수용된 상태로 돌출바(524a)가 삽입되는 고정홈(539a)이 내주연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하단 외주면에는 제2회전부재(524)에 의한 회전이 제한되도록 후술하는 스톱퍼부재(537)와 접촉하는 제어돌기(539b)가 형성되어 제2회전부재(524)와 연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제2회전축(539)은 내주연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고정홈(539a)으로 제2회전부재(524)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바(524a)가 삽입됨에 따라 제1회전부재(523)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비틀림스프링(524b)의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해 제2회전부재(524)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제2회전부재(524)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돌출바(524a)도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결국 돌출바(524a)에 의해 제2회전부재(524)와 연동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의 경우, 제2회전축(539)의 회전 각도는 비틀림스프링(524b)의 조임 또는 풀림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물론이다.
더하여, 제2회전축(539)의 내부로 내캡(531)이 이격되게 수용되는 것은 후술하게 되는 조정블럭(532)의 슬라이딩 이동 시 함께 이동하는 제1회전축(521) 및 내캡(531) 중 내캡(531)의 외주연이 제2회전축(539)의 내주연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는 콘텍트렌즈 몰드(M)의 2차곡면 가공을 위해 제1회전축의 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조정블럭(532)은 내캡(531)이 관통된 상태로 내캡(531)과 제2회전축(539) 사이에 배치되어 상측은 내캡(531)과 결합볼트를 통해 결합되고, 하측은 제2회전축(539) 상측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구비된 조절노브(532a)에 의해 제1회전축(521) 및 내캡(531)을 상기 스핀들(210)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두께에 따른 2차곡면 가공량이 조정되도록 제2회전축(539)과 연동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조정블럭(532)은 상측이 내캡(531)과 결합되고 하측이 제2회전축(539)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됨에 따라 제1회전축(521) 및 내캡(531)과 일체 된 모듈을 이룬 상태임에 따라 제2회전축(539)의 회전시 함께 연동 회전하게 된다.
또한, 조정블럭(532)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구비된 조절노브(532a)의 조절에 의해 제2회전부재(524)의 상측에서 스핀들(210)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기 때문에 제1회전축(521) 및 내캡(531)도 함께 이동시키게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회전축(521) 및 내캡(531)이 조정블럭(532)에 의해 스핀들(210)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회전축(521)의 이동과 함께 제1회전축(521)이 결합된 가공수단(510)이 이동함으로써 결국 바이트(516a)가 스핀들(2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바이트(516a)가 이동하는 거리의 정도에 따라 스핀들(210)에 장착된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2차곡면 가공량이 달라지는 것이다.
따라서, 조정블럭(532)의 이동에 의해 제1회전축(521) 및 제2회전축(539)이 서로 다른 중심축을 형성하기 때문에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1차곡면 및 2차곡면의 곡률이 다르게 가공되는 것이다.
더하여, 조정블럭(532)에는 조절노브(532a)를 통한 조정블럭(532)의 슬라이딩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게이지(미 부호)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는 케이지를 통해 조정블럭(532)의 이동량 즉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두께 가공 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외캡(533)은 내측으로 베어링이 구비되어 제2회전축(539)을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것으로 제2회전축(539)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지지체(534)는 베이스(B)에 구비되어 외캡(533)을 지지하는 것으로, 외캡(533)이 안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노브(532a)가 구비된 조정블럭(532)의 반대편에는 조정블럭(532)과 연동하는 원판의 일부형상을 갖는 2단 구조의 상부원판(535)과 하부원판(536)이 구비되어 있다.
하부원판(536)에는 둘레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콘텍트렌즈 몰드(M)의 가공시 곡면영역 중 1차곡면 영역을 설정하는 제1설정블럭(536a)이 구비되며, 상부원판(535)에는 둘레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콘텍트렌즈 몰드(M)의 가공시 곡면영역 중 2차곡면 영역을 설정하는 제2설정블럭(535a)이 구비되어 있다.
즉, 제1설정블럭(536a)은 바이트(516a)에 의해 콘텍트렌즈 몰드(M)의 표면 가공이 시작될 때 1차곡면 구간의 시작과 종료되는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제2설정블럭(535a)은 1차곡면이 종료되는 시점으로부터 2차곡면 가공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더불어, 제1설정블럭(536a) 및 제2설정블럭(535a)이 하부원판(536) 및 상부원판(535)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됨에 따라 만일 가공 대상인 콘텍트렌즈 몰드(M)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진 경우 그 대상의 크기에 맞게 이동 고정되어 1,2차곡면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제1설정블럭(536a)의 하부에는 콘트롤러(6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수신하는 센서(53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부원판(536)의 회전에 따른 제1설정블럭(536a)의 초기 위치와 몰드가공유닛(500)의 가공완료에 따른 원점으로의 복귀를 센싱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설정블럭(536a)은 스톱퍼부재(537)에 의해 제어된다.
스톱퍼부재(537)는 셋팅수단(530)의 지지체(534) 일측에 구비되어 앞서 서술된 제2회전축(539)의 제어돌기(539b)와 접촉을 이룸으로써 제1설정블럭(536a)의 1차곡면 가공영역 구간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스톱퍼부재(537)는 제어돌기(539b)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스톱퍼부재(537)는 내측이 중공되며 지지체(534)에 관통 삽입된 고정캡(537a)과, 고정캡(537a)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선단이 회전하는 제2회전축(539)의 제어돌기(539b)와 접촉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이동부재(537b)로 구성되어 있다.
즉, 스톱퍼부재(537)는 고정캡(537a) 내부를 이동하는 이동부재(537b)의 이동에 따라 콘텍트렌즈 몰드(M)의 1차곡면 가공량 폭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동부재(537b)는 고정캡(537a)과 나선결합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고정캡(537a)의 내부에는 이동부재(537b)의 이동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미 부호)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헤드(200)의 일측에는 스핀들(210)과 인접되게 배치되며 콘텍트렌즈 몰드(M)를 배출하는 배출장치(600)가 구비되되, 배출장치(600)는 선단이 스핀들(210)을 수용한 상태로 스핀들(21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동하는 배출셔터(610)와, 배출셔터(610)와 연결된 상태로 스핀들(210)의 일측에 배치되어 배출셔터(6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5실린더(6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스핀들(210)의 인접된 위치에는 배출되는 콘텍트렌즈 몰드(M)를 별도의 적재공간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배출레일(미 부호)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장치는 장치의 구성중 제1회전실린더(230) 및 회전제어장치(518)의 구동을 정지시킨 상태로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1,2차곡면 만을 가공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콘텍트렌즈 몰드(M)의 공급 및 가공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 중 안구에 대응되는 1차곡면 영역, 동공에 대응되는 2차곡면 영역 및 콘텍드렌즈 몰드(M)의 테두리에 대응되는 3차곡면 영역에 대응하도록 바이트(516a)의 위치를 설정하는 제1단계는, 가공 대상이 되는 콘텍트렌즈 몰드(M)의 크기에 따른 1차곡면 영역, 2차곡면 영역 및 엣지가공을 위한 3차곡면 영역의 가공 범위 및 가공두께에 대한 바이트(516a)의 위치가 설정되도록 한다.
먼저, 제3회전실린더(514)에 구비된 제3커플링(514a)의 고정볼트(미 도시)를 풀어 제2슬라이더부재(513)와 연결된 축(S)의 조임상태를 해제한 후 제3다이얼(514b)을 회전하면서 제2슬라이더부재(513)를 이동시켜 바이트(516a)가 콘텍트렌즈 몰드(M)의 가공 1차곡면이 시작되는 콘텍트렌즈 몰드(M)의 테두리에 위치되도록 셋팅한다.
이후, 하부원판(536)에 둘레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설정블럭(536a)을 1차곡면이 종료되는 위치에 고정하여 바이트(516a) 의해 가공되는 1차곡면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의 제1설정블럭(536a)이 1차곡면의 종료위치에 도달하면 멈출수 있도록 내캡(531)에 구비된 제어돌기(539b)와 접촉하는 스톱퍼부재(537)의 이동부재(537b)를 조절하여 내캡(531)의 회전이 1차곡면 영역에서만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이는, 상기 바이트(516a)가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을 따라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폭 만큼 즉 1차곡면이 종료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서 가공하도록 하여 바이트(516a)의 가공에 의한 1차곡면 영역 범위가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2차곡면 가공을 위한 2차곡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먼저 조정블럭(532)에 구비된 조절노브(532a)를 회전하여 조정블럭(532)과 함께 제1회전축(521)을 스핀들(210) 방향으로 전.후이동 이동시켜 제1회전축(521)이 제2회전축의 축선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정한다.
이때, 제1회전축(521)과 결합된 회동부재(511)도 함께 연동하기 때문에 결국 바이트(516a)도 이동하게 되며, 바이트(516a)가 이동하는 거리의 정도에 따라 스핀들(210)에 장착된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2차곡면 가공량이 달라지게 된다.
더하여, 1차곡면 가공 이후 2차곡면 가공이 바로 시작되도록 상부원판(535)의 둘레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설정블럭(535a)을 제1설정블럭(536a)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한다.
이렇게 되면, 바이트(516a)가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1차곡면 가공 이후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내측 중심까지 이동하면서 가공하도록 하여 바이트(516a)의 가공에 의한 2차곡면 영역 범위가 설정된다.
다음으로 3차곡면 가공을 위한 3차곡면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먼저 제3회전실린더(514)의 일측에 구비된 회전제어장치(518)의 한 쌍의 회전제어블럭(518c)을 서로 이격되게 고정시켜 회전스톱퍼(518b)의 회전을 제한되게 셋팅한다.
이때, 회전스톱퍼(518b)의 제한된 회전은 제2슬라이더부재(513)와 연결된 축(S)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결국 제2슬라이더부재(513)에 구비된 바이트(516a)의 전.후 이동범위가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바이트(516a)가 2차곡면 가공이후 복귀할 때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테두리로 이동하면서 테두리의 일부를 가공하도록 3차곡면 영역이 설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복귀하는 바이트(516a)가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3차곡면 영역에 근접하게 되면 회전스톱퍼(518b)의 회전에 의해 3차곡면 영역으로 진입하면서 3차곡면인 엣지가 가공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콘텍트렌즈 몰드(M)의 3차곡면 영역을 가공시 바이트(516a)가 진입할 수 있도록 콘텍트렌즈 몰드(M)가 장착된 스핀들(210)이 후퇴하는 이동량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회전실린더(230)에 구비된 제1커플링(230a)의 고정볼트(미 도시)를 풀어 회전부재(233)의 조임상태를 해제한 후 제1다이얼(230b)을 회전하면서 회전부재(233)를 이동시켜 스핀들(210) 선단을 콘텍트렌즈 몰드(M)의 가공위치에 셋팅 시킨다.
이후, 제1회전실린더(230)의 회전량을 설정하면 제1회전실린더(230)의 회전에 따라 회전부재(233)가 회전하기 때문에 하우징(220)의 이동량이 설정되며, 이 경우 하우징(220)의 이동량은 1~2mm 인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M)를 장착하여 회전시키는 스핀들(210)로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M)를 공급하는 제2단계는, 스핀들(210)로 콘텍트렌즈 몰드(M) 공급하여 장착시키는 것이다.
먼저, 복수개의 콘텍트렌즈 몰드(M)를 파스피더(300)에 수납하여 파스피더(300) 내부에 장착된 바이브레이터(미 도시)에 의해 정렬되도록 한다.
이때, 콘텍트렌즈 몰드(M)는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이송레일(320)을 타고 수납함(310)의 상측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송되고, 이송되는 과정에서 안내레일(330)을 통과하면서 개방된 위치가 스핀들(210) 방향으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방향이 전환된 콘텍트렌즈 몰드(M)는 도 13,14 및 도 19,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슈터(411)의 가이드홈(411a)을 타고 제1슈터(411)의 내부로 공급된 후 제1슈터(411)와 인접된 제2슈터(413)의 가이드홈(413a)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제2슈터(413)로 이동한 콘텍트렌즈 몰드(M)는 제2슈터(413)를 통해 캠(432)에 형성된 수용홈(432a)으로 수용된다. 이때 제1슈터(411) 및 제2슈터(413)의 각 가이드홈(411a,413a)에는 파스피더(300)로부터 공급된 콘텍트렌즈 몰드(M)가 적재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콘텍트렌즈 몰드(M)는 캠(432)의 수용홈(432a)을 통해 순차적으로 스핀들(210)로 공급된다.
이후, 콘텍트렌즈 몰드(M)가 적재된 제2슈터(413)는 제2실린더(425)의 구동을 통한 이동블럭(423)의 슬라이딩에 의해 스핀들(2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된 캠(432)의 위치는 캠(432)을 중심으로 둘레면에 형성된 수용홈(432a)의 궤적과 스핀들(210)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이다.
이는, 제2슈터(413)로부터 콘텍트렌즈 몰드(M)를 공급받기 위한 캠(432)의 수용홈(432a) 위치가 캠(432)의 회전에 의해 가변된 상태이기 때문이며, 콘텍트렌즈 몰드(M)가 수용된 상태에서 캠(432)의 회전을 통해 스핀들(210)의 선단에 얼라인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제2슈터(413)가 슬라이딩 되는 과정에서 캠(432)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는 제2슈터(413)의 슬라이딩과 동시에 캠(432)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콘텍트렌즈 몰드(M)의 신속한 공급과 함께 가공시간이 단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콘텍트렌즈 몰드(M)가 스핀들(210)과 얼라인되면 콘텍트렌즈 몰드(M)를 푸싱하여 스핀들(210)에 장착시킨다.
먼저, 캠(432)에 구비된 제3실린더(443)는 구동에 의해 로더(443a)를 스핀들(210) 방향으로 이동시고, 이동하는 로더(443a)는 스핀들(210)과 얼라인된 콘텍트렌즈 몰드(M)를 스핀들(210) 방향으로 푸싱하여 콘텍트렌즈 몰드(M)를 스핀들(210) 선단에 장착시킨다(도 12 참조).
이후, 제2슈터(413)는 콘텍트렌즈 몰드(M)의 장착이 완료됨과 동시에 제2실린더(425)의 구동을 통한 이동블럭(423)의 슬라이딩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제2슈터(413)가 복귀되는 과정에서 캠(432)은 최초의 위치로 회전하면서 다시 제2슈터(413)를 통해 수용홈(432a)으로 콘텍트렌즈 몰드(M)를 공급받으며 스핀들(210)에 장착된 콘텍트렌즈 몰드(M)의 가공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도 13 참조).
1차곡면 영역에 대응하여 바이트(516a)를 구동시켜서 회전하는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1차곡면 영역을 가공하고, 2차곡면 영역에 대응하여 바이트(516a)를 구동시켜서 2차곡면 영역을 가공하는 제3단계는,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1,2차 곡면이 가공되는 것이다.
1차곡면 및 2차곡면 가공 전 콘텍트렌즈 몰드(M)는 스핀들(210)의 선단에 장착된 상태로 제1구동모터(240)에 의해 회전하는 상태이다.
먼저, 제2구동모터(522)의 구동에 의해 제1회전부재(523)가 회전하면서 제1회전축(521)을 회전시킨다.
이때, 회동부재(511)는 회전하는 제1회전축(521)과 연동하면서 제1회전축(52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회동부재(511)의 회동에 따라 회동부재(511)의 상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1,2슬라이더부재(512,513)와 제3회전실린더(514) 및 제4실린더(515)가 함께 연동하게 된다.
더불어, 제1회전부재(523)의 회전에 따라 비틀림스프링(524b)에 의해 제1회전부재(523)와 연결된 제2회전부재(524)가 연동 회전하게 되고, 이와 함께 제2회전부재(524)의 돌출바(524a)가 끼워진 고정홈(539a)을 갖는 제2회전축(539) 역시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제2회전축(539)이 회전됨에 따라 제2회전축(539)과 결합 된 조정블럭(532)이 회전을 하게 되고, 조정블럭(532)의 반대편에 구비된 상부원판(535) 및 하부원판(536)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바이트(516a)가 도 22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선상의 우측으로 구동하면서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1차곡면 및 2차곡면을 가공하는 것이다.
이 경우, 바이트(516a)에 의한 1차곡면 영역 및 2차곡면 영역은 앞서 서술된 바와 같이 이미 셋팅된 상태이다.
한편, 도 22는 바이트(516a)의 구동전 상태로 상부원판(535) 및 하부원판(536)의 제2설정블럭(535a) 및 제1설정블럭(536a)은 상하로 일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제1설정블럭(536a)은 하측에 위치한 센서(538)에 의해 감지된 상태이다.
이때, 제2회전축(539)은 회전이 시작되기 전 상태에서 상시 비틀림스프링(524b)의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한 신축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회전축(521)의 회전방향으로 복귀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1회전축(521)의 회전이 시작되면, 가공수단(510), 조정블럭(532) 및 상,하부원판(535,536)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구동하게 되고, 이와 함께 제1회전축(521)의 회전에 의해 제2슬라이더부재(513)가 스핀들(210)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바이트(516a)가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과 접촉을 이루면서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1차곡면 영역을 가공하게 된다.
이후, 제2회전축(539)은 제1회전축(521)과 연동하는 과정에서 바이트(516a)를 통해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1차곡면 영역을 가공하게 되고, 1차곡면 영역 가공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제어돌기(539b)가 스톱퍼부재(537)에 걸림에 따라 회전을 멈추게 되며, 이 상태에서 제1회전축(521)은 계속적인 회전을 하게 된다.
즉, 제2회전축(539)의 정지에 따라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1차곡면 가공이 완료되는 것이다(도 23의 바이트 위치 참조).
여기서, 1차곡면의 가공영역은 하부원판(536)의 둘레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설정블럭(536a)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콘텍트렌즈 몰드(M)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크기에 대응하여 제1설정블럭(536a)의 위치를 가변하여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후, 1차곡면 가공이 완료됨과 동시에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2차곡면을 가공하게 된다. 도 23에 도시된 상태가 제1곡면 가공완료 및 2차곡면 가공이 시작되는 상태이다.
2차곡면 가공이 시작되면 제1회전축(521)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수단(510) 즉 바이트(516a)를 우측으로 구동시켜 스핀들(210)과 일직선상이 될 때까지 회전시켜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2차곡면 가공을 완료한다.
여기서, 2차곡면 영역은 상부원판(535)의 둘레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설정블럭(535a)의 위치에 따라 1차곡면 영역과 다르게 가공되는데, 이는 콘텍트렌즈 몰드(M)의 크기 또는 2차곡면의 가공정도에 따라 제2설정블럭(535a)의 위치가 가변되기 때문이고, 이로 인해 제1회전축(521)과 제2회전축(539)이 서로 다른 중심축을 유지 함에 따라 가공 영역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후, 2차곡면 영역 가공을 완료한 바이트(516a)는 제1회전축(521)의 역회전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다음으로 3차곡면 영역에 대응하여 바이트(516a)를 구동시켜 3차곡면 영역을 가공하여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 가공을 완료하는 제4단계는, 3차곡면 영역 가공을 가공하여 마무리하는 것이다.
이때, 바이트(516a)가 1차곡면 및 2차곡면 가공 이후 복귀하는 과정에서 수평선상의 전.후 구동에 의해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의 3차곡면을 가공하게 된다.
먼저, 2차곡면 영역 가공 이후 바이트(516a)는 복귀하게 되고, 복귀와 동시에 하우징(220)은 제1회전실린더(230)의 구동에 의해 대략 1~2mm 정도로 후퇴하게 된다.
이는, 콘텍트렌즈 몰드(M)가 장착된 스핀들(210)을 후퇴시킴으로써 바이트(516a)로부터 콘텍트렌즈 몰드(M)를 이격시키고 3차곡면 영역 가공을 위해 바이트(516a)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이후, 바이트(516a)는 제1회전축(521)의 역회전에 의해 복귀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가공수단(510)이 하우징(220)의 후퇴신호가 콘트롤러(630)에 의해 감지되면 제3회전실린더(514)를 구동시키게 된다.
즉, 바이트(516a)가 3차곡면 영역에 근접하는 상태이다.
이때, 제3회전실린더(514)가 구동 하면서 축(S)을 회전시키는데, 이 경우 축(S)은 회전제어장치(518)의 회전스톱퍼(518b)와 결합된 상태로 한 쌍의 회전제어블럭(518c)에 의해 제한된 회전을 하기 때문에 제2슬라이더부재(513)를 제한된 거리 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바이트(516a)가 제2슬라이더부재(513)의 이동에 의해 3차곡면 영역이 시작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바이트(516a)는 제1회전축(521)의 계속적인 역회전에 의해 어느 순간 3차곡면 영역과 접촉을 이루면서 3차곡면 영역을 가공하게 된다.
3차곡면 영역의 가공이 완료되면 회전스톱퍼(518b)는 역회전을 통해 바이트(516a)를 초기의 셋팅위치로 복귀시켜 콘텍트렌즈 몰드(M)의 가공을 완료하며 다음 가공을 위해 대기하게 된다.
더하여, 제1회전축(521)은 바이트(516a)를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이미 1차곡면 영역 가공 완료 시점에서 스톱퍼부재(537)에 의해 멈춰있는 제2회전축(539)을 회전시키면서 셋팅수단(530)의 조정블럭(532) 및 상,하부원판(535,536)을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그리고, 가공이 완료된 콘텍트렌즈 몰드(M)는 스핀들(210)의 일측에 배치된 배출장치(600)의 제5실린더(620)의 구동에 의해 제5실린더(620)의 축과 연결된 상태로 스핀들(210)을 수용한 배출셔터(610)가 스핀들(21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스핀들(210)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다.
한편, 콘텍트렌즈의 몰드(M)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질 때 제4실린더(515)는 바이트(516a)를 선택적으로 후퇴시키게 되는데, 이는 제4실린더(515)가 콘텍트렌즈 몰드(M)의 공급 및 배출시 제1슬라이더부재(512)를 선택적으로 후퇴시킴으로써 콘텍트렌즈 몰드(M)와 바이트(516a)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정확하게는 바이트(516a)가 콘텍트렌즈의 몰드(M)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질 때 항상 초기상태이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콘텍트렌즈 몰드(M) 가공은 앞서 서술된 일련의 공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서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은,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시 콘텍트렌즈 몰드가 대기시간 없이 신속하게 자동으로 스핀들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가공시간을 단축함과 더불어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을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200 : 스핀들헤드 210 : 스핀들
220 : 하우징 230 : 제1회전실린더
230a : 제1커플링 230b : 제1다이얼
231 : 수평이송가이드 233 : 회전부재
235 : 수평이송수단 240 : 제1구동모터
300 : 파스피더 310 : 수납함
320 : 이송레일 330 : 안내레일
400 :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 410 : 슈터
411 : 제1슈터 411a,413a : 가이드홈
413 : 제2슈터 415: 제1실린더
415a : 스톱퍼 420 : 이송수단
421 : 고정블럭 423 : 이동블럭
425 : 제2실린더 430 : 몰드장착수단
431 : 제2회전실린더 432 : 캠
432a : 수용홈 433 : 가이드커버
434 : 구동기어 435 : 종동기어
436 : 백커버플레이트 440 : 푸싱수단
441 : 고정브라켓 443 : 제3실린더
443a : 로더 445 : 지지브라켓
500 :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유닛 510 : 가공수단
511 : 회동부재 512 : 제1슬라이더부재
513 : 제2슬라이더부재 514 : 제3회전실린더
514a : 제3커플링 514b : 제3다이얼
515 : 제4실린더 516 : 바이트척
516a : 바이트 518 : 회전제어장치
518a : 축고정부재 518b : 회전스톱퍼
518c : 회전제어블럭 520 : 구동수단
521 : 제1회전축 522 : 제2구동모터
523 : 제1회전부재 524 : 제2회전부재
524a : 돌출바 524b : 비틀림스프링
525a : 상판 525b : 하판
526 : 제3슬라이더부재 527 : 회동지지대
530 : 셋팅수단 531 : 내캡
532 : 조정블럭 532a : 조절노브
533 : 외캡 534 : 지지체
535 : 상부원판 535a : 제2설정블럭
536 : 하부원판 536a : 제1설정블럭
537 : 스톱퍼부재 537a : 고정캡
537b : 이동부재 538 : 센서
539 : 제2회전축 539a : 고정홈
539b : 제어돌기 600 : 배출장치
610 : 배출셔터 620 : 제5실린더
630 : 콘트롤러 640 : 표시부
700 :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장치 B : 베이스
C : 콘텍트렌즈 M : 콘텍트렌즈 몰드
S : 축

Claims (8)

  1. 베이스(B)와; 상기 베이스(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핀들(210)이 구비된 스핀들헤드(200)와; 복수개의 콘텍트렌즈 몰드(M)를 정렬시켜 이송시키는 파스피더(300)와; 상기 파스피더(300)로부터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M)를 공급받아 상기 스핀들(210)에 장착시키는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400)과;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M) 표면에 안구에 대응되는 1차곡면 영역, 동공에 대응되는 2차곡면 영역 및 테두리에 대응되는 3차곡면 영역을 가공하는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유닛(500);으로 구성된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장치(700)의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400)에 있어서,
    상기 파스피더(300)로부터 공급된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M)를 상기 스핀들(210) 선단 측으로 이송시키는 슈터(410)와;
    상기 슈터(410)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슈터(410)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420); 및
    상기 슈터(410)의 선단에 배치되며, 상기 슈터(41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M)를 공급받아 상기 스핀들(210)의 선단에 장착시키는 몰드장착수단(4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터(410)는 상기 스핀들(210)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파스피더(300)의 일측에 결합 된 제1슈터(411)와, 상기 제1슈터(411)와 인접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스핀들(210)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제2슈터(413)로 구성되되,
    상기 제1,2슈터(411,413)의 내측에는 상기 파스피더(300)로부터 공급된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M)가 배출되는 가이드홈(411a,413a)이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210)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제1슈터(411)의 선단에는 상기 제2슈터(413)가 슬라이딩 될 때 상기 제1슈터(411)의 상기 가이드홈(411a)을 선택적으로 막아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M)의 낙하를 방지하는 출몰가능한 스톱퍼(415a)를 갖는 제1실린더(4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420)은,
    일측이 상기 스핀들헤드(200)에 결합된 고정블럭(421)과, 상기 제2슈터(413)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고정블럭(421)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블럭(421)에 고정된 제2실린더(425)와 연결되어 상기 제2슈터(413)를 슬라이딩시키는 이동블럭(42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장착수단(430)은,
    상기 스핀들(210)로 향하는 상기 이동블럭(423)의 선단측에 구비된 제2회전실린더(431)와 축 결합되어 회전하며, 둘레 일측에는 상기 슈터(41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M)가 수용되도록 외측으로 개방된 수용홈(432a)이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캠(432)과;
    상기 캠(432)의 외측둘레면을 따라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캠(432) 회전시 상기 수용홈(432a)에 수용된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M)의 둘레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커버(433); 및
    상기 캠(432)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캠(432)과 함께 연동하며, 상기 캠(432)의 회전을 통해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M)가 상기 스핀들(210)과 일직선상으로 얼라인 됐을 때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M)를 상기 스핀들(210)의 선단에 장착시키는 푸싱수단(4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실린더(431)와 상기 캠(432) 사이에는 상기 제2회전실린더(431) 축과 상기 캠(432) 축이 이격된 상태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동기어(434) 및 종동기어(435)가 구비되되,
    상기 구동기어(434)는 상기 제2회전실린더(431)와 축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종동기어(435)는 상기 구동기어(434)와 치합을 이룬상태로 상기 캠(432)과 축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43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캠(432)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종동기어(434,435)와 상기 캠(432) 사이에는 상기 이동블럭(423)에 고정되어 상기 캠(432)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캠(432)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일부가 절개된 백커버플레이트(43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수단(440)은,
    상기 캠(432)의 일측 표면에 직교되게 결합 된 고정브라켓(441)과;
    상기 캠(432)의 상기 수용홈(432a)과 일직선상을 이루도록 상기 고정브라켓(441)에 고정되며, 선단이 상기 수용홈(432a)과 인접된 상태로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M)가 상기 스핀들(210)과 얼라인 됐을 때 상기 콘텍트렌즈 몰드(M)를 푸싱하여 상기 스핀들(210)에 장착시키는 로더(443a)가 구비된 제3실린더(443); 및
    상기 캠(432)과 상기 제3실린더(443) 사이의 상기 고정브라켓(441)에 구비되어 상기 로더(443a)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44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
KR1020130005846A 2013-01-18 2013-01-18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 KR101253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846A KR101253146B1 (ko) 2013-01-18 2013-01-18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846A KR101253146B1 (ko) 2013-01-18 2013-01-18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146B1 true KR101253146B1 (ko) 2013-04-10

Family

ID=4844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846A KR101253146B1 (ko) 2013-01-18 2013-01-18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1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359A (ko) * 2002-05-23 2003-11-28 뉴바이오 (주) 자동화 공정이 가능한 콘택트렌즈 제조장치
KR100871864B1 (ko) 2007-07-07 2008-12-03 박종칠 콘택트 렌즈 몰드 가공장치
JP4409236B2 (ja) * 2003-09-09 2010-02-03 大塚電子株式会社 オートサンプラー付き光学測定装置
KR101190639B1 (ko) 2012-03-23 2012-10-15 천성철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몰드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359A (ko) * 2002-05-23 2003-11-28 뉴바이오 (주) 자동화 공정이 가능한 콘택트렌즈 제조장치
JP4409236B2 (ja) * 2003-09-09 2010-02-03 大塚電子株式会社 オートサンプラー付き光学測定装置
KR100871864B1 (ko) 2007-07-07 2008-12-03 박종칠 콘택트 렌즈 몰드 가공장치
KR101190639B1 (ko) 2012-03-23 2012-10-15 천성철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몰드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62661A1 (en) Lens presser for holding eyeglass lens and eyeglass len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4125766A (zh) 电子电路零件供给装置
US20090142993A1 (en) Eyeglass lens processing apparatus
EP2394782A2 (en) Grinding method of multifunction grinding machine
US9970741B1 (en) Cartridge case preparation rotor device
CN105189071B (zh) 用于以螺旋形轨迹钻削眼镜片的方法以及相关联的钻削设备
JP2004333573A (ja) レンズ加工システム
JP2008517340A (ja) 眼科用レンズの掘削用のツールの掘削方向の調整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1441303A (zh) 镜头模组组装装置
KR101253145B1 (ko) 콘텍트렌즈 몰드 가공유닛
KR101253146B1 (ko) 콘텍트렌즈 몰드 장착유닛
CN109968183A (zh) 研磨设备及研磨方法
TWM444904U (zh) 硬質脆性板的周緣加工裝置
EP1260314A1 (en) Lens layout block device
JP6434529B2 (ja) 部品実装機
EP2436481A2 (en) Eyeglass lens processing apparatus
EP1738868B1 (en) Eyeglass lens processing apparatus
CN113905848B (zh) 加工冷却装置
JP5399591B2 (ja) 芯取り加工方法、芯取り加工装置及びレンズ位置決めユニット
JP5269555B2 (ja) モールドのテープ巻付け装置
KR20150060418A (ko) 자동화 미세 탭핑장치
CN211540620U (zh) 高精度镜片研磨床
CN201872044U (zh) 夹具位置调整装置、水钻磨抛机及其各工作装置
KR101093101B1 (ko) 콘택트렌즈용 자동 가공 장치
JP6839774B2 (ja) 電子部品装着機及び電子部品装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