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189B1 -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189B1
KR101252189B1 KR1020100103446A KR20100103446A KR101252189B1 KR 101252189 B1 KR101252189 B1 KR 101252189B1 KR 1020100103446 A KR1020100103446 A KR 1020100103446A KR 20100103446 A KR20100103446 A KR 20100103446A KR 101252189 B1 KR101252189 B1 KR 101252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guide rail
unit
main frame
light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998A (ko
Inventor
오원석
배기경
김기홍
박정순
김봉중
심규강
Original Assignee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3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189B1/ko
Priority to US13/215,790 priority patent/US8708028B2/en
Publication of KR20120041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18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차광막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왕복 회전 이동(절첩)할 때 가이드레일의 힌지결합부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차광막의 왕복 이동시 힌지결합부에서 걸림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펼침 및 감김되어 상기 윈도우를 차광 및 차광해제 하는 차광유닛, 상기 차광유닛의 펼침 및 감김에 따라 회전 운동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차광유닛이 상기 윈도우의 판면을 따라 펼침 및 감김되도록 상기 차광유닛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차광유닛의 양측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광유닛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펼침 및 감김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 방향 및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 사이에서 절첩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과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차광유닛의 연결부가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WINDOW SHADE APPARATUS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윈도우에 장착되어 윈도우로 빛이 투과되는 것을 차광하는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에는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비교적 큰 면적을 갖는 윈도우가 장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큰 면적의 윈도우를 갖는 자동차는 자동차 구입자들에게 미려함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강한 햇빛이 자동차 내부로 투과되어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는 단점도 있다.
자동차의 윈도우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윈도우를 차광할 수 있는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가 자동차의 윈도우 영역에 배치된다.
일반적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는 윈도우를 차광하는 차광막, 차광막이 윈도우 판면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차광막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및 차광막이 윈도우 판면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는 차광막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고정되게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자동차 내부에 장착을 위해 포장 이송 시 그 부피가 커지므로, 운송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BOS)사가 출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2-48869호에는 전체적인 크기 및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 가이드레일(13)의 제 1 섹션부(66)과 제 2 섹션부(67)를 힌지 결합하여 절첩 가능한 형태로 구조를 개선한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보스사의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는 가이드레일(13)의 제 1 섹션부(66)와 제 2 섹션부(67)의 힌지결합부(72)에 단차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차단막(26)의 연결부(32)가 힌지결합부(72)를 이동할 때 걸림현상이 발생하는 등 제품의 신뢰성에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광막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왕복 회전 이동(절첩)할 때 가이드레일의 힌지결합부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차광막의 왕복 이동시 힌지결합부에서 걸림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펼침 및 감김되어 상기 윈도우를 차광 및 차광해제 하는 차광유닛, 상기 차광유닛의 펼침 및 감김에 따라 회전 운동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차광유닛이 상기 윈도우의 판면을 따라 펼침 및 감김되도록 상기 차광유닛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차광유닛의 양측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광유닛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펼침 및 감김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 방향 및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 사이에서 절첩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과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차광유닛의 연결부가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내부에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차광유닛의 연결부가 왕복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제 1 힌지결합부와 제 1 힌지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 1 힌지연결부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제 2 힌지결합부와 제 2 힌지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 2 힌지연결부를 포함하는 더블힌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슬릿은 상기 제 1 힌지연결부와 상기 제 2 힌지연결부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힌지핀과 상기 제 2 힌지핀은 상기 가이드슬릿 영역에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펼침 및 감김되어 상기 윈도우를 차광 및 차광해제 하는 차광유닛, 상기 차광유닛의 펼침 및 감김에 따라 회전 운동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차광유닛이 상기 윈도우의 판면을 따라 펼침 및 감김되도록 상기 차광유닛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차광유닛의 양측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광유닛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펼침 및 감김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 방향 및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 사이에서 절첩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과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차광유닛의 연결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릿을 포함하는 더블힌지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에 따르면, 차광막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절첩되도록 힌지 결합하되, 힌지부를 더블힌지 형태로 제작하고 더블힌지 사이로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과 연결되면서 차광막의 연결부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슬릿을 형성한다. 따라서,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가이드레일을 절첩할 때 가이드레일과 연결유닛의 힌지결합부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으며, 차광막의 연결부가 더블힌지 사이의 가이드슬릿을 통해 안내되므로 차광막의 왕복 이동시 힌지결합부에서 걸림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의 제1작동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의 제2작동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의 가이드레일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에서 차광유닛과 가이드레일의 연결 부위 주요부 사시도,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의 연결유닛 주요부 사시도,
도 8 및 9는 도 6의 A-A 및 B-B 선에 따른 각각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의 제1구동유닛 주요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의 제2구동유닛 주요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구성 및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는 자동차의 후방 윈도우를 통해 투과되는 빛을 차광하기 위해 자동차의 후방 윈도우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는 자동차의 후방 윈도우 영역에 이외에 측방 윈도우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의 제 1 및 제 2 작동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가 후방 윈도우의 전면을 차광하는 차광위치 상태를 도시하였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가 후방 윈도우의 전면을 차광해제하는 차광해제 위치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10)는 메인프레임(100), 차광유닛(200), 회전샤프트(300), 가이드레일(400), 연결유닛(500) 및 구동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은 자동차의 윈도우 폭에 대응하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상으로 제작되어 자동차의 후방 윈도우를 기준으로 트렁크의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된다. 즉, 메인프레임(100)은 후방 윈도우와 트렁크의 경계 영역의 차체에 배치된다. 물론, 메인프레임(100)은 자동차의 내부 영역에 배치되어, 후방 윈도우의 내부에서 차광유닛(200)이 작동되도록 한다.
차광유닛(200)은 차광막(210) 및 차광막 지지부(220)를 포함한다. 차광유닛(200)은 후방 윈도우의 일측에 배치되어, 후방 윈도우의 판면을 따라 후방 윈도우를 차광하는 차광위치 및 후방 윈도우를 차광해제하는 차광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된다.
차광막(210)은 후술할 구동유닛(600)의 구동력에 의해 후방 윈도우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된다. 즉, 차광막(210)은 후방 윈도우의 전면을 커버하는 차광위치와 후방 윈도우의 전면이 커버 해제되는 차광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된다. 차광막(2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패브릭(fabric)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패브릭 재질은 차광막(210)의 일 실시 예일 뿐, 후방 윈도우를 차광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 예를 들어 열 차단을 할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되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차광막 지지부(220)는 지지몸체(221) 및 연결부(223)를 포함한다. 지지몸체(221)는 차광막(210)의 일측부, 즉 회전샤프트(300)에 연결되지 않은 차광막(210)의 일측을 따라 배치된다. 지지몸체(221)는 구동유닛(600)에 의해 구동력이 제공될 때 차광막(210)의 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차광막(210)은 회전샤프트(300)에 감김 및 펼침될 수 있는 유연한 재질이므로, 지지몸체(221)는 회전샤프트(300)와의 사이에 마련된 유연한 재질의 차광막(210)에 일정한 장력을 인가하여 차광막(210)의 이동을 지지하는 것이다.
연결부(223)는 지지몸체(221)의 양측부에 연장 형성된다. 연결부(223)는 후술할 제1구동유닛(700)의 이동부재(720)에 연결되어, 이동부재(72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차광막(210)이 차광위치와 차광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왕복 이동되도록 한다. 연결부(223)는 가이드레일(400)에 수용되어 가이드레일(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된다.
회전샤프트(300)는 메인프레임(100)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회전샤프트(300)는 차광유닛(20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차광유닛(200)이 펼침 및 감김되도록 회전 운동된다. 회전샤프트(300)는 차광유닛(200)의 감김 및 펼침에 따라 차광유닛(200)의 왕복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 운동되는 회전부(310)와, 회전부(310)의 양측에 배치되어 후술할 연결유닛의 회전연결부에 연결되는 회전지지부(320)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의 가이드레일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에서 차광유닛과 가이드레일의 연결 부위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400)은 레일몸체(410), 가이드홈(420) 및 차체지지부(430)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400)은 메인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메인프레임(100)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고 차광유닛(200)의 연결부(223)를 수용하여, 차광유닛(200)의 차광막(210)이 차광위치 및 차광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왕복 이동을 안내한다.또한, 가이드레일(400)은 메인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절첩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레일(400)은 메인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에 평행 방향으로부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왕복 회전 운동(절첩)된다. 이렇게, 가이드레일(400)은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절첩됨으로써, 포장 운송 시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10)의 전체적인 크기 및 부피를 감소시켜 포장 비용 및 운송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레일몸체(410)는 가이드레일(4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바(bar) 형상으로 마련된다. 레일몸체(410)는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후술할 연결유닛(500)으로 연결된다. 레일몸체(410)의 내부에는 레일몸체(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광유닛(200)의 연결부(223) 및 제1구동유닛(700)의 이동부재(780)가 왕복 이동 안내되는 가이드홈(420)이 형성된다.
차체지지부(430)는 레일몸체(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된다. 차체지지부(430)는 레일몸체(410)가 후방 윈도우를 감싸고 있는 차체의 측면과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물론, 차체지지부(430)는 자동차의 내부에 레일몸체(410)가 노출되지 않도록 자동차의 내장재 내부로 수용 결합된다. 이때, 차체지지부(430)는 레일몸체(410)가 메인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때 차체에 결합된다.
또한, 가이드레일(400)에는 후술할 연결유닛(500)의 힌지연결부(520)와 힌지핀(527,529)으로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440)가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결합부(440)는 연결유닛(500)과 결합되는 쪽의 가이드레일(400)의 단부에 제 1 힌지결합부(441)와 제 2 힌지결합부(442)로 마련되어 연결유닛(500)의 제 1 힌지연결부(521)와 제 2 힌지연결부(522)의 외측에서 각각 대응되게 끼워지도록 힌지 결합된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의 연결유닛 주요부 사시도, 도 8 및 9는 도 6의 A-A 및 B-B 선에 따른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닛(500)은 회전연결부(510), 힌지연결부(520) 및 연결몸체(530)를 포함한다. 연결유닛(500)은 메인프레임(100)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회전샤프트(300)가 회전 운동되도록 지지되고 회전샤프트(300)의 길이 방향 및 회전샤프트(300)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 사이에서 가이드레일(40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회전연결부(510)는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회전샤프트(300)가 평행하게 배치되며, 회전샤프트(300)가 차광막(210)의 왕복 이동에 따라 회전 운동되도록 회전샤프트(300)를 지지한다. 여기서, 도 7의 (a)에 도시된 회전연결부(510)와 (b)에 도시된 회전연결부(510)의 형상은 상이하다. 즉, (a)에 도시된 회전연결부(510)는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마련되어 회전샤프트(300)의 일측 회전지지부(320)와 연결되어 회전부(310)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반면, (b)에 도시된 회전연결부(510)는 사각형 단면 형상을 마련되어 회전샤프트(300)의 타측 회전지지부(320)와 연결되어 회전부(310)의 회전 운동이 지지되도록 한다. 물론, (b)에 도시된 회전연결부(510)는 사각형 단면 형상 이외에도 회전지지부(320)의 회전 운동에 연동될 수 없는 삼각형 단면 형상과 같은 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힌지연결부(520)는 힌지부(523)와 및 가이드슬릿(525)을 포함한다. 힌지연결부(520)는 회전연결부(510)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가이드레일(400)이 자동차의 차체에 결합되는 결합위치 및 회전샤프트(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결합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가이드레일(400)과 힌지 결합된다. 예를 들어, 힌지연결부(520)의 힌지부(523)는 가이드레일(400)의 힌지결합부(440)와 힌지핀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즉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 힌지부(523)는 가이드레일(400)의 제 1 힌지결합부(441)와 제 1 힌지핀(527)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 1 힌지연결부(521)와, 가이드레일(400)의 제 2 힌지결합부(442)와 제 2 힌지핀(529)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 2 힌지연결부(522)를 포함하는 더블힌지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힌지부(523)에는 가이드레일(400)에 수용되어 가이드레일(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차광유닛(200)의 연결부(223)가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슬릿(525)이 형성되는데, 여기서 가이드슬릿(525)은 제 1 힌지연결부(521)와 제 2 힌지연결부(522)의 사이에 가이드레일(400)의 가이드홈(42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레일(400)의 제 1 힌지결합부(441)와 연결유닛(500)의 제 1 힌지연결부(521)를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제 1 힌지핀(527)과, 가이드레일(400)의 제 2 힌지결합부(442)와 연결유닛(500)의 제 2 힌지연결부(522)를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제 2 힌지핀(529)은 더블 힌지의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슬릿(525) 영역에는 위치하지 않도록 가이드슬릿(525)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400)이 회전샤프트(300)의 길이 방향 및 회전샤프트(300)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 사이에서 절첩되도록 가이드레일(400)을 연결유닛(500)에 힌지 결합하되, 힌지부(520)를 더블힌지 형태로 제작하고 더블힌지 사이로 가이드레일(400)의 가이드홈(420)과 연결되면서 차광유닛(200)의 연결부(223)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슬릿(525)을 형성한다. 따라서, 메인프레임(100)에 대하여 가이드레일(400)을 왕복 회전 이동(절첩)할 때 가이드레일(400)의 힌지부위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차광유닛(200)의 왕복 이동시 힌지부위에서 걸림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연결몸체(530)는 회전연결부(510)와 힌지연결부(520) 사이에 마련되어 회전연결부(510)와 힌지연결부(520)를 상호 연결한다. 이렇게 회전연결부(510)와 힌지연결부(520)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몸체(530)는 회전연결부(510) 및 힌지연결부(520)를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구동유닛(600)은 제1구동유닛(700) 및 제2구동유닛(900)을 포함한다. 이하, 도 10 및 11을 참조하여 구동유닛(6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의 제1구동유닛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유닛(700)은 이동부재(720) 및 이동구동부(740)를 포함한다. 제1구동유닛(700)은 차광유닛(200)의 연결부(223)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차광막(210)이 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차광위치와 차광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차광유닛(20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1구동유닛(700)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원이 포함되지 않고, 제2구동유닛(900)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받아 차광유닛(20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부재(720)는 커버(722) 및 이동케이블(724)을 포함한다. 이동부재(720)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400) 내부에서 왕복 이동 안내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이동부재(720)는 제1구동유닛(700)으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각각 상호 대향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커버(722)는 내부에서 차광유닛(200)의 연결부(223)와 연결된 이동케이블(724)이 왕복 이동되도록 이동케이블(724)을 커버한다. 또한, 커버(722)는 연결부(223)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지며, 차광유닛(200)이 일정한 차광해제 위치에서 멈춤 되도록 연결부(223)에 대한 스토퍼 역할도 수행한다. 이동케이블(724)은 커버(722)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며, 차광유닛(200)의 연결부(223)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동케이블(724)은 커버(722)의 내부면을 따라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구동부(740)는 웜휠(worm wheel)(742) 및 웜(worm)(744)을 포함한다. 이동구동부(740)는 제2구동유닛(900)과 맞물려서 제2구동유닛(900)로부터의 구동력을 이동부재(72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웜휠(742)은 제2구동유닛(900)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된다. 웜휠(742)은 후술할 제2구동유닛(900)의 종동체(970)와 동일 회전축으로 적층 연결되며, 종동체(97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회전 방향을 갖는다. 웜휠(742)은 메인프레임(10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제2구동유닛(900)의 모터(940) 및 구동체(960)를 사이에 두고 메인프레임(100)의 양측부에 한 쌍으로 배치된다.
웜(744)은 이동부재(720)의 일 영역에 배치되며 웜휠(742)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어 왕복 직선 운동된다. 즉, 이동구동부(740)는 웜휠(742)과 웜(744)의 기어 결합구조를 갖는 윔기어(worm gear)를 이루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웜(744)은 원형 단면을 가진 이동부재(720)를 감싸는 코일 형상으로 마련되어 웜휠(742)과 치합된다. 그리고, 이동부재(720)에 배치되는 웜(744)의 길이는 이동부재(720)의 왕복 이동거리에 대응되어 마련된다. 즉, 웜(744)의 길이는 차광막(210)의 차광위치 및 차광해제 위치 사이의 왕복 이동 거리에 대응되는 것이다. 물론, 웜(744)의 길이는 차광막(210)의 왕복 이동거리를 기준으로 웜휠(742)과의 기어비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의 제2구동유닛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유닛(900)은 케이싱(920), 모터(940) 및 전달구동부(950)를 포함한다. 제2구동유닛(900)은 구동력을 발생하여 제1구동유닛(700)에 발생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케이싱(920)은 전달구동부(950)의 구동체(960)를 수용한다. 모터(940)는 메인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케이싱(920)에 결합된다. 모터(940)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몸체(942) 및 모터몸체(942)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되는 모터회전축(944)을 포함한다.
전달구동부(9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구동체(960), 종동체(970) 및 전달부재(990)를 포함한다. 전달구동부(950)는 모터(940)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제1구동유닛(700)에 제공한다.
구동체(960)는 모터(940)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된다. 구동체(9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1기어(962), 제2기어(964), 구동롤러(966), 제1회전축(968) 및 제2회전축(969)을 포함한다.
제1기어(962)는 모터회전축(944)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제1기어(962)는 모터회전축(944)과 웜기어(worm gear) 구조로 치합되어, 모터(940)로부터 직접적인 구동력을 수령한다. 제2기어(964)는 제1기어(962)와 평기어(spur gear) 구조로 연결되어, 제1기어(962)의 회전 운동에 따라 기 설정된 기어비로 회전 운동된다. 여기서, 제2기어(964)는 제1기어(962)와 평기어 구조로 연결되었으므로, 제1기어(962)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롤러(966)는 제2기어(964)의 상부에 적층 배치되어, 제2기어(964)의 회전 운동에 연동된다. 구동롤러(966)는 각각 제2구동유닛(900)의 웜휠(742)에 적층된 종동체(97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구동롤러(966)와 종동체(970)는 후술할 전달부재(990)에 의해 폐루프로 상호 연결된다. 구동롤러(966)에는 한 쌍의 종동체(970)와 각각 폐루프로 상호 연결되도록 2개의 전달부재(990)가 연결된다.
제1회전축(968)은 제1기어(962)가 회전되도록 마련되고, 제2회전축(969)은 제2기어(964) 및 구동롤러(966)를 관통하여 제2기어(964) 및 구동롤러(966)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구동체(9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모터(940)의 배치에 따라 제1기어(962), 제2기어(964), 구동롤러(966), 제1회전축(968) 및 제2회전축(969)으로 구성되고 있으나, 구동롤러(966)에 직접적으로 모터(940)의 모터회전축(944)이 연결될 경우 구조를 단순화할 수도 있다. 이때, 구동롤러(966)와 모터회전축(944)이 직접 연결될 경우, 모터(940)의 부하가 커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종동체(970)는 구동체(960)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회전 운동된다. 즉, 종동체(970)는 구동롤러(966)와 전달부재(990)에 의해 상호 폐루프로 연결되어, 구동롤러(966)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어 회전 운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한 쌍의 종동체(970)는 각각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 된다. 예를 들어, 구동롤러(96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에 있는 종동체(970)는 동일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우측에 있는 종동체(970)는 반대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다. 이렇게 한 쌍의 종동체(970)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됨으로서, 제1구동유닛(700)의 한 쌍의 이동부재(720)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전달부재(990)는 전달부재 커버(992) 및 와이어(994)를 포함한다. 전달부재(990)는 구동체(960)와 종동체(970) 사이 즉, 구동롤러(966)와 종동체(970) 사이를 페루프 형상으로 상호 연결하여 구동롤러(966)의 회전 운동력을 종동체(970)에 전달한다.
전달부재 커버(992)는 와이어(994)를 커버하고, 와이어(994)는 구동롤러(966)와 종동체(970) 사이를 폐루프로 상호 연결한다. 여기서, 와이어(994)는 구동롤러(966)에 2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 방식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와이어(994)는 구동롤러(966)와 한 쌍의 종동체(970)의 사이를 각각 평행 연결 방식과 크로스 연결 방식으로 상호 연결한다. 이렇게 구동롤러(966)와 각각의 종동체(970) 사이는 각각의 와이어(994)에 의해 평행 및 크로스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각각의 종동체(970)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10)에 대한 작동 과정은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차광유닛(200)의 차광위치에서 차광해제 위치로의 작동 과정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유닛(700) 및 제2구동유닛(900)의 작동에 의해 차광막(210)은 후방 윈도우를 차광하는 차광위치를 유지한다.
후방 윈도우를 차광하는 차광위치에서 제2구동유닛(900)의 모터(940)를 구동시킨다. 모터(940)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구동체(960)의 제1기어(962), 제2기어(964) 및 구동롤러(966)는 상호 맞물려서 회전 운동된다.
구동롤러(966)와 한 쌍의 종동체(970)를 상호 폐루프로 연결하는 전달부재(990)에 의해 구동롤러(966)의 회전 운동력이 한 쌍의 종동체(970)에 각각 전달된다. 이때, 구동롤러(966)와 한 쌍의 종동체(970)를 각각 폐루프로 상호 연결하는 전달부재(990)는 평행 및 크로스 방식으로 연결되어, 한 쌍의 종동체(970)는 각각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다. 즉,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의 종동체(97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고, 우측의 종동체(97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다.
그러면, 각각의 종동체(970)와 적층 방식으로 동일 회전축을 가지고 배치된 제1구동유닛(700)의 한 쌍의 웜휠(742)은 종동체(970)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어 회전 운동된다. 웜휠(742)이 회전 운동되면 웜휠(742)과 치합된 웜(744)이 직선 운동되어 각각의 이동부재(720)를 메인프레임(100)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동부재(720)가 메인프레임(100)을 향해 이동되면 이동부재(720)에 의해 연결된 차광유닛(200)의 연결부(223)에 의해 차광막(210)은 차광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반면, 차광해제 위치의 차광막(210)을 차광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면 된다. 물론, 구동체(960)의 회전 운동 방향 및 한 쌍의 종동체(970)의 회전 운동 방향은 전술한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어야 차광막(210)이 차광해제 위치에서 차광위치로 이동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10)는 가이드레일(400)이 회전샤프트(300)의 길이 방향 및 회전샤프트(300)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 사이에서 절첩되도록 가이드레일(400)을 연결유닛(500)에 힌지 결합하되, 힌지부(520)를 더블힌지 형태로 제작하고 더블힌지 사이로 가이드레일(400)의 가이드홈(420)과 연결되면서 차광유닛(200)의 연결부(223)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슬릿(525)이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프레임(100)에 대하여 가이드레일(400)을 절첩할 때 가이드레일(400)과 연결유닛(500)의 힌지결합부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으며, 차광유닛(200)의 연결부(223)가 더블힌지 사이의 가이드슬릿(525)을 통해 안내되므로 차광유닛(2006)의 왕복 이동시 힌지결합부에서 걸림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 100 : 메인프레임
200 : 차광유닛 223 : 차광유닛 연결부
300 : 회전샤프트 400 : 가이드레일
500 : 연결유닛 520 : 힌지연결부
521 : 제 1 힌지연결부 522 : 제 2 힌지연결부
527 : 제 1 힌지핀 529 : 제 2 힌지핀
523 : 힌지부 525 : 가이드슬릿
600 : 구동유닛 700 : 제 1 구동유닛
900 : 제 2 구동유닛

Claims (6)

  1.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에 있어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펼침 및 감김되어, 상기 윈도우를 차광 및 차광해제 하는 차광유닛;
    상기 차광유닛의 펼침 및 감김에 따라 회전 운동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차광유닛이 상기 윈도우의 판면을 따라 펼침 및 감김되도록 상기 차광유닛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차광유닛의 양측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광유닛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펼침 및 감김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 방향 및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 사이에서 절첩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과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차광유닛의 연결부가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내부에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차광유닛의 연결부가 왕복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제 1 힌지결합부와 제 1 힌지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 1 힌지연결부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제 2 힌지결합부와 제 2 힌지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 2 힌지연결부를 포함하는 더블힌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릿은 상기 제 1 힌지연결부와 상기 제 2 힌지연결부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홈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핀과 상기 제 2 힌지핀은 상기 가이드슬릿 영역에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
  6.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에 있어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펼침 및 감김되어, 상기 윈도우를 차광 및 차광해제 하는 차광유닛;
    상기 차광유닛의 펼침 및 감김에 따라 회전 운동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차광유닛이 상기 윈도우의 판면을 따라 펼침 및 감김되도록 상기 차광유닛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차광유닛의 양측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광유닛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펼침 및 감김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 방향 및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 사이에서 절첩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과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차광유닛의 연결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릿을 포함하는 더블힌지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내부에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차광유닛의 연결부가 왕복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
KR1020100103446A 2010-08-26 2010-10-22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 KR101252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446A KR101252189B1 (ko) 2010-10-22 2010-10-22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
US13/215,790 US8708028B2 (en) 2010-08-26 2011-08-23 Window blind assembly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446A KR101252189B1 (ko) 2010-10-22 2010-10-22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998A KR20120041998A (ko) 2012-05-03
KR101252189B1 true KR101252189B1 (ko) 2013-04-05

Family

ID=4626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446A KR101252189B1 (ko) 2010-08-26 2010-10-22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1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4933A (ko) * 1995-12-28 1997-07-22 김태구 대형 승합차량의 측창 차광장치
KR20060095886A (ko) * 2000-12-16 2006-09-04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자동차용 차체
KR20120019646A (ko) * 2010-08-26 2012-03-07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용 윈도우 차광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4933A (ko) * 1995-12-28 1997-07-22 김태구 대형 승합차량의 측창 차광장치
KR20060095886A (ko) * 2000-12-16 2006-09-04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자동차용 차체
KR20120019646A (ko) * 2010-08-26 2012-03-07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용 윈도우 차광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998A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48489A1 (en) Window blind assembly for vehicle
JP5050793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装置
US9409521B2 (en) Protection device for a storage space of a motor vehicle and drive device therefor
CN105229251A (zh) 用于打开和关闭车门的装置
CN103814188A (zh) 可伸缩的百叶板系统
JP2021532338A (ja) 表示装置および車両
CN101492993A (zh) 在驱动叉中具有降低的摩擦的卷帘组件
CN102561878A (zh) 用于在具有进入口的车辆中促动多个部件的系统和方法
US3827713A (en) Passive seat belt assembly for automobile or the like
US20180297452A1 (en) Shading device for a two-part side-window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US9725044B2 (en) Protective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KR101252189B1 (ko) 차량용 윈도우 차광 장치
EP2886379B1 (de) Fahrzeugscheiben-Verblendungssystem
US20120048488A1 (en) Window blind assembly for vehicle
KR101219653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차광조립체
CN102877734A (zh) 一种用于机动车滑动门的驱动机构
KR20120041285A (ko) 자동차용 윈도우 차광조립체
KR101207990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차광조립체
KR20230139574A (ko) 샤프트 조립체, 이를 갖는 자동차의 윈도우 차광용 장치 및 러기지 스크린용 장치
KR102260847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차광장치의 가이드 레일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자동차용 윈도우 차광장치
CN105774490A (zh) 一种汽车车窗的卷帘驱动装置及其使用方法
CN105644317A (zh) 一种汽车车窗的卷帘升降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307867B1 (ko) 차량용 전동식 썬바이저
KR102634400B1 (ko)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임팩트빔 어셈블리
JP2018070087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