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619B1 - 루버용 블레이드 및 정류 루버 - Google Patents

루버용 블레이드 및 정류 루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619B1
KR101251619B1 KR1020110030104A KR20110030104A KR101251619B1 KR 101251619 B1 KR101251619 B1 KR 101251619B1 KR 1020110030104 A KR1020110030104 A KR 1020110030104A KR 20110030104 A KR20110030104 A KR 20110030104A KR 101251619 B1 KR101251619 B1 KR 101251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inclined portion
blade
rectifying
discharge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560A (ko
Inventor
박상해
Original Assignee
(주)동양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공조 filed Critical (주)동양공조
Priority to KR1020110030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61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1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Abstract

본 발명은 루버를 통과한 기류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일하게 정류되는 루버용 블레이드 및 이를 적용한 정류 루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루버용 블레이드(1)는, 프레임(3)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루버(2)를 구축하는 루버용 블레이드로서, 외측의 흡기측(A)으로부터 내측의 토출측(B)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진 경사부(4); 상기 경사부(4)의 상면에 형성되어, 우수가 상기 토출측(B)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우수차단턱(20); 및 상기 경사부(4)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토출측(B)으로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통과되는 기류를 정류하는 정류부(4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루버용 블레이드 및 정류 루버{Louver Blade and Straight Louver}
본 발명은 루버용 블레이드 및 이를 이용한 정류 루버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루버를 통과한 기류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일하게 정류되는 루버용 블레이드 및 이를 적용한 정류 루버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물이나 설비 등 구조물에는 외기와의 통풍은 가능하면서 빗물이나 큰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루버가 설치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루버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개발되어 있으며, 대체적으로 일정한 폭의 길게 신장된 판재로 된 여려 개의 경사진 블레이드들을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수평 배열한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 루버의 예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1-0010831호(2011년. 02월. 07일 공개)의 '루버 블레이드 및 이를 이용한 루버'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0023호(2010년. 12월. 03일 등록)의 '루버 모듈 및 그를 채용한 루버 시스템'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루버들은 블레이드를 통과한 공기의 흐름에 와류 현상이 심하게 발생하며, 기류의 분포 또한 상부로 치우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9는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표준 루버를 적용한 경우의 기류 치우침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표준루버(100)는 블레이드(110)를 통해 공기가 통과할 경우, 흡입측(A)의 흡입공기는 위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기류가 강함에도 불구하고, 블레이드(110)를 통과한 토출측(B)의 토출공기는 상측으로 갈수록 기류가 강하게 되는 기류의 상측 치우침 현상이 발생하는 바, 이런 현상은 도8의 그래프(점선으로 표시)를 보아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류의 상측 치우침 현상은, 압력손실을 증가시키게 되어 에너지 손실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특히, 루버가 적용된 구조물이 온도조절이 필요한 구조물인 경우에 온도조절 기준점을 설정하기가 어려워 온도 제어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 또한 에너지 손실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과한 기류의 분포를 균일하게 정류하여 줌으로써, 루버로 인한 압력손실을 감소시키고, 루버가 적용된 구조물의 온도 제어가 용이하도록 하며, 결과적으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루버용 블레이드 및 이를 적용한 루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루버용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루버용 블레이드는,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루버를 구축하는 판상의 루버용 블레이드로서, 경사부, 우수차단턱 및 정류부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부는, 외측의 흡기측으로부터 내측의 토출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져 있다.
상기 우수차단턱은, 상기 경사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우수가 상기 토출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정류부는, 상기 경사부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토출측으로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통과되는 기류를 정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부는, 상기 흡기측으로부터 상기 토출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진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토출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진 제2 경사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우수차단턱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의 사이에 상기 제1 경사부의 내측단으로부터 상측으로 꺾여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부의 내측단으로부터 상측으로 꺾여 형성되고, 우수가 상기 토출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의 우수차단턱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류부는, 상기 경사부와 분리된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분리된 상기 정류부는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류부는, 상기 경사부와 분리된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분리된 상기 정류부는, 다수의 상기 경사부의 내측단들에 걸쳐 격자판이 연설된 격자형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부에는 전열선을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열선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가 상기 프레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는 정류 루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루버용 블레이드를 적용한 정류 루버는, 상기 정류부가 기류의 편중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를 통과한 기류의 분포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일하게 정류되므로, 루버의 적용으로 인한 압력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고, 루버가 적용된 구조물의 온도 제어가 용이하며, 이로써 구조물의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루버용 블레이드를 적용한 정류 루버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정류부를 분리형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정류된 기류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루버용 블레이드를 적용한 정류 루버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정류부를 분리형의 격자판으로 형성함에 따라, 정류된 기류에 직진성을 강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루버용 블레이드를 적용한 정류 루버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경사부에 상기 전열선삽입공을 형성하여 여기에 상기 전열선을 장착함에 따라, 상기 경사부에 쌓인 눈을 전열로 제거할 수 있음으로, 동절기에 상기 경사부에 눈이 쌓여 통풍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쌓인 눈이 기류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블레이드의 단면도,
도2는 도1의 블레이드가 적용된 예시적인 정류 루버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블레이드의 단면도,
도4는 도3의 블레이드가 적용된 예시적인 정류 루버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블레이드의 단면도,
도6은 도5의 블레이드가 적용된 예시적인 정류 루버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류 루버의 정류 작용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정류 루버와 종래 표준루버의 공기 흐름 분포 곡선,
도9는 종래 표준루버를 적용한 경우의 기류 치우침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루버용 블레이드 및 이를 적용한 정류 루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1, 도3 및 도5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루버용 블레이드(1)는, 도2, 도4 및 도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에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다수 장착되어 정류 루버(2)를 구축하기 위한 판상의 블레이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루버용 블레이드(1)는, 기본적으로 경사부(4), 우수차단턱(20) 및 정류부(40)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부(4)는, 외측의 흡기측으로부터 내측의 토출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진 판상의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루버용 블레이드는, 통풍과 빗물의 차단 목적에서, 그 경사각도가 대략 45도인 것을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의 경사부(4)의 경사각도도 역시 대략 45도 내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수차단턱(20)은, 경사부(4)의 상면에 형성되어, 우수가 토출측(B)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턱(장벽)이다.
우수차단턱(20)은 경사부(4)의 상면에 떨어진 우수가 바람에 의해 경사부(4)를 타고 위로 흘러갈 때, 우수가 더 이상 상측으로 흘러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위치라면, 그 형성 위치가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시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우수차단턱(20)은 경사부(4)의 외측단과 내측단 사이에 형성된다. 즉, 경사부(4)는, 흡기측(A)으로부터 토출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진 제1 경사부(10)와 제1 경사부(10)의 내측단으로부터 토출측(B)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진 제2 경사부(30)로 구성되고, 우수차단턱(20)은 제1 경사부(10)와 제2 경사부(3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우수차단턱(20)은, 경사부(4)를 따라 위로 흘러가는 우수가 더 이상 흘러 올라가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1, 도3 및 도5에 예시된 우수차단턱(20)은, 제1 경사부(10)와 제2 경사부(30)의 사이에서, 제1 경사부(10)의 내측단을 상측 및 외측으로 둥글게 꺾어서 그 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인 요부의 형태가 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경사부(4)에 우수차단턱(20)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경사부(4)의 상면에 떨어진 우수가 바람에 의해 경사부(4)를 타고 위로 흘러갈 때, 우수차단턱(20)이 더 이상의 우수의 상측 흐름을 차단하게 되므로, 의도하지 않게 우수가 토출측(B)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2,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블레이드(1)를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프레임(3)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한 본 발명에 따른 정류 루버(2)에 대해, 흡기측(A)으로부터 토출측(B)으로 공기가 통과할 때, 유입된 공기는 아래쪽 블레이드(1)의 경사부(4)의 상면과 위쪽 경사부(4)의 하면에 의해 구획되는 상하 나란한 블레이드(1) 사이의 공간을 따라 통과한다.
도시된 바람직한 구체예들에서, 제1 경사부(10)와 제2 경사부(30) 사이에 우수차단턱(20)이 형성되어 있고, 우수차단턱(20)의 하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제1 경사부(10)가 연장되고, 우수차단턱(20)의 상측으로부터 위쪽으로 제2 경사부(30)가 연장되어 있음에 따라, 제1 경사부(10)와 제2 경사부(30)는 우수차단턱(20)의 높이에 대응하는 만큼의 간격(단차)을 두고 상하 평행하게 배치된 구성이나, 제1 경사부(10)와 제2 경사부(30)가 단차 없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등 다른 배치도 가능하다.
상기 정류부(40)는, 경사부(4)의 내측단, 도시된 구체예에서 제2 경사부(30)의 내측단으로부터, 토출측(B)으로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상의 부분으로서, 종래의 블레이드에는 적용된 바 없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1)의 가장 특징적인 구성이다.
정류부(40)가, 바람직하게 대략 45도 경사의 경사부(4)에 대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경사부(4)와 정류부(40) 사이의 각도는, 바람직하게 대략 135도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1)에 정류부(40)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흡기측(A)으로부터 토출측(B)으로 공기가 통과할 때, 경사부(4, 10, 30)를 따라 올라온 기류는 정류부(40)에 이르러 수평방향으로 그 기류가 바뀌게 된다.
정류부(40)가 없는 도9의 종래 블레이드(110)를 적용한 표준 루버(100)의 경우에는, 기류의 상측 치우침 현상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의 블레이드(1)를 적용한 정류 루버(2)의 경우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측(A)의 기류가 토출측(B)에서도 거의 그대로 유지되어 매우 균일한 기류를 유지하게 된다.
도8은 2.5 m/s와 3.0 m/s의 유속을 가지는 기류에 대해, 발명의 블레이드(1)를 적용한 정류 루버(2)와 도9의 종래 블레이드를 적용한 루버(100)에 대해, 루버를 통과한 후의 높이에 따른 기류의 유속 변화를 측정한 것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블레이드(110)를 적용한 루버(100)는 상측으로 갈수록 유속이 증가되는 기류의 상측 치우침 현상을 나타내지만(점선으로 표시), 본 발명의 블레이드(1)를 적용한 정류 루버(2)는 중간 높이 부분의 유속이 약간 높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됨을 알 수 있다(실선으로 표시).
이렇게 본 발명의 정류 루버(2)의 적용으로 기류의 치우침 현상이 감소되면, 압력손실을 줄일 수 있고, 구조물의 온도를 제어함에 있어서 온도조절의 기준점을 설정하기 용이하여 온도 제어가 용이하며, 결과적으로 루버가 적용된 구조물의 루버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하나의 우수차단턱(20)의 적용만으로 의도하지 않게 우수가 토출측(B)으로 유입되는 것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지만, 강풍이 불 때와 같은 가혹한 조건에서는 하나의 우수차단턱(20)만으로 우수의 유입 차단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점에 고려하여, 바람직한 구체예의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1)에는 제2의 우수차단턱(50)을 경사부(4)의 내측단, 즉 제2 경사부(30)의 내측단에 정류부(40)의 외측단과의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구체예의 블레이드(1)는, 우수차단턱(20)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2 경사부(30)의 내측단을 상측 및 외측으로 둥글게 꺾어 단면이 반원 형상인 요부 형태의 제2의 우수차단턱(50)을 형성한 것이다.
도3과 도5에 도시된 구체예의 블레이드(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류부(40)가 경사부(4)로부터 분리되어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블레이드로서, 제2 경사부(30)의 내측단을 상측 및 외측으로 각도 있게 꺾어 대략 디귿자형 요부의 형태로 제2의 우수차단턱(50)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블레이드(1)에 제2의 우수차단턱(50)을 추가함에 따라, 우수차단턱(20)과 제2의 우수차단턱(50)의 이중 구조에 의해 우수의 유입을 차단함으로, 의도하지 않게 우수가 토출측(B)으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도1과 도2의 블레이드는, 경사부(4), 우수차단턱(20) 및 정류부(40)가 단일의 판으로 일체로 형성된 예이지만,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레이드(1)는 정류부(40)를 경사부(4)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분리형 블레이드(1)는, 경사부(4)와 우수차단턱(20)과 선택적으로 제2의 우수차단턱(50)으로 구성된 하나의 부재와, 정류부(40)로 구성된 다른 하나의 부재로 이분된다.
도3에 도시된 분리형 정류부(40)는, 도1과 같이 판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비행기 날개와 유사하게 중심부는 두껍고 양단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유선형으로 형성되어서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한 것이다. 그러나 도3의 분리형 정류부(40)에도 도1과 같은 평평한 판상의 정류부(40)를 적용할 수 있는 등, 그 형상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도3의 분리형 정류부(40)는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프레임(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분리형 정류부(40)의 프레임(3)에 대한 회전 가능한 장착 구조는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도시된 구체예는 정류부(40)의 중심에 회전축(41)을 형성하고 이 회전축(41)을 프레임(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울러 상하 연접된 블레이드(1)들의 분리형 정류부(40)들을 회전 가능한 링크로드(42)로 서로 연결함으로써, 링크로드(42)를 상하로 조작하면, 링크로드(42)에 연결된 모든 분리형 정류부(40)들이 연동하여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1)에 도3의 분리형 정류부(40)를 적용하게 되면, 경사부(4)를 통과한 기류를 수평의 정류부(40)가 균일하게 정류함과 아울러, 정류부(40)의 각도를 조절하여 정류된 기류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도5와 도6의 블레이드(1)도, 정류부(40)를 경사부(4)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부재로 형성한 예인바, 도3의 분리형 정류부(40)는 각각의 블레이드마다 별도의 정류부(40)가 형성된 예인 반면, 도5의 분리형 정류부(40)는 다수의 경사부(4)의 내측단들에 걸쳐 하나의 격자판(43)이 연설한 격자형 정류부의 예이다.
도5의 블레이드(1)가 적용되는 정류 루버(2)의 경우, 경사부(4)와 우수차단턱(20)과 선택적으로 제2의 우수차단턱(50)을 구비한 부분이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분리형 정류부(40)는 경사부(4)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되, 정류부(40)가 가로세로 구획된 격자판(43)으로 되어 있다.
즉, 격자판(43)의 각각의 가로판(43a)이 대응하는 각각의 경사부(4)에 연설됨으로써 정류부로서의 작용을 하게 되며, 세로판(43b)들은 가로판(43a)과 협력하여 토출측(B)로 뻗은 긴 통로를 형성함에 따라, 정류된 기류에 대해 직진성을 강화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1)로 구축된 정류 루버(2)가 외부에 노출된 환경일 경우, 동절기에 블레이드(1)의 표면에 눈이 쌓여 동결될 수 있고, 이렇게 눈이 쌓이게 되면 정류 루버(2)를 통한 통풍을 방해하게 되고 기류를 통해 눈이 유입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블레이드(1)에는 눈이 쌓일 수 있는 부분인 경사부(4)에 눈을 가열하여 녹이고 증발시킬 수 있는 전열선(60)을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열선삽입공(11, 31)을 형성할 수 있다.
도1,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체예의 경우, 상대적으로 눈이 쌓일 가능성이 높은 제1 경사부(10)의 경우 외측단 쪽에 1개와 내측단 쪽에 2개를 포함하여 총 3개의 전열선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눈이 쌓일 가능성이 낮은 제2 경사부(30)에는 1개의 전열선삽입공(31)이 형성되어 있는 바, 전열선삽입공(11, 31)의 형상, 개수 및 형성 위치는 쌓인 눈을 녹일 수 있는 위치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1)는, 이들을 프레임(3)에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다수 조립함으로써 본 발명의 정류 루버(2)를 형성하게 되는 바, 각각의 블레이드(1)에는 프레임(3)에의 피스 조립을 위해 적당한 위치에 필요한 만큼의 체결부(12, 32 및 44)를 형성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체예의 경우, 나사못(피스)을 조여 블레이드(1)를 프레임(3)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 경사부(10)의 하단 쪽에 1개의 체결부(12), 제2 경사부(30)와 정류부(40)의 연결부위에 1개의 체결부(32) 및 정류부(40)의 내측단 쪽에 1개의 체결부(44)를 각각 형성한 예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본 발명의 루버용 블레이드 2: 본 발명의 루버
3: 프레임 4: 경사부
10: 제1 경사부 11, 31: 전열선삽입공
12, 32, 44: 체결부 20: 우수차단턱
30: 제2 경사부 40: 정류부
41: 회전축 42: 링크로드
43: 격자판 43a: 가로판
43b: 세로판 50: 제2의 우수차단턱
60: 전열선

Claims (6)

  1. 프레임(3)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루버(2)를 구축하는 루버용 블레이드에 있어서,
    외측의 흡기측(A)으로부터 내측의 토출측(B)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진 경사부(4);
    상기 경사부(4)의 상면에 형성되어, 우수가 상기 토출측(B)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우수차단턱(20); 및
    상기 경사부(4)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토출측(B)으로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서, 통과되는 기류를 정류하는 정류부(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용 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4)는, 상기 흡기측(A)으로부터 상기 토출측(B)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진 제1 경사부(10)와, 상기 제1 경사부(10)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토출측(B)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진 제2 경사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우수차단턱(20)은, 상기 제1 경사부(10)와 상기 제2 경사부(30)의 사이에 상기 제1 경사부(10)의 내측단으로부터 상측으로 꺾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용 블레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40)는, 상기 경사부(4)와 분리된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분리된 상기 정류부(40)는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용 블레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40)는, 상기 경사부(4)와 분리된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분리된 상기 정류부(40)는, 다수의 상기 경사부(4)의 내측단들에 걸쳐 격자판(43)이 연설된 격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용 블레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4)에는 전열선(60)을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열선삽입공(11, 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용 블레이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블레이드가, 프레임(3)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 루버.
KR1020110030104A 2011-04-01 2011-04-01 루버용 블레이드 및 정류 루버 KR101251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104A KR101251619B1 (ko) 2011-04-01 2011-04-01 루버용 블레이드 및 정류 루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104A KR101251619B1 (ko) 2011-04-01 2011-04-01 루버용 블레이드 및 정류 루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560A KR20120111560A (ko) 2012-10-10
KR101251619B1 true KR101251619B1 (ko) 2013-04-08

Family

ID=4728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104A KR101251619B1 (ko) 2011-04-01 2011-04-01 루버용 블레이드 및 정류 루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6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471B1 (ko) 2016-11-04 2017-03-28 김종인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268B1 (ko) * 2011-06-28 2013-10-02 (주)신성이엔지 공기조절장치
CN116526044A (zh) * 2023-05-26 2023-08-01 广东新佳盟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水功能的储能电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857A (ja) 1998-11-11 2000-07-25 Hatanaka Bankin Kosakusho:Kk ガラリ用羽板並びにガラリ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857A (ja) 1998-11-11 2000-07-25 Hatanaka Bankin Kosakusho:Kk ガラリ用羽板並びにガラ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471B1 (ko) 2016-11-04 2017-03-28 김종인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560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49190A1 (en) Ventilating moisture barrier for roof vent
US20180347849A1 (en) Louver assembly
US9222691B2 (en) Static roof ventilator
US7966773B2 (en) Wall edge vortex suppressor
KR101251619B1 (ko) 루버용 블레이드 및 정류 루버
WO2008133539A2 (en) Roof window with air supply channel
US20230228092A1 (en) Off-ridge roof ventilation device
CN109424564A (zh) 吊扇的散热构造
KR10150069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배출 에어가이드
JP2008144552A (ja) 雪庇防止装置
US200800606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heating ventilation air for a building
US6240690B1 (en) Vented metal roof
JP2009084962A (ja) 防水及び防雪型換気ルーバ
KR101541238B1 (ko)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KR20170099093A (ko) 옥상방수시스템
US20100233951A1 (en) Discharge grille and an air curtain device
KR101183561B1 (ko) 루프 환기 제어시스템
US10690380B2 (en) Solar water-heating system and panel thereof
JP4295155B2 (ja) 防雪柵
JP3166562U (ja) 防水型換気ガラリ
JP4164405B2 (ja) 雪庇発生防止装置
KR100893786B1 (ko) 창틀용 빗물 차단창 및 차단창 조립체
JP5452321B2 (ja) 屋根の換気構造
JP2005194715A (ja) 防水型換気ルーバ
NO160162B (no) Anordning ved ventilasjonsvegg eller lou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