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471B1 -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471B1
KR101720471B1 KR1020160146645A KR20160146645A KR101720471B1 KR 101720471 B1 KR101720471 B1 KR 101720471B1 KR 1020160146645 A KR1020160146645 A KR 1020160146645A KR 20160146645 A KR20160146645 A KR 20160146645A KR 101720471 B1 KR101720471 B1 KR 101720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e
shutter
slat
spr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김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인 filed Critical 김종인
Priority to KR1020160146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69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in a zig-zag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2009/285Means for actuating a rod (being tilt rod or lift rod)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루버 시스템에서, 슬랫;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상, 하, 좌, 우로 신장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바와, 바들의 단부가 끼워져 이동하도록 길이를 따라 가공된 슬라이홈을 가지면서 사방에 배치된 프레임을 구비한 신축형 셔터; 슬랫을 회전하도록 신축형 셔터에 장착한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Electromotive louver system using expension type shutter}
본 발명은 루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범위 내의 오차 면적을 갖는 다양한 크기의 창틀 또는 문틀에 꼭 들어맞게 설치되도록 신축형 셔터를 이용하여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된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버(Louver)는 보통 많은 통풍이 요구되는 곳에 외부의 시각적 노출을 줄이면서 햇빛을 차단하며 우천시 빗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고 통풍을 보장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종래 루버는 기계실, 주차장, 공장 벽체와 같이 통풍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된다.
루버는 고정식과 개폐식으로 구분되고, 고정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45° 내지 50° 기울어지게 구성되며, 설치되는 목적이나 상황에 따라 루버의 기울어지는 각도가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개폐식 루버는 복수의 미늘판들이 회전동작에 의해 개폐 가능하며, 고정식 루버에 비하여 사용에 따른 기밀성과 개폐 통기성이 뛰어난 장점을 갖는다.
개폐식 루버와 관련된 선행기술의 일 예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0023호 "루버 모듈 및 그를 채용한 루버 시스템"(등록일자: 2010.12.03)에 나타나 있다.
상술한 개폐식 루버는 최근 아파트, 오피스텔 및 주상복합 빌딩의 보일러가 설치된 장소 또는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가 설치된 장소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루버 설치를 위한 창틀 또는 문틀이 규격화는 되어 있지만 제작시 오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 오차로 인해 루버를 설치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창틀 또는 문틀이 규격에 맞지 않게 제작된 경우 루버 설치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0023호 (2010.12.1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7069호 (2007.10.12.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60209호(2008.07.01.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1619호(2013.04.0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9132호(2014.01.0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5550호(2014.04.15.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6039호(2013.04.18.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격자형태로 다수 연결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제작된 신축형 셔터에 다수의 슬랫을 장착함으로써, 일정 범위 내의 다양한 크기를 갖는 창틀 또는 문틀에 장착할 수 있는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은, 루버 시스템에서, 슬랫;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상, 하, 좌, 우로 신장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바와, 바들의 단부가 끼워져 이동하도록 길이를 따라 가공된 슬라이홈을 가지면서 사방에 배치된 프레임을 구비한 신축형 셔터; 슬랫을 회전하도록 신축형 셔터에 장착한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수단은, 바들이 장착된 위치에 양립하여 고정된 한 쌍의 고정돌기와, 이 고정돌기에 가공된 회전안내홀을 구비한 고정부; 고정돌기에 장착된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를 구비한 동력부;와, 구동기어와 맞물리면서 슬랫의 일면에 장착된 종동기어와, 회전안내홀에 끼워지면서 종동기어에 가공된 회전축을 구비한 회전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안내홀이 일정 길이의 곡률을 갖도록 가공되어 슬랫이 회전안내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한다.
한편, 고정돌기에는 신축형 셔터측 부위이면서 일측부에 슬랫측으로 일정 길이로 곧게 가공된 제1안내홀, 제1안내홀과 이격되어 제1안내홀측으로 일정 곡률을 갖도록 가공된 제2안내홀, 회전안내홀을 따라 이동 및 회전하는 슬랫과의 간섭이 배제되도록 선단면에 일정 곡률을 갖도록 가공된 곡률면이 더 가공된다.
또한, 회전수단에는 동력원이 고정된 고정부재, 고정부재의 양측면에 돌출 가공되면서 제1안내홀에 끼워져 이동하도록 가공된 제1돌기, 제1돌기의 근처이면서 고정부재와 신축형 셔터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된 제1스프링, 고정부재의 양측면에 돌출 가공되면서 제2안내홀에 끼워져 이동하도록 가공된 제2돌기와, 제2돌기의 근처이면서 고정부재와 신축형 셔터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면서 제1스프링보다 길이가 더 긴 제2스프링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신축형 셔터로부터 고정부재가 이격된다.
또한, 슬랫이 회전안내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할 때,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맞물림이 유지되도록 제1스프링이 압축되어 고정부재와 동력원의 일측부가 신축형 셔터 측으로 이동하고, 제2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와 동력원의 타측부가 축회전된다.
한편, 슬랫은 동일 높이에서 옆 방향으로 적어도 2개가 배치되고, 이웃한 슬랫들이 슬라이딩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설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바가 상호 교차하여 신축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사방에 대해 바들의 단부들이 끼워지는 프레임이 개별 이동하도록 제작된 신축형 셔터를 구비함으로써, 창틀 또는 문틀의 크기가 설치 장소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어도 그 크기에 꼭 들어맞게 루버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돌기의 제1안내홀(314) 및 제2안내홀과, 고정부재의 제1돌기, 제2돌기, 제1스프링 및 제2스프링에 의해 고정부재 및 동력원이 좌, 우로 이동하면서 축회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슬랫에 고정된 종동기어와 동력원의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동안 종동기어에 장착된 회전축과 고정돌기의 회전안내홀에 의해 일정 곡률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들 제1안내홀 및 제2안내홀과, 제1돌기 및 제2돌기 및 제1스프링 및 제2스프링의 연계 동작에 의해 종동기어와 구동기어의 맞물린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슬랫의 이동 및 회전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프레임에 장착된 신축형 셔터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신축형 셔터가 늘어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슬랫들 간의 체결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슬랫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이 도시된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도 5에 도시된 동력원의 동작 관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 8과 도 9는 도 5의 전동수단에 의해 회전한 슬랫이 축회전한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형 셔터(100), 슬랫(200)과 회전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신축형 셔터(100)는 도 2에서와같이, 바(110, bar),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바(110)는 다수가 사선으로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교차 부위에서 상호 간에 축회전하도록 체결된다. 따라서, 이 바(110)들은 상, 하, 좌, 우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밀면 해당 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프레임은 상부프레임(120), 하부프레임(130)과 한 쌍의 측부프레임(140)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대략 사각형의 창틀 또는 문틀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만약 오각형 등 다른 형태일 경우 더 많은 개수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120), 하부프레임(130)과 측부프레임(140)은 상호 체결된 바(110)들의 상부, 하부와 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 개별 이동할 수 있도록 제작되며, 도 3에서 보듯이 바(110)들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가공된 슬라이드홈(150)을 구비한다. 여기서, 슬라이드홈(150)은 바(110)들이 신장(伸張)되는 동안 바(110)들이 안정되게 이동하도록 안내하고, 위치가 이탈하지 않도록 보조할 수 있다. 추가로, 슬라이드홈(150)의 내부에는 걸림슬롯을 구비한 레일(rail)이 설치될 수 있고, 바(110)들의 단부에는 걸림슬롯에 장착되어 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할 수 있는 롤러가 추가 설치됨으로써, 바(110)들의 신장 이동이 더욱 부드러우면서 안정되게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서와같이 신축형 셔터(100)가 늘어난 사방으로 늘어난 경우, 상부프레임(120), 하부프레임(130)과 측부프레임(140)들이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물론, 좌, 우 방향으로만 늘어날 수도 있고, 상, 하 방향으로만 늘어날 수도 있으며, 그 반대로 줄어들 수도 있다. 즉, 상부프레임(120), 하부프레임(130)과 측부프레임(140)들은 상호 간에 고정되지 않고, 바(110)들의 측부와 체결되는 것이다.
한편, 슬랫(200)은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면서 높이 방향으로 다수가 설치된다. 이 슬랫(200)은 수평 방향에 대해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인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이웃한 슬랫(200) 중 어느 하나의 슬랫(200)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슬랫(200)의 단부에 삽입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물론, 단순히 슬랫(200)의 단부들이 앞, 뒤로 겹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슬랫(200)의 길이는 신축형 셔터(100)가 좌, 우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경우, 좌, 우 인접한 슬랫(200)들 간의 삽입 또는 인출되어 그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슬랫(200)의 높이는 신축형 셔터(100)가 상, 하로 최대로 늘어난 상태에서 위, 아래 슬랫(200)들이 최소한으로 겹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슬랫(200)은 회전수단(300)을 통해 신축형 셔터(10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보듯이, 회전수단(300)은 슬랫(200)이 신축형 셔터(100)에 장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 회전수단(300)은 고정부(310), 동력부(320)와 회전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수단(300)은 슬랫(200)들 마다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도 있고,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 다수의 슬랫(200) 중에서 하나의 슬랫(200) 또는 교번으로 또는 슬랫(200)마다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수단(300)은 높이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먼저, 고정부(310)는 고정돌기(311), 회전안내홀(312), 굴곡면(313), 제1안내홀(314)과 제2안내홀(315)을 구비한다.
고정돌기(311)는 신축형 셔터(100)에서 바(110)들이 중첩되어 축회전 가능 하도록 결합된 부위에 양립하여 고정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 고정돌기(311)는 슬랫(200)을 신축형 셔터(100)에 고정시키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고정돌기(311)는 슬랫(200)측으로 돌출되고, 슬랫(200)측 부위에 구동기어(324)의 회전축(332)이 장착되는 회전안내홀(312), 굴곡면(313), 신축형 셔터(100)측 부위에 고정부재(325)의 제1돌기(325a)와 제2돌기(325c)가 장착되는 제1안내홀(314)과, 제2안내홀(315)이 가공된다.
회전안내홀(312)은 측면상 대략 1/4의 원주형태로 가공된다. 이러한 형태는 도 8과 도 9에서와같이 회전하는 슬랫(200)이 대략 수평으로 펼쳐지거나 대략 수직으로 접힐 때 슬랫(200)의 회전 및 이동을 안내하기 위함이다. 즉, 회전안내홀(312)은 슬랫(200)이 제자리에서 축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굴곡면(313)은 회전안내홀(312)을 따라 회전할 때, 슬랫(200)의 회전 및 이동이 원활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311)의 선단면에 곡면으로 가공된다. 이 굴곡면(313)은 슬랫(200)의 회전 및 이동 곡률 또는, 회전안내홀(312)의 곡률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1안내홀(314)은 고정부재(325)의 제1돌기(325a)가 장착된다. 이 제1안내홀(314)은 곧게 가공된 형태이다. 이는 슬랫(200)이 회전할 때, 좌, 우로 이동하는 고정부재(325)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2안내홀(315)은 고정부재(325)의 제2돌기(325c)가 장착된다. 이 제2안내홀(315)은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가공된 형태이다. 이는 슬랫(200)이 회전할 때, 슬랫(200)에 장착된 종동기어(331)와 동력원(321)의 구동기어(324)가 지속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부재(325)가 슬랫(200)의 회전 곡률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축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함이다. 즉, 제2안내홀(315)은 슬랫(200)의 회전 곡률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가공됨이 바람직하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동력부(320)는 동력원(321), 동작스위치(322), 외부전원(323), 구동기어(324)와 고정부재(325)를 포함한다.
동력원(321)은 구동기어(324)를 자전형태로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일 수 있다. 이 동력원(321)은 고정부재(325)에 고정되어 신축형 셔터(100)에 장착될 수 있다. 동력원(321)은 회전수단(300)의 설치 개수와 위치에 따라 동일하게 다수 설치될 수 있다.
동작스위치(322)는 동력원(321)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설치된다. 이 동작스위치(322)는 하나 또는 다수의 동력원(321)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다수가 설치될 수 있다.
외부전원(323)은 동작스위치(322)와 연결되어 동력원(321)에 전력을 총괄적으로 공급한다.
구동기어(324)는 슬랫(200)의 후면에 고정된 종동기어(331)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이 구동기어(324)는 종동기어(331)와 맞물린 상태에서 동력부(320)에서 전달된 동력으로 슬랫(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325)는 동력원(321)을 수용하면서 고정돌기(311)에 장착되고, 도면상 좌, 우 이동과 축회전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 고정부재(325)는 제1돌기(325a), 제1스프링(325b), 제2돌기(325c)와 제2스프링(325d)을 구비한다.
먼저, 제1돌기(325a)는 고정돌기(311)의 제1안내홀(314)에 끼워지도록 양측면이면서 일측부위에 외향 돌출되도록 가공된다.
또한, 제1스프링(325b)은 제1돌기(325a)의 아래측 부위에 설치되고, 고정부재(325)와 신축형 셔터(100) 사이에 배치된다. 이 제1스프링(325b)은 신축형 셔터(100)에 대해 고정부재(325)를 도면상 좌, 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돌기(325a)가 제1안내홀(314)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제1스프링(325b)은 압축되거나 팽창되어 고정부재(325) 및 동력원(321)을 좌, 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제2돌기(325c)는 고정돌기(311)의 제2안내홀(315)에 끼워지도록 양측면이면서 제1돌기(325a)의 반대측 부위에 외향 돌출되도록 가공된다.
그리고 제2스프링(325d)은 제2돌기(325c)의 아래측 부위에 설치되고, 고정부재(325)와 신축형 셔터(100) 사이에 배치된다. 이 제2스프링(325d)은 제1스프링(325b)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고, 신축형 셔터(100)에 대해 고정부재(325)를 도면상 좌, 우 이동 및 축회전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돌기(325c)가 제2안내홀(315)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제2스프링(325d)은 압축되거나 팽창되고, 고정부재(325) 및 동력원(321)을 좌, 우로 이동시킨 후 축회전시킬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보면, 슬랫(200)이 회전안내홀(312)을 따라 회전 및 이동하는 동안 구동기어(324)와 종동기어(331)가 지속적으로 맞물린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제1안내홀(314)을 따라 제1돌기(325a)가 좌, 우로 이동하고, 제2안내홀(315)을 따라 제2돌기(325c)가 좌, 우 이동 및 곡률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구형될 수 있다.
한편, 회전부(330)는 슬랫(200)의 동력부(320)측 일면에 설치되어 동력부(320)와 고정부(310)에 의해 슬랫(200)이 이동 및 회전되도록 한다. 이 회전부(330)는 종동기어(331)와 회전축(332)을 구비한다.
먼저, 종동기어(331)는 대략 반원 형상이고, 구동기어(324)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종동기어(331)는 구동기어(324)가 회전하면 슬랫(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332)은 고정돌기(311)의 회전안내홀(312)에 끼워지도록 종동기어(331)의 양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도록 가공된다. 따라서, 회전축(332)은 슬랫(200)이 회전하는 동안 회전안내홀(312)을 따라 이동하여 슬랫(200)을 일정 곡률 형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슬랫(200)의 열린 상태가 도 9에서와 같이 대략 수평인 상태일 수도 있고, 대략 45~60° 정도의 상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각도에 따라 제1안내홀(314), 제2안내홀(315)과 회전안내홀(312)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설치>
일정 크기의 창틀 또는 문틀에 전동 루버 시스템을 설치한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상부프레임(120), 하부프레임(130)과 측부프레임(140)을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창틀 또는 문틀의 크기에 루버 시스템 꼭 들어맞게 크기를 조정하고, 루버시스템을 창틀 또는 문틀에 고정한다.
<작동>
슬랫(200)의 회전 작동에 대해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에서와 같이 슬랫(200)이 닫혀 있는 상태를 보자. 슬랫(200)이 대략 수직으로 위치된 닫힌 상태는 제1스프링(325b)과 제2스프링(325d)의 탄성에 의해 고정부재(325)와 동력원(321)이 좌측으로 이동되고, 제1돌기(325a)가 제1안내홀(314)의 좌측 단부에 위치되고, 제2돌기(325c)가 제2안내홀(315)의 우측 단부에 위치되며, 회전축(332)이 회전안내홀(312)의 좌측 단부에 위치된다. 이때, 구동기어(324)와 종동기어(331)는 맞물린 상태이다.
여기서, 외부전원(323)과 연결된 동작스위치(322)로 동력원(321)에 전기를 인가하면, 구동기어(324)가 종동기어(331)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332)이 회전안내홀(312)을 따라 우측 단부로 이동하게 되며, 제1돌기(325a)가 제1안내홀(314)의 우측 단부로 이동하게 되며, 제2돌기(325c)가 제2안내홀(315)의 좌측 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돌기(325a)와 제2돌기(325c)의 이동은 제1스프링(325b)과 제2스프링(325d)에 의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고정부재(325)와 동력원(321)은 축회전하게 되어 구동기어(324)와 종동기어(331)의 맞물린 상태는 유지된다.
동력원(321)이 지속적으로 작동하면, 최종적으로 도 9에서와 같이 슬랫(200)이 열린 상태가 된다. 슬랫(200)이 대략 수평으로 위치된 열린 상태는 제1스프링(325b)이 압축되면서 제2스프링(325d)이 팽창되어 제1돌기(325a)가 제1안내홀(314)의 우측 단부에 위치되고, 제2돌기(325c)가 제2안내홀(315)의 좌측 단부에 위치되며, 회전축(332)이 회전안내홀(312)의 우측 단부에 위치된다. 이때, 고정부재(325)와 동력원(321)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고, 구동기어(324)와 종동기어(331) 역시 맞물린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신축형 셔터 110:바
120:상부프레임 130:하부프레임
140:측부프레임 150:슬라이드홈
200:슬랫
300:회전수단 310:고정부
311:고정돌기 312:회전안내홀
313:굴곡면 314:제1안내홀
315:제2안내홀
320:동력부 321:동력원
322:동작스위치 323:외부전원
324:구동기어 325:고정부재
325a:제1돌기 325b:제1스프링
325c:제2돌기 325d:제2스프링
330:회전부 331:종동기어
332:회전축.

Claims (4)

  1. 루버 시스템에서,
    슬랫(200);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상, 하, 좌, 우로 신장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바(110)와, 바(110)들의 단부가 끼워져 이동하도록 길이를 따라 가공된 슬라이드홈(150)을 가지면서 사방에 배치되어 개별 설치된 프레임을 구비한 신축형 셔터(100);
    상기 슬랫(200)을 회전하도록 신축형 셔터(100)에 장착한 회전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300)은,
    바(110)들이 장착된 위치에 양립하여 고정된 한 쌍의 고정돌기(311)와, 이 고정돌기(311)에 가공된 회전안내홀(312)을 구비한 고정부(310); 고정돌기(311)에 장착된 동력원(32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324)를 구비한 동력부(320);와, 구동기어(324)와 맞물리면서 슬랫(200)의 일면에 장착된 종동기어(331)와. 이 회전안내홀(312)에 끼워지면서 종동기어(331)에 가공된 회전축(332)을 구비한 회전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안내홀(312)이 일정 길이의 곡률을 갖도록 가공되어 슬랫(200)이 회전안내홀(312)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고정돌기(311)에는 신축형 셔터(100)측 부위이면서 일측부에 슬랫(200)측으로 일정 길이로 곧게 가공된 제1안내홀(314), 제1안내홀(314)과 이격되어 제1안내홀(314)측으로 일정 곡률을 갖도록 가공된 제2안내홀(315), 회전안내홀(312)을 따라 이동 및 회전하는 슬랫(200)과의 간섭이 배제되도록 선단면에 일정 곡률을 갖도록 가공된 굴곡면(313)이 더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회전수단(300)에는 동력원(321)이 고정된 고정부재(325), 고정부재(325)의 양측면에 돌출 가공되면서 제1안내홀(314)에 끼워져 이동하도록 가공된 제1돌기(325a), 제1돌기(325a)의 근처이면서 고정부재(325)와 신축형 셔터(100)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된 제1스프링(325b), 고정부재(325)의 양측면에 돌출 가공되면서 제2안내홀(315)에 끼워져 이동하도록 가공된 제2돌기(325c)와, 제2돌기(325c)의 근처이면서 고정부재(325)와 신축형 셔터(100)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면서 제1스프링(325b)보다 길이가 더 긴 제2스프링(325d)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1스프링(325b)과 제2스프링(325d)의 탄성력에 의해 신축형 셔터(100)로부터 고정부재(325)가 이격되고,
    상기 슬랫(200)이 회전안내홀(312)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할 때, 구동기어(324)와 종동기어(331)의 맞물림이 유지되도록 제1스프링(325b)이 압축되어 고정부재(325)와 동력원(321)의 일측부가 신축형 셔터(100)측으로 이동하고, 제2스프링(325d)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325)와 동력원(321)의 타측부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슬랫(200)은 동일 높이에서 옆 방향으로 적어도 2개가 배치되고, 이웃한 슬랫(200)들이 슬라이딩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KR1020160146645A 2016-11-04 2016-11-04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KR101720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645A KR101720471B1 (ko) 2016-11-04 2016-11-04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645A KR101720471B1 (ko) 2016-11-04 2016-11-04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471B1 true KR101720471B1 (ko) 2017-03-28

Family

ID=5849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645A KR101720471B1 (ko) 2016-11-04 2016-11-04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4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571A (ko) 2020-03-03 2021-09-13 한솔테크닉스(주) 루버 창호용 창틀 프레임
KR102595471B1 (ko) * 2023-08-02 2023-10-27 김종일 형상과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연결형 루버체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170U (ja) * 1992-01-31 1993-08-20 山武ハネウエル株式会社 筐体の扉構造
KR100767069B1 (ko) 2006-07-18 2007-10-12 호 식 박 처짐방지장치가 구비된 루버형 도어
KR20080060209A (ko) 2008-06-11 2008-07-01 (주)헌터플러스다중이엔아이 외장용 루버 패널
KR101000023B1 (ko) 2010-06-22 2010-12-10 주식회사 바우텍 루버 모듈 및 그를 채용한 루버 시스템
KR101074437B1 (ko) * 2009-11-19 2011-10-18 탁동호 좌우겸용이 용이한 도어힌지
KR101169886B1 (ko) * 2011-03-14 2012-08-03 김대식 에너지 절감형 다기능 창호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51619B1 (ko) 2011-04-01 2013-04-08 (주)동양공조 루버용 블레이드 및 정류 루버
KR101256039B1 (ko) 2012-12-27 2013-04-18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일체형 스크린 루버 구조체
KR101349132B1 (ko) 2012-06-15 2014-01-09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이중 제진기능을 갖는 핵연료 운송장치
KR101385550B1 (ko) 2012-12-11 2014-04-15 쌍용건설 주식회사 건물 외벽용 루버
KR20160107389A (ko) * 2015-03-03 2016-09-19 김상근 커튼식 스크린 방화셔터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170U (ja) * 1992-01-31 1993-08-20 山武ハネウエル株式会社 筐体の扉構造
KR100767069B1 (ko) 2006-07-18 2007-10-12 호 식 박 처짐방지장치가 구비된 루버형 도어
KR20080060209A (ko) 2008-06-11 2008-07-01 (주)헌터플러스다중이엔아이 외장용 루버 패널
KR101074437B1 (ko) * 2009-11-19 2011-10-18 탁동호 좌우겸용이 용이한 도어힌지
KR101000023B1 (ko) 2010-06-22 2010-12-10 주식회사 바우텍 루버 모듈 및 그를 채용한 루버 시스템
KR101169886B1 (ko) * 2011-03-14 2012-08-03 김대식 에너지 절감형 다기능 창호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51619B1 (ko) 2011-04-01 2013-04-08 (주)동양공조 루버용 블레이드 및 정류 루버
KR101349132B1 (ko) 2012-06-15 2014-01-09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이중 제진기능을 갖는 핵연료 운송장치
KR101385550B1 (ko) 2012-12-11 2014-04-15 쌍용건설 주식회사 건물 외벽용 루버
KR101256039B1 (ko) 2012-12-27 2013-04-18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일체형 스크린 루버 구조체
KR20160107389A (ko) * 2015-03-03 2016-09-19 김상근 커튼식 스크린 방화셔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571A (ko) 2020-03-03 2021-09-13 한솔테크닉스(주) 루버 창호용 창틀 프레임
KR102595471B1 (ko) * 2023-08-02 2023-10-27 김종일 형상과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연결형 루버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36338A1 (en) Motor-drive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movable screen consisting of a windable canvas of a window-covering device or projection screen
CN111201362B (zh) 管状机电致动器,具有这种致动器的家用自动化控制设备以及这种致动器的装配方法
DK2721237T3 (en) Covers for CONSTRUCTION OPENINGS OR SURFACE PARTS OF BUILDINGS AND DRIVE TO SUCH Covers
KR101720471B1 (ko)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KR102068117B1 (ko) 루버 시스템
CN104935105B (zh) 机电致动器、相关家用自动化设备和该致动器的制造方法
US11236545B2 (en) Tubular electromechanical actuator, home-automation installation comprising such an actua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n actuator
US20100122492A1 (en) Shutter
US20160168905A1 (en) Multi-stage sunshade device
KR101803536B1 (ko) 다목적 가변형 외부 차양장치
KR101039712B1 (ko) 옥내 중문 개폐 장치
US11280132B2 (en) Tubular electromechanical actuator and home automation installation comprising such an actuator
US20200340297A1 (en) Tubular electromechanical actuator and home-automation installation comprising such an actuator
KR101163762B1 (ko) 회전식 창문 개폐장치
KR102392106B1 (ko) 루버 자동 각도조절장치
KR200492236Y1 (ko)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
KR102628883B1 (ko) 루버 개폐장치
KR101446523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0929813B1 (ko) 루버 및 그 개폐구조
CN215951727U (zh) 用于双导风板的运动组件和空调器
KR101259717B1 (ko) 블라인드
KR101162021B1 (ko) 천정형 버티칼 블라인드
KR101500469B1 (ko) 회전 이동식 창문
KR101811040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JP5748425B2 (ja) シャッ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