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325B1 - 밀폐 보존용기의 캡 - Google Patents

밀폐 보존용기의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325B1
KR101251325B1 KR20100128979A KR20100128979A KR101251325B1 KR 101251325 B1 KR101251325 B1 KR 101251325B1 KR 20100128979 A KR20100128979 A KR 20100128979A KR 20100128979 A KR20100128979 A KR 20100128979A KR 101251325 B1 KR101251325 B1 KR 101251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olding
opening
space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28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2133A (ko
Inventor
에이지 후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이치 후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이치 후지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이치 후지이
Publication of KR20110102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65D41/30Deformable caps combined with resilient stoppers to permit re-use as temporary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4Cup-shaped plugs or like hollow flang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마개 개봉시의 취급이 쉽고, 용기의 반복 사용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밀폐성을 유지 가능하게 한다.
밀폐 보존용기(5)의 주둥이부(5a)에 장착 가능한 캡 본체(2) 내에 중간마개(3)를 배치하고, 캡 본체(2)에는 개구부(2b)를 향하여 돌출해 있는 유지부(2c)를 설치하고, 중간마개(3)에는 내부에 개구부로부터 유지부(2c)가 진입 가능한 수납 공간(3c)을 형성하고, 중간마개(3)는 유지부(2c)에 대하여 이 유지부와 함께 상하동 가능하지만 유지부의 회전력이 중간마개에 부여되지 않도록 끼워 넣어져 있다.

Description

밀폐 보존용기의 캡{CAP FOR SEALED 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을 변질되지 않도록 보존하기 위한 밀폐 보존용기에 사용하는 캡에 관한 것이다.
(종래예의 설명)
캡에 의해 밀봉되는 밀폐 보존용기는, 수요자에게 도달하기까지는, 또는 수요자에 의해 처음으로 마개 개봉될 때까지는 완전 밀봉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내용물을 단기 또는 장기로 보존하기 위한 밀폐 보존용기에 사용되는 캡으로서 캡 본체와 중간마개를 조합한 것(일본 특개 평8-48350호 공보 등)이나, 캡 본체와 중간마개를 일체로 성형한 것(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0-123360호 공보 등)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개 평8-48350호 공보에 기재된 캡(이하 「종래예 1」이라고 한다.)은, 상기 공보의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캡 본체에 상당하는 뚜껑 본체 내에 중간마개인 밀봉용 패킹을 배치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뚜껑 본체는 뚜껑 천판 및 이 뚜껑 천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둘레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둘레벽에는 용기 주둥이부의 용기 나사부에 비틀어 넣어지는 캡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밀봉용 패킹은 마개 폐쇄시에 용기 주둥이부를 밀봉하기 위한 것이며, 이 용기 주둥이부의 개구 내에 밀봉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환상의 중간발(中足)을 가지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60-123360호 공보에 기재된 용기 뚜껑(이하 「종래예 2」라고 한다.)은, 상기 공보의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캡 본체에 상당하는 나선형성 통부와, 중간마개에 상당하는 마개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나선형성 통부는 용기의 주둥이 마개부의 나사부에 비틀어 넣어져 있다. 또, 상기 마개부는, 중실체(中實體) 구조임과 아울러, 상기 나선형성 통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또한 주둥이 마개 개구부에 타이트한 상태로 끼워 넣어진다.
(종래예의 과제)
종래예 1과 같은 캡 본체와 중간마개를 조합하고 있는 캡에서는, 중간마개에 의해 높은 밀폐성이 얻어지지만, 하기의 과제가 있다.
즉, 종래예 1에서, 마개 개봉시에, 사용자가 용기의 주둥이부로부터 중간마개를 돌릴 때에, 보존되어 있는 내용물이 손가락에 부착될 우려가 있고, 특히 내용물이 액체인 경우에는 그 가능성이 크다. 이 때문에, 마개 개봉시에 있어서의 캡의 취급이 번거롭다.
종래예 2와 같이 캡 본체와 중간마개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캡에서는, 마개 개봉시에 중간마개는 캡 본체와 함께 빠지므로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하기에 나타내는 새로운 과제가 있다.
즉, 종래예 2에서, 용기 뚜껑은 주둥이 마개부에 비틀어 넣어져 있기 때문에에, 마개 개봉시에는 나선형성 통부를 돌릴 필요가 있고, 이 나선형성 통부의 회전에 따라 마개부도 회전한다. 이 마개부는 주둥이 마개부의 주둥이 마개 개구부에 밀착상태로 끼워 넣어져 있으므로, 상기 마개부의 회전에 의해 마개부의 외주면이 밀착해 있는 상기 주둥이 마개 개구부의 내주면을 흠집나게 한다. 이 결과, 상기 외주면과 상기 내주면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생기고, 이 간극이 밀폐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연구소 등에서는, 예산 등의 사정에 의해, 내용물(예를 들면, 시약액, 유기 배양액, 바다, 호소 등으로부터 채취한 샘플수 등)을 넣은 용기를, 반복 세정하여 재사용하고 있는 것이 실상이다. 용기를 반복 사용하는 관점에서, 상기 종례예 2에서는, 한번 사용한 용기의 주둥이 마개 개구부의 내주면이 흠집나 버렸으므로, 용기의 재이용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개 개봉시의 취급이 용이하고, 용기의 반복 사용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밀폐성을 유지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 따른 밀폐 보존용기의 캡은 밀폐 보존용기의 주둥이부에 장착 가능한 캡 본체와, 이 캡 본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중간마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캡 본체 내에는 그 내측 바닥부로부터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해 있는 유지부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중간마개에는, 그 내부에 개구부로부터 상기 유지부가 진입 가능한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또 그 외주부에 외측으로 튀어나오고 또한 상기 주둥이부의 가장자리부에 밀착 가능한 플랜지부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유지부와 상기 중간마개의 결합관계에서, 상기 중간마개는 상기 유지부와 함께 상하동 가능하지만, 유지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유지부는 유지부의 회전력이 상기 중간마개에 부여되지 않도록 끼워 넣어져 있다. 상기 유지부의 플랜지부의 외주면은 상기 캡 본체의 상기 내측 바닥부측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상기 유지부와 상기 중간마개와의 결합관계의 일례로서, 일방의 유지부는 유지부의 외주면이 캡 본체의 개구부를 향하여 점차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언더컷부로 되어 있다. 또, 타방 중간마개는 중간마개의 수납 공간의 개구부의 내주면이 상기 외주면을 따라 경사져 있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언더컷부로 되어 있다. 상기 유지부의 외주면과 상기 중간마개의 내주면이 서로 간극을 가지고 대향하고 있다.
상기 결합관계의 다른 예로서 일방의 상기 유지부는 내부에 유지 공간을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이 유지 공간의 캡 본체의 개구부측이 개구부로 되어 있고, 또한 이 개구부의 내주에 걸어맞춤 가장자리부를 설치하고 있다. 또, 타방의 중간마개는 그 수납 공간의 바닥부로부터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해 있음과 아울러 외주부에 걸어맞춤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유지 볼록부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중간마개의 유지 볼록부는 상기 유지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유지 공간 내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유지부의 상기 걸어맞춤 가장자리부는 상기 중간마개의 걸어맞춤 오목부와 간극을 두고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상기 유지 볼록부에 유지되어 있다.
내용물을 사용자에 인식시키기 위한 식별 표시 수단으로서, 밀폐 보존용기에 착색한 재질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및 밀폐 보존용기의 성형 후에 착색을 시행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상기 중간마개의 수납 공간에 내용물의 표시체를 배치하고, 상기 표시체를 캡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투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캡 본체의 유지부가 중간마개에 끼워 넣어져 있으므로, 캡의 장착 및 그 해제를 하기 쉽고, 또 상기 중간마개는 상기 유지부에 대하여 이 유지부와 함께 상하동 가능하지만, 상기 유지부의 회전에 연동하지 않으므로, 마개 폐쇄시에 상기 유지부가 회전해도 중간마개는 회전하지 않아, 밀폐 보존용기의 주둥이부가 중간마개에 의해 흠집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 결과, 밀폐 보존용기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 보관이나 운반 중에 밀폐 보존용기가 넘어져도 밀폐성이 유지되어 있으므로, 넘어짐에 의해 내용물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보존용기의 캡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정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보존용기의 캡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 보존용기의 캡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정면도.
도 6은 도 5의 VI-VI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중간마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5의 표시체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 보존용기의 캡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X-X선 단면도.
도 11은 도 9에서의 밀폐 보존용기의 캡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정면도.
도 12는 도 9에서의 밀폐 보존용기의 캡에 사용하는 중간마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보존용기의 캡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정면도.
도 14는 도 13에서의 밀폐 보존용기의 캡에 사용하는 중간마개를 도시하는 평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밀폐 보존용기의 캡에 대하여 도 1∼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캡(1)은 캡 본체(2)와, 이 캡 본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중간마개(3) 및 내용물의 표시체(4)를 구비하고 있다.
캡(1)은 플라스틱 부재로 이루어지고, 플라스틱제의 밀폐 보존용기(5)의 주둥이부(5a)에 장착되어 있고, 이 주둥이부를 밀폐하고 있다.
도 1∼도 6에서, 캡 본체(2)의 내주면에는 주둥이부(5a)의 수나사부(5b)가 비틀어 넣어지는 암나사부(2a)를 형성하고 있다. 캡 본체(2)의 내측 바닥면에는 개구부(2b)를 향해 돌출해 있는 유지부(2c)를 설치하고 있다. 유지부(2c)는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내부가 유지 공간(2d)으로 되어 있는 원통 형상이다. 유지 공간(2d)은 도 5 하방측이 개구부(2d1)로 되어 있다. 유지부(2c)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외주면(2e)이 캡 본체(2)의 개구부(2b)를 향하여 점차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언더컷부로 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 유지부(2c)의 외주면(2e)은 개구부(2d1)를 향하여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외주 경사면을 형성하여, 대향하는 외주 경사면에서의 모선이 이루는 각도를 소정의 각도(α)로 설정하고 있다.
도 3 및 도 5에서, 캡 본체(2)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긴 보강용의 리브(2f)를 설치하고 있다.
도 1, 도 2 및 도 5에서, 중간마개(3)는 볼(BOWL) 형상으로 성형되고, 그리고, 상측 외주부에는 외측으로 또한 수평으로 튀어나온 플랜지부(3a)를 형성하고 있다. 플랜지부(3a)는 밀폐 보존용기(5)의 주둥이부(5a)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플랜지부(3a)의 하측(내측)에는 실링홈(3a1)을 설치하고 있다. 실링홈(3a1) 내에는 밀폐 보존용기(5)의 주둥이부(5a)의 가장자리가 누름 상태로 끼워 넣어져 있다. 이 때문에, 중간마개(3)는 밀폐 보존용기(5)의 주둥이부(5a)에 대한 밀착도를 높이고 있다.
또, 도 5에 도시하는 중간마개(3)의 내부는 수납 공간(3c)으로 되어 있고, 도면 상측이 개구부(3b)로 되어 있다. 수납 공간(3c)은, 도 1,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측(3b)의 내주면(3d)이 상기 캡 본체(2)의 외주면(2e)을 따라 경사져 있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언더컷부로 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중간마개(3)의 내주면(3d)은 상방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내주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어, 대향하는 내주 경사면에서의 모선이 이루는 각도를 소정의 각도(β)로 하고 있다. 각도(β)는 상기 각도(α)와 동일하다.
캡 본체(2)와 중간마개(3)와의 결합관계를 도 1∼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캡 본체(2)의 유지부(2c)는 중간마개(3)의 수납 공간(3c)에 그 상단의 개구부(3b)로부터 내측 바닥부를 향하여 끼워 넣어져 있다. 유지부(2c)의 외주면(2e)과 중간마개(3)의 내주면(3d)의 각도가 α=β(도 5)이며, 그리고 유지부(2c)의 외주면(2e)은 대향하는 중간마개(3)의 내주면(3d) 사이에 약간의 간극(6)(도 4)이 벌어져 있다.
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마개(3)의 외주면(도시의 예에서는 플랜지부(3a)의 외주면)과, 캡 본체(2)의 내측 바닥부측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7)(도 4)이 벌어져 있다.
이 때문에, 캡 본체(2)와 중간마개(3)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탈하기 어려워, 양자의 일체성이 확보되어 있다. 동시에, 캡 본체(2)와 중간마개(3)는 서로 단독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는 관계에 있다.
따라서, 중간마개(3)는 캡 본체(2) 내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캡(1)의 마개 폐쇄시 및 마개 개봉시에 있어서, 캡 본체의 상하방향의 이동에 따라 유지부(2c)를 통하여 중간마개(3)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캡 본체가 회전한 경우에도 중간마개(3) 자체는 회전하지 않는다.
내용물의 표시체(4)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바닥부측(도 4 상측)이 유지부(2c)의 유지 공간(2d)에 수납되고, 유지되어 있다.
표시체(4)는 사용자에 내용물의 종류, 성질, 이력, 취급하는 방법 등을 인식시키기 위한 식별 표시 수단이다. 표시체(4)는 칩으로 이루어지고,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얕은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표시체(4)는 그 외주면이 유지부(2c)의 유지 공간(2d)의 내주면의 경사각도에 가까운 각도로 경사져 있다. 표시체(4)의 바닥부측은 유지부(2c)의 유지 공간(2d) 내에 밀착상태로 끼워 넣어져 있다.
표시체(4)에서의 식별 표시방법의 하나로서는 색채 표시에 의한 식별법이다. 즉, 내용물의 종류 등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내용물에 대하여 접촉 금지의 경우에는, 표시체(4)를 적색 표시로 하고, 접촉 금지의 정도가 중위의 경우에는 황색 표시로 하고, 접촉 금지가 없는 경우에는 청색 표시로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표시체(4) 자체를 내용물의 종류 등에 대응하여, 여러 형상으로 성형하여 식별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표시체(4)에 문자나 모양 또는 그 조합을 부여하여 식별한다.
사용자가 표시체(4)를 인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캡 본체(2)의 외측에서 이 표시체를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캡 본체(2)의 전체 또는 그 일부는 표시체(4)를 투시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되어 있다.
표시체(4)를 설치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밀폐 보존용기에 보존되어 있는 내용물(예를 들면, 보존 액체)의 종류 등을 사용자가 밖에서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서, 밀폐 보존용기의 재질 중에 색채 도료를 혼입시켜, 용기 전체를 착색하는 것, 밀폐 보존용기의 외면에 문자나 모양을 부여하는 착색 식별 표시 수단이 채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착색에 의한 식별 표시 수단을 채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보존 액체를 장기로 보존하는 경우, 경시적으로 밀폐 보존용기의 재질에 혼입된 또는 용기 외면에 도포된 착색제에 포함되는 가소제나 납 등이 상기 보존 액체로 용출되어, 보존 액체의 순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경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체(4)를 중간마개(3)의 수납 공간(3c)의 유지부(2c) 내에 배치하면, 표시체(4)는 내용물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기의 문제는 생기지 않아, 밀폐 보존용기에 대한 착색에 의한 식별 표시 수단이 불필요하게 된다.
표시체(4)는, 캡(1)에 필요 불가결한 것은 아니므로, 필요에 따라 유지부(2c) 내에 부착된다.
다음에 캡(1)의 사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1)의 캡 본체(2) 내에 중간마개(3) 및 내용물의 표시체(4)를 배치한다.
배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캡 본체(2)의 유지부(2c)의 유지 공간(2d)에 표시체(4)의 바닥부측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유지부의 하단측을 중간마개(3)의 개구부(3b)에 꽂아넣고, 이 유지부를 서서히 수납 공간(3c) 내로 밀어넣어 간다. 밀어넣어 가면, 그 압력에 의해 경사져 있는 유지부의 외주면(2e)이 개구부의 내주면(3d)을 외측으로 밀어 넓히고, 이윽고 유지부가 도 4에 도시하는 위치에 이르고, 유지부가 수납 공간의 개구부에 끼워맞추어지고, 캡 본체(2)와 중간마개가 결합된다. 이 때, 유지부(2c)의 외주면(2e)과 중간마개(3)의 내주면(3d)은 간극(6)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도 4).
마개 폐쇄시에서는, 캡 본체(2)를 밀폐 보존용기(5)의 주둥이부(5a)의 상단부에 씌우고, 캡 본체를 돌려가면, 주둥이부(5a)의 수나사부(5b)가 캡 본체의 암나사부(2a)에 비틀어 넣어지고, 캡 본체가 회전하면서 서서히 하방으로 이동되고, 주둥이부의 상단부는 실링홈(3a1) 내에 들어가면서 압입되고, 도 1에 도시하는 비틀어 넣기를 끝낸 시점에서 캡 본체의 회전을 정지한다. 이 때, 캡 본체(2)의 내측 바닥부측의 내주면과 중간마개(3)의 플랜지부(3a)는 간극(7)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도 1).
이 결과, 도 1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 본체(2)가 주둥이부(5a)에 장착되어, 캡(1)은 밀폐 보존용기(5)의 주둥이부(5a)를 밀폐한다.
마개 개봉시에서는, 캡(1)을 도 1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마개 폐쇄시와는 반대방향으로 돌려 가면, 중간마개(3)는 회전하지 않고 캡 본체(2)와 함께 서서히 상승하고, 이윽고 밀폐 보존용기(5)의 주둥이부(5a)의 상단부로부터 빠진다.
도 1에 도시하는 캡(1)의 캡 본체(2)의 유지부(2c) 및 중간마개(3)는 서로 끼워맞춤 상태에 있지만, 일방의 캡 본체(2)의 유지부(2c)는 그 외주면(2e)이 캡 본체의 개구부(2b)를 향하여 점차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언더컷부로 되어 있다. 타방의 중간마개(3)는 그 수납 공간(3c)의 개구부(3b)의 내주면(3d)이 상기 외주면을 따라 경사져 있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언더컷부로 되어 있고, 상기 외주면과 상기 내주면이 서로 간극(6)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또한 중간마개(3)의 상측 외주부인 플랜지부(3a)의 외주면과 캡 본체(2)의 내측 바닥부측(도 4 상측)의 내주면이 서로 간극(7)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캡 본체(2)를 돌리면서 폐쇄해 가는 과정에서는 중간마개(3)는 유지부(2c)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캡 본체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중간마개도 하방으로 이동하여, 밀폐 보존용기(5)의 주둥이부(5a) 내에 끼워 넣어져, 주둥이부를 밀폐한다. 마개 폐쇄 과정에서는, 캡 본체(2)의 회전조작을 원활하게 할 필요가 있어, 암나사부(2a)와 이것에 맞물리는 밀폐 보존용기(5)의 주둥이부(5a)의 수나사부(5b)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있으므로, 캡 본체의 회전축이 고정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 그러나, 중간마개(3)는 간극(6, 7)에 의해 캡 본체(2)의 회전축과는 관계없이, 이 중간마개의 중심과 밀폐 보존용기(5)의 주둥이부의 중심이 일치한 상태이므로, 캡 본체의 내리누르는 힘에 의해 주둥이부(5a) 내에 원활하게 압입된다. 또한 마개 폐쇄의 과정에서는 중간마개(3)는 하방으로 이동하지만, 회전하지 않으므로, 중간마개의 외주면이 밀폐 보존용기(5)의 주둥이부(5a)의 내주면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캡(1)의 마개 개봉시 및 마개 폐쇄시의 어느 경우에도, 중간마개(3)는 회전하지 않고 캡 본체(2)와 함께 강하 및 상승하고, 밀폐 보존용기(5)의 주둥이부(5a)의 내주면을 흠집내지 않고, 장착이나 장착의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또, 중간마개(3)의 플랜지부(3a)의 실링홈(3a1)은 밀폐 보존용기(5)의 주둥이부(5a)와 밀폐하는 상태로 끼워맞추어져 있으므로, 중간마개의 경시적인 응력의 변화에 의해서도 밀폐압이 내려가지 않는다.
따라서, 밀폐 보존용기(5)는 도 1에 도시하는 캡(1)에 의해 고도로 밀봉되어, 내용물은 장기에 걸쳐 변질되지 않고 보존되게 된다.
도 1에 도시하는 캡은 표시체(4)를 중간마개(3)의 수납 공간(3c) 내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밀폐 보존용기의 내용물에 영향을 주지 않아, 색채 등의 식별 표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밀폐 보존용기의 캡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도 9∼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하는 캡(11)의 주요부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캡(1)의 그것과 공통되고 있으므로, 상이한 부분을 설명하고,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필요할 경우를 제외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하는 캡 본체(12)의 유지부(12c)는 그 외주면(12e)이 캡 본체의 개구부(12b)를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언더컷부로 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유지부(12c)에서, 유지 공간(12d)의 개구부(12d1)의 내주면에는, 단면 거의 반원형의 걸어맞춤 가장자리부(12g)를 형성하고 있다.
도 9 및 도 11에 도시하는 중간마개(13)에서, 수납 공간(13c)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13b)를 향하여 유지 볼록부(13g)를 설치하고 있다. 유지 볼록부(13g)는 그 외주부의 전체 둘레에 홈 형상의 걸어맞춤 오목부(13h)를 형성하고 있다.
캡 본체(12)의 유지부(12c)와 중간마개(13)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9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에서 캡 본체(12)의 유지부(12c)는 중간마개(13)의 수납 공간(13c) 내에 개구부(13b)를 통하여 수납되어 있다. 타방에서 중간마개(13)의 유지 볼록부(13g)는 유지부(12c)의 유지 공간(12d) 내에 개구부(12d1)를 통하여 수납되어 있다.
상기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지부(12c)의 걸어맞춤 가장자리부(12g)는 중간마개(13)의 걸어맞춤 오목부(13h)와 간극(18)을 두고 걸어맞추어지고, 유지 볼록부(13g)에 유지되어 있다. 또, 유지부(12c)의 외주면(12e)과 중간마개(13)의 개구부(13b)의 내주면(13d) 사이는 간극(16)이 벌어져 있다. 또한, 중간마개(13)의 플랜지부(13a)의 외주면과 캡 본체(12)의 내측 바닥부측의 내주면 사이에는 간극(17)이 벌어져 있다.
캡 본체(12)와 중간마개(13)와의 결합관계는, 상기한 캡 본체(2)와 중간마개(3)와의 그것과 동일하지만, 유지부(12c)의 걸어맞춤 가장자리부(12g)와 중간마개(13)의 걸어맞춤 오목부(13h)와의 걸어맞춤을 통하여, 중간마개(13)는 캡 본체(12)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렇지만, 중간마개(13)는, 간극(16, 17, 18)의 존재에 의해, 캡(11)이 회전해도 회전하지 않으므로, 중간마개(13)의 외주면이 도시하지 않은 밀폐 보존용기의 주둥이부의 내주면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부(12c)의 유지 공간(12d)에는 원판 형상의 표시칩인 표시체(14)를 수납 유지하고 있다. 표시체(14)는 유지 공간(12d)의 내측 바닥면과 중간마개(13)의 유지 볼록부(13g)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하는 캡(11)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캡(1)과 마찬가지로, 캡(11)의 비틀어 넣기에 의해 중간마개(13)는 회전하지 않고, 밀폐 보존용기의 주둥이부 내에 압입되게 된다.
도 9에서, 캡 본체(1)의 암나사부(12a), 보강용의 리브(12f) 및 실링홈(13a1)은 도 1에 도시하는 캡(1)의 암나사부(2a), 보강용의 리브(2f) 및 실링홈(3a1)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밀폐 보존용기의 캡의 또 다른 형태에 대하여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캡(2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캡(1)과 그 주요부의 구성이 공통되고 있으므로, 상이한 부분을 설명하고,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필요할 경우를 제외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캡 본체(22)의 유지부(22c)는 원기둥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캡 본체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22b)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유지부(22c)의 하단부에는 걸림 플랜지부(22h)가 전체 둘레에 형성되고, 이 걸림 플랜지부와 캡 본체(22)의 내측 바닥면 사이에 걸어맞춤홈(22i)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마개(23)는 수납 공간(23c)의 상단측이 차폐되어 있고, 차폐부분의 중앙부에 원형의 개구부(23b)를 두고 있다.
유지부(22c)와 중간마개(23)와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부(22c)는 중간마개(23)의 개구부(23b)를 통하여 수납 공간(23c) 내에 진입되어 있고, 걸림 플랜지부(22h)가 수납 공간 내에 위치해 있다. 중간마개(23)의 개구부(23b)의 내주 가장자리부는 유지부(22c)의 걸어맞춤홈(22i) 내에 간극(26)을 사이에 두고 헐겁게 끼워맞추어져 있다. 이 때문에, 캡 본체(22)의 회전에 따라 유지부(22c)가 회전해도, 중간마개(23)는 회전하지 않고, 또 유지부의 상하동에 의해서도 중간마개(23)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시하는 캡(21)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캡(1)과 마찬가지로, 유지부(22c)는 회전하면서 캡 본체(22)가 밀폐 보존용기의 주둥이부(도시 생략.)에 비틀어 넣어져 가지만, 중간마개(23)는 회전하지 않고, 유지부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여 밀폐 보존용기의 주둥이부 내에 압입되게 된다.
도 13에 있어서, 캡 본체(22)의 암나사부(22a), 보강용의 리브(22f) 및 간극(27)은 도 1에 도시하는 캡(1)의 캡 본체(2)의 암나사부(2a), 보강용의 리브(2f) 및 간극(7)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또한 중간마개(23)의 플랜지부(23a) 및 실링홈(23a1)은 캡(1)의 중간마개(3)의 플랜지부(3a) 및 실링홈(3a1)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도시하는 캡(21)은 표시체를 설치하고 있지 않다.
(제 1, 제 2 및 제 3 실시형태에 공통되는 효과)
도 1, 도 9 및 도 13에 도시하는 캡(1, 11, 2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캡 본체(2, 12, 22)와 중간마개(3, 13, 23)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지만, 캡 본체가 회전해도 중간마개가 회전하지 않는 결합관계에 있으므로, 캡의 장착시에 중간마개는 밀폐 보존용기(5)의 주둥이부(5a) 내에 그 내주면을 흠집내지 않고 원활하게 압입되어, 밀폐 보존용기의 밀폐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밀폐 보존용기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자원 절약에 기여하는 이외에 경제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밀폐성이 유지되므로, 보관중이나 운반중 등에서 용기가 넘어져도, 내용물의 누출이 없어, 밀폐 보존용기의 항구적인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캡 본체(2, 12, 22)의 장착 및 장착 해제와 동시에 중간마개(3, 13, 23)도 부착 및 분리를 할 수 있으므로, 캡(1, 11, 21)의 취급이 쉽다.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공통되는 효과)
도 1 및 도 9에 도시하는 캡(1, 11)은 표시체(4, 14)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내용물에 따라서는 밀폐 보존용기의 재질을 식별하기 위하여 착색할 수 없는 경우나, 밀폐 보존용기의 표면에 식별을 위한 표시를 할 수 없는 경우에 적합하다.
(제 1 실시형태에서의 구성부분의 다른 예)
도 1에 도시하는 캡(1)에 있어서, 유지부(2c)는, 반드시 그 내부에 유지 공간(2d)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중실 구조이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의 구성부분의 다른 예)
도 9에 도시하는 캡(11)에 있어서, 유지부(12c)는 그 외주면(12e)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12d1)를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일 필요가 없이, 수직면이어도 된다.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의 구성부분의 다른 예)
도 1 및 도 9에 도시하는 캡(1, 11)은 표시체(4, 14)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들 표시체는 각 캡에 반드시 설치하는 것을 요하는 것은 아니다.
1, 11, 21 캡
2, 12, 22 캡 본체
2b, 12b, 22b 캡 본체의 개구부
2c, 12c, 22c 유지부
2d, 12d 유지 공간
2d1, 12d1 개구부
2e, 12e 외주면
3, 13, 23 중간마개
3a, 13a, 23a 중간마개의 플랜지부
3a1, 13a1, 23a1 실링홈
3b, 13b, 23b 중간마개의 개구부
3c, 13c, 23c 수납 공간
3d, 13d 내주면
4, 14 내용물의 표시체
5 밀폐 보존용기
5a 밀폐 보존용기의 주둥이부
6, 16, 26 간극
7, 17, 27 간극
12g 걸어맞춤 가장자리부
13g 유지 볼록부
13h 걸어맞춤 오목부
18 간극
22h 걸림 플랜지부
22i 걸어맞춤홈
α, β 각도

Claims (7)

  1. 밀폐 보존용기의 주둥이부에 장착 가능한 캡 본체와, 이 캡 본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중간마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캡 본체 내에는 그 내측 바닥부로부터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해 있는 유지부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중간마개에는 그 내부에 개구부로부터 상기 유지부가 진입 가능한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그 외주부에 외측으로 튀어나오고 또한 상기 주둥이부의 가장자리에 밀착 가능한 플랜지부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중간마개에 그 개구부를 통하여 간극을 두고 단독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고 또한, 상기 중간마개와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중간마개의 플랜지부의 외주면은 상기 캡 본체의 상기 내측 바닥부측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보존용기의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유지부는 그 외주면이 캡 본체의 개구부를 향하여 점차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언더컷부로 되어 있고, 중간마개는 그 수납 공간의 개구부의 내주면이 상기 외주면을 따라 경사져 있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언더컷부로 되어 있고, 상기 외주면과 상기 내주면이 서로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보존용기의 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유지부는 내부에 유지 공간을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이 유지 공간의 캡 본체의 개구부측이 개구부로 되어 있고, 또한 이 개구부의 내주에 걸어맞춤 가장자리부를 설치하고 있고, 중간마개는 그 수납 공간의 바닥부로부터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해 있음과 아울러 외주부에 걸어맞춤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유지 볼록부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중간마개의 유지 볼록부는 상기 유지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유지 공간 내에 수납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의 상기 걸어맞춤 가장자리부는 상기 중간마개의 걸어맞춤 오목부와 간극을 두고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상기 유지 볼록부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보존용기의 캡.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마개의 수납 공간 내에 내용물의 표시체를 배치하고 있고, 상기 표시체를 캡 본체의 외측에서 투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보존용기의 캡.
  5. 제 2 항에 있어서, 유지부는 그 내부에 유지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이 유지 공간과 중간마개의 수납 공간 사이에 내용물의 표시체를 배치하고 있고, 상기 표시체를 캡 본체의 외측에서 투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보존용기의 캡.
  6. 제 2 항에 있어서, 유지부는 그 내부에 유지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이 유지 공간과 중간마개의 수납 공간 사이에 캡 형상의 내용물의 표시체를 배치하고 있고, 이 표시체의 바닥부측이 상기 유지 공간에 밀착상태로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표시체를 캡 본체의 외측에서 투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보존용기의 캡.
  7. 제 3 항에 있어서, 유지부의 유지 공간 내이며, 이 유지 공간의 내측 바닥면과 유지 볼록부 사이에 내용물의 표시체를 배치하고 있고, 상기 표시체를 캡 본체의 외측에서 투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보존용기의 캡.
KR20100128979A 2010-03-10 2010-12-16 밀폐 보존용기의 캡 KR101251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52792A JP5624341B2 (ja) 2010-03-10 2010-03-10 密閉保存容器のキャップ
JPJP-P-2010-052792 2010-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133A KR20110102133A (ko) 2011-09-16
KR101251325B1 true KR101251325B1 (ko) 2013-04-05

Family

ID=4459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28979A KR101251325B1 (ko) 2010-03-10 2010-12-16 밀폐 보존용기의 캡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24341B2 (ko)
KR (1) KR101251325B1 (ko)
CN (1) CN102190117B (ko)
TW (1) TWI4034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2876B2 (ja) * 2015-08-04 2020-02-26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CN110127188A (zh) * 2019-06-17 2019-08-16 张家港众辉医用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自密封组合式瓶盖
JP7311375B2 (ja) * 2019-09-27 2023-07-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瓶口用キャッ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446A (ja) * 1995-08-10 1997-02-18 Toppan Printing C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2002211606A (ja) * 2001-01-11 2002-07-31 Shibazaki Seisakush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KR20040039243A (ko) * 2004-04-09 2004-05-10 이정민 이동부재의 인출부에 의해 패킹용 고정부재를 발탈시키는뚜껑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3250U (ko) * 1988-12-31 1990-07-24
JP4452366B2 (ja) * 2000-03-02 2010-04-21 コダマ樹脂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
JP4452365B2 (ja) * 2000-03-02 2010-04-21 コダマ樹脂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
CN2505427Y (zh) * 2001-09-30 2002-08-14 欧阳宣 防伪瓶盖
CN2618871Y (zh) * 2003-03-17 2004-06-02 时腾龙 新型瓶口套及与其配合的瓶口
JP4841147B2 (ja) * 2005-03-04 2011-12-21 大成化工株式会社 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含む容器
TWM358800U (en) * 2007-10-25 2009-06-11 Sunrider Corp D B A Sunrider Internat Safety sealed reservoir ca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446A (ja) * 1995-08-10 1997-02-18 Toppan Printing C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2002211606A (ja) * 2001-01-11 2002-07-31 Shibazaki Seisakush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KR20040039243A (ko) * 2004-04-09 2004-05-10 이정민 이동부재의 인출부에 의해 패킹용 고정부재를 발탈시키는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84081A (ja) 2011-09-22
KR20110102133A (ko) 2011-09-16
JP5624341B2 (ja) 2014-11-12
CN102190117A (zh) 2011-09-21
TW201130716A (en) 2011-09-16
TWI403436B (zh) 2013-08-01
CN102190117B (zh) 201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8820A (en) Plastics material closure member for a container
TW201431755A (zh) 瓶蓋
CN203094727U (zh) 一种可靠密封瓶盖
KR101251325B1 (ko) 밀폐 보존용기의 캡
KR101486078B1 (ko) 하나의 뚜껑을 서로 다른 용기 목에 결합하는 구조
JP2017030767A (ja) 開封防止機能付き容器及び開封防止部材
CN201292070Y (zh) 带显启机构的容器盖
KR20210000817U (ko) 스포이드 형 화장품 용기
US2801022A (en) Indicating screw plug for barrels and other containers and sealing means for said plug
JP4794880B2 (ja) 液だれ防止中栓付きキャップ
CN102687971B (zh) 一种盖子
JP5386398B2 (ja) 密閉容器
US9637280B2 (en) Cap
JP2018140816A (ja) キャップ付き内容器
KR100560305B1 (ko) 화장품 용기의 구조 및 이의 제작방법
CN209667743U (zh) 一种盖子和瓶子
US4480769A (en) Re-usable controlled outflow and liquid-tight plug for _bottles and the like
KR200334768Y1 (ko) 밀폐 뚜껑을 갖춘 용기
JPH0310999Y2 (ko)
JP5115790B2 (ja) 密閉キャップ付き容器
US20220289439A1 (en) Cap for closing a receptacle and an assembly comprising said cap
JP2008050057A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CN212557509U (zh) 瓶盖组件及包括该瓶盖组件的瓶子
EP1046592A1 (en) Closure with means for controllably delivering liquids
KR20120128738A (ko) 내용물 배출용 병뚜껑의 구부 주위 밀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