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089B1 - 쌍극형 2차 전지 - Google Patents

쌍극형 2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089B1
KR101251089B1 KR1020110085413A KR20110085413A KR101251089B1 KR 101251089 B1 KR101251089 B1 KR 101251089B1 KR 1020110085413 A KR1020110085413 A KR 1020110085413A KR 20110085413 A KR20110085413 A KR 20110085413A KR 101251089 B1 KR101251089 B1 KR 101251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or plate
current collector
power generation
secondary battery
generation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218A (ko
Inventor
유스께 사사끼
야스까즈 이와사끼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01M10/0418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with bipola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01M10/044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with bipola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9Bipolar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도전체가 발전 요소에 박힌 경우에, 집전판을 통해 단락 전류가 흐르는 것을 억제하는 쌍극형 2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해질층(8)을 통해 쌍극형 전극(7)을 적층한 단위 발전 요소(6)를 적층한 발전 요소(1)와, 적층 방향에 있어서 발전 요소(1)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발전 요소(1)와 접촉하는 집전판(2)과, 집전판(2)의 면내 방향으로 장력을 가한 상태로 집전판(2)을 유지하는 장력 유지 수단(3)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쌍극형 2차 전지{BIPOLA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쌍극형 2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극층과, 고체 전해질막과, 부극층을 적층한 발전 유닛을 복수 적층하고, 발전 유닛 사이에 바이폴라(쌍극)층을 배치하고, 발전 유닛의 최외층에는 집전체(전극 탭)를 설치하고, 이들을 전지 케이스에 수납한 쌍극형 2차 전지가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252548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발명에서는, 도전체가 전지 케이스 등을 관통하여, 내부 단락이 발생한 경우에, 도전체와 전극 탭이 접촉하고, 전극 탭을 통해 단락 전류가 계속해서 흘러, 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도전체가 전지 케이스 등을 관통한 경우에, 전극 탭을 통해 전지에 단락 전류가 흐르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어느 형태에 관한 쌍극형 2차 전지는 쌍극형 전극을 갖는 쌍극형 2차 전지이며, 전해질층을 통해 쌍극형 전극을 적층한 단위 발전 요소를 적층한 발전 요소와, 단위 발전 요소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 발전 요소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발전 요소에 접촉하는 집전판과, 집전판의 면내 방향으로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집전판을 유지하는 장력 유지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전체가 집전판을 관통하여, 발전 요소에 박힌 경우에, 도전체로부터 집전판을 통해 단락 전류가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쌍극형 리튬 2차 전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전체가 발전 요소에 박힌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전체가 발전 요소에 박힌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쌍극형 리튬 2차 전지의 평면도.
도 5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쌍극형 리튬 2차 전지의 측면도.
도 6은 도 4에 있어서의 VI-VI 단면도.
도 7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전체가 발전 요소에 박힌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쌍극형 2차 전지의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쌍극형 2차 전지로서, 쌍극형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쌍극형 리튬 2차 전지(100)는 발전 요소(1)와, 집전판(2)과, 장력 유지 기구(장력 유지 수단)(3)를 구비한다.
발전 요소(1)는 단위 발전 요소(6)를 복수 적층하여 형성된다. 단위 발전 요소(6)는 쌍극형 전극(7)과, 전해질층(8)을 교대로 복수 적층하여 형성된다.
쌍극형 전극(7)은 집전박(9)과, 집전박(9)의 한쪽의 면에 형성된 정극 활물질층(10)과, 집전박(9)의 다른 쪽의 면에 형성된 부극 활물질층(11)을 구비한다.
전해질층(8)을 통해 이웃하는 쌍극형 전극(7)은 한쪽의 쌍극형 전극(7)의 정극 활물질층(10)이 전해질층(8)의 한쪽의 면에 접촉하고, 다른 한쪽의 쌍극형 전극(7)의 부극 활물질층(11)이 전해질층(8)의 다른 한쪽의 면에 접촉하고 있다.
집전박(9)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도전성 부재이다. 또한, 집전박(9)은,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등의 고분자 재료에 카본 등의 도전성 물질을 섞은 것을 사용해도 좋다. 집전박(9)은 정극 활물질층(10) 및 부극 활물질층(11)보다도 크고, 집전박(9) 사이에는 시일부(13)가 설치된다.
정극 활물질층(10)은, 예를 들어 리튬-천이 금속 복합 산화물이다. 부극 활물질층(11)은, 예를 들어 카본-천이 금속 복합 산화물이다.
전해질층(8)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옥시드(PEO) 등의 이온 전도성을 갖는 고체 전해질이다.
정극 활물질층(10), 전해질층(8), 부극 활물질층(11)의 적층 방향 양단부면에 집전박(9)을 포함시킴으로써 단전지(12)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발전 요소(1)에서는 2개의 단위 발전 요소(6)에 각각 3개의 단전지(12)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집전판(2)은 탄성막(탄성 수단)(16)과, 강전 탭(도전성 부재)(17)을 구비한다. 집전판(2)은 발전 요소(1)의 정극측 및 부극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탄성막(16)은,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이지만, 이것 외에 영률이 0.001 내지 0.1㎬인 탄성체이면 된다.
강전 탭(17)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두께 20㎛) 등의 도전성 부재이다. 강전 탭(17)의 일부는 발전 요소(1)의 최외층의 집전박(9)에 접촉한다. 또한, 강전 탭(17)의 일부가, 외부 부하(예를 들어, 모터), 발전기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쌍극형 리튬 2차 전지(100)는 충방전을 행한다.
집전판(2)은 탄성막(16)을, 예를 들어 3.6㎫의 인장 강도로 신장시켜, 신장된 탄성막(16)과 강전 탭(17)을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여 구성된다.
장력 유지 기구(3)는 탄성막(16)의 양단부에 설치한 연결 부재(18)와, 발전 요소(1)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정극측의 연결 부재(18)와 부극측의 연결 부재(18)를 연결하는 고정용 볼트(19)를 구비한다.
장력 유지 기구(3)는 집전판(2)을 신장시킨 상태로 정극측의 연결 부재(18)와 부극측의 연결 부재(18)를 고정용 볼트(19)에 의해 연결한다. 이에 의해, 집전판(2)은 면내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연결 부재(18)는 절연성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쌍극형 리튬 2차 전지(100)에 외부로부터 도전체(20)가 발전 요소(1)에 박힌 경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를 사용하지 않는 쌍극형 리튬 2차 전지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도전체가 발전 요소에 박히면 도전체와 집전판이 접촉하고, 집전판을 통해 내부 단락이 발생한다. 내부 단락이 발생한 장소에서는, 예를 들어 발열이 발생하기 쉬워, 전지 성능이 저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쌍극형 리튬 2차 전지(100)에 외부로부터 도전체(20)가 발전 요소(1)에 박힌 경우에는, 도전체(20)가 박힌 개소로부터 집전판(2)이 개열 변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집전판(2)은 탄성막(16)과 강전 탭(17)의 장력 차에 의해, 면직 방향으로 개열된다. 또한, 탄성막(16)이 복원력에 의해 고정용 볼트(19)측으로 수축하므로, 집전판(2)은 고정용 볼트(19)측으로 수축한다. 이에 의해 집전판(2)의 강전 탭(17)은 도전체(20)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그로 인해, 도전체(20)와 집전판(2)의 도통이 억제되어, 단락 전류가 억제된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로부터 쌍극형 리튬 2차 전지(100)에 도전체(20)가 발전 요소(1)에 박힌 경우에, 집전판(2)이 개열 변형됨으로써, 도전체(20)와 집전판(2)의 강전 탭(17)이 접촉하지 않게 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된다. 그로 인해, 집전판(2)을 통해 단락 전류가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단락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쌍극형 리튬 2차 전지(100)의 전지 기능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집전판(2)은 집전판(2)의 면내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지도록 유지되어 있고, 도전체(20)가 발전 요소(1)에 박혔을 때에 집전판(2)은 빠르게 개열 변형된다. 그로 인해, 단락 전류가 집전판(2)을 통해 흐르기 전에, 집전판(2)과 도전체(20)의 전기적인 접속을 해제할 수 있어, 쌍극형 리튬 2차 전지(100)의 전지 기능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강전 탭(17)에 탄성막(16)을 접착하여 집전판(2)을 구성하므로, 도전체(20)가 발전 요소(1)에 박혀 있지 않은 경우에는 충분한 도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전체(20)가 발전 요소(1)에 박힌 경우에는 집전판(2)과 도전체(20)의 전기적인 접속을 해제하여, 쌍극형 리튬 2차 전지(100)의 전지 기능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집전판(30)이 다르고, 본 실시 형태의 집전판(30)은 도전재를 탄성막에 매립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본 실시 형태의 발전 요소에 도전체(20)가 박힌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집전판(30)은 면내 방향으로 개열 변형된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전재를 탄성막에 매립하여 집전판(30)을 구성함으로써,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전체(20)가 발전 요소에 박힌 경우에, 쌍극형 리튬 2차 전지(100)의 전지 기능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집전판을 열수축성 또는 열경화성 부재를 사용하여 구성해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은 집전판과 상기 실시 형태의 집전판을 조합해도 좋다. 이들에 의해, 쌍극형 리튬 2차 전지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도전체와 집전판의 전기적인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쌍극형 리튬 2차 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쌍극형 리튬 2차 전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 단면도이다.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쌍극형 리튬 2차 전지(101)는 집전판(41)과 장력 유지 기구(42)가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집전판(41)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부재를 스프링 형상으로 함으로써 형성된다. 집전판(41)은, 예를 들어 두께 1㎜, 폭 20㎜이다.
장력 유지 기구(42)는 집전판(41)의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단부(41a)에 제1 고정용 볼트(44)를 통해 연결하는 제1 고정 부재(43)와, 발전 요소(1)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정극측의 제1 고정 부재(43)와 부극측의 제1 고정 부재(43)에 제2 고정용 볼트(46)를 통해 연결하는 제2 고정 부재(45)를 구비한다.
제1 고정 부재(43)는 직선 형상의 절연성 부재로, 중앙부 부근에서 집전판(41)의 단부(41a)와 제1 고정용 볼트(44)를 통해 연결한다. 제1 고정 부재(43)는 정극측, 부극측에 각각 한 쌍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고정 부재(43)에는 집전판(41)이, 예를 들어 인장 강도 0.1㎬로 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제1 고정용 볼트(4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있어서는, 집전판(41)의 설명을 위해, 1개의 가는 판을 구부린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집전박과의 접촉 면적이 크고, 집전판(41)의 면내 방향으로 장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면 된다.
정극측의 집전판(41), 부극측의 집전판(41)은 동일한 구성이고, 본 실시 형태의 쌍극형 리튬 2차 전지는 상기한 집전판(41)을 정극측, 부극측에 구비한다.
제2 고정 부재(45)는 절연성 부재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전 요소(1)에 대해 동일측에 위치하는 정극측의 제1 고정 부재(43)와, 부극측의 제1 고정 부재(43)에 제2 고정용 볼트(46)를 통해 연결한다. 또한, 제2 고정 부재(45)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 등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의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로부터 도전체(20)가 발전 요소(1)에 박히면, 집전판(41)이 절단되어, 집전판(41)의 복원력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 부재(43)에 고정된 단부(41a)측으로, 집전판(41)은 수축한다. 이에 의해, 도전체(20)와 집전판(41)은 접촉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집전판(41)을 스프링 형상으로 하는 것만으로, 상기 실시 형태의 효과에 추가하여, 경량화, 체적 감소 및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룰 수 있는 다양한 변경, 개량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1 : 발전 요소
2, 41 : 집전판
3 : 장력 유지 기구(장력 유지 수단)
6 : 단위 발전 요소
7 : 쌍극형 전극
8 : 전해질층
9 : 집전박
16 : 탄성막(탄성 수단)
17 : 강전 탭(도전성 부재)
18 : 연결 부재
19 : 고정용 볼트
20 : 도전체
43 : 제1 고정 부재
44 : 제1 고정용 볼트
45 : 제2 고정 부재
46 : 제2 고정용 볼트
100, 101 : 쌍극형 리튬 2차 전지(쌍극형 2차 전지)

Claims (4)

  1. 쌍극형 전극을 갖는 쌍극형 2차 전지이며,
    전해질층을 통해 상기 쌍극형 전극을 적층한 단위 발전 요소를 적층한 발전 요소와,
    상기 단위 발전 요소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발전 요소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전 요소에 접촉하는 집전판과,
    상기 집전판의 면내 방향으로 장력을 가한 상태로 상기 집전판을 유지하는 장력 유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극형 2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판은,
    상기 발전 요소에 접촉하는 도전성 부재와,
    상기 도전성 부재에 접착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극형 2차 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판은 도전재를 매립한 탄성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극형 2차 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판은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극형 2차 전지.
KR1020110085413A 2010-08-30 2011-08-26 쌍극형 2차 전지 KR101251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91939 2010-08-30
JP2010191939A JP5516240B2 (ja) 2010-08-30 2010-08-30 双極型二次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218A KR20120021218A (ko) 2012-03-08
KR101251089B1 true KR101251089B1 (ko) 2013-04-04

Family

ID=4590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413A KR101251089B1 (ko) 2010-08-30 2011-08-26 쌍극형 2차 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516240B2 (ko)
KR (1) KR101251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0335B2 (ja) * 2014-02-20 2018-01-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双極型二次電池
JPWO2020138040A1 (ja) * 2018-12-25 2021-11-04 Tdk株式会社 全固体電池
JPWO2020137257A1 (ja) * 2018-12-28 2021-1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7515A (ja) * 1993-03-15 1994-09-22 Ricoh Co Ltd シート状二次電池および該電池を利用した電子素子
JP2008192377A (ja) 2007-02-01 2008-08-21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
JP2008226465A (ja) 2007-03-08 2008-09-25 Nissan Motor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09252548A (ja) 2008-04-07 2009-10-29 Toyota Motor Corp 固体型電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6920B2 (ja) * 2004-12-10 2012-02-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イポーラ電池
JP5456954B2 (ja) * 2006-11-30 2014-04-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双極型二次電池のモジュール構造
JP5540588B2 (ja) * 2008-10-20 2014-07-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双極型二次電池、組電池およびそれらの電池を搭載した車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7515A (ja) * 1993-03-15 1994-09-22 Ricoh Co Ltd シート状二次電池および該電池を利用した電子素子
JP2008192377A (ja) 2007-02-01 2008-08-21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
JP2008226465A (ja) 2007-03-08 2008-09-25 Nissan Motor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09252548A (ja) 2008-04-07 2009-10-29 Toyota Motor Corp 固体型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218A (ko) 2012-03-08
JP2012049067A (ja) 2012-03-08
JP5516240B2 (ja)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8010B2 (ja) 多方向性リード−タブ構造を有するリチウム二次電池
KR101424377B1 (ko) 박형 전지
JP6357439B2 (ja) 蓄電モジュール
JP7258278B2 (ja) 移動可能なバスバー組立体を備えた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これを含む二次電池
KR102250633B1 (ko) 전기화학 전지
JP6681436B2 (ja) 蓄電モジュール
JP2019192493A (ja) 蓄電装置
WO2014010419A1 (ja) 組電池
JP2018101586A (ja) 蓄電装置
KR101251089B1 (ko) 쌍극형 2차 전지
JP2016039094A (ja) 積層型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US20190280282A1 (en) Rechargeable battery
JP6681435B2 (ja) 蓄電モジュール
JP2015005488A (ja) 板状組電池およびこれらを複数個組み合わせて構成される板状組電池群
JP5633621B1 (ja) 蓄電モジュール
KR102017781B1 (ko) 셀 리드의 고정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팩
KR20220040999A (ko) 이차 전지
KR101849990B1 (ko) 분리막의 열 수축성이 억제된 전지셀
JP2011018481A (ja) 双極型二次電池
JP2019200933A (ja) 蓄電装置
KR20160049826A (ko) 전지의 플렉서블 리드탭, 이를 구비하는 전지셀 및 그 적층체
KR101890014B1 (ko) 전극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고용량 전지 모듈
JP2020107462A (ja) 蓄電装置
JP2020017432A (ja) 蓄電セル及び蓄電装置
US20230411807A1 (en) Secondary Battery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