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730B1 -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730B1
KR101250730B1 KR1020100102767A KR20100102767A KR101250730B1 KR 101250730 B1 KR101250730 B1 KR 101250730B1 KR 1020100102767 A KR1020100102767 A KR 1020100102767A KR 20100102767 A KR20100102767 A KR 20100102767A KR 101250730 B1 KR101250730 B1 KR 101250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distribution
button
module
ac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352A (ko
Inventor
김보상
이종관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2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73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1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운전자(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원 단의 전원 변경이 가능토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해주고, 가시적으로 사용상태의 단계변화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는, 전원 분배 변경을 입력하고, 전원 분배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시동 버튼과; 상기 시동 버튼의 입력에 의해 OFF, ACC, IGN, ST로 구분된 전원단에 전원을 분배하는 전원분배모듈과; 상기 시동 버튼 및 전원분배모듈과 연동하여 전원 분배를 제어하는 지능형 전력 모듈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Push-button starting device using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원 단의 전원 변경이 가능토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해주고, 가시적으로 사용상태의 단계변화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차량에 장착된 시동 장치는, 기계식 키를 이용한 시동장치로서, 내부적으로 접점을 두고, 전원 단들을 휠 타입으로 이동하면서 각 전자 부품에 전원을 지원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식 키를 이용하는 시동장치는 조작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어, 근래에는 많은 자동차 회사들이 버튼식 시동 장치를 차량에 적용하고 있고, 이러한 실정에서 필요에 따른 전원 이동을 위해 고유의 작동 로직을 구비한다.
버튼 시동의 가장 큰 장점은 간단한 버튼의 조작만으로 자동차에 시동을 걸 수 있는 것으로, 간단하게 생각하면 스타트 버튼을 온/오프(ON/OFF) 용으로 사용하여 간단하게 시동을 걸어주는 오토바이의 예를 들 수가 있다.
한편, 자동차에는 수많은 전자 장치들이 있으며, 이 장치들에 효율적으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서 ACC, IGN1, IGN2, ST를 나누어 주고 있다.
도 1에 근래 차량에 장착된 버튼식 시동장치의 시동버튼 스위치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는 도 1의 시동버튼 스위치의 동작 로직을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시동버튼 스위치는, 1개의 푸시리턴 버튼구조의 스위치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시간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미 정해진 로직 순서에 따라 전원단 변경 및 엔진시동 온-오프를 수행하는 구조이다.
이 방식은 오직 하나의 버튼을 가지고 입력을 해주는 방식이므로, 이 방식은 전원 로직을 미리 가지고 있어서, 버튼 누름 순서에 따라 제어장치인 마이컴이 OFF->ACC->IGN->OFF 또는 OFF->ACC->IGN->ST(START)(브레이크와 함께 누를 경우) 등으로 전원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버튼식 시동장치는, 1개의 푸시리턴 버튼 구조의 스위치를 가지고 전원단 변경 및 엔진시동 온-오프를 동시에 수행하는 방식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전원단 변경을 수행하려고 할 때 정해진 로직순서를 따르지 않으면 필요한 전원단으로의 변경이 어려운 문제점을 발생하였다.
특히, 정해진 로직 순서에 의해 운전자가 스타트에서 바로 ACC나 IGN으로 전원이동을 할 수 없게 되며, 이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버튼 누름 동작이 필요하므로 기계식 키를 사용한 사용자들에게 불만을 초래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차량에 적용된 버튼식 시동장치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운전자(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원 단의 전원 변경이 가능토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해주고, 가시적으로 사용상태의 단계변화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는, 전원 분배 변경을 입력하고, 전원 분배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시동 버튼과; 상기 시동 버튼의 입력에 의해 OFF, ACC, IGN, ST로 구분된 전원단에 전원을 분배하는 전원분배모듈과; 상기 시동 버튼 및 전원분배모듈과 연동하여 전원 분배를 제어하는 지능형 전력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시동 버튼은, 일정각도 회전 후 원위치로 복원가능하며, 전원 분배 변경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분배 스위치와;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입력하고, 시동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스타트/스톱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원분배 스위치는, 좌·우로 일정각도 회전하고 원위치로 복귀 가능한 리턴휠타입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전원단 변경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제공해줄 수 있으며, 가시적으로 사용상태의 단계변화를 인지토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시동버튼 스위치의 개략도.
도 2는 종래 시동버튼 스위치의 동작 로직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동버튼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동버튼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시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시동버튼의 동작 로직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시동장치에 의한 전원단의 변경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를 나타내는 외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동버튼의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동버튼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시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시동버튼의 동작 로직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시동장치에 의한 전원단의 변경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는, 전원 분배 변경을 입력하고, 전원 분배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시동 버튼(10)과; 상기 시동 버튼(10)의 입력에 의해 OFF, ACC, IGN, ST로 구분된 전원단에 전원을 분배하는 전원분배모듈(PDM)(20)과; 상기 시동 버튼(10) 및 전원분배모듈(20)과 연동하여 전원 분배를 제어하는 지능형 전력 모듈(IPM)(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시동 버튼(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각도 회전 후 원위치로 복원가능하며, 전원 분배 변경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분배 스위치(11)와;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입력하고, 시동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스타트/스톱 버튼(1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분배 스위치(11)는, 좌·우로 일정각도 회전하고 원위치로 복귀 가능한 리턴휠타입 스위치로 구현한다.
상기 지능형 전력 모듈(IPM: Intelligent Power Module)(30)은,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MOSFET이나 IGBT등의 전력 장치의 구동 회로나 자기보호 기능을 부가한 전원 모듈로서, 과열 보호, 합선 보호, 과전류 보호, 제어 전원 이상 보호 등에 대한 보호 기능도 포함된 공지의 전력 제어장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는, 운전자가 전원단 변경이 필요한 경우 시동 버튼(10)에 구비된 전원분배 스위치(11)를 조작하여 전원 분배를 결정한 후, 스타트/스톱 버튼(12)을 조작하면, 전원분배모듈(20)과 지능형 전력모듈(30)에 의해 도 7과 같은 전원단의 변경이 가능하여, 원하는 형태의 전원 분배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전원분배 스위치(11)는 리턴휠타입의 스위치로서, 좌·우로 일정각도 회전하고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단 변경에 대한 신호 입력이 가능하다.
도 8은 전원분배 스위치(11)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정상상태(Normal 상태), ACC상태로 이동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 ACC상태, IGN상태(ON)로 이동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 IGN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전원분배 스위치(11)를 조작하여 시각적으로 전원 분배 상태를 확인하면서, 전원단 변경을 선택하게 되고, 이후 스타트/스탑 버튼(12)을 조작하여, 전원단 변경을 명령한다.
이때 전원 분배 모듈(20)에서는 상기 전원분배 스위치(11)의 조작 상태를 인지하고, 해당 전원 분배 상태를 지능형 전력 모듈(30)에 제공하게 되며, 지능형 전력 모듈(30)에서는 상기 전원 분배 모듈(20)에서 출력되는 전원 분배 상태와 상기 스타트/스탑 버튼(12)의 조작 상태 값을 조합하여, 도 7과 같은 전원단 변경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전원단 변경과 엔진시동 온-오프 기능을 별도로 분리하는 구조 형태이면서 일체형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 사이즈 한도 내에서 동일한 패키지 구성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원단 변경과 엔진시동 온-오프 기능을 별도로 분리한 방식이기 때문에 다양한 전원단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버튼식 시동장치에서 구현할 수 없는, OFF->ACC->OFF, OFF->IGN->OFF, OFF->ACC->IGN->OFF, OFF->IGN->ACC->OFF와 같은 전원단 변경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10 : 시동 버튼 11 : 전원분배 스위치
12 : 스타트/스탑 버튼 20 : 전원 분배 모듈(PDM)
30 : 지능형 전력 모듈(IPM)

Claims (4)

  1.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에 있어서,
    전원 분배 변경을 입력하고, 전원 분배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시동 버튼과;
    상기 시동 버튼의 입력에 의해 OFF, ACC, IGN, ST로 구분된 전원단에 전원을 분배하는 전원분배모듈과;
    상기 시동 버튼 및 전원분배모듈과 연동하여 전원 분배를 제어하는 지능형 전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능형 전력 모듈은,
    OFF->ACC->OFF, OFF->IGN->OFF, OFF->ACC->IGN->OFF, OFF->IGN->ACC->OFF와 같은 형태로 전원단 변경과 엔진시동 온-오프 기능을 별도로 분리하여 전원 분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버튼은,
    일정각도 회전 후 원위치로 복원가능하며, 전원 분배 변경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분배 스위치와;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입력하고, 시동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스타트/스톱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분배 스위치는,
    좌·우로 일정각도 회전하고 원위치로 복귀 가능한 리턴휠타입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
  4. 삭제
KR1020100102767A 2010-10-21 2010-10-21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 KR101250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767A KR101250730B1 (ko) 2010-10-21 2010-10-21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767A KR101250730B1 (ko) 2010-10-21 2010-10-21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352A KR20120041352A (ko) 2012-05-02
KR101250730B1 true KR101250730B1 (ko) 2013-04-03

Family

ID=46262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767A KR101250730B1 (ko) 2010-10-21 2010-10-21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7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7635A (zh) * 2015-09-11 2018-12-18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无匙启动智能进入系统的报警方法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8859A (ja) 2004-03-04 2005-09-15 Calsonic Kansei Corp プッシュスタートシステム
KR100716358B1 (ko) 2006-06-13 200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튼식 시동장치
JP2007278219A (ja) 2006-04-10 2007-10-25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電源操作装置
JP2010047051A (ja) * 2008-08-19 2010-03-04 Tokai Rika Co Ltd 電源状態切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8859A (ja) 2004-03-04 2005-09-15 Calsonic Kansei Corp プッシュスタートシステム
JP2007278219A (ja) 2006-04-10 2007-10-25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電源操作装置
KR100716358B1 (ko) 2006-06-13 200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튼식 시동장치
JP2010047051A (ja) * 2008-08-19 2010-03-04 Tokai Rika Co Ltd 電源状態切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352A (ko)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28871A3 (de) Fahrberechtigungssystem
CN112389429B (zh) 自适应巡航控制方法、自适应巡航系统、车辆及存储介质
CN203331978U (zh) 一种方向盘按键控制系统及具有该控制系统的车辆
KR101250730B1 (ko) 자동차용 버튼식 시동장치
KR100716358B1 (ko) 버튼식 시동장치
CN104653658A (zh) 离合器操作系统
US20120001484A1 (en) Automotive battery over-discharge prevention device
US20090223639A1 (en) Window Covering Driving Device
WO2006096457A8 (en) Intelligent driver module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fuel pump
CN204161536U (zh) 应用于动平衡车的多功能按钮机构
KR20070022965A (ko) 자동차용 hmi 통합형 스위치
JP2004324573A (ja) 無接点式エンジン始動スイッチ装置
WO2004037607A3 (de) Schaltanordnung zur betätigung von beleuchtungssystemen an einem kraftfahrzeug
CN110789514B (zh) 一种汽车钥匙的搜索方法、装置及车辆
US9221426B2 (en) Automobile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9221410B2 (en) Vehicle having electrical consumers integrated with a physical onboard power supply system
CN201646414U (zh) 一种限速巡航控制装置
CN102568875B (zh) 具有can通讯功能的汽车档位选择开关
US20110082603A1 (en) Process for Controlling Functions in a Motor Vehicle Having Neighboring Operating Elements
KR20060130289A (ko) 클러치 페달의 통합형 스위치
CN1936739A (zh) 一种对电动车控制器进行参数配置的方法
CN106740677A (zh) 一种基于物联网连接的车辆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210652973U (zh) 汽车一键启动按键
CN209159578U (zh) 一种行车记录仪的控制装置
US11909904B2 (en) Selectively handsfree communications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