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681B1 -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681B1
KR101250681B1 KR1020120100395A KR20120100395A KR101250681B1 KR 101250681 B1 KR101250681 B1 KR 101250681B1 KR 1020120100395 A KR1020120100395 A KR 1020120100395A KR 20120100395 A KR20120100395 A KR 20120100395A KR 101250681 B1 KR101250681 B1 KR 101250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ary
rate
monthly
insurance
working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철수
Original Assignee
송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철수 filed Critical 송철수
Priority to KR1020120100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06Q40/125Finance or payro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0Tax strateg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시작월 및 종료월,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을 관리자에 의해 미리 입력받아 저장하고 급여 역조견표를 생성하는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 근로 시간, 기준일, 월 실지급액, 월 식비, 상여금을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는 사용자 환경 설정 모듈; 월 실지급액, 월 식비, 상여금에 기 적용된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을 역으로 적용하여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 근로소득세, 주민세를 계산하는 급여 명세 계산 모듈; 근로 시간을 이용하여 기본 근무 시간, 연장 근무 시간, 야간 근무 시간이 적용된 1달 총 근로시간을 계산하고, 급여 명세 계산 모듈에 의해 계산된 월급을 1달 총 근로시간으로 나누어 시급을 계산하는 시급 계산 모듈;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에 의해 생성된 급여 역조견표 상에서 입력받은 월 실지급액 바로 위 및 바로 아래의 실지급액 자료를 하나씩 참조하여 계산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가 급여 역조견표 상의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와 동일 내지는 소정 범위 내 근사한지를 판단하고,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금납입액, 고용보험료 및 시급을 출력하는 역조견 및 출력 모듈을 구성한다.

Description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FIRMING PAYSLIP AND CALCULATING HOURLY WAGE}
본 발명은 자동 계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비정규직 등의 노동 문제가 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볼 때 기존의 급여 체계는 매우 불명확하고 복잡하거나 근로자에게 매우 불리하게 운용되는 경우가 많다. 근로자의 무지를 악용하거나 근로자가 급여가 제대로 지급되고 있는지 최저 시급 이상의 급여를 받고 있는지 확인조차 어렵게 조작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기존에는 월급에서 각종 세금을 공제한 후 월 근로 시간으로 나누어 시급을 결정한다. 야근이나 주말 근무의 경우에는 그 계산이 더 복잡하다. 그런데, 이러한 각종 세금은 월급이 확정되는 때에 월급 단위 조견표에 의해 계산되는 체계이다. 국민연금 납입액이나 고용보험료 등은 요율이 정해져 있으나, 근로소득세나 주민세는 소득 구간에 따라 또는 해마다 바뀌는 근로세율에 따라 변화무쌍하다. 이에, 근로자들은 급여 명세서만으로 역산출이 불가능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임금이 최저 시급 이상인지 확인할 길이 만무하다.
주민세는 역산출이 가능하나 근로소득세는 월급 단위 조견표로는 역산출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일부 고용주들은 수차례의 수작업이나 사용자 중심계산이 아닌 전문가를 통한 계산법을 하여 근로자가 파악하기 힘들게 만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근로자들이 자신의 월급을 통해 시급을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는, 시작월 및 종료월,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을 관리자에 의해 미리 입력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과 현재 근로 소득세율 및 주민세율에 따른 급여 역조견표를 생성하는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 근로 시간, 기준일, 월 실지급액, 월 식비, 상여금을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는 사용자 환경 설정 모듈; 상기 저장된 월 실지급액, 월 식비, 상여금에 기 적용된 상기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을 역으로 적용하여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 근로소득세, 주민세를 계산하는 급여 명세 계산 모듈; 상기 입력받은 근로 시간을 이용하여 기본 근무 시간, 연장 근무 시간, 야간 근무 시간이 적용된 1달 총 근로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급여 명세 계산 모듈에 의해 계산된 월급을 상기 1달 총 근로시간으로 나누어 시급을 계산하는 시급 계산 모듈; 상기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에 의해 생성된 급여 역조견표 상에서 상기 입력받은 월 실지급액 바로 위 및 바로 아래의 실지급액 자료를 하나씩 참조하여 상기 계산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가 상기 급여 역조견표 상의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와 동일 내지는 소정 범위 내 근사한지를 판단하고, 동일 또는 근사한 경우 상기 계산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금납입액, 고용보험료 및 시급을 출력하는 역조견 및 출력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급여 명세 계산 모듈은, 상기 월 실지급액을 과세 대상으로 계산하고, 상기 월 식비를 월급에 포함시키되 비과세 대상으로 계산하고, 상기 상여금을 월급에 미포함시키고 비과세 대상으로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시급 계산 모듈은, 상기 기본 근무 시간이 주당 40 시간인 경우에는 1달 총 근로 시간을 다음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고, [수학식] 1달 총 근로 시간 = ((기본 근무 시간+4*1.25+(연장 근무 시간-4)*1.5+야간 근무 시간*2+8)*52+8)/12, 상기 기본 근무 시간이 주당 44 시간인 경우에는 1달 총 근로 시간을 다음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고, [수학식] 1달 총 근로시간 = (((기본 근무 시간+연장 근무 시간*1.5+야간 근무 시간*2+8)*52+8)/12,
이때, 상기 기본 근무 시간은 1일에 8시간, 상기 연장 근무 시간은 오후 6시부터 오후 10시 사이의 실제 근무 시간, 상기 야간 근무 시간은 오후 10시 이후의 실제 근무 시간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역조견 및 출력 모듈은, 상기 계산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가 상기 급여 역조견표 상의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와 동일하지 않거나 소정 근사 범위 내 근사하지 않은 경우, 이분법을 이용하여 13회의 검색을 하여 가장 근사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금납입액, 고용보험료 및 시급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방법은,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이 시작월 및 종료월,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을 관리자에 의해 미리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이 상기 저장된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과 현재 근로 소득세율 및 주민세율에 따른 급여 역조견표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환경 설정 모듈이 근로 시간, 기준일, 월 실지급액, 월 식비, 상여금을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는 단계; 급여 명세 계산 모듈이 상기 입력받은 월 실지급액, 월 식비, 상여금에 기 적용된 상기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을 역으로 적용하여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 근로소득세, 주민세를 계산하는 단계; 시급 계산 모듈이 상기 입력받은 근로 시간을 이용하여 기본 근무 시간, 연장 근무 시간, 야간 근무 시간이 적용된 1달 총 근로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시급 계산 모듈이 상기 급여 명세 계산 모듈에 의해 계산된 월급을 상기 1달 총 근로시간으로 나누어 시급을 계산하는 단계; 역조견 및 출력 모듈이 상기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에 의해 생성된 급여 역조견표 상에서 상기 입력받은 월 실지급액 바로 위 및 바로 아래의 실지급액 자료를 하나씩 참조하여 상기 계산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가 상기 급여 역조견표 상의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와 동일 내지는 소정 범위 내 근사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동일 또는 근사한 경우, 상기 역조견 및 출력 모듈이 상기 계산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금납입액, 고용보험료 및 시급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동일 또는 근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역조견 및 출력 모듈이 이분법을 이용하여 13회의 검색을 하여 가장 근사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금납입액, 고용보험료 및 시급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여 명세 계산 모듈이 상기 저장된 월 실지급액, 월 식비, 상여금에 기 적용된 상기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을 역으로 적용하여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 근로소득세, 주민세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급여 명세 계산 모듈은, 상기 월 실지급액을 과세 대상으로 계산하고, 상기 월 식비를 월급에 포함시키되 비과세 대상으로 계산하고, 상기 상여금을 월급에 미포함시키고 비과세 대상으로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시급 계산 모듈이 상기 입력받은 근로 시간을 이용하여 기본 근무 시간, 연장 근무 시간, 야간 근무 시간이 적용된 1달 총 근로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근무 시간이 주당 40 시간인 경우에는 1달 총 근로 시간을 다음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고, [수학식] 1달 총 근로 시간 = ((기본 근무 시간+4*1.25+(연장 근무 시간-4)*1.5+야간 근무 시간*2+8)*52+8)/12, 상기 기본 근무 시간이 주당 44 시간인 경우에는 1달 총 근로 시간을 다음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고, [수학식] 1달 총 근로시간 = (((기본 근무 시간+연장 근무 시간*1.5+야간 근무 시간*2+8)*52+8)/12,
이때, 상기 기본 근무 시간은 1일에 8시간, 상기 연장 근무 시간은 오후 6시부터 오후 10시 사이의 실제 근무 시간, 상기 야간 근무 시간은 오후 10시 이후의 실제 근무 시간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연봉이나 각종 세금을 본 발명에 따른 역조견표에 의해 근로 시간을 자동 산출함으로써, 근로자의 최저 시급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근로자가 불이익없이 적절한 보수를 받도록 보장할 수 있다.
특히, 기본 근무 시간, 연장 근무 시간, 야간 근무 시간의 수당까지 정확하게 산출함으로써, 근로자가 자신이 최저 시급 이상 받고 있는 지 정확하게 매달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환경 설정의 UI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여 명세 및 시급의 자동 계산 결과를 나타내는 UI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100)(이하,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라 함)는 급여 역조견표를 생성하여 급여 명세에 따른 실제 시급을 자동으로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급여 역조견표는 실지급액, 각종 세금 등을 통해 급여를 정확하게 산출하고, 근로 시간에 따른 시급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근로자는 용이하게 자신의 시급을 산출하여 최저 시급 이상의 급여에 대한 보장을 받을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110)은 시작월 및 종료월,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을 관리자에 의해 미리 입력받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나서,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110)은 저장된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과 현재 근로 소득세율 및 주민세율에 따른 급여 역조견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근로 소득세율은 소득 구간에 따라 달라지며, 현재 시행법에 따른 변화도 많은 편이다. 주민세율은 근로 소득세율의 10%이다. 그러므로, 근로자는 근로 소득세율의 불명확으로 인해 정확한 급여 계산과 시급 계산이 어려웠다. 본 발명에서는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110)이 기존의 월급 단위 조견표가 아닌 역조견표를 생성하고 자신의 급여를 역조견표 상에서 검색하여 가장 근사함 값으로 선택함으로써, 정확한 시급을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근로 소득세율의 경우에는 소득 구간의 예측이 가능하므로, 이에 기반하여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 환경 설정 모듈(120)은 근로 시간, 기준일, 월 실지급액, 월 식비, 상여금을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기준일은 급여일이 될 수 있다. 기준일이 8월 6일이라면 8월 급여로 상정하여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급여 명세 계산 모듈(130)은 사용자 환경 설정 모듈(120)에 의해 저장된 월 실지급액, 월 식비, 상여금에 기 적용된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을 역으로 적용하여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 근로소득세, 주민세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제로, 정확한 월급 명세를 제공하지 않고, 실지급액만 제공하는 경우가 흔하므로, 각종 세금이나 보험료의 정확한 산출이 필요하다.
이때, 급여 명세 계산 모듈(130)은 월 실지급액을 과세 대상으로 계산하고, 월 식비를 월급에 포함시키되 비과세 대상으로 계산하고, 상여금을 월급에 미포함시키고 비과세 대상으로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급 계산 모듈(140)은 앞서 입력받은 근로 시간을 이용하여 기본 근무 시간, 연장 근무 시간, 야간 근무 시간이 적용된 1달 총 근로시간을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기본 근무 시간은 1일에 8시간, 연장 근무 시간은 오후 6시부터 오후 10시 사이의 실제 근무 시간, 야간 근무 시간은 오후 10시 이후의 실제 근무 시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시급 계산 모듈(140)은 급여 명세 계산 모듈(130)에 의해 계산된 월급을 1달 총 근로시간으로 나누어 시급을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시급 계산 모듈(140)은 기본 근무 시간이 주당 40 시간인 경우에는 1달 총 근로 시간을 다음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2073238628-pat00001
또한, 시급 계산 모듈(140)은 기본 근무 시간이 주당 44 시간인 경우에는 1달 총 근로 시간을 다음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2073238628-pat00002
역조견 및 출력 모듈(150)은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110)에 의해 생성된 급여 역조견표 상에서 앞서 입력받은 월 실지급액 바로 위 및 바로 아래의 실지급액 자료를 하나씩 참조하여 기 계산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가 급여 역조견표 상의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와 동일 내지는 소정 범위 내 근사한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즉, 월 실지급액과 앞서 계산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등과 가장 근사한 값을 급여 역조견표 상에서 찾는다. 이때 월 실지급액의 바로 위 및 바로 아래의 값을 하나씩 검색하여 월 실지급액이 양 값의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역조견 및 출력 모듈(150)은 그 값이 동일 또는 근사한 경우 앞서 계산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금납입액, 고용보험료 및 시급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만약, 역조견 및 출력 모듈(150)이 그 동일하거나 근사한 값을 급여 역조견표 상에서 찾지 못한 경우에는, 다시 말하면, 앞서 계산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가 급여 역조견표 상의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와 동일하지 않거나 소정 근사 범위 내 근사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분법을 이용하여 13회의 검색을 하여 가장 근사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금납입액, 고용보험료 및 시급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13회는 최대 검색치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환경 설정의 UI 예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관리자가 관리자 환경 설정 UI 화면에서 시작월, 종료월,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고용보험율 등을 입력하고 조회하기 위한 화면이다. 이러한 값들은 거의 변동이 없으므로, 관리자의 1회 입력 및 필요 시 갱신으로 족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여 명세 및 시급의 자동 계산 결과를 나타내는 UI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기준일, 월 실지급액, 월 식비, 상여금을 입력하면, 월급, 연봉, 각종 보험료가 자동 산출되며, 자신의 시급도 산출된다. 이에, 자신이 최저 시급 이상의 보장을 받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110)이 시작월 및 종료월,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을 관리자에 의해 미리 입력받아 저장한다(S101).
다음으로,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110)이 앞서 저장된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과 현재 근로 소득세율 및 주민세율에 따른 급여 역조견표를 생성한다(S102).
다음으로, 사용자 환경 설정 모듈(120)이 근로 시간, 기준일, 월 실지급액, 월 식비, 상여금을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는다(S103).
다음으로, 급여 명세 계산 모듈(130)이 앞서 입력받은 월 실지급액, 월 식비, 상여금에 기 적용된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을 역으로 적용하여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 근로소득세, 주민세를 계산한다(S104).
이때, 급여 명세 계산 모듈(130)은 월 실지급액을 과세 대상으로 계산하고, 월 식비를 월급에 포함시키되 비과세 대상으로 계산하고, 상여금을 월급에 미포함시키고 비과세 대상으로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시급 계산 모듈(140)이 앞서 입력받은 근로 시간을 이용하여 기본 근무 시간, 연장 근무 시간, 야간 근무 시간이 적용된 1달 총 근로시간을 계산한다(S105).
다음으로, 시급 계산 모듈(140)이 급여 명세 계산 모듈(130)에 의해 계산된 월급을 1달 총 근로시간으로 나누어 시급을 계산한다(S106).
이때, 시급 계산 모듈(140)은 기본 근무 시간이 주당 40 시간인 경우에는 1달 총 근로 시간을 다음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2073238628-pat00003
그리고 시급 계산 모듈(140)은 기본 근무 시간이 주당 44 시간인 경우에는 1달 총 근로 시간을 다음 수학식 4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2073238628-pat00004
이때, 기본 근무 시간은 1일에 8시간, 연장 근무 시간은 오후 6시부터 오후 10시 사이의 실제 근무 시간, 야간 근무 시간은 오후 10시 이후의 실제 근무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역조견 및 출력 모듈(150)이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110)에 의해 생성된 급여 역조견표 상에서 앞서 입력받은 월 실지급액 바로 위 및 바로 아래의 실지급액 자료를 하나씩 참조하여 상기 계산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가 급여 역조견표 상의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와 동일 내지는 소정 범위 내 근사한지를 판단한다(S107).
판단 결과 동일 또는 근사한 경우에는, 역조견 및 출력 모듈(150)이 앞서 계산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금납입액, 고용보험료 및 시급을 출력한다(S108).
그러나, 판단 결과 동일 또는 근사하지 않은 경우에는, 역조견 및 출력 모듈(150)이 이분법을 이용하여 13회의 검색을 하여 가장 근사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금납입액, 고용보험료 및 시급을 출력한다(S109).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시작월 및 종료월,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을 관리자에 의해 미리 입력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과 현재 근로 소득세율 및 주민세율에 따른 급여 역조견표를 생성하는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
    근로 시간, 기준일, 월 실지급액, 월 식비, 상여금을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는 사용자 환경 설정 모듈;
    상기 저장된 월 실지급액, 월 식비, 상여금에 기 적용된 상기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을 역으로 적용하여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 근로소득세, 주민세를 계산하는 급여 명세 계산 모듈;
    상기 입력받은 근로 시간을 이용하여 기본 근무 시간, 연장 근무 시간, 야간 근무 시간이 적용된 1달 총 근로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급여 명세 계산 모듈에 의해 계산된 월급을 상기 1달 총 근로시간으로 나누어 시급을 계산하는 시급 계산 모듈;
    상기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에 의해 생성된 급여 역조견표 상에서 상기 입력받은 월 실지급액 바로 위 및 바로 아래의 실지급액 자료를 하나씩 참조하여 상기 계산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가 상기 급여 역조견표 상의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와 동일 내지는 소정 범위 내 근사한지를 판단하고, 동일 또는 근사한 경우 상기 계산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금납입액, 고용보험료 및 시급을 출력하는 역조견 및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급여 명세 계산 모듈은,
    상기 월 실지급액을 과세 대상으로 계산하고, 상기 월 식비를 월급에 포함시키되 비과세 대상으로 계산하고, 상기 상여금을 월급에 미포함시키고 비과세 대상으로 계산하고,
    상기 시급 계산 모듈은,
    상기 기본 근무 시간이 주당 40 시간인 경우에는 1달 총 근로 시간을 다음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고,
    [수학식]
    Figure 112012073238628-pat00005
    ,
    상기 기본 근무 시간이 주당 44 시간인 경우에는 1달 총 근로 시간을 다음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고,
    [수학식]
    Figure 112012073238628-pat00006
    ,
    상기 기본 근무 시간은 1일에 8시간, 상기 연장 근무 시간은 오후 6시부터 오후 10시 사이의 실제 근무 시간, 상기 야간 근무 시간은 오후 10시 이후의 실제 근무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조견 및 출력 모듈은,
    상기 계산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가 상기 급여 역조견표 상의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와 동일하지 않거나 소정 근사 범위 내 근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받은 월 실지급액 바로 위 및 바로 아래의 실지급액 자료에 대하여 이분법(bisection method)을 이용하여 13회의 검색을 하여 가장 근사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금납입액, 고용보험료 및 시급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
  3.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이 시작월 및 종료월,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을 관리자에 의해 미리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이 상기 저장된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과 현재 근로 소득세율 및 주민세율에 따른 급여 역조견표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환경 설정 모듈이 근로 시간, 기준일, 월 실지급액, 월 식비, 상여금을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는 단계;
    급여 명세 계산 모듈이 상기 입력받은 월 실지급액, 월 식비, 상여금에 기 적용된 상기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을 역으로 적용하여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 근로소득세, 주민세를 계산하는 단계;
    시급 계산 모듈이 상기 입력받은 근로 시간을 이용하여 기본 근무 시간, 연장 근무 시간, 야간 근무 시간이 적용된 1달 총 근로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시급 계산 모듈이 상기 급여 명세 계산 모듈에 의해 계산된 월급을 상기 1달 총 근로시간으로 나누어 시급을 계산하는 단계;
    역조견 및 출력 모듈이 상기 관리자 환경 설정 모듈에 의해 생성된 급여 역조견표 상에서 상기 입력받은 월 실지급액 바로 위 및 바로 아래의 실지급액 자료를 하나씩 참조하여 상기 계산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가 상기 급여 역조견표 상의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와 동일 내지는 소정 범위 내 근사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동일 또는 근사한 경우, 상기 역조견 및 출력 모듈이 상기 계산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금납입액, 고용보험료 및 시급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동일 또는 근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역조견 및 출력 모듈이 상기 입력받은 월 실지급액 바로 위 및 바로 아래의 실지급액 자료에 대하여 이분법을 이용하여 13회의 검색을 하여 가장 근사한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금납입액, 고용보험료 및 시급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급여 명세 계산 모듈이 상기 저장된 월 실지급액, 월 식비, 상여금에 기 적용된 상기 건강보험율, 장기요양보험율, 국민연금율, 고용보험율을 역으로 적용하여 월급, 연봉,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급납입액, 고용보험료, 근로소득세, 주민세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급여 명세 계산 모듈은, 상기 월 실지급액을 과세 대상으로 계산하고, 상기 월 식비를 월급에 포함시키되 비과세 대상으로 계산하고, 상기 상여금을 월급에 미포함시키고 비과세 대상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시급 계산 모듈이 상기 입력받은 근로 시간을 이용하여 기본 근무 시간, 연장 근무 시간, 야간 근무 시간이 적용된 1달 총 근로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근무 시간이 주당 40 시간인 경우에는 1달 총 근로 시간을 다음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고,
    [수학식]
    Figure 112012073238628-pat00007
    ,
    상기 기본 근무 시간이 주당 44 시간인 경우에는 1달 총 근로 시간을 다음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고,
    [수학식]
    Figure 112012073238628-pat00008
    ,
    상기 기본 근무 시간은 1일에 8시간, 상기 연장 근무 시간은 오후 6시부터 오후 10시 사이의 실제 근무 시간, 상기 야간 근무 시간은 오후 10시 이후의 실제 근무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방법.
KR1020120100395A 2012-09-11 2012-09-11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 및 방법 KR101250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395A KR101250681B1 (ko) 2012-09-11 2012-09-11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395A KR101250681B1 (ko) 2012-09-11 2012-09-11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681B1 true KR101250681B1 (ko) 2013-04-03

Family

ID=4844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395A KR101250681B1 (ko) 2012-09-11 2012-09-11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768A (ko) 2020-02-28 2021-09-07 리포크러쉬 주식회사 체형 관리 매장에서 체형 관리 근로자의 근로 및 급여를 관리 하는 방법 및 체형 관리 근로자의 근로 및 급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KR20230056318A (ko) * 2021-10-20 2023-04-27 (주)사람인 공공기관 데이터를 활용한 기업별 평균 연봉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997A (ko) * 1999-12-21 2002-09-11 써드 밀레니엄 매니지먼트 피티와이 엘티디 종업원 급여지급대장의 관리방법 및 장치
KR20030049645A (ko) * 2001-12-17 2003-06-25 오주창 세무처리 프로그램 소스를 탑재한 휴대용 단말장치 및세무처리방법,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060106242A (ko) * 2005-04-07 2006-10-12 박경서 인사 및 급여와 사회보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02219A (ko) * 2007-06-22 2009-01-09 홍승암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997A (ko) * 1999-12-21 2002-09-11 써드 밀레니엄 매니지먼트 피티와이 엘티디 종업원 급여지급대장의 관리방법 및 장치
KR20030049645A (ko) * 2001-12-17 2003-06-25 오주창 세무처리 프로그램 소스를 탑재한 휴대용 단말장치 및세무처리방법,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060106242A (ko) * 2005-04-07 2006-10-12 박경서 인사 및 급여와 사회보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02219A (ko) * 2007-06-22 2009-01-09 홍승암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768A (ko) 2020-02-28 2021-09-07 리포크러쉬 주식회사 체형 관리 매장에서 체형 관리 근로자의 근로 및 급여를 관리 하는 방법 및 체형 관리 근로자의 근로 및 급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KR20230056318A (ko) * 2021-10-20 2023-04-27 (주)사람인 공공기관 데이터를 활용한 기업별 평균 연봉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43428B1 (ko) 2021-10-20 2023-06-14 (주)사람인 공공기관 데이터를 활용한 기업별 평균 연봉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02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savings benefits
US20100042518A1 (en) Payroll rules engine for populating payroll costing accounts
KR101250681B1 (ko)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 및 방법
KR20060106242A (ko) 인사 및 급여와 사회보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Haveman et al. Labor expenditures and benefit-cost accounting in times of unemployment
KR101880368B1 (ko) 시간제 및 일용직 고용 및 산재 보험 안내 시스템
US20120022984A1 (en) Tool for calculating tax credit amount and eligibility
JP6968368B2 (ja) 人件費算出装置及び人件費算出プログラム
US10628765B2 (en) Project chart with soft constraint
US20210357865A1 (en) Event-based timeline creation for personal information tracking
KR20220043712A (ko) It를 활용한 인사, 급여 및 사회보험관리 사무자동화 시스템
KR20180059986A (ko) It를 활용한 급여업무 사무자동화
KR102669634B1 (ko) 인적자원 관리 자동화 장치 및 방법
JP6829915B1 (ja) 給与計算方法、給与設計装置及びプログラム
Niemann et al. Performance-Based Incentive Contracts under Asymmetric Taxation
JP2005148914A (ja) 就労管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就労管理システム
Birchall New rules for employment contracts from April 2020-are you ready for them?
CA2646661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source use and availability
Donovan A comparison of the costs of Forest Service and contract fire crews in the Pacific Northwest
US20130198048A1 (en) Professional employment organization data management system
JP2017107346A (ja) 労働者への給与の払出しを管理するための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
Bester Working hours and pay: are you following the law?
Zsoldos HOW TO MEASURE ADEQUACY OF TECHNICAL PROVISIONS IN GENERAL INSURANCE--PRACTICAL PERSPECTIVE
Tacchino Understanding the Challenges of § 6055 and § 6056 Reporting.
Diedrich et al. Terminal Value Calculation with Constant Payout Ratio and Active Debt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