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219A -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219A
KR20090002219A KR1020070061623A KR20070061623A KR20090002219A KR 20090002219 A KR20090002219 A KR 20090002219A KR 1020070061623 A KR1020070061623 A KR 1020070061623A KR 20070061623 A KR20070061623 A KR 20070061623A KR 20090002219 A KR20090002219 A KR 20090002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or
information
service provider
web
member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암
Original Assignee
홍승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암 filed Critical 홍승암
Priority to KR1020070061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219A/ko
Publication of KR20090002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원 가입된 회원사가 소속 근로자들의 연봉액 및 근로시간 등의 근로자 정보를 입력하면, 근로기준법에 적법한 기본급, 법정수당(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 퇴직금 및 상여금이 자동 계산되고 이를 적용한 근로계약서, 급여대장 및 퇴직금중간정산에 따른 필요서류 등이 자동 출력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회원사의 PC에 설치되어 서비스제공사로부터 다양한 노무관련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웹클라이언트, 상기 회원사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기초하여 다양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제공사에 구축되는 다수의 웹서버와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회원사와 상기 서비스제공사 간에 웹상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네트워크망을 포함한다. 따라서, 웹상을 통해 서비스제공사로부터 기 입력된 내용에 따라 기본급, 제수당, 중간정산퇴직금 및 상여금이 자동 계산되며, 이에 기초하여 근로기준법상의 근로계약서 및 퇴직금 중간정산에 따른 필요서류를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급여대장도 자동 계산된 내용에 맞춰 작성되고 근로자 개인별 급여명세서도 자동으로 출력하여 상기 회원사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연봉, 법정수당, 근로계약서, 근로자, 노무

Description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PROVIDING LABOR MANAGEMENT SERVICE ON WEB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따른 회원사 PC에 표출되는 웹클라이언트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산서버에 의해 산출된 급여명세서의 예를 본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웹클라이언트 20 : 네트워크망
30 : 접속서버 40 : 서비스제공부
100 : 회원사 PC 200 : 급여대장
400 : 연산서버 410 : 저장서버
420 :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근로기준법에 적법한 기본급, 법정수당(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 퇴직금 및 상여금이 자동 계산되고, 이를 적용한 근로계약서, 급여대장 및 퇴직금중간정산에 따른 필요서류 등이 자동 출력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괄산정임금제란 기본임금을 미리 선정하지 않은 채 시간외근로 등에 대한 제수당을 합한 금액을 월급여액이나 일당임금으로 정하거나 매월 일정액을 제수당으로 지급하는 내용의 임금계약으로서, 미리 기본임금을 결정하고 이를 기초로 시간외, 휴일, 야간근로수당 등의 제수당을 가산하여 이를 합산하여 지급하는 원칙적인 임금계약에 대한 예외적인 형태를 말한다.
이와 같은 포괄산정임금제는 근로형태, 업무의 성질상 근로시간계산이 곤란하거나 재량의 여지가 많은 경우에는 기본급에 일부 법정수당이 포함되어 있다는 내용의 포괄산정임금계약을 체결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포괄산정임금제도 적용자에 대해서는 연장근로(가산)수당, 야간근로가산수당 등을 연봉에 포함하여 지급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포괄산정임금에 포함되는 연장근로수당 등이 몇 시간 몇 분인지 명시되어야 하며, 실제 연장근로시간 등이 명시된 시간보다 많으면 근로자는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한 임금의 지급을 사용자에게 요구할 수 있다.
또한, 포괄산정임금제는 경비직/ 일용직/ 아르바이트/ 파트 타임직/ 용역직 건설일용직/ 기타 비정규직이나 임시직의 근로조건을 정형적으로 결정하기 곤란한 경우에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며, 정규직이라 할지라도 최근 연봉제의 실시가 관심사로 제기되는 시점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인력을 활용하고 경영자의 인건비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포괄산정임금제는 근로자의 의사에 반해 연장근로와 야간근로 및 휴일근로를 강요할 우려가 크고, 일정한 근로에 일정한 임금이라는 근로계약의 본질을 해치며, 제반사정에 비추어 정당하다는 판단이 쉽지 않을 것이고, 통상임금의 정의 자체를 부정하는 결과가 우려되므로 판례에서는 몇 가지의 요건을 갖춘 경우에만 유효성을 인정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업을 경영하기 위하여 근로자를 고용하는 근로기준법 등 노동관계법에 준하여 작성의무가 있는 근로계약서, 급여대장 및 급여 명세표의 작성 시에 회계사무소 및 노무사무소에 그 처리 업무를 일임하고 있는 실정이거나, 각 사업체가 독립하여 급여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급여 관리 및 노무관리를 수행해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관리 프로그램은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충분한 법률지식이 없으면 적법한 노무관리를 할 수 없고 추후 법적 논란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관리 프로그램에 의한 급여대장 역시 기본급, 제수당, 비과세 등으로 되어 있어 진정사건 발생시 노동부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근로기준법의 규정에 적법한 임금제도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법률에 따른 연차휴가일수의 계산, 월차휴가일수의 계산, 각 사업체마다 상이한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등 각종 법정수당과 기업체마다 명칭과 지급기준이 다른 각종 임의수당의 계산에 활용한 충분한 수단이 확보되지 아니한 프로그램으로, 전문적인 인력과 조직을 확보하지 못한 대다수 중소기업체가 적법하고도 효율적인 급여 및 근로계약서가 절실히 필요하며, 앞으로 시작될 주 40시간제 도입에 따른 임금설계, 근무형태 및 각종 규정의 재정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업체들이 소속 근로자들의 연봉액, 근무시간 및 퇴직금 포함여부 등의 정보를 웹상에서 서비스제공사로 입력하면 상기 서비스제공사로부터 적법한 근로자의 기본급, 법정수당, 퇴직금 및 상여금이 자동으로 계산되어 제공받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업체들이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근로기준법에 맞는 소속 근로자의 근로(연봉)계약서, 급여대장 및 퇴직금중간정산에 따른 필요서류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각 기업체들이 입력된 정보들의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해 임금인상 등의 의사결정 활용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업종별, 근로자수별 연봉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기업별 연봉 등의 DB화를 통한 다양한 검색기능을 제공하는 시스 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서비스제공사에 가입된 회원사의 근로자 노무정보를 웹상에서 제공하기 위한 노무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사의 웹페이지 접속으로 플러그인 기동코드에 의해 상기 회원사의 PC에 설치되며, 상기 회원사 정보 및 상기 근로자 정보를 입력되고, 상기 서비스제공사로부터 제공되는 결과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웹클라이언트; 상기 회원사와 상기 서비스제공사 간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망; 상기 네트워크망 상에서 소정의 인증절차를 통해 상기 웹클라이언트와 접속되어 상기 회원사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접속서버; 및 상기 웹클라이언트 및 상기 접속서버와 상기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근로자 정보를 기반으로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근로계약서, 급여대장, 급여명세서, 퇴직금 중간정산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노무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결과정보를 상기 웹클라이언트로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근로자의 연봉액, 월 근무시간, 상여금 및 퇴직금 포함여부를 포함하는 계산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본급, 법정수당, 퇴직금 및 상여금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서버; 및 상기 서비스제공부에 의해 생성된 노무정보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노무정보를 가공하기 위한 저장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급여명세서를 기 저장된 상기 저장서버에서 추출하여, 상기 근로자의 이메일을 통해 발송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부에 의해 생성된 업종별, 근로자별, 직급별, 연차별 평균 연봉정보를 포함하는 노무정보를 상기 회원사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서비스제공사에 가입된 회원사의 근로자 노무정보를 웹상에서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회원사 PC가 상기 서비스제공사 웹페이지에 접속되면, 플러그인 기동코드에 의해 상기 회원사 PC에 웹클라이언트가 설치되는 단계; 소정의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접속서버에 의해 상기 회원사 PC가 상기 서비스제공사에 접속되며, 상기 회원사가 요청하는 노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회원사 PC로부터 입력된 상기 근로자의 연봉액, 월 근무시간, 상여금 및 퇴직금 포함여부를 포함하는 계산 정보를 기초로 기본급, 법정수당, 퇴직금 및 상여금이 연산서버에 의해 산출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정보를 기초로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근로계약서, 급여대장, 급여명세서 및 퇴직금 중간정산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노무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회원사의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노무정보를 저장서버에의 해 추출되고, 상기 추출된 노무정보를 상기 웹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서, 상기 급여명세서를 기 저장된 상기 저장서버에서 추출하여, 상기 근로자의 이메일을 통해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노무관리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해 웹상에서 회원사가 간단한 정보만을 입력하면 근로기준법에 적법한 기본금, 법정수당, 퇴직금 및 상여금이 자동계산되고, 이에 따라 근로(연봉)계약서, 급여대 장 및 퇴직금중간정산에 따른 필요서류 등이 자동 출력되는 서비스를 서비스제공사로부터 웹상을 통해 제공받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 "상에", "상부에"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구성 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 요소 위에 형성되거나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 다른 구성 요소들이 상기 다른 구성 요소 상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및/또는 "제3"으로 언급되는 것은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각 구성 요소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1", "제2" 및/또는 "제3"은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각기 선택적으로 또는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네트워크망을 이용 한 웹상에서 회원사인 특정 기업체가 서비스제공사로 상기 회원사 정보와 근로자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사에서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상기 근로자의 기본급, 법정수당(연장, 야간, 휴일근로수당 등), 퇴직금 및 상여금을 자동계산 하고, 이를 적용한 근로(연봉)계약서, 급여명세서, 급여대장 및 퇴직금중간정산에 따른 필요서류를 자동 출력하여 상기 회원사로 노무정보를 제공하는 노무관리 서비스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비스제공사는 상기 회원사로 제공하는 다양한 노무정보를 업종별, 근로자별, 직급별, 연차별로 평균 연봉정보를 통계내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다수의 회원사로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급여대장 및 근로계약서 등을 자동 작성 및 출력함으로써, 종래 포괄산정임금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재 주 40시간제 도입을 준비하고 있는 기업체들은 주 40시간제 하에서 프로그램을 시뮬레이션 해봄으로서 소속 근로자들에 대한 적정한 임금을 결정할 수 있으며, 각종 기업체들이 입력한 내용은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각종 검색기능으로 활용되며, 각 기업체들은 임금인상률의 결정 등에 이러한 자료들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2는 본 발명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회원사가 서비스제공사로부터 노무관련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으로 상기 회원사 PC(100)에 설치되어 상기 서비스제공사로부터 다양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웹클라이언트(10), 상기 회원사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의거하여 다양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접속서버(30) 및 서비스제공부가(40) 구축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원사와 상기 서비스제공사 간에 웹상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네트워크망(20)이 구축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먼저, 상기 웹클라이언트(10)는 상기 서비스제공사와 소정의 계약을 통해 회원 가입된 상기 회원사가 네트워크망(20)을 통해 상기 서비스제공사의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사로부터 제공받게 된다. 상기 웹클라이언트(10)는 통상 일반 응용프로그램과 웹을 연결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기술로서 웹브라우저 플러그인 형태로 상기 회원사 PC(100)에 HTML의 플러그인 기동코드에 의해 소정의 다운로드창이 형성되어 회원사에서 직접 또는 자동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웹클라이언트(10)를 통해 상기 회원사 정보 및 근로자 정보를 상기 서비스제공사로 전송하고 상기 회원사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사로부터 제공받고자하는 노무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회원사에서 요청한 노무정보의 결과정보를 상기 서비스제공사로부터 수신 받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회원사가 상기 웹클라이언트(10)를 통해 서비스제공사로 전송하는 회원사 정보 및 근로자 정보는 회원사의 업체명, 소속 근로자 수, 소속 근로자들의 연봉액, 소속 근로자의 월 근로시간 및 소속 근로자의 상여금 및 퇴직금 포함여부 등의 정보이며, 상기 웹클라이언트(10)를 통해 상기 회원사가 요청하는 노무정보는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상기 근로자의 기본급, 법정수당(연장, 야간, 휴일근로수당 등), 퇴직금 및 상여금과 이를 적용한 근로(연봉)계약서, 급여대장 및 퇴직금중간정산에 따른 필요서류 등이 있다.
한편, 상기 웹클라이언트(10)를 통해 상기 회원사로부터 전송된 노무정보를 기초하여 다양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축되는 서비스제공부(40)는 계산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연산서버(400) 및 데이터베이스(420)를 포함하고, 노무정보를 가공하기 위한 저장서버(41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한 바를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접속서버(30)는 상기 네트워크망(20) 상에서 소정의 인증절차를 통해 상기 웹클라이언트(10)와 접속되어 상기 회원사가 요청하는 노무관리 서비스를 수신하게 되며, 이를 확인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서비스제공부(4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정의 인증절차는 공인인증서를 통한 인증 또는 로그인을 통해 인증 등 통상적인 인증절차를 말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사부(40)는 상기 서비스제공사로부터 상기 회원사로 노무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 전반적인 관리 및 제어를 하기 위한 서버로 상기 웹클라이언트(10) 및 접속서버(30)와 상기 네트워크망(20)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접속서버(30)에서 수신된 회원사의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상기 회원사 및 상기 근로자 정보를 기반으로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근로계약서, 급여대장, 급여명세서, 퇴직금 중간정산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노무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결과정보를 상기 웹클라이언트(10)로 전송하여 상기 회원사에게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제공부(40)는 연산서버(400) 및 저장서버(410)를 포함하게 되는데, 상기 연산서버(400)는 상기 웹클라이언트(1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근로자 정보 즉, 상기 근로자의 연봉액, 월 근무시간, 상여금 및 퇴직금 포함여부를 포함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근로자의 기본급, 법정수당, 퇴직금 및 상여금을 자동으로 계산하는데, 상기 연산서버(400)의 산출방법은 하기 도 3 내지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근로자의 월 근무시간에는 주 40시간 또는 주 44시간이 기본 근무시간이 될 수 있으며, 월 연장근무시간, 월 휴일근무시간 및 월 야간근로시간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저장서버(410) 상기 서비스제공부(40)에 의해 생성되는 회원사 및 근로자의 노무정보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420)를 포함하는데, 상기 데이터베이스(420)는 상기한 노무정보 외에도, 서비스제공사가 보유하고 있는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근로계약서 및 퇴직금중간정산에 따른 서류 정보와 상기 웹클라이언트(10)를 통해 회원사가 입력하는 회원사 정보 및 근로자 정보, 근로자에 대한 각 연봉별 청구되는 세금 정보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서버(41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420)에 기록된 다양한 정보를 추출하는 등 상기 노무정보를 가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비스제공부(40)는 상기 근로자에 대한 급여명세서를 기 저장된 상기 저장서버(410)에서 추출하여 상기 근로자의 이메일을 통해 발송하며, 상기 서비스제공부(40)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노무정보를 업종별, 근 로자별, 직급별, 연차별 평균 연봉정보를 통계내어 가입된 다수의 회원사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제공하여 임금인상 등의 의사결정에 활용자료로 제공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각각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웹상을 통해 서비스제공사로부터 기 입력된 내용에 따라 기본급, 제수당, 중간정산퇴직금 및 상여금이 자동 계산되며, 이에 기반으로 근로기준법상의 근로계약서 및 퇴직금 중간정산에 따른 필요서류를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급여대장도 자동 계산된 내용에 맞춰 작성되고 근로자 개인별 급여명세서도 자동으로 출력하여 회원사 및 각 근로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종래 대부분의 기업체에서 사용하였던 관리 프로그램에 의한 급여대장이 기본급, 제수당, 비과세 등으로 되어 있어 진정사건 발생시 노동부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사례가 빈번한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따라 회원사 PC에 표출되는 웹클라이언트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회원사의 PC에 설치된 웹클라이언트(10)를 통해 상기 회원사는 회원사 정보 및 근로자 정보를 입력하게 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제공사에서는 상기 회원사에서 요청하는 노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웹클라이언트(10)를 통해 제공하게 된다. 먼저 도 3은 상기 회원사가 상기 서비스제공사와 회원 가입을 한 뒤, 상기 서비스제공사로부터 제공되는 웹클라이언트(10)를 설치하여 회원사 PC 상에 상기 웹클라이언트(10)가 표출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웹클라이언트(10)를 통해 상기 회원사 정보 및 근로자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회원사 등록입력창(11) 및 근로자 등록입력창(12)이 구비되며, 입력된 정보는 서비스제공부로 전송되어, 상기 서비스제공부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로 저장된다.
이때, 상기 회원사 등록입력창(11) 및 근로자 등록입력창(12)에 입력되는 정보는 회원사의 명칭, 대표자명, 주소, 전화번호, 업종 등의 회원사 기본정보와 근로자의 성명, 주민번호, 주소, 직급,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입사일 등의 기본정보이다.
한편, 도 4와 같은 경우 상기 웹클라이언트(10)를 통해 상기 근로자들의 연봉액, 근로시간(연장근로시간, 야간근로시간, 휴일근로사간 포함), 상여금 포함여부, 퇴직금 포함여부 등의 근로자에 대한 노무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노무정보 입력창(14, 15, 16)이 구비되는데, 상기 다수의 노무정보 입력창(14, 15, 16)에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연산서버에서는 해당 근로자의 기본급, 법정수당, 퇴직금 및 상여금 등을 산출하게 된다.
상기 다수의 노무정보 입력창(14, 15, 16)은 근무시간 입력창(14), 연봉 및 상여금 입력창(15), 추천급여 산출창(16)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추천급여 산출창(16)은 상기 근무시간 입력창(14)과 연봉 및 상여금 입력창(15)을 통해 입력되는 근로자의 노무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추천급여를 생성하여 상기 회원사에게 제공하고, 상기 추천급여를 기초한 연봉(급여)계약서 및 퇴직금 중간 정산 동의서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근무시간 입력창(14)은 근로자들의 주당근무시간(40시간제 또는 44시간제)을 선택하고, 근무형태(12시간 맞교대제 또는 24시간 격일제)선택하며, 해당 근로자의 근무시간(연장, 휴일근무시간 포함)을 입력하기 위한 창이다.
또한, 상기 연봉 및 상여금 입력창(15)은 상기 근로자들의 연봉액을 입력하고, 상여금 포함여부와 상여금의 산정기준, 지급방법을 선택하며, 퇴직금 포함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창이며, 급여대장을 정해진 날짜에 발송받기 위한 급여계산일 및 지급일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도 5는 상기한 근무시간 입력창(14)과 연봉 및 상여금 입력창(15)을 입력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연산서버에서 산출된 근로자의 기본급, 법정수당, 퇴직금 및 상여금 정보를 기초로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급여대장(200)을 출력하는 급여대장메뉴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급여대장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연산서버에 의해 산출된 계산정보를 기초한 급여대장이 출력되는데, 이때, 본 발명의 따른 상기 연산서버의 연산처리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통상 임금 시간급은 근로자의 월 임금을 임금으로 지급되는 모든 시간으로 나누고, 1년 중간정산퇴직금은 근로자의 연봉 총액을 13으로 나눈다.
한편, 상기 연산서버는 근로자의 기준근로시간이 주 44시간제일 때, 일일 평균근로시간은 (44시간+8시간)/7일=7.42시간으로 하고, 일월 소정근로일수는 365/12개월=30.41일로 하며, 일월 소정근로시간은 상기 30.41일×7.42시간=226시간으로 산출하게 되며, 이를 기초하여 근로자의 기본급을 결정하게 된다.
또한, 근로자의 기준근로시간이 주 40 시간제일 때, 일일 평균근로시간은 (40시간+8시간)/7일=6.85시간으로 하고, 일월 소정근로일수는 365/12개월=30.41일로 하며, 일월 소정근로시간은 상기 30.41일×6.85시간=209시간으로 산출하게되며, 이를 기초하여 근로자의 기본급을 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산서버는 상기 기본급과 함께 근로자의 급여를 산출하기 위한 법정수당(연장, 야간, 휴일근로수당)을 산출하는데, 연장근로시간은 평일 연장근로시간과 토요일 연장근로시간으로 나뉘게 된다.
상기 평일연장근로시간은 실근로시간(총 근로시간-휴게시간)-8시간(일일법정근로시간)이며, 상기 토요일연장근로시간은 (토요일까지의 실근로시간의 합-평일 연장근로시간의 합)이 44시간(또는 40시간)이거나 작으면 0, 크면 뺀 값이 된다.
또한, 상기 야간근로시간은 근로기준법에 해당되는 야간근로시간(22:00 ~ 익일 06:00)에 야간휴게시간을 뺀 시간이 되며, 휴일근로시간의 산출은 주휴일 및 유급휴일 근무시간(근무한 시간-휴게시간)이 적용된다.
상기한 연장근로시간, 야간근로시간 및 휴일근로시간을 상기 연산서버에서는 월단위로 계산하게 되는데, 월 연장, 휴일근로시간은 1주 평균 연장, 휴일근로시간×4.345주(52.14주/12개월)×1.5이며, 월 야간근로시간은 1주 평균 야간근로시간× 4.345×0.5로 계산하여 산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연산서버는 상기 기본급 및 법정수당과 함께 회원사의 상여금 포함여부에 따라 상여금이 함께 포함되어 산출된다. 상기 상여금의 산출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기본급을 기준으로 연 200%로 가정하였을 때, 상기 상여금의 산출은 월 기준근로시간 226(또는 209)×2로 계산되며, 상여금의 포함여부에 따라 연12회, 연6회, 연4회, 연3회에 따라 근로계약서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연산서버를 통해 기본급, 법정수당, 상여금이 산출되고, 이를 기초로 근로자의 급여대장이 생성되며, 이를 상기 서비스제공부에서는 상기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웹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회원사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근로자의 급여는 상기한 기본급, 법정수당, 상여금 외에 월차 및 연차수당이 더 포함되는데, 상기 월차 및 연차수당의 산출 또한 상기 연산서버에서 계산하게 된다.
상기 월차수당과 같은 경우 근로기준법에서 정해진 8시간을 적용하며, 상기 연차수당을 산출하기 위한 연차 시간 수는 주 44 시간제일 때 금속년수(현 년도-입사 년도+1)+9=연차 휴가일 수가 정해지며, (연차 휴가일 수×8시간)/12=1개월의 연차수당 시간이 계산된다. 또한, 주 40 시간제일 때, 근속년수/2+14(단, 소수점은 항상 반 올림)=연차 휴가일 수가 정해지며, (연차 휴가일 수×8시간)/12=1개월의 연차수당 시간이 계산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산서버에 의해 산출된 계산정보를 기초한 급여명세서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연산서버에서 산출되는 계산 정보를 통해 급여대장 및 급여명세서를 생성하는데, 상기 급여명세서는 상기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산서버를 통해 산출된 모든 사항을 포함하며, 회원사에서 정한 지급일에 맞춰 상기 근로자의 이메일로 발송하게 된다. 도 6(a)에서는 근로시간이 44 시간제일 경우의 급여명세서를 도시하였으며, 도 6(b)에서는 근로시간이 40시간제일 경우의 급여명세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산서버를 통해 각각의 시간 수에 기 산정된 통상임금 기본급을 곱하면 기본금, 연장근로수당 등의 제수당과 상여금 및 연, 월차수당이 계산된다. 다만, 12시간 교대제 및 24시간 격일제의 휴일근로시간(법정공휴일을 유 급휴일로 정했을 때) 격주 휴무일 중 하루를 주휴일로 보고, 1년 법정공휴일을 평균 14일로 간주하면 실근로시간이 8시간 이내면 실근로시간×1.5이고 8시간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초과시간×2를 해준 후×14/12를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2007년 07월 01일부로 50인 이상, 2008년 07월 01일부로 20인 이상의 사업장에도 주 40시간제가 도입되는 바, 각 기업들이 간단한 입력을 통해 주 44 시간제 하의 임금과 주 40 시간제하의 임금을 비교해봄으로서 적절한 주 40 시간제 및 주 44 시간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업체들이 입력된 정도들의 DB화를 통해 임금인상 등의 의사결정 활용자료를 제공하고, 근로자수별 연봉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 기업의 연봉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도 7은 본 발명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하고 기술한 각각의 구성요소들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웹클라이언트가 설치되는 단계(s100), 노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00), 연산서버에 의해 산출되는 단계(s300), 노무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s400) 및 웹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각각의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상기 웹클라이언트가 설치되는 단계는 회원사가 서비스제공사와 회원 가입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사의 웹페이지에 접속되면, 자동 또는 수동으로 플러그인 기동코드에 의해 상기 회원사 PC에 웹클라이언트가 설치된다.(s100)
한편, 노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회원사가 네트워크망 상에서 소정의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접속서버에 의해 상기 회원사 PC가 상기 서비스제공사에 접속하게 되며, 상기 회원사가 요청하는 노무정보를 상기 접속서버에서 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증절차는 통상 웹상에서 이루어지는 인증절차로, 공인인증서를 통한 인증절차 또는 회원제 로그인 방식을 통한 인증절차를 통해 접속하게 된다.(s200)
상기 연산서버에 의해 산출되는 단계는 상기 회원사 PC로부터 입력된 상기 근로자의 연봉액, 월 근무시간, 상여금 및 퇴직금 포함여부를 포함하는 계산 정보를 기초로 기본급, 법정수당, 퇴직금 및 상여금이 연산서버에 의해 산출된다.
이때, 상기 연산서버의 산출방법은 상기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웹클라이언트에 형성되는 다수의 정보 입력창을 통해 근로자의 근로 정보를 입력하여 이를 기초로 산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근무시간은 주 40시간제 또는 주 44시간제에 따라 각기 상이하게 산출하게 된다.(s300)
또한, 상기 노무정보를 산출 및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연산서버를 통해 산출된 정보를 기초로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근로계약서, 급여대장, 급여명세서 및 퇴직금 중간정산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노무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게 되며, 이때 저장된 노무정보는 저장서버에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로 기록된다.(s400)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한 노무정보 외에도 서비스제공사가 보유한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근로계약서 및 퇴직금 중간정산에 따른 서류 정보와 상기 웹클라이언트를 통해 입력되는 회원사정보 및 근로자 정보 등이 기록된다.
마지막으로 웹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노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회원사가 요청하는 노무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노무정보를 상기 저장서버에 의해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노무정보를 상기 웹클라이언트로 제공하게 된다.(s500)
한편,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방법에서 이메일 발송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이메일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제공사에서 생성된 급여명세서를 근로자들의 이메일을 통해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급여명세서를 기 저장된 상기 저장서버에서 추출하여, 상기 근로자의 이메일을 통해 발송하게 되는데, 상기 이메일을 발송하는 날은 상기 회원사의 정해진 급여 지급일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상기 회원사는 근로자의 연봉액 및 근로시간 등의 간단한 정보를 입력하면,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기본급, 법정수당, 퇴직금 및 상여금이 자동계산되고, 이에 따른 근로계약서, 급여대장, 급여명세서 및 퇴직금 중간정산에 따른 서류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주 40시간제 도입을 준비하고 있는 회원사들은 주 40시간제 하에서 시뮬레이션 해봄으로서 적당한 임금을 결정할 수 있도록 도 움을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웹상을 통해 서비스제공사로부터 기 입력된 내용에 따라 기본급, 제수당, 중간정산퇴직금 및 상여금이 자동 계산되며, 이에 기초하여 근로기준법상의 근로계약서 및 퇴직금 중간정산에 따른 필요서류를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급여대장도 자동 계산된 내용에 맞춰 작성되고 근로자 개인별 급여명세서도 자동으로 출력하여 회원사로 제공하기 때문에 종래 대부분의 기업체에서 사용하였던 관리 프로그램에 의한 급여대장이 기본급, 제수당, 비과세 등으로 되어 있어 진정사건 발생시 노동부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사례가 빈번한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2007년 07월 01일부로 50인 이상, 2008년 07월 01일부로 20인 이상의 사업장에도 주 40시가제가 도입되는 바, 기업체들이 간단한 입력을 통해 주 44시간제하의 임금과 주 40시간제하의 임금을 비교함으로써 주 40시간제 도입을 앞둔 기업체들에게 주 40시간제에 따른 적절한 임금설계를 할 수 있으며, 회원사들이 입력된 정보들의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해 임금인상 등의 의사결정 활용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업종별, 근로자수별 연봉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 기업의 연봉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서비스제공사에 가입된 회원사의 근로자 노무정보를 웹상에서 제공하기 위한 노무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사의 웹페이지 접속으로 플러그인 기동코드에 의해 상기 회원사의 PC에 설치되며, 상기 회원사 정보 및 상기 근로자 정보를 입력되고, 상기 서비스제공사로부터 제공되는 결과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웹클라이언트;
    상기 회원사와 상기 서비스제공사 간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망;
    상기 네트워크망 상에서 소정의 인증절차를 통해 상기 웹클라이언트와 접속되어 상기 회원사의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접속서버; 및
    상기 웹클라이언트 및 상기 접속서버와 상기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근로자 정보를 기반으로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근로계약서, 급여대장, 급여명세서, 퇴직금 중간정산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노무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결과정보를 상기 웹클라이언트로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근로자의 연봉액, 월 근무시간, 상여금 및 퇴직금 포함 여부를 포함하는 계산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본급, 법정수당, 퇴직금 및 상여금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서버; 및
    상기 서비스제공부에 의해 생성된 노무정보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노무정보를 가공하기 위한 저장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는,
    상기 급여명세서를 기 저장된 상기 저장서버에서 추출하여, 상기 근로자의 이메일을 통해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부에 의해 생성된 업종별, 근로자별, 직급별, 연차별 평균 연봉정보를 포함하는 노무정보를 상기 회원사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5. 서비스제공사에 가입된 회원사의 근로자 노무정보를 웹상에서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원사 PC가 상기 서비스제공사 웹페이지에 접속되면, 플러그인 기동코드에 의해 상기 회원사 PC에 웹클라이언트가 설치되는 단계;
    소정의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접속서버에 의해 상기 회원사 PC가 상기 서비스제공사에 접속되며, 상기 회원사가 요청하는 노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회원사 PC로부터 입력된 상기 근로자의 연봉액, 월 근무시간, 상여금 및 퇴직금 포함 여부를 포함하는 계산 정보를 기초로 기본급, 법정수당, 퇴직금 및 상여금이 연산서버에 의해 산출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정보를 기초로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근로계약서, 급여대장, 급여명세서 및 퇴직금 중간정산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노무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회원사의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노무정보를 저장서버에 의해 추출되고, 상기 추출된 노무정보를 상기 웹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급여명세서를 기 저장된 상기 저장서버에서 추출하여, 상기 근로자의 이메일을 통해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70061623A 2007-06-22 2007-06-22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02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623A KR20090002219A (ko) 2007-06-22 2007-06-22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623A KR20090002219A (ko) 2007-06-22 2007-06-22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219A true KR20090002219A (ko) 2009-01-09

Family

ID=40485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623A KR20090002219A (ko) 2007-06-22 2007-06-22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21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681B1 (ko) * 2012-09-11 2013-04-03 송철수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 및 방법
KR101635573B1 (ko) * 2015-04-21 2016-07-01 용인시 인사 급여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20096840A (ko) * 2020-12-31 2022-07-07 디네핏 주식회사 노무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20240028220A (ko) 2022-08-24 2024-03-05 주식회사 리얼비즈 근로시간 유형을 기반으로 근로자의 근무스케줄을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는 근로자관리시스템
KR20240028221A (ko) 2022-08-24 2024-03-05 주식회사 리얼비즈 근로자 퇴사 또는 이직 전후 노무정보의 연속적 관리 및 확인이 가능한 노무관리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681B1 (ko) * 2012-09-11 2013-04-03 송철수 급여 명세 및 시급 자동 계산 장치 및 방법
KR101635573B1 (ko) * 2015-04-21 2016-07-01 용인시 인사 급여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20096840A (ko) * 2020-12-31 2022-07-07 디네핏 주식회사 노무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20240028220A (ko) 2022-08-24 2024-03-05 주식회사 리얼비즈 근로시간 유형을 기반으로 근로자의 근무스케줄을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는 근로자관리시스템
KR20240028221A (ko) 2022-08-24 2024-03-05 주식회사 리얼비즈 근로자 퇴사 또는 이직 전후 노무정보의 연속적 관리 및 확인이 가능한 노무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95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ayroll-related insurance data
KR101635573B1 (ko) 인사 급여 통합 관리 시스템
US8423435B1 (en) Payroll withholding for debt management
JP5032699B1 (ja) 時間外労働賃金算出プログラム及び時間外労働賃金算出システム
AU2023202118A1 (en) Improved system and method for timekeeping entry and work in progress reports
Jimenez et al. Information technology for tax administration
KR20090002219A (ko)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06242A (ko) 인사 및 급여와 사회보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400882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ates
JP5150777B1 (ja) 時間外労働賃金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時間外労働賃金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20220043712A (ko) It를 활용한 인사, 급여 및 사회보험관리 사무자동화 시스템
JP4351085B2 (ja) 見込み給与照会方法、見込み給与照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20156A (ko) 인사와 급여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Teicholz Requirements of construction company cost system
KR20210130554A (ko) 웹상에서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Sunardi et al. Implementation Of The Regulation Of The Minister Of Agraria And Spatial Planning/Head Of The National Land Agency Of The Republic Of Indonesia Number 5 Of 2020 Concerning Electronic Integrated Liability Rights Services (Study At The Blitar City Land Office)
Authority SCIIP Project Management Workshop
SITES ADVERTISEMENT FOR ENGINEERING AND RELATED SERVICES June 4, 2019 CONTRACT NO. 4400016178 IDIQ CONTRACT FOR RISK EVALUATION/CORRECTIVE ACTION PLAN (RECAP)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AT DOTD UNDERGROUND STORAGE
SITES ADVERTISEMENT FOR ENGINEERING AND RELATED SERVICES June 4, 2019 June 13, 2019, ADDENDUM NO. 1 CONTRACT NO. 4400016178 IDIQ CONTRACT FOR RISK EVALUATION/CORRECTIVE ACTION PLAN (RECAP)
PKWY et al. ADVERTISEMENT FOR ENGINEERING AND RELATED SERVICES August 7, 2018 SEPTMEBER 10, 2018, ADDENDUM NO. 3 SEPTEMBER 7, 2018, ADDENDUM NO. 2 AUGUST 27, 2018, ADDENDUM NO.
PKWY et al. ADVERTISEMENT FOR ENGINEERING AND RELATED SERVICES August 7, 2018 SEPTEMBER 7, 2018, ADDENDUM NO. 2 AUGUST 27, 2018, ADDENDUM NO. 1 CONTRACT NO. 4400015110
PARISH ADVERTISEMENT FOR ENGINEERING AND RELATED SERVICES July 31, 2018 CONTRACT NO. 4400014358 WESTWOOD DRIVE (WB EXPY TO LAPALCO) STATE PROJECT NO. H. 011795 (CE&I)
PARISH ADVERTISEMENT FOR ENGINEERING AND RELATED SERVICES August 7, 2018 CONTRACT NO. 4400015110 WB VETERANS: SEVERN AVE–CLEARVIEW PKWY STATE PROJECT NO. H. 012783 (CE&I)
PARISH ADVERTISEMENT FOR ENGINEERING AND RELATED SERVICES August 7, 2018 AUGUST 27, 2018, ADDENDUM NO. 1 CONTRACT NO. 4400015110 WB VETERANS: SEVERN AVE–CLEARVIEW PKWY
Veeriah Customizing Financial Accounting in S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