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442B1 - Distribution methods using ground lifters - Google Patents

Distribution methods using ground lif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442B1
KR101250442B1 KR1020120078457A KR20120078457A KR101250442B1 KR 101250442 B1 KR101250442 B1 KR 101250442B1 KR 1020120078457 A KR1020120078457 A KR 1020120078457A KR 20120078457 A KR20120078457 A KR 20120078457A KR 101250442 B1 KR101250442 B1 KR 101250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ehicle
ground
ground lifter
l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4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88640A (en
Inventor
문형석
민재홍
이인규
박정준
권태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7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442B1/en
Publication of KR20120088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6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4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05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Rail freight 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6Combinations of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interrelating lifting or lowering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지하에 매설되어 있다가, 운송수단이 해당 위치에 도착한 경우 지상으로 상승하여 컨테이너를 운송하기 위한 운송수단을 교체하는 등의 이유로 컨테이너를 공중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운반차량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정렬시키는 컨테이너 준비단계와;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하여 정렬된 컨테이너를 운송수단에 상차시키는 컨테이너 상차단계와;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물류운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transportation method using a ground lifter, and more particularly, usually buried underground, and when the vehicle arrives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scends to the ground and replaces the vehicle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For this reas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transportation method using a ground lifter to support a container in a state of being lifted into the ai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preparation step of aligning containers using an automatic transport vehicle; A container loading step of loading the aligned containers on the vehicle using the ground lif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gistics transport step of transporting the container to the destination by using a transport means.

Description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Distribution methods using ground lifters}Distribution methods using ground lifters

본 발명은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지하에 매설되어 있다가, 운송수단이 해당 위치에 도착한 경우 지상으로 상승하여 컨테이너를 운송하기 위한 운송수단을 교체하는 등의 이유로 컨테이너를 공중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transportation method using a ground lifter, and more particularly, usually buried underground, and when the vehicle arrives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scends to the ground and replaces the vehicle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For this reas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transportation method using a ground lifter to support a container in a state of being lifted into the air.

일반적으로, 물류는 물적유통(Physical Distribution)을 줄인 말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까지의 물(物)의 흐름을 가리킨다.In general, logistics is short for physical distribution and refers to the flow of water from producers to consumers.

최근들어 물류정책에 따른 물류가 국가 경제의 중요한 원동력임을 알고, 신속·정확하면서도 편리하고 안전한 물류활동을 촉진하며, 정부의 물류 관련 정책이 서로 조화롭게 연계되도록 하여 물류산업이 체계적으로 발전하게 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2007년도에 물류체계의 효율화, 물류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물류의 선진화·국제화를 이루어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물류정책기본법을 제정하여 시행하는 등 물류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the logistics industry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driving force of the national economy, promoting fast, accurate, convenient and safe logistics activities, and the logistics industry should be systematically developed by harmonizing the government's logistics-related policies. In 2007, the Korean government became interested in logistics by enacting and implementing the Basic Law on Logistics Policy for the purpose of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by making the logistics system more efficient,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logistics industry, and advancing and internationalizing logistics. It is increasing.

이러한 물류의 운송방법에는 육상운송, 해상운송, 항공운송, 복합운송 등이 있는데, 국내에서의 물류 운송은 주로 육상운송에 의해 이루어진다.Transportation methods of such logistics include land transportation, sea transportation, air transportation, multimodal transportation, and the like. Logistics transportation in Korea is mainly performed by land transportation.

이때, 상기 육상운송은 육로 또는 호수, 강, 항만 등에서 행하여지는 화물 및 여객의 운송을 뜻하는 것으로, 주로 화물차량을 이용하여 도로를 통해 물류를 운송하는 공로운송과, 철도차량을 이용한 철도운송으로 구분되는데, 먼저 공로운송은 기동성과 신속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화물 특성에 대응이 용이하며, 배차가 유연하여 근거리 소량운송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고의 위험성이 높고 교통체증과 매연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며 장거리 운송시의 높은 운임으로 인해 장거리 대량 운송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land transportation means the transportation of cargo and passengers carried out by land or lake, river, harbor, etc., mainly by air transport using a freight vehicle to transport logistics through a road, and rail transportation using a railway vehicle. First of all, air transportation has the advantages of excellent maneuverability and quickness, easy to cope with various cargo characteristics, and flexible distribution, which is suitable for short-distance transportation.However, there is a high risk of acciden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traffic jam and soo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unsuitable for long distance mass transportation due to the high fare in the long distance transportation.

또한, 철도운송은 공로운송과는 반대로 사고의 위험이 적고, 전천후 수송이 가능하며, 낮은 운임으로 인해 중,장거리 대량 운송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도어 투 도어(Door to door)의 일관수송이 불가능하고, 환적작업이 필요하며, 배차의 탄력성이 낮으므로 긴급 수송 및 단거리 수송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rail transport has the advantages of low risk of accidents, all-weather transportation, and low freight rates, making it suitable for medium and long-distance mass transportation, but consistent transportation of door to door Impossible, transshipment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unsuitable for emergency transport and short-haul transport because the elasticity of the dispatch is low.

따라서, 공로운송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는 국내의 물류 운송시스템의 문제점 즉, 교통체증의 유발과 차량에 의한 환경오염의 유발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되는 전환수송(Modal shift) 정책(트럭을 이용하여 도로를 통해 운송하던 화물을 철도나 선박으로 전환하여 운송하는 정책)에 부합하면서도, 철도운송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물류 운송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 Modal Shift Policy (Truck Shift Policy)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domestic logistics transportation system, which is excessively dependent on air transportation, such as causing traffic jam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vehicles. It is necessary to use a new concept of logistics transportation system that can improve the problems of railway transportation while complying with the policy of converting cargo used on the road by railroad or ship.

또한, 도어 투 도어(Door to door) 수송을 위해 환적작업을 하는 경우 종래에는 반드시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일일이 들어올려 하나씩 이동시켜야 하므로 환적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환적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ransshipment work for door-to-door transportation, the container must be lifted and moved one by one by using a crane, etc., and thus a lot of time is required for transshipment, and an accident may occur during the transshipment process. There was a problem such as a concern.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하여 공로운송과 철도운송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만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류운송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ground lifte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air and rail transportation and combine the advantages and at the same time is required for logistics transport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gistics transportation method using a ground lifter that can reduce time and cos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자동운반차량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정렬시키는 컨테이너 준비단계와;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하여 정렬된 컨테이너를 운송수단에 상차시키는 컨테이너 상차단계와;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물류운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tainer preparation step of aligning the containers using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A container loading step of loading the aligned containers on the vehicle using the ground lif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gistics transport step of transporting the container to the destination by using a transport means.

이때, 상기 컨테이너 상차단계는, 그라운드 리프터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컨테이너가 상차된 자동운반차량의 진입을 확인하는 제1센서확인단계와;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가 상승하여 자동운반차량에 상차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제1컨테이너 지지단계와; 자동운반차량이 빠져나가고 컨테이너를 목적지까지 운송하기 위한 운송수단이 컨테이너의 하부로 진입하는 운송수단 진입단계 및 그라운드 리프터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컨테이너를 하강시켜 운송수단의 상부에 고정시킨 후, 그라운드 리프터를 해제시켜 지하로 원위치시키는 제1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ntainer loading step, the first sensor confirmation step of confirming the entry of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loaded with the container through the sensor unit provided in the ground lifter; A first container support step of lifting and supporting a container loaded on an automatic transport vehicle by raising a ground lifter buried underground; After the auto transport vehicle exits and the transport means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to the destination enters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the container supported by the ground lifter is lowered an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transport means. And a first ground lifter releasing step of releasing and returning to the basement.

또한, 상기 물류운송단계는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운송수단의 종류를 교체하는 운송수단 교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gistics transport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port means for replacing the type of transport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to the destination.

여기서, 상기 운송수단 교체단계는, 그라운드 리프터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컨테이너가 상차된 운송수단의 진입을 확인하는 제2센서확인단계와;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가 상승하여 운송수단에 상차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제2컨테이너 지지단계와; 운송수단이 빠져나가고 컨테이너를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하기 위한 다른 운송수단이 컨테이너의 하부로 진입하는 제2운송수단 진입단계 및 그라운드 리프터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컨테이너를 하강시켜 운송수단의 상부에 고정시킨 후, 그라운드 리프터를 해제시켜 지하로 원위치시키는 제2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vehicle replacement step may include a second sensor checking step of confirming entry of a vehicle loaded with a container through a sensor unit provided in the ground lifter; A second container support step of lifting and supporting a container loaded on a transportation means by raising a ground lifter buried underground; After the vehicle exits and another vehicle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to its final destination enters the second vehicle entry step in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lowers the container held by the ground lifter to secure it to the top of the vehicle, And a second ground lifter releasing step of releasing the ground lifter and returning it to the basement.

그리고, 상기 물류운송단계는, 그라운드 리프터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목적지에 도착하는 운송수단의 진입을 확인하는 제3센서확인단계와;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가 상승하여 운송수단에 상차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제3컨테이너 지지단계와; 운송수단이 빠져나가고 컨테이너를 최종 하역지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자동운반차량이 컨테이너의 하부로 진입하는 자동운반차량 진입단계 및 그라운드 리프터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컨테이너를 하강시켜 자동운반차량의 상부에 고정시킨 후, 그라운드 리프터를 해제시켜 지하로 원위치시키는 제3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gistics transport step may include a third sensor checking step of confirming an entry of a vehicle arriving at a destination through a sensor unit provided in the ground lifter; A third container supporting step of lifting and supporting a container loaded on a transportation means by raising a ground lifter buried underground; After the means of transportation exits, the auto transport vehicle entry stage for moving the container to the final loading area and the container supported by the ground lifter are lowered and fixed to the top of the auto transport vehicle. And a third ground lifter releasing step of releasing the ground lifter and returning it to the basement.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에 의하면, 장소의 구애없이 설치될 수 있는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지지할 수 있어, 별도의 크레인 없이도 컨테이너를 용이하게 옮겨 실을 수 있게 되어 물류운송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logistics transportation method using the ground li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ground lifter that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place can support the container away from the ground, it is easy to move the container without a separate crane It is possible to have an excellent effect to reduce the time and cost of logistics transport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round li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to 8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logistics transport method using a ground li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ogistics transportation method using a ground li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logistics transport method using a ground li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round li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Figures 4 to 8 is a logistics transportation method using a ground li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reference diagram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ogistics transportation method using a ground li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지하에 매설되어 있다가, 운송수단(50)이 해당 위치에 도착한 경우 지상으로 상승하여 컨테이너를 운송하기 위한 운송수단(50)을 교체하는 등의 이유로 컨테이너를 공중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라운드 리프터 및 그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110), 피스톤(120), 모터(130), 로드암(140) 및 전원공급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buried underground, and when the vehicle 50 arrives at the position, the container is lifted to the ground by lifting the container to the ground for replacing the vehicle 50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Regarding the ground lifter and the logistics transportation method using the same, the ground lif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is largely a case 110, a piston 1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tor 130, a load arm 140 and the power supply unit 15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1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만이나 산업단지 및 철도역사 등의 물류거점 내에 운송수단(50)이 출발 또는 도착되는 지점 즉, 주차장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운송수단(50)이 위치하는 지점의 양 측 지면에 다수의 설치홈(10)을 운송수단(50)의 주행방향과 수평방향이 되도록 형성하여 평상시에는 그라운드 리프터(100)가 상기 설치홈(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지하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운송수단(50)의 주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ure 4, the ground lif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point of departure or arrival of the transportation means 50 in the logistics base such as a harbor or industrial complex and railway station, that is, installed in a parking lot, etc. In this case, a plurality of installation grooves 1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round at the point where the vehicle 50 is located to be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50 so that the ground lifter 100 is normally installed. It is configured not to affect the running of the vehicle 50 by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10 and positioned underground.

이때, 상기 케이스(110)는 그라운드 리프터(10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그 내측으로 이물질들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측에 구비되는 피스톤(120)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case 110 serves to prevent a malfunction of the ground lifter 100 by protecting the ground lifter 100 from external shock and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thereof. The piston 120 is driven up or down by driving.

다음, 상기 피스톤(120)은 케이스(110)의 내측에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전진 또는 후진 구동에 의해 케이스(110)를 포함하는 그라운드 리프터(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과 동시에 컨테이너(20)를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모터(130)는 피스톤(120)의 상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컨테이너(20)를 지지하기 위한 로드암(14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Next, the piston 120 is install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side the case 110 so as to raise or lower the ground lifter 100 including the case 110 by forward or backward driving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ainer 20. ), And the motor 13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piston 120 so as to rotate the rod arm 140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20. To do.

이때,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로드암(14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삽입홈(112)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홈(112)은 로드암(140)의 회동 반경을 고려하여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1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112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rod arm 140 is installed, the insertion groove 112 in consideration of the turning radius of the rod arm 140 It is forme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상기 로드암(140)은 모터(130)에 축설되어 피스톤(120)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함과 동시에 모터(130)에 의해 회동하여 컨테이너(20)의 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측 단부가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모터(130)에 축설되는 연결부재(142)와, 상기 연결부재(142)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컨테이너(2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재(144)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od arm 140 is installed in the motor 130 to move up and down by the driving of the piston 120, and at the same time rotates by the motor 130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20. One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ase 110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142 which is arranged in the motor 13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142 is installed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20 It consists of a support member 144 to enable.

그리고, 컨테이너(20)가 안치되는 지지부재(144)의 상면에는 컨테이너(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146)가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44 on which the container 20 is placed is provided with an anti-slip part 146 for preventing the container 20 from slipping.

다음,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피스톤과 모터(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하에 매설되어 케이스(1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Next, the power supply unit 150 serves to supply power to the piston and the motor 130, is installed in the basement is located inside the case 110.

한편,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 상단부에 모터(130)의 사이에는 완충부재(160)가 삽입 설치되는데, 상기 완충부재(160)는 케이스(110)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구성요소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케이스(110)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피스톤의 구동에 의한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상승 및 하강 작용시 작용력을 부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buffer member 160 is inserted between the motor 130 in the inner upper end of the case 110, the buffer member 16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of the case 110, the ground lifter 100 is installed It is installed to protect the components of the external impact and at the same tim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case 110 serves to add an action force during the lifting and lowering action of the ground lifter 100 by the drive of the piston.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에는 센서부(170)가 부가 설치되는데, 상기 센서부(170)는 운송수단(50)의 진출입을 감지하여 피스톤 및 모터(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술하겠지만, 상기 센서부(170)에서 운송수단(50)의 진입을 감지한 경우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100)가 피스톤의 구동에 의해 상승한 후, 모터(130)의 구동에 의해 로드암(140)이 회동하여 컨테이너(20) 또는 컨테이너(20)가 내측에 수용된 프레임(3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되고, 그라운드 리프터(100)에 의해 컨테이너(20)가 공중에 지지된 상태에서 운송수단(50)의 교체가 완료되면, 센서부(170)에서 이를 감지하여 피스톤을 하강 구동시켜 컨테이너(20)를 교체된 운송수단(50)의 상부에 내려놓고, 모터(130)가 구동하여 로드암(140)이 지면에 형성된 설치홈(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회동한 후, 다시 피스톤을 하강 구동시켜 그라운드 리프터(100)가 원위치, 즉 지면에 형성된 설치홈(10)의 내측으로 복귀하도록 구동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ensor unit 170 is additionally installed inside the case 110, and the sensor unit 17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piston and the motor 130 by detecting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50.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sensor unit 170 detects the entry of the vehicle 50, the ground lifter 100 buried underground rises by driving the piston, and then the drive of the motor 130 is performed. The rod arm 140 rotates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20 or the frame 30 in which the container 20 is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container 20 is supported in the air by the ground lifter 100. When the replacement of the vehicle 50 is completed, the sensor unit 170 detects this and drives the piston to lower the container 2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placed vehicle 50, and the motor 130 is driven. Rod arm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10 formed on the ground After turning the lock, it is to drive so as to return to the inside of the mounting groove 10 formed on the piston is driven again lowered ground lifter 100 is in the original position, that is the ground.

이때, 상기 센서부(170)는 운송수단(50)의 출입을 보다 정확히 감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내측 상단부에 설치된 완충부재(160)의 내측에 삽입 설치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170 to detect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50 more accurately and at the same time to be protected from the impact from the outside, as shown in Figure 2, the inner upper end of the case 110 It may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uffer member 160 is installed.

다음,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은 항만이나 산업단지 및 철도역사 등의 물류거점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물류의 운송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물류의 운송시간 및 운송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컨테이너 준비단계(S100)와, 컨테이너 상차단계(S200) 및 물류운송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logistic transportation method using the ground li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automatically between the logistics centers such as harbors, industrial complexes and railway stations to reduce the transportation time and transportation costs of logistics To do so, the configuration is largely made up of a container preparation step (S100), the container loading step (S200) and the logistics transportation step (S40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컨테이너 준비단계(S100)는 자동운반차량(40)(AGV; Automated Guided Vehicle)을 이용하여 운송하고자 하는 컨테이너(20)를 출발 장소에 정렬시키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이때, 상기 자동운반차량(40)은 물류거점 내에서 그 상부에 컨테이너(20)를 적재한 상태로 이동하여 물류가 수용된 컨테이너(20)를 원하는 곳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차량을 의미한다.In more detail, the container preparation step (S100) relates to the step of aligning the container 20 to be transported to the starting location using the automated transport vehicle 40 (AGV; Automated Guided Vehicle), wherein,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40 refers to a vehicle that serves to transport the container 20 containing the logistics to a desired place by moving to the state where the container 20 is loa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gistics base.

즉, 항만이나 산업단지 및 철도역사 등의 물류거점 내에는 지하에는 다수의 트랜스듀서(Transducer)(미도시)가 매설된 전용도로와, 상기 트랜드듀서에 신호를 보내기 위한 컨트롤 타워(미도시)가 설치되는데, 상기 컨트롤 타워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트랜스듀서에서 수신 및 변환하여 자동운반차량(4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동운반차량(40)이 전용도로 상을 무인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a logistics center such as a harbor, industrial complex, and railway station, a dedicated road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ducers (not shown) are buried underground and a control tower (not shown) for sending signals to the transducers are provided. It is installed, by receiving and converting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rol tower in the transducer so that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40 can be confirmed that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40 can automatically move the phase on the exclusive road unattended. will be.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 준비단계(S100)는 자동운반차량(40)이 컨트롤 타워의 제어에 의해 그 상부에 운송하고자 하는 컨테이너(20)를 적재한 상태로 지하에 매설된 트랜스듀서에 의해 이루어지는 가상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운송하고자 하는 컨테이너(20)를 출발 장소에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container preparation step (S100) is a virtual rail made by the transducer embedded in the basement while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40 loaded the container 20 to be transported there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tower. It is to be able to move along the container 20 to be transported to be aligned to the departure place.

다음, 상기 컨테이너 상차단계(S200)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운반차량(40)에 의해 출발 장소에 정렬된 컨테이너(20)를 그라운드 리프터(100)를 이용하여 운송수단(50)에 상차시키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제1센서확인단계(S210)와, 제1컨테이너 지지단계(S220), 운송수단 집입단계(S230) 및 제1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S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Next, the container loading step (S200), as shown in Figures 5 to 8, the transportation means 50 by using the ground lifter 100 to the container 20 arranged at the departure place by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40 And a first sensor checking step (S210), a first container supporting step (S220), a vehicle loading step (S230), and a first ground lifter release step (S240). .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센서확인단계(S210)는 운송수단(50)의 출발 장소에 설치된 그라운드 리프터(100)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부(170)를 통해 컨테이너(20)가 상차된 자동운반차량(40)의 진입을 확인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1컨테이너 지지단계(S220)는 상기 센서부(170)를 통해 컨테이너(20)가 상차된 자동운반차량(40)의 진입을 확인한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의 구동에 의해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100)가 상승 및 회동하여 자동운반차량(40)에 상차되어 있는 컨테이너(20)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다.In more detail, the first sensor checking step (S210) is an automatic transportation of the container 20 loaded on the sensor unit 170 provided in the ground lifter 100 installed at the departure place of the vehicle 50. The step of confirming the entry of the vehicle 40, the first container support step (S220) is the case of confirming the entry of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40 loaded with the container 20 through the sensor unit 170 As shown in FIG. 5, the ground lifter 100, which is buried underground by the driving of the piston, is lifted and rotated to lift and support the container 20 loaded on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40. will be.

다음, 상기 운송수단 진입단계(S23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라운드 리프터(100)에 의해 컨테이너(20)가 지지된 상태에서 자동운반차량(40)이 빠져나가고, 컨테이너(20)를 목적지까지 운송하기 위한 운송수단(50)이 컨테이너(20)의 하부로 진입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이때 상기 운송수단(50)으로는 배기가스의 배출을 없애기 위해 수소연료전지 또는 압축천연가스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트랙터(52)와 상기 트랙터(52)에 연결 설치되어 그 상부에 컨테이너(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수의 트레일러(54)가 사용된다.Next, the vehicle entering step (S230), as shown in FIGS. 6 and 7, when the container 20 is supported by the ground lifter 100, the auto transport vehicle 40 exits, and the container 20. ) Is a step of transporting the vehicle 50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20 to the destination, wherein the vehicle 50 is a hydrogen fuel cell or compressed natural gas in order to eliminate the discharge of the exhaust gas It is connected to the tractor 52 using the power and the tractor 52 is used a plurality of trailers 54 that can be fixed to the container 20 on the top thereof.

또한, 상기 제1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S24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부(170)에서 운송수단(50)의 진입을 확인하게 되면 피스톤의 구동에 의해 그라운드 리프터(100)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컨테이너(20)를 하강시켜 운송수단(50) 즉, 트레일러(54)의 상부에 고정시킨 후 그라운드 리프터(100)를 해제시켜 지하로 원위치시키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컨테이너(20) 하강 후 모터(130)의 회전에 의해 로드암(140)을 컨테이너(20)의 하부로부터 이탈시킨 후 피스톤을 하강시켜 그라운드 리프터(100)가 지면에 형성된 설치홈(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first ground lifter releasing step S240 is supported by the ground lifter 100 by driving the piston when the sensor unit 170 confirms the entry of the vehicle 50. After the container 20 is lowered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50, that is, the trailer 54, the ground lifter 100 is released to return to the basement. The motor after the container 20 is lowered is lowered. After the rod arm 14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20 by the rotation of the 130, the piston is lowered so that the ground lifter 100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10 formed on the ground.

다음, 상기 물류운송단계(S400)는 트랙터(52)와 트레일러(54)로 구성되는 운송수단(50)을 이용하여 물류가 수용된 컨테이너(20)를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제3센서확인단계(S410)와, 제3컨테이너 지지단계(S420), 자동운반차량 진입단계(S430) 및 제3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S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logistic transportation step (S400) relates to the step of transporting the container 20, the logistics is accommodated to the destination using a transport means 50 consisting of a tractor 52 and a trailer 54, the third sensor It includes a confirmation step (S410), the third container support step (S420),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entry step (S430) and the third ground lifter release step (S44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3센서확인단계(S410)는 목적지에 해당되는 물류거점에 설치된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센서부(170)가 목적지에 도착하는 운송수단(50)의 진입을 확인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3컨테이너 지지단계(S420)는 운송수단(50)이 목적지의 도착지점에 정차하게 되면, 센서부(170)에서 이를 확인하여 피스톤을 구동시킴으로써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100)를 상승시켜 운송수단(50)에 상차되어 있던 컨테이너(20)를 들어올린 후 지지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자동운반차량 진입단계(S430)는 그라운드 리프터(100)에 의해 컨테이너(20)가 지지된 상태에서 운송수단(50)이 빠져나가고, 컨테이너(20)를 최종 하역지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자동운반차량(40)이 진입하여 컨테이너(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3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S440)는 자동운반차량(40)의 진입을 센서부(170)에서 확인한 경우, 피스톤의 구동에 의해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로드암(140)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컨테이너(20)를 하강시켜 자동운반차량(40)의 상부에 고정시킨 후, 그라운드 리프터(100)를 해제시켜 지하로 원위치시키고 자동운반차량(40)에 의해 컨테이너(20)를 최종 하역지까지 운반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다.In more detail, the third sensor check step (S410) is a step of confirming the entry of the transportation means 50 arriving at the destination by the sensor unit 170 of the ground lifter 100 installed in the logistic bas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The third container support step (S420) is, when the vehicle 50 stops at the destination of the destination, the sensor unit 170 checks this and drives the piston so that the ground lifter buried underground The lifting step 100 relates to the step of lifting and supporting the container 20 loaded on the vehicle 50, and the step of entering the auto transport vehicle (S430) is the container 20 by the ground lifter 100. The vehicle 50 is exited in the supported state, and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40 for moving the container 20 to the final loading place enters and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20, In the third ground lifter releasing step S440, when the entrance of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40 is confirmed by the sensor unit 170, the container supported by the rod arm 140 of the ground lifter 100 is driven by the piston. After lowering the 20 to fix the upper portion of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40, the ground lifter 100 is released to return to the basement and the container 20 is transported to the final unloading place by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40. It's about the steps.

상기와 같은 물류운송단계(S400)에서의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작동관계 및 자동운반차량(40)의 주행원리는 전술한 컨테이너 상차단계(S200)에서의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작동관계 및 자동운반차량(40)의 주행원리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ground lifter 100 and the driving principle of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40 in the above-described logistics transportation step S400 and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ground lifter 100 in the above described container loading step S200 and automatic Since the driving principle of the transport vehicle 40 is the sam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물류운송단계(S400)는 운송수단 교체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상기 운송수단 교체단계(S300)는 컨테이너(20)를 운송해야 하는 물류거점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공로운송(도로운송)과 철도운송을 동시에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 철도역사에서 주로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gistics transportation step (S400) may be made to include a transportation means replacement step (S300), the transportation means replacement step (S300)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ogistics base to transport the container 20 is far It is mainly used in railway stations when it is necessary to use both air transportation and rail transportation.

즉, 장거리 대량운송의 경우 도로운송보다는 철도운송이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사용되는데, 이때, 트랙터(52)와 트레일러(54)로 이루어지는 운송수단(50)을 이용하여 철도역사까지 컨테이너(20)를 이송시킨 후, 철도역사에서 트레일러(54)에 상차되어 있던 컨테이너(20)를 철도차량(60)에 옮겨 실어 운송하거나, 철도차량(60)을 통해 운송되어 온 컨테이너(20)를 다시 트랙터(52)와 트레일러(54)로 이루어지는 운송수단(50)에 옮겨 실어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경우 운송수단 교체단계(S300)가 사용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long-distance mass transportation, rail transportation is used in a more efficient manner than road transportation. In this case, the container 20 is transported to the railway station by using the transportation means 50 consisting of the tractor 52 and the trailer 54. After carrying out, the container 20 loaded on the trailer 54 in the railroad station is transferred to the railroad car 60 and transported, or the container 20 that has been transported through the railroad car 60 is again tractor 52. When transported to the vehicle 50 consisting of a trailer 54 and transported to the final destination is a vehicle replacement step (S300) is used.

이때, 상기 운송수단 교체단계(S300)는 제2센서확인단계(S310), 제2컨테이너 지지단계(S320), 제2운송수단 진입단계(S330) 및 제2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S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센서확인단계(S310)는 플랫폼(70)에 설치된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센서부(170)를 통해 컨테이너(20)가 상차된 운송수단(50)의 진입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운송수단(50)으로는 트랙터(52)와 트레일러(54)로 구성된 운송수단(50) 또는 철도차량(60)을 이루어진 운송수단(50) 등이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hicle replacement step (S300) includes a second sensor check step (S310),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step (S320), the second transport means entry step (S330) and the second ground lifter release step (S340). The second sensor check step (S310) is to check whether the container 20 is loaded into the vehicle 50 through the sensor unit 170 of the ground lifter 100 installed on the platform 70. Regarding the step, the vehicle 50 may be a vehicle 50 composed of a tractor 52 and a trailer 54 or a vehicle 50 composed of a railroad vehicle 60.

다음, 상기 제2컨테이너 지지단계(S320)는 센서부(170)를 통해 플랫폼(70)으로 진입하는 운송수단(50)의 진입 완료를 확인한 경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의 구동에 의해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100)를 상승 및 회동시켜 운송수단(50)에 상차되어 있던 컨테이너(20)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2운송수단 진입단계(S33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라운드 리프터(100)에 의해 컨테이너(20)가 공중에서 지지된 상태에서 컨테이너(20)의 하부에 위치한 운송수단(50)이 빠져나가고 컨테이너(20)를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하기 위한 새로운 운송수단이 컨테이너(20)의 하부로 진입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2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S340)는 새로운 운송수단이 진입 완료한 경우 피스톤의 구동에 의해 그라운드 리프터(100)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컨테이너(20)를 하강시켜 새로운 운송수단의 상부에 고정시킨 후, 모터(130) 및 피스톤의 구동에 의해 그라운드 리프터(100)를 해제시켜 새로운 운송수단이 최종 목적지를 향해 출발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Next, when the second container support step (S320) confirms the entry of the transport means 50 entering the platform 70 through the sensor unit 170, as shown in Figure 9, by the drive of the piston underground And lifting and rotating the ground lifter 100 embedded in the container 20, which is loaded on the transportation means 50, and the second transportation means entry step S330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5, the vehicle 50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20 with the container 20 supported in the air by the ground lifter 100 exits to transport the container 20 to its final destination. The new vehicle is to enter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20, the second ground lifter release step (S340) is a ground lifter (1) by the drive of the piston when the new vehicle is completed entry The container 20 supported by 00 is lowered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new vehicle, and then the ground lifter 100 is released by driving the motor 130 and the piston so that the new vehicle moves toward the final destination. This is the step to get started.

이때, 상기 운송수단 교체단계(S300)에서의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작동관계 또한 전술한 컨테이너 상차단계(S200) 및 물류운송단계(S400)에서의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작동관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ground lifter 100 in the transport replacement step (S300) is also the same as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ground lifter 100 in the container loading step (S200) and the logistics transportation step (S400)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운송수단 교체단계(S300)에서 운송수단(50)을 교체하여 최종 목적지에 도착한 운송수단(50)은 전술한 물류운송단계(S400)를 거쳐 최종 하역지에 컨테이너(20)를 운송하게 된다.In addition, the vehicle 50 arriving at the final destination by replacing the vehicle 50 in the vehicle replacement step (S300) is to transport the container 20 to the final loading place through the above-described logistics transport step (S400).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에 따르면, 장소의 구애없이 설치될 수 있는 그라운드 리프터(100)를 이용하여 컨테이너(20)를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지지할 수 있어, 별도의 크레인 없이도 컨테이너(20)를 용이하게 옮겨 실을 수 있게 되어 물류운송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logistics transportation method using the ground li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ground lifter 100 that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place can support the container 20 in the state away from the ground, a separate crane Without being able to easily carry the container 20 to carry it will have a variety of advantages, such as to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logistics transportation.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지하에 매설되어 있다가, 운송수단이 해당 위치에 도착한 경우 지상으로 상승하여 컨테이너를 운송하기 위한 운송수단을 교체하는 등의 이유로 컨테이너를 공중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transportation method using a ground lifter, and more particularly, usually buried underground, and when the vehicle arrives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scends to the ground and replaces the vehicle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For this reas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transportation method using a ground lifter to support a container in a state of being lifted into the air.

10 : 설치홈 20 : 컨테이너
30 : 프레임 40 : 자동운반차량
50 : 운송수단 52 : 트랙터
54 : 트레일러 60 : 철도차량
70 : 플랫폼 100 : 그라운드 리프터
110 : 케이스 112 : 삽입홈
120 : 피스톤 130 : 모터
140 : 로드암 142 : 연결부재
144 : 지지부재 146 : 미끄럼방지부
150 : 전원공급부 160 : 완충부재
170 : 센서부
S100 : 컨테이너 준비단계 S200 : 컨테이너 상차단계
S210 : 제1센서확인단계 S220 : 제1컨테이너 지지단계
S230 : 운송수단 진입단계 S240 : 제1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
S300 : 운송수단 교체단계 S310 : 제2센서확인단계
S320 : 제2컨테이너 지지단계 S330 : 제2운송수단 진입단계
S340 : 제2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 S400 : 물류운송단계
S410 : 제3센서확인단계 S420 : 제3컨테이너 지지단계
S430 : 자동운반차량 진입단계 S440 : 제3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
10: installation groove 20: container
30: frame 40: auto transport vehicle
50: vehicle 52: tractor
54: trailer 60: railway vehicle
70: platform 100: ground lifter
110: case 112: insertion groove
120: piston 130: motor
140: rod arm 142: connecting member
144: support member 146: slipper
150: power supply unit 160: buffer member
170: sensor unit
S100: container preparation step S200: container loading step
S210: first sensor check step S220: first container support step
S230: step of entering the vehicle S240: release step of the first ground lifter
S300: transportation means replacement step S310: second sensor confirmation step
S320: second container support step S330: second transport means entry step
S340: the second ground lifter release step S400: logistics transport step
S410: third sensor check step S420: third container support step
S430: step of entering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S440: release step of the third ground lifter

Claims (5)

물류운송 방법에 있어서,
자동운반차량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정렬시키는 컨테이너 준비단계와;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하여 정렬된 컨테이너를 운송수단에 상차시키는 컨테이너 상차단계와;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물류운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컨테이너 상차단계는,
그라운드 리프터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컨테이너가 상차된 자동운반차량의 진입을 확인하는 제1센서확인단계와;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가 상승하여 자동운반차량에 상차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제1컨테이너 지지단계와;
자동운반차량이 빠져나가고 컨테이너를 목적지까지 운송하기 위한 운송수단이 컨테이너의 하부로 진입하는 운송수단 진입단계 및
그라운드 리프터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컨테이너를 하강시켜 운송수단의 상부에 고정시킨 후, 그라운드 리프터를 해제시켜 지하로 원위치시키는 제1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물류운송단계는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운송수단의 종류를 교체하는 운송수단 교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운송수단 교체단계는,
그라운드 리프터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컨테이너가 상차된 운송수단의 진입을 확인하는 제2센서확인단계와;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가 상승하여 운송수단에 상차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제2컨테이너 지지단계와;
운송수단이 빠져나가고 컨테이너를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하기 위한 다른 운송수단이 컨테이너의 하부로 진입하는 제2운송수단 진입단계 및
그라운드 리프터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컨테이너를 하강시켜 운송수단의 상부에 고정시킨 후, 그라운드 리프터를 해제시켜 지하로 원위치시키는 제2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
In the logistics transportation method,
A container preparation step of aligning the containers using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A container loading step of loading the aligned containers on the vehicle using the ground lifter;
Logistics transportation step of transporting the container to the destination using the means of transportation;
The container loading step,
A first sensor checking step of confirming an entry of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loaded with a container through a sensor unit provided in the ground lifter;
A first container support step of lifting and supporting a container loaded on an automatic transport vehicle by raising a ground lifter buried underground;
A vehicle entry stage in which a vehicle for exiting the auto 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ing the container to the destination enters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and
And a first ground lifter releasing step of lowering the container supported by the ground lifter to fix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and releasing the ground lifter to return it to the basement.
The logistics transportation step is configured to include a transportation means for replacing the type of transpor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to the destination,
The vehicle replacement step,
A second sensor checking step of confirming an entry of a vehicle loaded with a container through a sensor unit provided in the ground lifter;
A second container support step of lifting and supporting a container loaded on a transportation means by raising a ground lifter buried underground;
The second means of entry into which the vehicle exits and another means of transport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to its final destination enters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After the container supported by the ground lifter is lowered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the second ground lifter releasing step of releasing the ground lifter to return to the basement, comprising: a logistics transportation method using a ground lifter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운송단계는,
그라운드 리프터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목적지에 도착하는 운송수단의 진입을 확인하는 제3센서확인단계와;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가 상승하여 운송수단에 상차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제3컨테이너 지지단계와;
운송수단이 빠져나가고 컨테이너를 최종 하역지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자동운반차량이 컨테이너의 하부로 진입하는 자동운반차량 진입단계 및
그라운드 리프터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컨테이너를 하강시켜 자동운반차량의 상부에 고정시킨 후, 그라운드 리프터를 해제시켜 지하로 원위치시키는 제3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logistics transportation step,
A third sensor checking step of confirming an entry of a vehicle arriving at a destination through a sensor unit provided at the ground lifter;
A third container supporting step of lifting and supporting a container loaded on a transportation means by raising a ground lifter buried underground;
Auto transport vehicle entry stage in which the transport vehicle exits and the auto transport vehicle enters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to move the container to the final loading and unloading place;
The container supported by the ground lifter is lowered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utomatic transport vehicle, and then the ground lifter releases the ground lifter. Way.
KR1020120078457A 2012-07-18 2012-07-18 Distribution methods using ground lifters KR1012504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457A KR101250442B1 (en) 2012-07-18 2012-07-18 Distribution methods using ground lif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457A KR101250442B1 (en) 2012-07-18 2012-07-18 Distribution methods using ground lifter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872A Division KR101208738B1 (en) 2010-12-27 2010-12-27 Ground Lif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640A KR20120088640A (en) 2012-08-08
KR101250442B1 true KR101250442B1 (en) 2013-04-08

Family

ID=4687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457A KR101250442B1 (en) 2012-07-18 2012-07-18 Distribution methods using ground lift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44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940B1 (en) * 2022-11-18 2023-12-06 리산환경산업개발 주식회사 Residual concrete recovery vehicle with arm roll box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0084A (en) * 1997-03-06 2000-08-08 ハリー・ニジェンフイス・マネージメント・ビー・ヴイ Railway terminal for containers and railway wagons
KR100554688B1 (en) * 2004-05-21 2006-02-24 정경자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container physical distribution
KR100877749B1 (en) * 2007-05-14 2009-01-08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Vehicle cargo serch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0084A (en) * 1997-03-06 2000-08-08 ハリー・ニジェンフイス・マネージメント・ビー・ヴイ Railway terminal for containers and railway wagons
KR100554688B1 (en) * 2004-05-21 2006-02-24 정경자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container physical distribution
KR100877749B1 (en) * 2007-05-14 2009-01-08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Vehicle cargo serch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640A (en)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2850B2 (en) Transshipment facilities for small cargo, especially ISO containers
JP5496516B2 (en) Container terminal cargo handling system
JP5834078B2 (en) Cargo handling system
JP5886863B2 (en) Container transshipment system
CN202116053U (en) Automatic transportation line for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EA022587B1 (en) Unloading and loading crane arrangement, container terminal and method for unloading and loading a ship
KR100775853B1 (en) Cylindrical parking tower
WO2012152984A1 (en) System for determination of a container's position in a vehicle and/or in its trailer to be loaded with containers
KR101200441B1 (en) Vehicles Couplers for distribution
KR101250442B1 (en) Distribution methods using ground lifters
AU2017348144B2 (en) Multimodal transport interworking system
JP6909217B2 (en) Transport vehicle for containers
KR101208738B1 (en) Ground Lifter
KR101241441B1 (en) Automatic construction system for the vehicles to deliver the goods
KR20120047736A (en) Automatic transportation system between logistics depots
KR20150082867A (en) Auto shipping apparatus of ro ro type ship and auto shipping method of ro ro type ship
JP4324476B2 (en) Operation method of buffer crane in cargo container handling.
KR101209283B1 (en) Trailers for transportation
KR101266477B1 (en) Transport and gathering methods of the goods
EP3428092B1 (en) Straddle-type multimodal transport interconnecting system
KR101241442B1 (en) Transport and gathering methods of the goods
CN105253118B (en) Highway railway combined transport semi-trailer
CN2541283Y (en) Rail slag carrier vehicle for construction of metro tunnel shield method
JPH10211878A (en) Automobil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for train
JP3189427U (en) Presence / absence detection system for carts during cargo handling ope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