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584B1 - 권종별 금액 선택이 가능한 금융기기 - Google Patents

권종별 금액 선택이 가능한 금융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584B1
KR101249584B1 KR1020110106077A KR20110106077A KR101249584B1 KR 101249584 B1 KR101249584 B1 KR 101249584B1 KR 1020110106077 A KR1020110106077 A KR 1020110106077A KR 20110106077 A KR20110106077 A KR 20110106077A KR 101249584 B1 KR101249584 B1 KR 101249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mount
withdrawal
financial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10106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6Software aspects at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04Player-machine interfaces
    • G07F17/3209Input means, e.g. buttons, touch scree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종별 금액 선택이 가능한 금융기기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기는 금융거래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금융거래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출금 거래 서비스 시 선택된 권종별 출금 금액을 자동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금 거래 서비스 시, 사용자로부터 출금 금액을 입력받으면 상기 출금 금액에 대한 권종의 매수를 선택할 수 있는 권종별 금액선택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한다.

Description

권종별 금액 선택이 가능한 금융기기{FINANCIAL DEVICE FOR SELECTING MEDIA KIND}
본 발명은 권종별 금액 선택이 가능한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금융거래를 위한 금융기기는 기본적으로 은행, 마을금고 등의 금융기관에서 수행하는 많은 금융 업무를 제공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계좌이체, 잔액조회, 예금인출 및 통장정리 등에 있어서, 은행의 계원을 통하지 않고 은행에 설치된 금융자동화기기를 간단히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금융거래를 빠른 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다.
금융자동화기기의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금융자동화기기의 이용 고객, 설치 대수 및 설치장소는 급격히 증가하게 되어 어디에서나 쉽게 금융자동화기기를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 출금 거래 시 1만원권, 5만원권, 수표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출금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1만원권, 5만원권, 수표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각각 구성되어 표시됨으로써 거래 시간이 많이 걸리고 출금 금액을 통합하여 표시해주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총 합계금액을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화면을 통해 권종별 금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금융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기는 금융거래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금융거래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출금 거래 서비스 시 선택된 권종별 출금 금액을 자동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금 거래 서비스 시, 사용자로부터 출금 금액을 입력받으면 상기 출금 금액에 대한 권종의 매수를 선택할 수 있는 권종별 금액선택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한다.
또한, 상기 권종별 금액선택화면은 수표, 1만원권, 5만원권 중 적어도 하나의 매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표 또는 5만원권 중 적어도 하나의 매수 입력에 따라 1만원권의 매수를 자동 산출하고 합계금액을 자동 계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기는 금융거래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금융거래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출금 거래 서비스 시 선택된 권종별 출금 금액을 자동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금거래 서비스 시, 사용자로부터 출금 금액을 입력받으면 권종 선택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선택된 권종별 금액 선택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종 선택 화면을 통해 현금메뉴가 선택되면, 권종 중 수표의 매수는 고정시키고 현금의 매수를 입력받을 수 있는 권종별 금액 선택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권종별 금액 선택 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현금의 매수에 따라 출금 금액을 자동 합산하고, 상기 합산된 출금 금액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종 선택 화면을 통해 현금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권종 중 수표의 매수는 고정시키고 상기 권종 중 5만원의 매수를 입력받을 수 있는 권종별 금액 선택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입력된 상기 5만원권의 매수에 따라 1만원권의 매수를 산출하여 출금금액을 합산하고 합산된 출금 금액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종 선택 화면을 통해 수표메뉴가 선택되면 권종 중 현금의 매수 선택을 고정시키고 상기 권종 중 수표의 매수를 선택할 수 있는 권종별 금액 선택 화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권종 중 수표의 매수 선택에 따른 출금 금액을 자동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출금 금액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종 선택 화면을 통해 수표와 현금을 혼합하여 출금할 수 있는 혼합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현금 또는 상기 수표의 매수를 선택할 수 있는 권종별 금액 선택 화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현금 또는 상기 수표의 매수에 따라 출금 금액을 자동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출금 금액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종 선택 화면을 통해 수표와 현금을 혼합하여 출금할 수 있는 혼합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권종 중 수표와 5만원의 매수를 선택할 수 있는 권종별 금액 선택 화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표와 상기 5만원권의 매수 선택에 따른 나머지 금액을 1만원권으로 자동 계산하여 출금 금액을 자동 합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합산된 출금 금액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종 선택 화면을 통해 수표와 현금을 혼합하여 출금할 수 있는 혼합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수표 매수를 입력받을 수 있는 수표매수선택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수표 매수가 입력되면, 상기 미리 입력된 수표 매수를 고정시키고 나머지 금액을 현금의 매수를 선택할 수 있는 권종별 금액 선택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여 입력된 현금의 매수에 따라 출금 금액을 자동 계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금 금액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금 거래 서비스 시 권종별 금액선택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세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출금서비스 화면 예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출금서비스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출금서비스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예로 지폐, 증권,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처리, 지로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CD: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업무를 자동화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권종별 금액 선택이 가능한 금융기기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디스플레이부(110), 카드부(120), 통장부(130), 현금부(140), 제어부(150), 저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금융거래서비스 제공을 위한 화면, 고객조작화면을 표시한다. 금융거래서비스 제공을 위한 화면은 금융거래서비스 선택 화면, 매체 선택 화면, 비밀번호 입력화면, 출금서비스의 경우 권종(수표, 현금, 수표/현금 혼합)을 선택하는 화면, 입금서비스의 경우 자행, 타행, 해외송금 등을 선택하는 화면, 신용카드 조회 화면, 지로납입화면, 거래내역조회 화면, 등록금 납부화면, 아파트관리비 납부화면, 지방세 납부화면, 범칙금 납부화면 등의 금융거래를 위한 모든 화면을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드부(120)는 금융카드에 의해 접촉, 비접촉, 삽입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면 금융카드의 정보를 읽어들인다. 통장부(130)는 통장이 삽입되면 통장정보를 읽어오거나 통장내역을 프린팅한다. 현금부(140)는 입금 시 현금 또는 수표를 저장하고 출금 시 현금 또는 수표를 출력한다. 이때, 본 발명의 도 1에서는 카드부(120)의 구성만 개시하고 있으나, 매체는 카드뿐만 아니라 무통장, 통장, 지문, 핸드폰, RF통신, 적외선 통신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매체 입력을 위한 구성수단은 통상의 구성수단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여 금융거래서비스 화면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출금 거래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매체 선택 화면, 출금 금액 입력화면, 권종 선택 화면, 권종별 금액 선택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순차적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저장부(160)는 금융거래서비스 제공을 위한 화면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출금거래서비스 시 매체선택화면, 출금 금액 입력 화면 권종 선택화면 권종별 금액 선택 화면 등을 저장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출금 서비스 화면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매체선택화면①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매체(카드, 통장, 무매체, 모바일, 전자통장) 중 하나를 선택받으면 출금 금액을 입력받기 위한 출금 금액 입력 화면②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제공하고 출금 금액이 입력되면 권종별 금액선택화면③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제공한다.
이때, 권종별 금액선택화면③은 수표, 5만원권, 1만원권의 매수와 합계금액을 표시하고,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수표와 5만원권의 매수를 입력받고 나머지 금액은 1만원권의 매수로 자동 계산하여 합계금액을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출금 금액 입력 화면②을 통해 출금금액이 53만원으로 입력된 경우, 권종별 금액선택화면③에서 수표의 매수를 1매로 선택받고 5만원권의 매수를 0매로 선택받으면 1만원권은 자동으로 43매로 선택되어 권종의 총 매수는 44매가 되고 합계금액이 53만원이 됨을 표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출금 서비스 화면을 도시한다.
먼저,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와 같이 제어부(150)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매체선택화면①과 출금 금액 입력 화면②을 순차적으로 제공하고, 출금 금액 입력 화면②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출금금액이 입력되면 출금 권종 선택 화면④을 제공한다. 이때, 출금 권종 선택 화면④은 현금메뉴, 수표메뉴, 현금/수표 혼합(현금+수표)메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현금으로만 출금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현금메뉴를 선택, 수표로만 출금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표메뉴를 선택, 현금과 수표를 혼합하여 출금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현금/수표 혼합메뉴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에, 제어부(150)는 출금 권종 선택 화면④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권종 메뉴가 선택되면 권종별 금액을 선택할 수 있는 권종별 금액선택화면(⑤, ⑥, ⑦)을 제공한다.
먼저, 도 3a는 출금 권종 선택 화면④에서 현금메뉴가 선택된 경우로서,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수표가 0매로 표시되고 5만원권의 매수를 선택받을 수 있는 권종별 금액선택화면⑤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5만원권의 매수에 따라 1만원권의 매수를 자동 산출하여 표시한 권종별 금액선택화면⑤을 제공한다.
도 3b는 출금 권종 선택 화면④에서 수표메뉴가 선택된 경우로서,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1만원권과 5만원권은 0매로 표시되고 수표의 매수를 선택받을 수 있는 권종별 금액선택화면⑥을 제공한다.
도 3c는 출금 권종 선택 화면④에서 현금/수표 혼합메뉴가 선택된 경우로서,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수표와 5만원권의 매수를 선택받을 수 있는 권종별 금액선택화면⑦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수표와 5만원권의 매수에 따라 1만원권의 매수를 자동 산출하여 표시한 권종별 금액선택화면⑦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출금 서비스 화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는 도 3과 같이 제어부(150)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매체선택화면①과 출금 금액 입력 화면②을 순차적으로 제공하고, 출금 금액 입력 화면②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출금금액이 입력되면 출금 권종 선택 화면④을 제공한다.
이에, 출금 권종 선택 화면④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현금/수표 혼합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수표 매수 선택화면⑧을 제공한다. 수표 매수 선택화면⑧을 통해 수표 매수가 선택되면 선택된 수표 매수를 표시하고 5만원권의 매수를 입력할 수 있는 권종별 금액선택화면⑨을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입력된 5만원권의 매수에 따라
이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출금 권종 선택 화면④에서 수표 메뉴가 선택된 경우 도 4와 같이 수표 매수 선택화면⑧을 제공하여 수표 매수가 선택되면 선택된 수표 매수를 출금하거나 도 4와 같은 권종별 금액 선택 화면을 제공하되 선택된 수표의 매수를 표시하고 1만원권과 5만원권은 0매로 표시하여 합계금액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출금 권종 선택 화면④에서 현금 메뉴가 선택된 경우 수표 매수 선택화면⑧을 생략하고 도 3a와 같이 5만원권을 선택할 수 있는 권종별 금액선택화면⑤을 제공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출금 서비스 이용 시 절차가 간소화되어 고객의 조작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통합된 단일 화면내에서 5만원권, 1만원권, 수표의 매수를 동시에 입력받아 총 금액을 자동 계산해 표시해줌으로써 고객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카드부
130 : 통장부
140 : 현금부
150 : 제어부
160 : 저장부

Claims (10)

  1. 금융거래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금융거래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출금 거래 서비스 시 선택된 권종별 출금 금액을 자동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금 거래 서비스 시, 사용자로부터 출금 금액을 입력받으면 권종을 선택하는 화면을 별도로 구현하지 않고 상기 출금 금액에 대한 권종 및 매수를 통합된 단일 화면 내에서 선택할 수 있는 권종별 금액선택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는 금융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종별 금액선택화면은 수표, 1만원권 및 5만원권의 매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인 금융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표 또는 5만원권 중 적어도 하나의 매수 입력에 따라 1만원권의 매수를 자동 산출하고 합계금액을 자동 계산하는 금융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종별 금액선택화면 상에 권종의 매수를 선택할 수 있는 증감버튼이 배치되도록 하는 금융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증감버튼은,
    상기 권종의 매수가 소정 단위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구현되는 금융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증감버튼은,
    각각의 권종별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금융기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10106077A 2011-10-17 2011-10-17 권종별 금액 선택이 가능한 금융기기 KR101249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077A KR101249584B1 (ko) 2011-10-17 2011-10-17 권종별 금액 선택이 가능한 금융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077A KR101249584B1 (ko) 2011-10-17 2011-10-17 권종별 금액 선택이 가능한 금융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9584B1 true KR101249584B1 (ko) 2013-04-01

Family

ID=48442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077A KR101249584B1 (ko) 2011-10-17 2011-10-17 권종별 금액 선택이 가능한 금융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5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852A (ko) * 1999-02-03 1999-05-25 박광소 동전지급이가능한은행거래처리장치및그방법
KR20090047308A (ko) * 2007-11-07 2009-05-12 주식회사 핑거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 메뉴
KR20100127106A (ko) * 2009-05-25 2010-12-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출금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852A (ko) * 1999-02-03 1999-05-25 박광소 동전지급이가능한은행거래처리장치및그방법
KR20090047308A (ko) * 2007-11-07 2009-05-12 주식회사 핑거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 메뉴
KR20100127106A (ko) * 2009-05-25 2010-12-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출금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3574B2 (ja) 自動化装置用電子決済システム
KR101458179B1 (ko) 통합 전자지갑 운용시스템 및 통합 전자지갑 운용방법
US20030046234A1 (en) Automatic money receiving and paying machine
JP4984734B2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による振替予約方法
JP2008204409A (ja) 暗証番号入力表示装置及び方法
JP6811522B2 (ja) 取引装置
JP2011076298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048203B2 (ja) デビット決済システム及びデビット決済方法
JP4706346B2 (ja) 自動取引装置
JP2011243045A (ja) 自動取引制御装置及び自動取引制御プログラム
KR20100127106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출금방법
KR101249584B1 (ko) 권종별 금액 선택이 가능한 금융기기
JP2015143956A (ja) 取引装置及び取引方法
JP5023817B2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自動取引システム
CN103186856A (zh) 反传统由卡主控制支付金额的银行卡支付方法和相应装置
JP3723952B2 (ja) 金額・金種入力方法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2002342589A (ja) 自動取引装置の取引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その装置
JP6491450B2 (ja) 自動取引装置
JP2018060352A (ja) 硬貨への逆両替機能付き硬貨用電子マネーチャージ機
JP2013003932A (ja) 自動取引装置、自動取引システム、及び、自動取引方法
JP7318389B2 (ja) 現金処理装置
JP5720236B2 (ja) 自動取引装置
JP2012073791A (ja) 投票券発売払戻装置およびその現金管理方法
JP5488288B2 (ja) 自動取引装置
KR100780270B1 (ko) 봉투 기능 명세표를 제공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