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947B1 - 액티브 에어 플랩 - Google Patents

액티브 에어 플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947B1
KR101248947B1 KR1020100054422A KR20100054422A KR101248947B1 KR 101248947 B1 KR101248947 B1 KR 101248947B1 KR 1020100054422 A KR1020100054422 A KR 1020100054422A KR 20100054422 A KR20100054422 A KR 20100054422A KR 101248947 B1 KR101248947 B1 KR 101248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ir flap
air
flap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4698A (ko
Inventor
소원섭
공태윤
박성욱
김재용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94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4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94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티브 에어 플랩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랩의 작동 상태에 따라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수 효율 및 차량 공조 장치의 냉각 성능을 극대화시키는 액티브 에어 플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은, 차량의 엔진 룸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개방 또는 폐쇄되는 다수 개의 에어 플랩 도어(501)와, 차량 속도, 외기 온도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관련 물리량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 및 상기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에서 측정되는 물리량을 사용하여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를 수용하는 하우징(5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티브 에어 플랩(500)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 흐름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된 회전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의 전방 위치의 상기 하우징(510) 바닥에 통공(520)이 형성되되, 상기 통공(520)은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가 개방될 때 폐쇄되고,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가 폐쇄될 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티브 에어 플랩 {Active Air Flap}
본 발명은 액티브 에어 플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 룸 내에는 엔진 등과 같은 구동을 위한 부품 뿐만 아니라, 엔진 등과 같은 차량 내 각 부품을 냉각하거나 또는 차량 실내의 공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라디에이터, 인터쿨러, 증발기, 응축기 등과 같은 다양한 열교환기들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들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통하며, 열교환기 내부의 열교환매체와 열교환기 외부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을 함으로써 냉각 또는 방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차량 엔진 룸 내의 다양한 열교환기들이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엔진 룸 내부로 외부 공기가 원활히 공급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부품 또는 차량 실내의 냉각을 위해 구비되는 열교환기들을 쿨링 모듈로 통칭한다.
한편, 최근 자동차 개발은 생산성 향상으로 위하여 부품과 공정의 수를 감소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는 바,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중 다수의 부품을 각각 조립하여 집합체를 형성시켜 조립 라인에서 조립하는, 즉 모듈화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예로써 쿨링 모듈, 헤드 램프 및 범퍼 빔 스테이를 포함한 범퍼를 조립하여 모듈화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 플랩의 한 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전면 패널(110) 및 상기 전면 패널의 양단부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120)로 이루어지는 캐리어(10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캐리어(100)의 상기 전면 패널(110) 후방에 쿨링 모듈(300)이 장착되고, 상기 캐리어(100)의 상기 서포트 패널(120)에 형성되는 헤드 램프 장착부(121)에 헤드 램프(미도시)가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100)의 전방에 범퍼(200)가 장착되어 모듈화된다.
이 때, 상기 범퍼(200)의 상기 개구부(210) 상에는 액티브 에어 플랩(500)이 구비되어, 엔진 룸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은 상기 쿨링 모듈(300)의 전방 및 상기 범퍼(200)의 후방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은 엔진 룸 내로 유입되는 공기 유량을 조절하는 중요한 구성의 하나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간략히 도시한 것으로,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의 전방 하우징(510)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을 통해 유입된 물이나 상기 쿨링 모듈(300)로부터 발생된 응축수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통공(5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510) 내에 이러한 물 등이 고인 상태로 잔류하고 있을 경우, 동절기 등의 경우 동결에 의하여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의 개폐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 쪽으로 낙엽, 흙먼지 등의 이물질이 날아와 상기 하우징(510) 내로 유입되어 쌓이게 될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통공(520)은 이러한 물 및 이물질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낙엽, 흙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은 소정의 부피를 가지는 물체로서, 상기 통공(520)의 크기가 충분히 크지 않을 경우 상기 통공(520)이 막혀 물, 이물질 등의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상기 통공(520)의 크기가 지나치게 클 경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통공(520)을 통해 손실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통공(520)을 통해 유입 공기가 손실되면,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을 통해 상기 쿨링 모듈(300)로 전달되는 냉각풍의 유량이 줄어들게 되는 것은 당연하며, 이는 상기 쿨링 모듈(300)의 냉각 성능 저하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된다.
따라서 물이나 이물질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냉각풍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 구조를 가지는 액티브 에어 플랩에 대한 당업자의 요구가 꾸준히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랩의 작동 상태에 따라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수 효율 및 차량 공조 장치의 냉각 성능을 극대화시키는 액티브 에어 플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은, 차량의 엔진 룸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개방 또는 폐쇄되는 다수 개의 에어 플랩 도어(501)와, 차량 속도, 외기 온도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관련 물리량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 및 상기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에서 측정되는 물리량을 사용하여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를 수용하는 하우징(5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티브 에어 플랩(500)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 흐름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된 회전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의 전방 위치의 상기 하우징(510) 바닥에 통공(520)이 형성되되, 상기 통공(520)은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가 개방될 때 폐쇄되고,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가 폐쇄될 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은 상기 통공(520)을 개폐하도록 상기 통공(520) 전방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510) 바닥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5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도어(530)는 힌지 회전축이 상기 도어(53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도어(53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은 상기 도어(530)의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에 근접한 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11);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을 구성하는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들 중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가 폐쇄되면 상기 돌기부(12)에 상기 걸림부(11)가 걸려 상기 도어(530)가 들려 올라감으로써 개방되고,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가 개방되면 상기 돌기부(12)와 상기 걸림부(11)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도어(530)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도어(530)는 힌지 축이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의 회전축과 나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12)는 삼각형 또는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은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가 폐쇄되면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의 하측 끝단부에 의하여 상기 도어(530)의 일측이 눌림으로서 개방되고,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가 개방되면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의 하측 끝단부에 의한 상기 도어(530)의 일측의 눌림이 해제되어 상기 도어(530)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은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의 하측 끝단부에 의한 눌림 해제 시 상기 도어(530)가 폐쇄 상태로 유도되도록 상기 도어(530)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무게추(21);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이 때,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은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의 하측 끝단부에 의한 눌림 해제 시 상기 도어(530)가 폐쇄 상태로 복귀되도록 상기 도어(530)의 일측 끝단과 상기 하우징(510)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탄성부(22);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 플랩의 여닫힘 작동 상태에 따라 통공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통공의 충분한 크기를 확보할 수 있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통공의 크기가 충분히 클 경우 물 뿐만 아니라 낙엽, 흙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도 쉽게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어 플랩의 작동이 더욱 원활해질 수 있게 되는 효과 또한 있다.
특히 종래에는 통공이 커질 경우 냉각풍이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 플랩이 열린 상태에서 통공이 닫히도록 하기 때문에 에어 플랩을 통해 유입되어 쿨링 모듈로 흘러가는 냉각풍의 손실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 플랩이 닫힌 상태에서 통공이 열리도록 하기 때문에, 동절기 등과 같은 경우 동결에 의하여 배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종래의 문제를 완전히 제거하여, 배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차량 공조 장치에 구비되는 에어 플랩의 실시예.
도 2는 종래의 에어 플랩 및 배수 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의 제1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의 제1실시예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의 제2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액티브 에어 플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에어 플랩은 대부분 능동적으로 유입 공기 유량을 조절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이며, 본 발명에서의 에어 플랩은 엄밀히는 액티브 에어 플랩이나 이하에서 간단히 에어 플랩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500)은, 차량의 엔진 룸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개방 또는 폐쇄되는 다수 개의 에어 플랩 도어(501)와, 차량 속도, 외기 온도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관련 물리량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 및 상기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에서 측정되는 물리량을 사용하여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를 수용하는 하우징(5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 흐름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된 회전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의 전방 위치의 상기 하우징(510) 바닥에 통공(520)이 형성된다.
종래의 경우 상기 통공(520)이 충분히 크지 않을 경우 낙엽, 흙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고, 반대로 지나치게 클 경우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으로 유입되는 냉각풍이 상기 통공(520)로 빠져나가 손실됨으로서 차량 공조 장치에서의 냉각 성능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통공(520)은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가 개방될 때 폐쇄되고,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가 폐쇄될 때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500)은, 상기 통공(520)을 개폐하도록 상기 통공(520) 전방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510) 바닥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5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도어(530)는 힌지 회전축이 상기 도어(53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도어(53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가 개방될 때에는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의 후방에 배치된 차량 공조 장치의 쿨링 모듈(도 1의 300)을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쿨링 모듈(300)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상기 통공(520)로 새어나가 손실되지 않도록,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가 개방될 때 상기 통공(520)이 폐쇄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으로 공기가 유입될 때,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풍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냉각 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가 폐쇄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냉각풍 손실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배수 및 이물질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만 하면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가 폐쇄될 때 상기 통공(520)이 개방되도록 하기 때문에, 냉각풍 손실에 대한 염려가 전혀 없이 상기 통공(520)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충분히 큰 통공에 의하여 물 뿐만 아니라 낙엽, 흙먼지 등의 이물질의 배출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제1실시예의 액티브 에어 플랩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의 제1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의 개/폐와 반대로 상기 통공(52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도 3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이 도어(530)와 함께 걸림부(11) 및 돌기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530)의 힌지 회전축은 상기 도어(53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도어(53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A) 및 도 4에는 상기 도어(530)의 힌지 회전축은 상기 도어(53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형태를 주로 하여 제1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물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회전축이 상기 도어(53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도록 하여도 작동 원리는 동일하다.
상기 걸림부(11)는 상기 도어(530)의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에 근접한 측에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부(12)는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을 구성하는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들 중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 하부에 돌출 형성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가 폐쇄되면 상기 돌기부(12)에 상기 걸림부(11)가 걸려 상기 도어(530)가 들려 올라감으로써 개방되고,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가 개방되면 상기 돌기부(12)와 상기 걸림부(11)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도어(530)가 폐쇄되도록 한다.
상기 도어(530)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가 폐쇄되면,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돌기부(12)에 상기 걸림부(11)가 걸리게 된다. 이 때 상기 돌기부(12)에 걸려 상기 도어(530)가 들려 올라감으로써 상기 도어(530)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가 개방되면,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12)와 상기 걸림부(11)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도어(530)가 다시 내려가 닫히게 됨으로써 상기 통공(520)이 폐쇄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도어(530)는 힌지 축이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의 회전축과 나란하도록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도어(530)의 힌지 축과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의 회전축이 서로 수직하게, 동시에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의 회전축이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으로 유입되는 공기 흐름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하여도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는 있다. 그러나 상기 통공(520)이 형성될 수 있는 부분은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 전방으로 형성된 상기 하우징(510) 바닥이기 때문에, 원활한 배수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즉 충분한 크기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공(520)은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의 외곽선을 따라서 길게 장방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통공(520)의 형태에 따라 상기 도어(530)의 형태가 형성됨은 당연하고, 이와 같이 상기 통공(520)이 장방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도어(530)가 충분히 열리지 못하여 배수 및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도어(530)의 열림 정도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공(520)의 크기가 작아질 수밖에 없는데, 그러면 상기 통공(520)에서의 배수 및 배출 효율이 다시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530)의 힌지 축은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의 회전축과 나란하도록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돌기부(1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또는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걸림부(11)에 쉽게 걸리거나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530)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은,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가 폐쇄되면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의 하측 끝단부에 의하여 상기 도어(530)의 일측이 눌림으로서 개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가 개방되면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의 하측 끝단부에 의한 상기 도어(530)의 일측의 눌림이 해제되어 상기 도어(530)가 폐쇄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가 개방되면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의 하측 끝단부에 의한 상기 도어(530)의 일측의 눌림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도어(530)가 폐쇄되는 동작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2실시예에서의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은 다음과 같은 수단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은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의 하측 끝단부에 의한 눌림 해제 시 상기 도어(530)가 폐쇄 상태로 유도되도록 상기 도어(530)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무게추(21);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530)가 개방될 때, 제2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530)의 타측 끝단이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도어(530)의 타측 끝단에 상기 무게추(21)가 구비되어 있다 해도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의 하측 끝단부에 의해 상기 도어(530)의 일측 끝단이 눌리게 되면 상기 도어(530)는 회전하면서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이 개방되어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의 하측 끝단부가 상기 도어(530)의 일측 끝단을 누르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무게추(21)가 상기 도어(530)의 타측 끝단을 중력 방향으로 눌러 줌으로써 상기 도어(530)의 타측 끝단이 하강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530)의 폐쇄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는,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은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의 하측 끝단부에 의한 눌림 해제 시 상기 도어(530)가 폐쇄 상태로 복귀되도록 상기 도어(530)의 일측 또는 타측 끝단과 상기 하우징(510)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탄성부(22);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도어(530)의 끝단과 상기 하우징(510)을 연결하는 탄성부(22)의 복귀에 의하여 폐쇄를 유도하는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탄성부(22)가 구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역시 상기 도어(530)의 타측 끝단에 상기 무게추(21)가 구비되어 있다 해도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의 하측 끝단부에 의해 상기 도어(530)의 일측 끝단이 눌리게 되면 상기 도어(530)는 회전하면서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탄성부(22)에 의해 상기 도어(530)의 일측 또는 타측 끝단과 상기 하우징(510)을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개방 시 상기 탄성부(22)가 늘어나게 된다. 이후,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이 개방되어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의 하측 끝단부가 상기 도어(530)의 일측 끝단을 누르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22)가 늘어나 있던 상태에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고자 하는 복원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530)의 폐쇄가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는 상기 무게추(21)와 상기 탄성부(22)가 모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물론 제2실시예는 (상기 도어(530) 자체 무게가 상기 무게추(21) 역할을 함으로써) 별도의 상기 무게추(21)나 상기 탄성부(22)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형태로 포함하며, 또는 상기 무게추(21)와 상기 탄성부(22) 중 어느 한 가지만을 구비하고 있는 구조도 포함한다. 부연하자면, 상기 무게추(21)만 구비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도어(530)의 힌지 회전축이 상기 도어(53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면 상기 도어(530)가 개방된 후에 다시 폐쇄 상태로 복귀되도록 할 수가 없으므로 상기 도어(530)의 힌지 회전축이 상기 도어(53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도록 해야 함이 당연하다. 또한, 도 5에서는 상기 탄성부(22)가 상기 도어(530)의 일측 끝단과 상기 하우징(510)을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탄성부(22)는 물론 상기 도어(530)의 타측 끝단과 상기 하우징(510)을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어도 무방하고, 또는 상기 탄성부(22)가 상기 도어(530)의 일측 및 타측 끝단 양쪽에 모두 구비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500: 액티브 에어 플랩
501: 에어 플랩 도어 501a: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
510: 하우징 520: 통공
530: 도어
11: 걸림부 12: 돌기부
21: 무게추 22: 탄성부

Claims (9)

  1. 차량의 엔진 룸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개방 또는 폐쇄되는 다수 개의 에어 플랩 도어(501)와, 차량 속도, 외기 온도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관련 물리량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 및 상기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에서 측정되는 물리량을 사용하여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를 수용하는 하우징(5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티브 에어 플랩(500)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 흐름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된 회전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다수 개의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는 최상단 에어 플랩 도어(501n)부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까지 순차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고,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의 전방 위치의 상기 하우징(510) 바닥에 통공(520)이 형성되되,
    상기 통공(520)은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가 개방될 때 폐쇄되고,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가 폐쇄될 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은
    상기 통공(520)을 개폐하도록 상기 통공(520) 전방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510) 바닥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5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530)는
    힌지 회전축이 상기 도어(53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도어(53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은
    상기 도어(530)의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에 근접한 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11);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을 구성하는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들 중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가 폐쇄되면 상기 돌기부(12)에 상기 걸림부(11)가 걸려 상기 도어(530)가 들려 올라감으로써 개방되고,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가 개방되면 상기 돌기부(12)와 상기 걸림부(11)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도어(530)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530)는
    힌지 축이 상기 에어 플랩 도어(501)의 회전축과 나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2)는
    삼각형 또는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은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가 폐쇄되면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의 하측 끝단부에 의하여 상기 도어(530)의 일측이 눌림으로서 개방되고,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가 개방되면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의 하측 끝단부에 의한 상기 도어(530)의 일측의 눌림이 해제되어 상기 도어(530)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은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의 하측 끝단부에 의한 눌림 해제 시 상기 도어(530)가 폐쇄 상태로 유도되도록 상기 도어(530)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무게추(21);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500)은
    상기 최하단 에어 플랩 도어(501a)의 하측 끝단부에 의한 눌림 해제 시 상기 도어(530)가 폐쇄 상태로 복귀되도록 상기 도어(530)의 일측 끝단과 상기 하우징(510)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탄성부(22);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KR1020100054422A 2010-06-09 2010-06-09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248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422A KR101248947B1 (ko) 2010-06-09 2010-06-09 액티브 에어 플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422A KR101248947B1 (ko) 2010-06-09 2010-06-09 액티브 에어 플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698A KR20110134698A (ko) 2011-12-15
KR101248947B1 true KR101248947B1 (ko) 2013-04-01

Family

ID=4550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422A KR101248947B1 (ko) 2010-06-09 2010-06-09 액티브 에어 플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614B1 (ko) * 2018-12-07 2023-10-1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액티브 에어 플랩
DE102019113161A1 (de) * 2019-05-17 2020-11-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uftklappensystem
KR102635175B1 (ko) 2019-10-22 2024-02-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액티브 에어플랩 장치
KR20230090744A (ko) 2021-12-15 2023-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2625U (ja) 1982-01-28 1983-08-0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フロントグリル
JPS58112627U (ja) 1982-01-28 1983-08-0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フロントグリル
KR970065061A (ko) * 1996-03-12 1997-10-13 김영귀 액티브 라디에이터 그릴
KR19980029206A (ko) * 1996-10-25 1998-07-25 김영귀 개폐식 차량 라디에이터의 그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2625U (ja) 1982-01-28 1983-08-0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フロントグリル
JPS58112627U (ja) 1982-01-28 1983-08-0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フロントグリル
KR970065061A (ko) * 1996-03-12 1997-10-13 김영귀 액티브 라디에이터 그릴
KR19980029206A (ko) * 1996-10-25 1998-07-25 김영귀 개폐식 차량 라디에이터의 그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698A (ko)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947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US9347700B2 (en) Low ambient cooling kit for variable refrigerant flow heat pump
US20090077988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06695270U (zh) 防护罩和空调器室外机
CN102022777A (zh) 空气调节器的室内单元
KR101527881B1 (ko) 에어 플랩
KR101680825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100505385B1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CN206695269U (zh) 防护罩和空调器室外机
JP2011122731A (ja) 空気調和機
US20090113915A1 (en) Air conditioner
EP1780473B1 (en) Air conditioner
JP418703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US20130008203A1 (en) Mix door and vehicle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KR101714381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626385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JP6932832B1 (ja) フラップドア
KR101240727B1 (ko) 자동차의 가변 공기유입 에어셔터
KR101714585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188504B1 (ko) 송풍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공기조화용 실내기의 상부측 송풍구 개폐장치 및 그 개폐장치를 이용한 상부측 송풍구 개폐방법
KR101576889B1 (ko) 보행자 보호형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719666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860687B1 (ko) 제어모듈 보관함
KR20100064982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15446716U (zh) 空调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