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687B1 - 제어모듈 보관함 - Google Patents

제어모듈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687B1
KR101860687B1 KR1020170178201A KR20170178201A KR101860687B1 KR 101860687 B1 KR101860687 B1 KR 101860687B1 KR 1020170178201 A KR1020170178201 A KR 1020170178201A KR 20170178201 A KR20170178201 A KR 20170178201A KR 101860687 B1 KR101860687 B1 KR 101860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astening
control module
air
fasten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김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진 filed Critical 김우진
Priority to KR1020170178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09Thermal management, e.g. fa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모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등 및 전봇대 등과 같은 지주에 설치되는 전기전자 및 통신장비의 제어모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의 체결부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아 도난을 방지할 수 있고, 보관함 내부의 온습도변화에 능동적인 공기조화(空氣調和)기능을 보유하는 전자장비 제어모듈의 보관함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 보관함은, 도로변의 지주에 설치되는 전기전자 및 통신장비 제어모듈을 거치하는 보관함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에 개폐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모듈을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는 바디부,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전면이 상기 바디부의 후면에 결합 가능하고, 후면이 상기 지주의 형상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지주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연결부와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 제 1 연결부, 제 2 연결부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부로 체결되어지되, 체결후에는, 외부에서 상기 체결부의 체결을 해제할 수 없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 보관함은, 지주에 연결되는 연결나사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아 도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모듈 보관함 내부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모듈 보관함 내부에 이물질 및 수분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전자 및 통신장비 제어모듈에 연결되는 전선을 효과적으로 사릴 수 있는 보관함을 제공하여 합선 및 누전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어모듈 보관함{Case of control modules}
본 발명은 제어모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등 및 전봇대와 같은 지주 등에 설치되는 전기전자 및 통신장비의 제어모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의 체결부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아 도난을 방지할 수 있고, 보관함 내부의 온습도변화에 능동적인 공기조화(空氣調和)기능을 보유하는 전자장비 제어모듈의 보관함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어모듈 보관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02)의 하부에 받침부(1003)가 마련되어 하중이 높게 걸려 쉽게 손상될 수 있었다.
또한, 연결부(1004)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누구든지 쉽게 이를 해제하여 도난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상기 함체(1002)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하지 않았고, 순환이 되더라도 측방향으로 순환부가 형성되어, 내부의 공기순환 효율 및 냉각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냉각기능을 갖춘 CCTV 카메라 제어용 함체’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2655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도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없고, 설치가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2655호 (2014.04.1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주에 연결되는 연결나사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아 도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모듈 보관함 내부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모듈 보관함 내부에 이물질 및 수분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전자 및 통신장비 제어모듈에 연결되는 전선을 효과적으로 사릴 수 있는 함체를 제공하여 합선 및 누전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 보관함은, 도로변의 지주에 설치되는 전기전자 및 통신장비 제어모듈을 거치하는 보관함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에 개폐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모듈을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는 바디부,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전면이 상기 바디부의 후면에 결합 가능하고, 후면이 상기 지주의 형상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지주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연결부와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 제 1 연결부, 제 2 연결부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부로 체결되어지되, 체결후에는, 외부에서 상기 체결부의 체결을 해제할 수 없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자 및 통신장비 제어모듈 보관함은, 지주에 연결되는 연결나사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아 도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모듈 보관함 내부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모듈 보관함 내부에 이물질 및 수분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전자 및 통신장비 제어모듈에 연결되는 전선을 효과적으로 사릴 수 있는 보관함을 제공하여 합선 및 누전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제어모듈 보관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 보관함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 보관함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 보관함의 분해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 보관함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 보관함의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 보관함의 측단면도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 보관함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 보관함의 제어부의 제어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 보관함의 체결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 보관함의 제 1 체결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 보관함과 지주의 결합 각도를 변화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 보관함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변의 지주(A)에 설치되는 전기전자 및 통신장비 제어모듈을 거치하는 보관함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에 개폐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모듈을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는 바디부(1),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전면이 상기 바디부(1)의 후면에 결합 가능하고, 후면이 상기 지주(A)의 형상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1 연결부(2), 상기 지주(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연결부(2)와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2 연결부(3)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1), 제 1 연결부(2), 제 2 연결부(3)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부(4)로 체결되어지되, 체결후에는, 외부에서 상기 체결부(4)의 체결을 해제할 수 없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바디부(1)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에 개폐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모듈을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바디부(1)는, 전기전자 및 통신장비의 제어모듈이 수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면에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육면체로 마련된다.
상기 개폐부는,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되, 보안 및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필수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부(1)는, 도 5,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1) 및 환기팬부(12)가 더 마련된다.
상기 바디부(1)는, 상기 전기전자 및 통신장비의 제어모듈이 구성됨으로 인해, 내부에 열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여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바디부(1)는, 상기 필터부(11) 및 환기팬부(12)가 마련되어, 상기 바디부(1)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유동시켜 적정온도를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부(11)는, 하부에 필터가 형성되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필터링되어 유입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필터부(11)는, 하기의 환기팬부(12)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바디부(1)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에 상기 필터부(1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11)는, 복수개의 필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상기 필터 중 최소 하나의 필터는 헤파필터로 구성되어, 미세먼지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부(11) 중 최하부에 위치하는 즉, 가장 외곽에 형성되는 필터부(11)는, 초벌 필터링이 실시되는 부분으로, 필터링 효과는 다소 떨어지더라도 교체가 용이하게 구성되어, 다소 큰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환기팬부(12)는, 상부에 팬이 형성되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를 상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환기팬부(12)는, 상기 바디부(1)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해, 상기 바디부(1) 내부에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환기팬부(12)는, 복수개의 팬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환기팬부(12)가 상기 바디부(1)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부(11)가 상기 바디부(1)의 하부에 위치함으로 인해, 상기 바디부(1)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의 유동 흐름은, 상기 바디부(1)의 하부로부터 유입되어 상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비교적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낮은 온도의 공기가 상기 바디부(1)의 하부를 통해 유입되어, 상부로 배출되어 지므로, 상기 바디부(1) 내부 온도의 냉각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1)는,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해, 환경정보센싱부(미도시), 에어셔터부(13), 히터부(미도시), 제어부(1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환경정보센싱부(미도시)는, 상기 바디부(1)의 일측에 마련되어 날씨, 습도, 온도, 바람세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환경정보를 센싱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환경정보센싱부(미도시)는, 선택적으로 외부로부터 상기 환경정보 및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정보화 할 수 있다.
상기 환경정보센싱부(미도시)는, 외부의 날씨, 온도, 습도, 바람세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 및 습도는, 상기 바디부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셔터부(13)는, 상기 바디부(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바디부(1) 내부로의 공기 유입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셔터부(13)는, 상기 바디부(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마련되고, 수동으로 제어되거나 하기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공기의 유동통로를 제한하는 형태로 상기 공기의 유출입량을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에어셔터부(13)는, 상기 바디부(1)의 상단부 및 하다부에 마련되어 상기 바디부(1) 내부로 유출입되는 공기의 유출입량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셔터부(13)는, 상기 바디부(1)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공기의 유출입량을 제한할 수 있게 마련되는 상부에어셔터부(131) 및 상기 바디부(1)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공기의 유출입량을 제한할 수 있게 마련되는 하부에어셔터부(132)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히터부(미도시)는, 상기 바디부(1) 내부에 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히터부는, 상기 바디부(1) 내부에 기설정된 온도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환경정보센싱부(미도시)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에어셔터부(13)의 개폐여부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환기팬부(12) 및 히터부(미도시)의 가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환경정보를 바탕으로 5개의 모드로 상기 에어셔터부(13), 환기팬부(12), 히터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모드(M1) 내지 제 5 모드(M5)로 구성되어 상기 에어셔터부(13), 환기팬부(12), 히터부(미도시)를 제어한다.
먼저, 상기 제 1 모드(M1)는, 상기 환경정보에 의해, 상기 바디부 내부의 온도가 15 ~ 34℃로 측정 시, 상기 환기팬부(12)의 가동은 정지시키고, 상기 에어셔터부만(13)을 완전 개방시킨다.
일반적으로, 봄이나 가을 날씨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연적인 대류현상으로 상기 바디부(1) 내부에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모드(M2)는, 상기 환경정보에 의해, 상기 바디부 내부의 온도가 35℃를 넘을 경우, 상기 환기팬부(12)를 가동시키고, 상기 에어셔터부(13)를 완전 개방시킨다.
일반적으로, 여름 날씨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바디부(1) 내부에 강제통풍을 시켜 상기 바디부(1) 내부에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모드(M3)는, 상기 환경정보에 의해, 상기 바디부 내부의 온도가 0 ~ 14℃로 측정 시, 상기 환기팬부(12)의 가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에어셔터부(13)도 개방구를 닫음으로써 차가운 외부공기 및 먼지의 유입을 차단한다.
이를 통해 상기 필터부(11)의 필터수명을 늘일 수 있고, 상기 바디부(1) 내부 장비의 발열을 통해 상기 바디부(1) 내부에 온도가 극한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여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겨울 날씨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모드(M4)는, 상기 환경정보에 의해, 상기 바디부 내부의 온도가 0℃ 미만으로 측정 시, 상기 히터부(미도시)를 가동시키고, 상기 에어셔터부(13)를 닫아 상기 바디부(1) 내부를 밀폐시킨다.
일반적으로, 극한 겨울 날씨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상기 바디부(1) 내부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5 모드(M5)는, 상기 환경정보에 의해, 상기 바디부 내부의 습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측정되어 고습도 환경으로 판단 시, 상기 하부에어셔터부(132)를 닫아 외부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에어셔터부(131)를 개방 후, 상기 환기팬부(12)를 가동시켜 내부 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장마철과 같이 습한 날씨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환경정보에 의해 비가 오는 것을 감지 시, 상기 상부에어셔터부(131)를 닫아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연결부(2)는,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전면이 상기 바디부(1)의 후면에 결합 가능하고, 후면이 상기 지주(A)의 형상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 1 연결부(2)는, 하기의 제 2 연결부(3)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지주(A)에 용이하게 결합되며, 상기 바디부(1)를 거치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부(2)는, 상기 지주(A)를 통해 외부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전자 및 통신장비 제어모듈에 사용되는 전선을 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연결부(2)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결합부(21), 지주결합부(22), 케이블수용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바디결합부(21)는, 전면에 판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바디부(1)와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고, 전선이 이동할 수 있는 개방부가 가운데 마련된다.
상기 바디결합부(21)는, 상기 바디부(1)에 인접하는 부분으로, 상기 바디부(1)의 후면과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고, 상기 바디부(1)의 후면에 용이하게 체결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바디결합부(21)는, 하기의 체결부(4)가 체결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지주결합부(22)는, 후면에 상기 지주(A)의 일면과 대응 가능한 형태로 밀착될 수 있게 마련되고, 상기 지주(A)로부터 돌출되는 전선이 이동할 수 있는 개방부가 마련된다.
상기 지주결합부(22)는, 하기의 제 2 연결부(3)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지주(A)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지주결합부(22)는, 상기 지주(A)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주(A)에 밀착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주(A)에 형성되는 케이블 인입출용 점검구(B)가 수용될 수 있게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 인입출용 점검구(B)는 상기 지주(A) 내부에 수용되는 전선이 인입출 될 수 있는 구성이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블수용부(23)는, 내부 양측에, 상기 전선이 수용될 수 있는 형태의 공간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케이블수용부(23)는, 상기 케이블 인입출용 점검구(B)를 통해 노출된 전선을 상기 전기전자 및 통신장비 제어모듈에 연결 후, 불필요하게 남는 여유분의 전선을 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케이블수용부(23)는, 상기 전선을 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연결부(2)의 전면부가 상기 바디부(1)의 후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연결부(2)의 후면부가 상기 지주(A)의 직경과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1)의 후면부와 상기 지주(A)의 직경의 크기차로 인해 자연스레 형성되는 마름모 형태로 구성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마름모 형태로 구성되는 공간의 일측에 상기 케이블 인입출용 점검구(B)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려진 전선(cable)이 상기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 인해, 상기 케이블 점검 시,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연결부(2) 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시키는 범위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60°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검구(B)가 상기 지주(A)의 양측에 마련될 경우, 도 12의 (a)와 같이 설치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도 12의 (b) 내지 (f)와 같이, 회전시키며 상기 지주(A)에 상기 제 1 연결부(2) 및 하기의 제 2 연결부(3)를 결합시키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연결부(3)는, 상기 지주(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연결부(2)와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 2 연결부(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A)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A)와 대응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 1 연결부(2)와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바디부(1), 제 1 연결부(2), 제 2 연결부(3)의 결합은 체결부(4)를 통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부(1), 제 1 연결부(2), 제 2 연결부(3)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부(4)로 체결되어지되, 체결후에는, 외부에서 상기 체결부(4)의 체결을 해제할 수 없게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체결부(41) 및 제 2 체결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 1 체결부(41)는, 상기 제 1 연결부(2) 및 제 2 연결부(3)를 체결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 1 체결부(41)는, 체결볼트의 헤드가 상기 제 1 연결부(2) 내측에 위치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는, 상기 체결볼트의 헤드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외부에서 상기 체결볼트의 해제가 불가능하게 구성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도난을 방지할 수 있고,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체결부(41)는, 제 1 체결볼트부(411) 및 제 1 체결너트부(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체결볼트부(411)는, 상기 제 1 연결부(2)의 후방 내측면에 관통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바디부(1)를 기준으로, 상기 바디부(1)의 개폐부가 형성되는 전방을 향해 헤드가 위치할 수 있게 삽입되는 복수개의 볼트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 1 체결너트부(41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연결부(3)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에 대응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볼트부를 수용할 수 있는 너트형태로 마련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 1 체결볼트부(411)가 상기 제 1 체결너트부(412)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체결볼트부(411)는, 상기 지주(A)의 직경에 맞춰 길이가 가변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는, 상기 지주(A)의 직경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부(2) 및 제 2 연결부(3)의 사이의 간격이 넓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지주(A)의 직경에 맞게 용이하게 체결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체결부(42)는, 상기 바디부(1) 및 제 1 연결부(2)를 체결할 수 있게 마련되되, 체결볼트의 헤드가 상기 바디부(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체결부(42)는, 제 2 체결볼트부(421) 및 제 2 체결너트부(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 체결볼트부(421)는, 상기 바디부(1)의 후방 내측면에 관통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바디부(1)의 개폐부가 형성되는 전방을 향해 헤드가 위치할 수 있게 삽입되는 복수개의 볼트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 2 체결너트부(422)는, 상기 제 1 연결부(2)의 전방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에 대응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볼트부를 수용할 수 있는 너트형태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지주
B : 점검구
1 : 바디부
11 : 필터부
12 : 환기팬부
13 : 에어셔터부
131 : 상부에어셔터부
132 : 하부에어셔터부
14 : 제어부
2 : 제 1 연결부
21 : 바디결합부
22 : 지주결합부
23 : 케이블수용부
24 : 브라켓부
3 : 제 2 연결부
4 : 체결부
41 : 제 1 체결부
411 : 제 1 체결볼트부
412 : 제 1 체결너트부
42 : 제 2 체결부
421 : 제 2 체결볼트부
422 : 제 2 체결너트부
M1 : 제 1 모드
M2 : 제 2 모드
M3 : 제 3 모드
M4 : 제 4 모드
M5 : 제 5 모드

Claims (7)

  1. 도로변의 지주에 설치되는 전기전자 및 통신장비 제어모듈을 거치하는 보관함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에 개폐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모듈을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는 바디부;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전면이 상기 바디부의 후면에 결합 가능하고, 후면이 상기 지주의 형상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지주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연결부와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 제 1 연결부, 제 2 연결부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부;로 체결되어지되, 체결후에는, 외부에서 상기 체결부의 체결을 해제할 수 없게 마련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전면에 판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바디부와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고, 전선이 이동할 수 있는 개방부가 가운데 마련되는 바디결합부;
    후면에 상기 지주의 일면과 대응 가능한 형태로 밀착될 수 있게 마련되고, 상기 지주로부터 돌출되는 전선이 이동할 수 있는 개방부가 마련되는 지주결합부;
    내부 양측에, 상기 전선이 수용될 수 있는 형태의 공간형태로 마련되는 케이블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모듈 보관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 형성되는 케이블 인입용 점검구가 상기 케이블수용부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해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모듈 보관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를 체결할 수 있게 마련되되, 체결볼트의 헤드가 상기 제 1 연결부 내측에 위치하는 제 1 체결부; 및
    상기 바디부 및 제 1 연결부를 체결할 수 있게 마련되되, 체결볼트의 헤드가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2 체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볼트의 헤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모듈 보관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제 1 연결부의 후방 내측면에 관통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바디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디부의 개폐부가 형성되는 전방을 향해 헤드가 위치할 수 있게 삽입되는 복수개의 볼트 형태로 마련되는 제 1 체결볼트부;
    상기 제 2 연결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체결볼트부에 대응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제 1 체결볼트부를 수용할 수 있는 너트형태로 마련되는 제 1 체결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체결볼트부는, 상기 지주의 직경에 맞춰 길이가 가변될 수 있게 마련되고,
    상기 제 2 체결부는,
    상기 바디부의 후방 내측면에 관통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바디부의 개폐부가 형성되는 전방을 향해 헤드가 위치할 수 있게 삽입되는 복수개의 볼트 형태로 마련되는 제 2 체결볼트부;
    상기 제 1 연결부의 전방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볼트부에 대응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제 2 체결볼트부를 수용할 수 있는 너트형태로 마련되는 제 2 체결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모듈 보관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하부에 필터가 형성되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필터링되어 유입될 수 있게 마련되는 필터부;
    상부에 팬이 형성되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를 상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환기팬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날씨, 습도, 온도, 바람세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환경정보를 센싱할 수 있게 마련되는 환경정보센싱부;
    상기 바디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바디부 내부로의 공기 유입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되는 에어셔터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게 마련되는 히터부;
    상기 환경정보센싱부로부터 환경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에어셔터부의 개폐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환기팬부 및 히터부의 가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모듈 보관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정보에 의해, 상기 바디부 내부의 온도가 15 ~ 34℃로 측정 시, 상기 환기팬부의 가동은 정지시키고, 상기 에어셔터부만을 개방시키는 제 1 모드;
    상기 환경정보에 의해, 상기 바디부 내부의 온도가 35℃를 넘을 경우, 상기 환기팬부를 가동시키고, 상기 에어셔터부를 개방시키는 제 2 모드;
    상기 환경정보에 의해, 상기 바디부 내부의 온도가 0 ~ 14℃로 측정 시, 상기 환기팬부의 가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에어셔터부도 개방구를 닫음으로써 차가운 외부공기 및 먼지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제 3 모드;
    상기 환경정보에 의해, 상기 바디부 내부의 온도가 0℃ 미만으로 측정 시, 상기 히터부를 가동시키고, 상기 에어셔터부를 닫아 상기 바디부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 4 모드; 및
    상기 환경정보에 의해, 상기 바디부 내부의 습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측정되어 고습도 환경으로 판단 시, 상기 바디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에어셔터부를 닫아 외부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에어셔터부를 개방 후, 상기 환기팬부를 가동시켜 내부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 5 모드;를 포함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모듈 보관함.
KR1020170178201A 2017-12-22 2017-12-22 제어모듈 보관함 KR101860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201A KR101860687B1 (ko) 2017-12-22 2017-12-22 제어모듈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201A KR101860687B1 (ko) 2017-12-22 2017-12-22 제어모듈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687B1 true KR101860687B1 (ko) 2018-07-02

Family

ID=6291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201A KR101860687B1 (ko) 2017-12-22 2017-12-22 제어모듈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465A (ko) 2021-10-06 2023-04-13 블락스톤(주) 도로 환경 정보 측정 스테이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465A (ko) 2021-10-06 2023-04-13 블락스톤(주) 도로 환경 정보 측정 스테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9168B1 (en) Back-up DC vent system for equipment enclosure
CN101678263B (zh) 空气过滤器
US20160286691A1 (en) Outdoor electronic equipment enclosures and related methods
CN103596391B (zh) 电源适配器壳体组件、电源适配器、空调器及除湿机
WO2014204081A1 (ko) 에너지 절약형 사계절 스마트 안전 냉온풍기
KR101657011B1 (ko) 냉각방습 배전함
US8640480B2 (en) Room air conditioner and/or heat pump
CN102884876A (zh) 数据中心冷却
MX2008012796A (es) Sistema de acondicionamiento de aire de capacidad variable.
KR101860687B1 (ko) 제어모듈 보관함
WO2016056789A1 (ko) 방수 기능을 갖는 공조 장치
CN108288826A (zh) 一种排风除潮的户外环网柜
CN208142650U (zh) 一种自动低温干燥除尘的配电箱
CN109728526A (zh) 一种多功能电力开关柜
CN105180561B (zh) 具有风道盖板的制冷器具及其装配方法
KR101248947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264200B1 (ko) 무인국사의 외기공급장치
JP6095777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CN208127652U (zh) 一种排风除潮的新型户外环网柜
CN111725708A (zh) 一种恒温恒湿防尘的智能电气柜
CN207299272U (zh) 带有散热功能的空调室外机
EP3199895A1 (en) Cooling-freezing apparatus comprising a device which facilitates opening a door
CN110015022A (zh) 一种充电桩
WO2014205795A1 (en) Housing for vehicle hvac system
CN109217129A (zh) 一种基于防风沙技术的户外型电力站配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