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890B1 - 차량용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890B1
KR101248890B1 KR1020110016693A KR20110016693A KR101248890B1 KR 101248890 B1 KR101248890 B1 KR 101248890B1 KR 1020110016693 A KR1020110016693 A KR 1020110016693A KR 20110016693 A KR20110016693 A KR 20110016693A KR 101248890 B1 KR101248890 B1 KR 101248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airbag module
plate
latch plate
arm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232A (ko
Inventor
성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모스
Priority to KR1020110016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890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 B62D1/105Non-rotatable hubs, e.g. the central part of the steering wheel not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8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interchangeable parts, e.g. new part adapting to old 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에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 플레이트의 복수 래치부가 아마추어에 형성된 복수의 캐치부에 록킹되어 장착되거나 언록킹되어 탈거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래치 플레이트의 슬라이딩으로 복수의 래치부가 동시에 록킹되거나 동시에 언록킹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for vehicle}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에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 플레이트의 복수 래치부가 아마추어에 형성된 복수의 캐치부에 록킹되어 장착되거나 언록킹되어 탈거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래치 플레이트의 슬라이딩으로 복수의 래치부가 동시에 록킹되거나 동시에 언록킹되는 래치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용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아마추어에 에어백 모듈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에어백 모듈의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핀이 아마추어의 가이드 부시에 삽입되면서 평면에 대해 360도 구속을 하고, 위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핀에는 스프링에 의해 누름 가능한 돌기가 형성되어 가이드 부시를 통과한 후 돌기가 가이드 부시의 하단에 걸리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한편, 아마추어에는 복수의 훅을 설치하고, 에어백 모듈의 하면에 훅에 걸리는 링을 두어, 에어백 모듈이 아마추어에 조립될 때 링이 훅에 걸려 위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에도 가이드 핀과 가이드 부시는 별도로 구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에어백 모듈을 아마추어에 조립할 때는 위에서 아래로 밀어 넣으면 손쉽게 조립(장착)되지만, 에어백 모듈을 교체 등의 A/S을 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사용하여 복수의 돌기 각각을 해제시키거나, 복수의 훅 각각을 해제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 1사람이 하기에는 매우 어려워 A/S효율이 현저히 떨어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백 모듈을 아마추어에 장착하거나 탈거가 매우 간단하여 A/S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킨 래치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스티어링 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은,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캐치(catch)부; 에어백 모듈; 상기 에어백 모듈의 하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래치(latch)부를 갖는 래치 플레이트; 상기 에어백 모듈에 대해 상기 래치 플레이트를 후방 쪽으로 탄성을 가하는 후방탄성스프링; 상기 에어백 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후방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후방 스토퍼; 상기 래치 플레이트를 전후방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에어백 모듈의 하면에 설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각각의 캐치부가 상기 래치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상기 각각의 래치부에 삽입되면 상기 후방탄성스프링에 의해 상기 래치 플레이트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서 동시에 록킹 상태가 되고,
상기 록킹 상태에서 상기 래치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각각의 캐치부가 상기 각각의 래치부로부터 동시에 언록킹 상태가 된다.
이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에어백 모듈을 위에서 아래에 밀어 넣으면 래치 플레이트가 전후로 슬라이딩하면서 록킹하고, A/S 시 래치 플레이트 1곳을 공구로 전방쪽으로 밀면 복수의 래치부가 복수의 캐치부에서 동시에 해제되어 에어백 모듈의 교체 등이 매우 쉽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은,
상기 래치 플레이트에는 (+)혼 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아마추어에는 (-)혼 접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래치 플레이트가 혼 플레이트의 역할을 동시에 구현하여, 에어백 모듈에 별도의 혼 플레이트를 추가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은,
상기 아마추어에 대해 상기 에어백 모듈을 상방쪽으로 탄성을 가하는 상방탄성스프링과,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후방에 형성되는 푸쉬편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공구로 래치 플레이트를 푸쉬하여도 좋지만 공구의 푸쉬 면적을 넓히는 푸쉬편을 둠으로써 쉽고 편리하게 공구로 푸쉬를 가하고, 또한 1곳의 푸쉬로 인해 상방탄성스프링이 에어백 모듈을 상방으로 자동으로 튀어 올라가게 하여 록킹 상태를 자동 해제시킨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차량용 스티어링 휠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래치부의 밑면을 받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양측과 상기 에어백 모듈의 하면을 연결하는 양측연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캐치부가 삽입 통과되는 삽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지지부로 래치부의 전후 슬라이딩과 캐치부의 래치부로의 출납을 동시에 구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래치 플레이트는,
아마추어에 형성되는 복수의 캐치(catch)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래치(latch)부를 갖는다.
이 청구항 5의 구성에 의하면, 래치 플레이트 1곳을 푸쉬하면 복수의 록킹 부분을 동시에 언록킹 시킨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전후로 슬라이딩하는 래치 플레이트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캐치부와 복수의 래치부를 동시에 록킹시킬 뿐만 아니라, 록킹 상태에서 래치 플레이트만 푸쉬하면 록킹 상태 전체가 동시에 자동 해제되기 때문에, 장착과 탈거가 매우 용이하여 A/S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래치 플레이트에 혼 접점을 둠으로써 에어백 모듈에 별도의 혼 플레이트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
또한, 공구로 래치 플레이트 자체를 푸쉬하여도 좋지만, 공구의 푸쉬면적을 넓히는 푸쉬편을 더 둠으로써, 쉽고 편리하게 공구로 푸쉬를 가하고 또한 1곳의 푸쉬로 인해 상방탄성스프링이 에어백 모듈을 상방으로 자동으로 튀어 올라가게 하여 푸쉬 상태를 해제하여도 에어백 모듈이 다시 아래로 내려가 록킹될 우려가 전혀 없다.
또한, 하나의 지지부로 래치부의 전후 슬라이딩과 캐치부의 래치부로의 출납을 동시에 구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을 분리 도시한 상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을 분리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아마추어를 제거한 상태의 결합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5-5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6-6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로서, 래치부가 캐치부를 록킹하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을 분리 도시한 상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을 분리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아마추어를 제거한 상태의 결합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5-5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6-6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로서, 래치부가 캐치부를 록킹하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은 아마추어(100), 에어백 모듈(300), 에어백 모듈(300)을 아마추어(100)에 탈착(장착과 탈거)하는 탈착부재(500)를 포함한다.
아마추어(100)는 그 중심(101)에 스티어링 샤프트(미도시)가 결합되는 스티어링 휠의 코어이다.
에어백 모듈(300)은 본 실시예에서 인플레이트 커버만을 도시하고 있다.
탈착부재(500)는 복수의 캐치(catch)부(510), 복수의 래치(latch)부(550)를 갖는 래치 플레이트(530), 래치(latch)부(550)가 캐치부(510)에 록킹 또는 언록킹 되게 래치 플레이트(53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570)를 포함한다.
캐치부(510) 각각은 아마추어(100)에 고정되는 고정 캐치부(510)로서, 아마추어(100)의 상면에서 위로 돌출되는 돌기편(511)과, 이 돌기편(511)의 자유단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기(513)로 구성된다(도 6a 및 도 6b 참조).
또한, 걸림돌기(513)의 바깥면에는 안내경사면(515)이 형성되어, 후술된 래치부(550)의 걸림턱(553) 가장자리에 타고 들어가면서(도 6a 참조) 래치 플레이트(53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러한 캐치부(510)는 삼각형을 이루도록 3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캐치부(510)는 아마추어(100)의 중심에 대해 후방 캐치부(510a)와 좌우 전방 캐치부(510b)(510c)로 배치 형성되어 있다.
래치 플레이트(530)는 얇은 판의 띠 형상으로서, 복수의 래치부(550)와, 복수의 래치부(550)가 형성되는 래치 프레임(560)으로 구성하여 있다.
복수의 래치부(550)는 슬라이딩 가능한 띠 형상의 얇은 판에 구멍을 형성하여 생긴 걸림턱(553)인 가동 래치부(550)로서, 이 걸림턱(553)에는 걸림돌기(513)가 걸려 록킹(장착) 되게 된다.
이러한 래치부(550)는 캐치부(510)와 대응되게 후방 래치부(550a)와 좌우 후방 래치부(550b)(550c)로 구성되어 있다.
래치 프레임(560)은 얇은 판의 띠 형상으로서, 후방 래치부(550a)가 형성되는 후방 래치 프레임(560a), 좌우 후방 래치부(550b)(550c)가 전방 끝단에 형성되는 좌우 래치 프레임(560b)(560c)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재(570)는 에어백 모듈(300)의 하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571)와, 에어백 모듈(300)에 대해 래치 플레이트(530)를 후방쪽으로 탄성을 가하는 후방탄성스프링(580)과, 에어백 모듈(300)에 설치되어 래치 플레이트(530)의 후방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후방 스토퍼(590)를 포함한다.
후방 스토퍼(590)는 에어백 모듈(300)의 인플레이트 커버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지지부(571)와 후방 스토퍼(590)의 사이 공간을 통해 래치부(550)가 지지부(571)에 끼울 땐 얇은 판이기 때문에 약간의 탄성 변형만으로 구른 후 넣으면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
지지부(571)는 래치부(550)를 전후로 슬라이딩 안내하면서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래치부(550)의 밑면을 받치는 받침판(571a)과, 받침판(571a)의 양측과 에어백 모듈(300)의 하면을 연결하는 양측연결판(571b)(571c)으로 구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받침판(571a)에는 캐치부(510)가 삽입 통과되는 삽통공(573)이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후방탄성스프링(580)의 일단은 에어백 모듈(300)의 하면에 홈으로 형성된 프런트 시트(581)와, 후방탄성스프링(580)의 타단은 후방 래치 프레임(560a)에 형성된 리어 시트(583)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특히 리어 시트(583)에는 후방탄성스프링(58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돌기(58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후방탄성스프링(580)은 아마추어(100)에 고정된 에어백 모듈(300)에 대해 래치 플레이트(530)를 후방쪽으로 향해 탄성을 가하도록 하여 록킹 자세를 취하게 한다.
또한, 에어백 모듈(300)의 후방에는 후방 스토퍼(59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스토퍼(590)는 래치 플레이트(530)가 후방탄성스프링(580)에 의해 후방쪽으로 밀리는 거리를 제한하여, 탄성에 의해 래치부(550)가 삽통공(573)에서 록킹 또는 언록킹 되는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아마추어(100)에 대해 에어백 모듈(300)을 상방쪽으로 탄성을 가하는 상방탄성스프링(700)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에어백이 터지거나 고장 등의 원인으로 에어백 모듈(300)의 A/S가 필요한 경우, 래치 플레이트(530)를 전방으로 밀면, 가동 래치부(55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래치부(550)의 걸림턱(553)이 캐치부(510)의 걸림돌기(513)에서 벗어나 록킹이 해제된다.
록킹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방탄성스프링(700)의 탄성에 의해 에어백 모듈(300)을 자동으로 튀어 올라 걸림돌기(513)가 걸림턱(553)에서 완전히 벗어나, 래치 플레이트(530)의 미는 힘을 제거하여도 더 이상이 록킹되지 않아, 작업자가 동시에 두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에어백 모듈(300)의 탈거가 가능하다.
상방탄성스프링(700)은 아마추어(100)의 로어 시트(710)와, 어퍼 시트에 해당하는 지지부(571)의 받침판(571a) 사이에 개재된다.
로어 시트(710)는 캐치부(510)를 중심으로 원 형태의 홈으로 구성하는 것이 상방탄성스프링(700)의 아랫부분이 안정적으로 놓이는 동시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서 좋다.
또한, 받침판(571a)에도 복수의 이탈방지돌기(730)를 둠으로써 상방탄성스프링(700)의 아랫부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한편, 래치 플레이트(530)의 전방 밀기를 더 편리하게 하기 위해, 래치 플레이트(530)의 후방에 푸쉬편(600)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쉬편(600)은 후방 래치 프레임(560a)에서 외팔보 형태로 절단한 후 아래로 구부린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깥에서 안쪽으로 공구로 넣을 때(바깥에서는 로어 커버에 의해 래치 플레이트(530)가 보이지 않는다) 보다 넓은 면적을 제공하여 푸쉬편(600)을 손쉽게 밀 수 있다.
다른 한편, 에어백 모듈(300)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해, 복수의 가이드 핀(800)은 에어백 모듈(300)에, 복수의 가이드 부쉬(900)는 아마추어(100)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 핀(800)이 관통공 형태의 가이드 부쉬(900)에 먼저 삽입되면, 에어백 모듈(300)의 위치가 잡히는 동시에 복수의 래치부(550)도 복수의 캐치부(510)에 위치를 잡아 장착이 대단히 편리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 핀(800)과 가이드 부쉬(900)의 결합구조는 에어백 모듈(300)의 평면 360도 구속하고, 래치부(550)와 캐치부(510)의 결합구조는 에어백 모듈(300)의 위로 빠지는 것을 구속하여, 에어백 모듈(300)을 아마추어(100)에 안정적으로 장착한다.
한편, 래치 플레이트(530)가 아마추어(100)와 에어백 모듈(300)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혼 플레이트를 에어백 모듈(300)에 장착하지 않아도 구현할 수 있다.
즉, 래치 플레이트(530)에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혼 접점(811~814)이 형성되고, 아마추어(100)에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혼 접점(831~834)이 형성되어 있다.
(-)혼 접점(811~814)은 아마추어(100)에서 위로 돌출한 돌기 형태이다.
따라서, 에어백 모듈(300)을 누르면 (+)혼 접점(810)이 (+)혼 접점(831~834)에 접촉하여 경적을 울리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혼 접점(813)(814)은 좌우측 전방 래치 프레임(560b)(560c)에서 분기한 분기 래치 프레임(560b')(560c')에 형성되어 있다.
분기 래치 프레임(560b')(560c')과 좌우 전방 래치부(550b)(550c)의 사이에는 측연결판(571c)이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전방 스토퍼의 기능도 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와 같은 모듈을 도 6a와 같이 아마추어를 향해 위에서 아래로 누르면 래치부(510)가 캐치부(510)에 닿으면서 래치 플레이트(53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캐치부(510)로 삽입되고, 삽입이 완료되는 순간 후방탄성스프링(580)에 의해 래치 플레이트(530)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서 록킹을 행한다.
반대로 도 6b의 록킹 상태에서 전방을 향해 래치 플레이트(530)의 1곳, 특히 푸쉬편(600)을 푸쉬하면 래치 플레이트(53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복수의 래치부(550)의 걸림턱(553)에서 복수의 캐치부(510)의 걸림돌기(513)가 해제되고 상방탄성스프링(700)에 의해 자동으로 복수의 캐치부(510)로부터 복수의 래치부(550)가 동시에 완전히 벗어나 언록킹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아마추어 300 : 에어백 모듈
500 : 탈착부재 510 : 캐치(catch)부
510a : 후방 캐치부 510b, 510c : 좌우 전방 캐치부
511 : 돌기편 513 : 걸림돌기
515 : 안내경사면 530 : 래치 플레이트
550 : 래치(latch)부 550a : 후방 래치부
550b, 550c : 좌우 후방 래치부 553 : 걸림턱
560 : 래치 프레임 560a : 후방 래치 프레임
560b, 560c : 좌우 후방 래치부 560b', 560c' : 분기 래치 프레임
570 : 지지부재 571 : 지지부
571a : 받침판 571b, 571c : 양측연결판
573 : 삽통공 580 : 후방탄성스프링
581 : 프런트 시트 583 : 리어 시트
584 : 이탈방지돌기 590 : 후방 스토퍼
600 : 푸쉬편 700 :상방탄성스프링
710 : 로어 시트 730 : 이탈방지돌기
800 : 가이드 핀 811~814 : (+)혼 접점
831~834 : (-)혼 접점 900 : 가이드 부쉬

Claims (5)

  1.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캐치(catch)부;
    에어백 모듈;
    상기 에어백 모듈의 하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래치(latch)부를 갖는 래치 플레이트;
    상기 에어백 모듈에 대해 상기 래치 플레이트를 후방쪽으로 탄성을 가하는 후방탄성스프링;
    상기 에어백 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후방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후방 스토퍼;
    상기 래치 플레이트를 전후방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에어백 모듈의 하면에 설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각각의 캐치부가 상기 래치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상기 각각의 래치부에 삽입되면 상기 후방탄성스프링에 의해 상기 래치 플레이트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서 동시에 록킹 상태가 되고,
    상기 록킹 상태에서 상기 래치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각각의 캐치부가 상기 각각의 래치부로부터 동시에 언록킹 상태가 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플레이트에는 (+)혼 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아마추어에는 (-)혼 접점이 형성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에 대해 상기 에어백 모듈을 상방쪽으로 탄성을 가하는 상방탄성스프링과,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후방에 형성되는 푸쉬편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래치부의 밑면을 받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양측과 상기 에어백 모듈의 하면을 연결하는 양측연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캐치부가 삽입 통과되는 삽통공이 형성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5. 삭제
KR1020110016693A 2011-02-24 2011-02-24 차량용 스티어링 휠 KR101248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693A KR101248890B1 (ko) 2011-02-24 2011-02-24 차량용 스티어링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693A KR101248890B1 (ko) 2011-02-24 2011-02-24 차량용 스티어링 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232A KR20120097232A (ko) 2012-09-03
KR101248890B1 true KR101248890B1 (ko) 2013-04-01

Family

ID=4710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693A KR101248890B1 (ko) 2011-02-24 2011-02-24 차량용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8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981B1 (ko) * 2021-06-25 2023-08-2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혼 플레이트 및 그가 적용된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245B1 (ko) * 2002-07-05 2005-03-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모듈 일체형 혼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245B1 (ko) * 2002-07-05 2005-03-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모듈 일체형 혼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232A (ko) 2012-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0357B2 (ja) 替刃着脱式剃刀
JP4542965B2 (ja) ベルト係止具
US8405980B2 (en) Computer housing
JP2008546601A5 (ko)
KR101248890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JP2014127308A (ja) 並列部材、コネクタの嵌合方法、及び機器の組み立て方法
JP4062362B2 (ja) 凹側取付機構と凸側取付機構
KR101272240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TW201538052A (zh) 防呆裝置
TWI634038B (zh) 自行車組裝機構與電池盒的總成
KR20070025698A (ko) 휴즈 홀더
CN212938216U (zh) 一种可拆卸式帽带及其头盔
JP2013214632A (ja) 筐体の取付け構造
JP4023513B2 (ja) ビデオカメラのバッテリーパックとアダプター
KR20090050837A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배터리 커버 착탈 장치
JPH06215743A (ja) 電池パックの着脱構造
CN112075714A (zh) 一种可拆卸式帽带及其头盔
KR200291135Y1 (ko)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폰 배터리 착탈장치
JP2018186018A (ja) バッテリーパック用アダプタ
CN109421885B (zh) 自行车组装机构与电池盒的总成
KR101405556B1 (ko) 자동차의 외부핸들커버
KR101061060B1 (ko) 커넥터 이탈방지용 성형지그
JP4991603B2 (ja) 端子ホルダ付きコネクタ
JP4040591B2 (ja) 取付機構
KR20140075150A (ko)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