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465B1 -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465B1
KR101247465B1 KR1020110079712A KR20110079712A KR101247465B1 KR 101247465 B1 KR101247465 B1 KR 101247465B1 KR 1020110079712 A KR1020110079712 A KR 1020110079712A KR 20110079712 A KR20110079712 A KR 20110079712A KR 101247465 B1 KR101247465 B1 KR 101247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spection
user interface
line
qualit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338A (ko
Inventor
박필웅
김병국
정세진
박문호
전학주
김형식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동희오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동희오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9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46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자동차 생산라인의 각 공정 프로세스에서 각 공정에 관련된 공정 프로세스 관련정보를 손쉽게 파악 및 입력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각 공정 프로세스에 따라 발생하는 품질관리 정보를 통합 관리하도록 한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이 제시된다. 제시된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은 품질관리서버, 각 공정 라인에서 작업자가 휴대하는 작업자 단말기, 각 공정 라인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공정 프로세스 관련정보를 손쉽게 파악 및 입력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자동차 생산라인에서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A SYSTEM FOR MANAGING INTEGRATED QUALITY CONTROL FOR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생산라인에서 각 공정별 프로세스에 따라 각 생산라인에서 생산되는 자동차(또는 부품)의 품질을 통합 관리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생산라인은 차체 제작공정 라인, 도장 공정라인, 의장 공정라인으로 구성된다. 이때, 각 공정라인의 작업자는 각 공정의 프로세스에 맞게 제작되는 자동차와 시트에 기재된 해당 공정의 기준 사양을 비교하여 결함여부를 판단한다. 작업자는 결함 발생시 수정 작업을 수행한 후에 수기로 수정작업 내용을 해당 시트에 기재한다. 각 공정라인에서 기재된 시트들은 수집되어 통합관리를 수행한다.
작업자가 작성한 시트를 수집하여 통합관리를 수행하는 경우, 품질관리의 효율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관리서버과 작업자 단말기를 이용한 품질 관리 시스템에 관련된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일례로, 한국등록특허 10-0401636(이하, 종래기술)에서는 생산라인 직행율 및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품질입력장치를 차량을 생산하는 현장에 설치하여 차체의 품질을 검사하여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입력하고, 품질관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품질입력장치로부터 정보를 받아 데이터베이스 관리하고, 품질분석장치에서 정보의 분석 및 관리를 수행하고, 품질관리 웹서버에서 이들 정보를 웹상으로 제공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각 공정에서의 공정 프로세서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하게 품질 정보들을 입력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 공정 프로세서에 맞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각 공정 프로세서에 맞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고, 업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자동차 생산라인의 각 공정 프로세스에서 각 공정에 관련된 사양, 점검 리스트 등의 공정 프로세스 관련정보를 손쉽게 파악 및 입력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자동차 생산라인의 각 공정 프로세스에 따라 발생하는 품질관리 정보를 통합 관리하도록 한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은, 자동차 생산라인의 각 공정 라인에 해당하는 제품의 기준 정보인 사양 정보를 저장하고,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발생하는 검사 정보 및 수정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품질관리서버; 작업자에 의한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되어, 차체 공정 라인과 도장 공정 라인 및 의장 공정 라인 중에 하나의 공정 라인을 입력받아 설정하고, 설정된 공정 라인에 해당하는 사양 정보를 품질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양 정보 유저 인터페이스와 설정된 공정 라인에서의 결함 부위 정보 및 결함 내용 정보를 표시 및 입력하는 검사 정보 유저 인터페이스 및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보를 표시하는 퀵 정보 유저 인터페이스를 탭 형태로 화면 표시하고, 화면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공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산되는 자동차의 검사 정보 및 수정 정보를 입력받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품질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작업자 단말기; 및 자동차 생산라인의 공정 라인에 고정 설치되는 터치패널로 구성되어, 차체 공정 라인과 도장 공정 라인 및 의장 공정 라인의 검사 항목 들을 화면에 표시하여 검사 항목을 입력받고, 터치패널의 화면 상부에 메뉴를 표시하는 제1표시영역과 제1표시영역의 하단 좌측에 차체번호를 검색과 표시 및 선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2표시영역과, 제2표시영역의 하단에 작업자를 표시 및 선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3표시영역과, 제1표시영역의 하단 우측에 입력된 검사 항목에 해당하는 검사 정보를 표시 및 입력받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4표시영역으로 구성되고, 화면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공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산되는 자동차의 검사 정보 및 수정 정보를 입력받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품질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한다.
품질관리서버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각 공정 라인에 해당하는 제품의 기준 정보인 사양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작업자 단말기 및 터치스크린으로 전송하고,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발생하는 검사 정보 및 수정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 차체 공정 라인에서 생산되는 차체의 기준 정보인 사양 정보와 도장 공정 라인에서 생산되는 차체의 기준 정보인 사양 정보 및 의장 공정 라인에서 생산되는 차체의 기준 정보인 사양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사양 저장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검사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공정 라인 및 작업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검사정보 저장부; 작업자 정보를 공정 라인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작업자정보 저장부; 및 제품사양 저장부와 검사정보 저장부 및 작업자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들을 근거로 각 공정 라인에서 생산되는 차체의 품질관리를 수행하는 품질관리부를 포함한다.
품질관리서버는, 차체 공정 라인의 제품사양과 검사 정보와 수정 정보 및 작업자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차체라인 관리서버; 도장 공정 라인의 제품사양과 검사 정보와 수정 정보 및 작업자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도장라인 관리서버; 및 의장 공정 라인의 제품사양과 검사 정보와 수정 정보 및 작업자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의장라인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작업자 단말기는, 사양 조회, 검사부위, 퀵1, 퀵2를 포함하는 로그인 메뉴를 화면 표시하고, 표시된 로그인 메뉴 중에서 로그인시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를 설정하는 로그인 이동화면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 및 로그인 이동화면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설정된 메뉴에 해당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 표시하고, 나머지 유저 인터페이스를 백그라운드 탭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는 품질검사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품질검사 유저 인터페이스는, 차체의 바디 번호를 표시 및 입력받는 차량번호 선택 유저 인터페이스; 차량번호 선택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차체의 사양을 표시하고, 각 사양에 대한 검사결과를 입력받는 사양 검사 유저 인터페이스; 사양 검사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입력된 검사결과를 근거로 차체 결함 부위를 입력받는 부위 유저 인터페이스; 및 부위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입력되는 부위에 해당하는 결함 내용을 입력받는 결함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은, 차체검사, 차체수정/탈하, 바디풀, 도장 M/R 검사, 도장 우레탄 T/UP검사, 도장 T/UP검사, OK 검사, OK 수정, OK 확인, 테스트 검사, 테스트 확인, 수밀 검사, 의장 T/UP, 폴리싱, 최종검사, 최종확인, 트림수정장, 헤비수정장, 의장 T/UP 수정장, 수밀수정장을 포함하는 공정 선택 버튼을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고, 표시된 공정 선택 버튼들 중에 작업자에 의해 터치된 공정 선택 버튼에 해당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은 공정 프로세스 관련정보를 손쉽게 파악 및 입력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자동차 생산라인에서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품질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작업자 단말기 및 터치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작업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정 검사 및 수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11은 작업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체 공정 검사 및 수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내지 도 29는 작업자 단말기를 이용한 의장 공정 검사 및 수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0 내도 도 5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품질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작업자 단말기 및 터치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은 품질관리서버(100), 복수의 작업자 단말기(200), 복수의 터치스크린(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복수의 작업자 단말기(200) 및 터치스크린(300)은 자동차 생산라인의 차체 공정 라인, 도장 공정 라인, 의장 공정 라인에 각각 설치되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품질관리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작업자 단말기(200)는 PDA,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이 작업자가 휴대하고 이동할 수 있는 단말기로 구성된다.
품질관리서버(100)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각 공정 라인에 해당하는 제품의 기준 정보인 사양 정보를 저장하고,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발생하는 검사 정보 및 수정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품질관리서버(100)는 차체 공정 라인에 해당하는 사양 정보와 검사 정보 및 작업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차체 공정 라인에서 생산되는 차체의 품질관리를 수행하는 차체라인 관리서버(110)와, 도장 공정 라인에 해당하는 사양 정보와 검사 정보 및 작업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도장 공정 라인에서 생산되는 차체의 품질관리를 수행하는 도장라인 관리서버(120), 및 의장 공정 라인에 해당하는 사양 정보와 검사 정보 및 작업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의장 공정 라인에서 생산되는 차체의 품질관리를 수행하는 의장라인 관리서버(13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품질관리서버(100)는 저장부, 품질관리부(150), 통신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각 공정 라인에 해당하는 제품의 기준 정보인 사양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작업자 단말기(200) 및 터치스크린(300)에 해당하는 공정 라인의 사양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저장부는
제품사양 저장부(142)는 공정 라인에서 생산되는 차체의 기준 정보인 사양 정보와 도장 공정 라인에서 생산되는 차체의 기준 정보인 사양 정보 및 의장 공정 라인에서 생산되는 차체의 기준 정보인 사양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품사양 저장부(142), 검사정보 저장부(144)는 통신부(160)를 통해 수신되는 검사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공정 라인 및 작업자별로 구분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검사정보 저장부(144), 작업자 정보를 공정 라인별로 구분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작업자정보 저장부(1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품질관리부(150)는 제품사양 저장부(142)와 검사정보 저장부(144) 및 작업자정보 저장부(146)에 저장된 정보들을 근거로 각 공정 라인에서 생산되는 차체의 품질관리를 수행한다.
통신부(160)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각 공정 라인에 해당하는 제품의 기준 정보인 사양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작업자 단말기(200) 및 터치스크린(300)으로 전송하고,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발생하는 검사 정보 및 수정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다.
작업자 단말기(200)는 작업자에 의한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된다. 즉, 작업자 단말기(200)는 PDA,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이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작업자에 의한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단말기로 구성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200)은 입력부(220), 표시부(240), 중앙처리부(260), 통신부(280)로 구성될 수 있다.
업자 단말기는 공정 라인에서 생산되는 차체의 품질관리를 위한 다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작업자에게 제공하여 자동차 생산라인에서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가시킨다. 이를 위해, 작업자 단말기(200)는 차체 공정 라인과 도장 공정 라인 및 의장 공정 라인 중에 하나의 공정 라인을 입력받아 설정한다. 작업자 단말기(200)는 기설정된 공정 라인에 해당하는 사양 정보를 품질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한다. 작업자 단말기(200)는 품질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사양 정보를 사양 정보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면출력한다. 작업자 단말기(200)는 검사 정보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출력하고, 작업자로부터 설정된 공정 라인에서의 결함 부위 정보 및 결함 내용 정보를 입력받는다. 업자 단말기는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보를 표시하는 퀵 정보 유저 인터페이스를 탭 형태로 화면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퀵 정보는 작업자가 설정한 정보로 각 유저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항목들 중에서 자주 사용되는 항목을 작업자가 선택하여 등록한다. 작업자 단말기(200)는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화면표시하여 공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산되는 자동차의 검사 정보 및 수정 정보를 입력받는다. 작업자 단말기(200)는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검사 정보 및 수정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품질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이때, 작업자 단말기(200)는 사양 조회, 검사부위, 퀵1, 퀵2를 포함하는 로그인 메뉴를 화면 표시한다. 즉, 작업자 단말기(200)는 로그인 메뉴를 화면 표시하고 작업자의 버튼 또는 터치패널의 조작에 따라 로그인시 화면에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정한다. 이때, 작업자 단말기(200)는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다른 항목에 해당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백그라운드 탭 형태로 화면에 출력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 단말기(200)는 화면에 표시된 로그인 메뉴 중에서 로그인시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를 설정하는 로그인 이동화면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 및 로그인 이동화면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설정된 메뉴에 해당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 표시하고, 나머지 유저 인터페이스를 백그라운드 탭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는 품질검사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품질검사 유저 인터페이스는 차체의 바디 번호를 표시 및 입력받는 차량번호 선택 유저 인터페이스와, 차량번호 선택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차체의 사양을 표시하고 각 사양에 대한 검사결과를 입력받는 사양 검사 유저 인터페이스와, 사양 검사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입력된 검사결과를 근거로 차체 결함 부위를 입력받는 부위 유저 인터페이스, 및 부위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입력되는 부위에 해당하는 결함 내용을 입력받는 결함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스크린(300)은 자동차 생산라인의 공정 라인에 고정 설치되는 터치패널로 구성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300)은 입력부(320), 표시부(340), 중앙처리부(360), 통신부(380)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300)은 차체 공정 라인과 도장 공정 라인 및 의장 공정 라인의 검사 항목 들을 화면에 표시하여 검사 항목을 입력받는다. 이때, 터치스크린(300)은 차체검사, 차체수정/탈하, 바디풀, 도장 M/R 검사, 도장 우레탄 T/UP검사, 도장 T/UP검사, OK 검사, OK 수정, OK 확인, 테스트 검사, 테스트 확인, 수밀 검사, 의장 T/UP, 폴리싱, 최종검사, 최종확인, 트림수정장, 헤비수정장, 의장 T/UP 수정장, 수밀수정장을 포함하는 공정 선택 버튼을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한다. 터치스크린(300)은 표시된 공정 선택 버튼들 중에 작업자에 의해 터치된 공정 선택 버튼에 해당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한다.
터치스크린(300)은 화면을 다수로 분할하여 메뉴, 차체 선택, 검사 및 수정 정보, 작업자를 각각 표시한다. 즉, 터치스크린(300)의 화면 상부의 제1표시영역에 메뉴를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출력한다. 터치스크린(300)은 제1표시영역의 하단 좌측에 형성되는 제2표시영역에 차체번호를 검색과 표시 및 선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출력한다. 터치스크린(300)은 제2표시영역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3표시영역에 작업자를 표시 및 선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출력한다. 터치스크린(300)은 제1표시영역의 하단 우측에 형성되는 제4표시영역에 입력된 검사 항목에 해당하는 검사 정보를 표시 및 입력받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출력한다. 여기서, 터치스크린(300)은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동시에 화면에 출력하며, 메뉴를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작업자와 차체 정보 및 작업자 정보와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제1표시영역 내지 제3표시영역에 항시 출력상태를 유지하고, 제4표시영역에 출력되는 검사 및 수정 관련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자동차의 검사 정보 및 수정 정보를 입력받는다. 터치스크린(300)은 화면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공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산되는 자동차의 검사 정보 및 수정 정보를 입력받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품질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이처럼,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은 공정 프로세스 관련정보를 손쉽게 파악 및 입력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자동차 생산라인에서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작업자 단말기(200) 및 터치스크린(300)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동작에 관한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의 작업자 단말기(200)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5 및 도 6은 작업자 단말기(200)를 이용한 공정 검사 및 수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11은 작업자 단말기(200)를 이용한 차체 공정 검사 및 수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29는 작업자 단말기(200)를 이용한 의장 공정 검사 및 수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200)는 작업자 로그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작업자 로그인 유저 인터페이스는 공장정보, 작업구분(공정 구분), 메인공정(검사 항목), 작업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창과, 설정, 종료, 로그인 버튼을 포함한다. 이때, 작업자는 작업 공장을 선택하고, 차체, 도장, 의장 중에 하나의 작업구분을 선택하고,을 포함하고, 메인공정은 작업장 설정 후 해당 공정을 선택한다. 작업자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작업자는 로그인 버튼을 선택하여 품질관리를 시작한다. 이때, 작업자는 설정 버튼을 선택하여 로그인시 원하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로그인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설정 버튼이 선택되면, 작업자 단말기(200)는 로그인시 이동화면을 설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출력한다. 여기서, 작업자에 의해 수정장이 선택되는 경우, 작업자 단말기(200)는 의장(트림, 헤비, T/UP 수정장에 해당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출력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작업자 단말기(200)를 이용한 차체 공정 검사 및 수정을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200)는 작업자 로그인이 완료되면 차체 설정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출력한다. 즉, 작업자 단말기(200)는 복수의 차체 바디번호를 화면출력하고, 작업자가 선택한 차체 바디번호를 작업 차체로 설정한다. 이때, 작업자 단말기(200)는 복수의 차체 바디번호를 리스트 형태로 화면출력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200)는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차체의 사양 검사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출력한다. 여기서, 사양 검사 유저 인터페이스는 선택된 차체에 대해 차체 공정 라인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검사 항목을 리스트 형태로 출력하고, 결함(결함) 발생을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OK 버튼과 NG 버튼을 포함한다. 작업자는 사양 검사후 결함이 없는 경우 OK 버튼을 선택하고, 결함이 있는 경우 NG 버튼을 선택한다. 작업자는 검사가 완료되면 검사완료 버튼을 선택하여 해당 차체에 대한 공정 검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작업자 단말기(200)는 차체 결함 등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차체별로 결함발생 사양 및 부위를 입력받는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부위 탭에서 결함이 발생한 부위를 선택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의 결함 탭에서 결함 내용을 선택하고 하단의 결함추가 버튼을 선택하여 등록한다. 작업자는 위의 단계를 반복하여 복수의 결함을 등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하단에 표시되는 퀵 등록 버튼을 선택하여 해당 메뉴를 퀵 메뉴에 등록할 수도 있다.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200)는 차체 수정확인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작업자 단말기(200)는 수정이 완료된 사양은 수정으로 표시되고, 미완료된 차량은 결함으로 표시된다. 이때, 작업자는 차체 수정확인이 완료되면 후공정 버튼을 클릭하여 차체의 검사 및 수정에 대해 완료처리 후에 후공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작업자 단말기(200)를 이용한 의장 공정 검사 및 수정을 설명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200)는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의장의 사양 검사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출력한다. 여기서, 사양 검사 유저 인터페이스는 선택된 차체에 대해 의장 공정 라인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검사 항목을 리스트 형태로 출력한다. 이때, 검사 항목은 내장, 엔진, 외LH, 외RH로 구분되고, 작업자는 각 구분에 해당하는 검사 항목에 결함이 없는 경우 하단에 표시되는 완료버튼을 선택하여 해당 구분에 대한 검사를 종료한다. 작업자는 결함이 발생한 경우 상단 탭에서 부위를 선택한다.
그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200)는 결함 부위를 선택하기 위한 의장 공정 라인에서의 검사 대상 부위를 리스트 형태로 출력하는 부위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출력한다. 작업자는 출력된 부위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결함이 발생한 부위를 선택한다. 작업자는 부위 선택 후에 상단 탭에서 결함을 선택한다.
그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200)는 결함 내용을 리스트 형태로 출력하는 결함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출력한다. 작업자는 출력된 결함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결함 내용에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한다. 여기서, 결함 내용을 선택하는 내용은 상술한 차체 공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작업자는 결함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퀵등록을 통해 다량 및 자주 발생하는 결함 내용을 퀵 메뉴에 추가할 수 있다.
퀵 메뉴에 추가된 항목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상단의 퀵 탭을 선택한다. 그에 따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200)는 퀵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출력한다. 이때, 퀵 유저 인터페이스는 결함 부위를 입력하는 입력창을 포함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퀵 유저 인터페이스의 입력창에 결합 내용에 해당하는 결함 번호를 입력한다. 작업자 단말기(200)는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결함 번호에 해당하는 결함 내용을 화면출력한다. 작업자는 퀵 유저 인터페이스의 하단에 위치하는 결함추가 버튼을 선택하여 해당 결함 내용을 등록한다.
작업자는 차체에 대한 의장 공정 라인의 검사가 완료되면 상단의 뷰(View) 탭을 선택한다. 그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200)는 작업자에 의해 등록된 결함 내용을 리스트 형태로 출력한다. 이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출력된 리스트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항목을 선택하고 하단의 결합 삭제 버튼을 선택하여 결합등록정보를 삭제할 수도 있다.
이후, 작업자는 의장 OK라인 확인 검사를 위해 작업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차체를 스캔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200)를 스캔한 차체에 해당하는 결함 내용을 리스트 형태로 출력한다. 작업자는 결함내용을 확인하고 이상이 없으면 후공정 버튼을 선택한다. 이때, 작업자 단말기(200)는 후공정으로 선택된 차체에 대한 정보를 사이드슬립 공정으로 전송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200)는 별도 트림,헤비 수정장으로 보내져야할 결함으로 선택된 항목은 이동 확인을 위한 팝업 창이 출력된다. 작업자 단말기(200)는 작업자가 확인을 선택하면 해당 수정장으로 차체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슬립 공정의 작업자 단말기(200)는 이전 공정(즉, 의장 공정 라인)의 작업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차체 리스트를 출력한다. 작업자는 출력된 차체 리스트 중에서 사이드슬립을 점검할 차체를 선택하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차체에 대한 점검을 수행한다.
이후,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을 통해 수집한 사이드슬립데이터를 작업자 단말기(200)에 입력하고, OK 버튼을 선택하여 해당 차체에 대한 사이드슬립작업을 종료한다. 이때, 점검중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 작업자는 헤비 NG 버튼을 선택하고, 트림 수정장으로 보낼 결함인 경우 트림 NG 버튼을 선택한다.
이후, 작업자는 의장 S/S 검사를 수행한다. 이때,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200)는 헤비 NG, 트림 NG를 선택시 부위 결함 화면을 출력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결함 부위와 위치를 등록하고 검사완료를 선택하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200)는 해당 수정장으로 차체를 이동시키는 팝업창을 출력한다. 이때, 작업자가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공정으로 차체가 이동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200)는 의장 PIT 공정을 위해 차체 번호 리스트를 출력한다. 작업자가 차체를 선택하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200)는 의장 PIT 검사에 해당하는 사양을 출력한다. 작업자가 의장 PIT 검사를 수행한 후에 결함이 없는 경우 PIT완 버튼을 선택한다. 그에 따라,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기(200)는 의장 PIT 검사 완료를 통보하는 팝업창을 출력한다. 작업자는 확인버튼을 선택하여 해당 차체에 대한 의장 PIT 검사를 종료한다. 이때, 의장 PIT 검사에서 결함이 발생한 경우, 작업자는 부위와 결함 내용을 선택하여 해당 차체의 결함 내용을 등록한다. 여기서, 결함 내용을 등록하는 내용은 차체 공정 라인에서의 결함 등록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의 터치스크린(300)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0 내지 도 32는 터치스크린(300)을 이용한 공정 검사 및 수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3 및 도 34는 터치스크린(300)을 이용한 차체 검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5
도 12 내지 도 29는 작업자 단말기(200)를 이용한 의장 공정 검사 및 수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300)은 차체검사, 차체수정/탈하, 바디풀, 도장 M/R 검사, 도장 우레탄 T/UP검사, 도장 T/UP검사, OK 검사, OK 수정, OK 확인, 테스트 검사, 테스트 확인, 수밀 검사, 의장 T/UP, 폴리싱, 최종검사, 최종확인, 트림수정장, 헤비수정장, 의장 T/UP 수정장, 수밀수정장을 포함하는 공정 선택 버튼을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고, 표시된 공정 선택 버튼들 중에 작업자에 의해 터치된 공정 선택 버튼에 해당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작업자는 화면 상단(즉, 제1표시영역)에 표시되는 투입조 선택버튼(예컨대, A조, B조)을 선택하여 투입조를 선택하거나, 사용자 등록 버튼을 선택하여 투입작업자 변경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300)은 투입작업자 변경에 대한 권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한다. 터치스크린(300)은 작업자로부터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품질관리서버(100)로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300)은 작업자 인증이 완료되면 작업자를 변경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출력한다. 이후,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공정에 해당하는 공정 검사 및 수정을 수행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터치스크린(300)을 이용한 차체 검사를 설명하면,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300)은 화면의 제2표시영역에 차체 바디번호의 검색과 표시 및 선택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터치스크린(300)은 화면의 제3표시영역에 작업자를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터치스크린(300)은 화면의 제4표시영역에 차체 검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이때, 터치스크린(300)은 차체의 모양과 동일한 형태의 이미지를 출력하고, 각 이미지에 부위를 표시한다.
작업자는 차체 검사시 결함이 발견되면, 터치스크린(300)의 제4표시영역에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결함을 입력하고자 하는 부위를 터치하여 선택한다. 그에 따라,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300)은 결함위치 및 결함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팝업창 형태로 출력한다. 작업자는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결함위치 및 결함내용을 터치하여 선택한다. 작업자는 결함이 없거나, 결함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닫기 버튼을 터치하여 해당 차체에 대한 사양 검사를 완료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터치스크린(300)을 이용한 차체 수정을 설명하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300)은 작업자에 의해 차체수정/탈하가 선택되면, 화면의 좌측에 코멘트 번호, 차체 바디번호, 이전작업장, 상태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터치스크린(300)은 화면의 추측에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차체에 해당하는 결함 내용을 출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이때, 작업자가 바디풀 버튼을 터치하며, 터치스크린(300)은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차체에 해당하는 결함 정보를 해당 공정의 터치스크린(300)(또는, 작업자 단말기(200))으로 전송한다. 이때, 하나의 차체에 복수의 결함이 존재하는 경우 작업자가 바디풀 원인 결함을 터치하면, 터치스크린(300)은 나머지 결합이 자동 수정 처리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터치스크린(300)을 이용한 바디풀을 설명하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300)은 화면의 좌측에 코멘트 번호, 차체 바디번호, 이전작업장, 상태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작업자는 출력된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검사하고자 하는 차체를 선택한다. 그에 따라, 터치스크린(300)은 화면의 우측에 결함 내용을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이때, 결함 내용을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는 결함추가 버튼, 결함수정 버튼, 결함삭제 버튼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터치스크린(300)을 이용한 의장 검사를 설명하면,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300)은 차체를 선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작업자를 선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및 사양정보를 출력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화면에 출력한다. 작업자는 사양정보가 출력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근거로 차체의 의장 검사를 수행한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300)은 의장 검사에서 결함이 발생한 경우 결함 발생 부위 및 위치, 결함 내용을 입력하는 팝업창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작업자는 출력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함 내용을 입력한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300)은 OK 검사가 완료된 차량들의 결함 내용을 표시한다. 이후, 작업자는 결함에 대한 수정작업을 수행하고, 수정이 완료되면 해당 결함내용을 터치하여 수정완료를 입력한다. 이때,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300)은 각각의 결함내용을 팝업차 형태로 출력할 수도 있다. 즉, 터치스크린(300)은 작업자가 결함 내용을 터치하면 팝업창을 출력하고, 작업자가 수정 버튼을 터치하면 해당 결함 내용에 대한 수정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한다.
이후,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300)은 화면 좌측에 OK 인라인 수정이된 차체 리스트를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터치스크린(300)은 좌측에 표시된 차체 리스트 중에서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차체에 해당하는 결함 내용을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 우측에 표시한다. 이때, 작업자는 수정이 안되거나 리페어장으로 보낼 결함은 문제점을 선택하고 트림 NG 버튼 또는 헤비NG 버튼을 터치하여 해당공정으로 차체 정보를 전송합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은 공정 프로세스 관련정보를 손쉽게 파악 및 입력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자동차 생산라인에서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품질관리서버 110: 차체라인 관리서버
120: 도장라인 관리서버 130: 의장라인 관리서버
142: 제품사양 저장부 144: 검사정보 저장부
146: 작업자정보 저장부 150: 품질관리부
160: 통신부 200: 작업자 단말기
300: 터치스크린 220, 320: 입력부
240, 340: 표시부 260, 360: 중앙처리부
280, 380: 통신부

Claims (6)

  1. 자동차 생산라인의 각 공정 라인에 해당하는 제품의 기준 정보인 사양 정보를 저장하고,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발생하는 검사 정보 및 수정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품질관리서버;
    작업자에 의한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되어, 차체 공정 라인과 도장 공정 라인 및 의장 공정 라인 중에 하나의 공정 라인을 입력받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공정 라인에 해당하는 사양 정보를 상기 품질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양 정보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기 설정된 공정 라인에서의 결함 부위 정보 및 결함 내용 정보를 표시 및 입력하는 검사 정보 유저 인터페이스 및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보를 표시하는 퀵 정보 유저 인터페이스를 탭 형태로 화면 표시하고, 화면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공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산되는 자동차의 검사 정보 및 수정 정보를 입력받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품질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작업자 단말기; 및
    자동차 생산라인의 공정 라인에 고정 설치되는 터치패널로 구성되어, 차체 공정 라인과 도장 공정 라인 및 의장 공정 라인의 검사 항목 들을 화면에 표시하여 검사 항목을 입력받고, 상기 터치패널의 화면 상부에 메뉴를 표시하는 제1표시영역과 상기 제1표시영역의 하단 좌측에 차체번호를 검색과 표시 및 선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2표시영역과, 상기 제2표시영역의 하단에 작업자를 표시 및 선택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3표시영역과, 상기 제1표시영역의 하단 우측에 상기 입력된 검사 항목에 해당하는 검사 정보를 표시 및 입력받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4표시영역으로 구성되고, 화면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공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산되는 자동차의 검사 정보 및 수정 정보를 입력받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품질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품질관리서버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각 공정 라인에 해당하는 제품의 기준 정보인 사양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작업자 단말기 및 터치스크린으로 전송하고,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발생하는 검사 정보 및 수정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
    차체 공정 라인에서 생산되는 차체의 기준 정보인 사양 정보와 도장 공정 라인에서 생산되는 차체의 기준 정보인 사양 정보 및 의장 공정 라인에서 생산되는 차체의 기준 정보인 사양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사양 저장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검사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공정 라인 및 작업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검사정보 저장부;
    작업자 정보를 공정 라인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작업자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제품사양 저장부와 검사정보 저장부 및 작업자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들을 근거로 각 공정 라인에서 생산되는 차체의 품질관리를 수행하는 품질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품질관리서버는,
    차체 공정 라인의 제품사양과 검사 정보와 수정 정보 및 작업자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차체라인 관리서버;
    도장 공정 라인의 제품사양과 검사 정보와 수정 정보 및 작업자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도장라인 관리서버; 및
    의장 공정 라인의 제품사양과 검사 정보와 수정 정보 및 작업자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의장라인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는,
    사양 조회, 검사부위, 퀵1, 퀵2를 포함하는 로그인 메뉴를 화면 표시하고, 표시된 로그인 메뉴 중에서 로그인시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를 설정하는 로그인 이동화면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로그인 이동화면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설정된 메뉴에 해당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 표시하고, 나머지 유저 인터페이스를 백그라운드 탭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는 품질검사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품질검사 유저 인터페이스는,
    차체의 바디 번호를 표시 및 입력받는 차량번호 선택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차량번호 선택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차체의 사양을 표시하고, 각 사양에 대한 검사결과를 입력받는 사양 검사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사양 검사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입력된 검사결과를 근거로 차체 결함 부위를 입력받는 부위 유저 인터페이스; 및
    상기 부위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입력되는 부위에 해당하는 결함 내용을 입력받는 결함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차체검사, 차체수정/탈하, 바디풀, 도장 M/R 검사, 도장 우레탄 T/UP검사, 도장 T/UP검사, OK 검사, OK 수정, OK 확인, 테스트 검사, 테스트 확인, 수밀 검사, 의장 T/UP, 폴리싱, 최종검사, 최종확인, 트림수정장, 헤비수정장, 의장 T/UP 수정장, 수밀수정장을 포함하는 공정 선택 버튼을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공정 선택 버튼들 중에 작업자에 의해 터치된 공정 선택 버튼에 해당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KR1020110079712A 2011-08-10 2011-08-10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KR101247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712A KR101247465B1 (ko) 2011-08-10 2011-08-10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712A KR101247465B1 (ko) 2011-08-10 2011-08-10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338A KR20130017338A (ko) 2013-02-20
KR101247465B1 true KR101247465B1 (ko) 2013-04-01

Family

ID=4789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712A KR101247465B1 (ko) 2011-08-10 2011-08-10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4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5392B2 (en) 2013-12-05 2016-01-26 Hyundai Motor Company Inspection system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607B1 (ko) * 2017-11-24 2019-03-13 김현기 시험 관리 시스템
KR102007142B1 (ko) * 2019-02-27 2019-08-16 주식회사 삼덕로지스틱스 Iot를 이용한 차량 도장면 조명장치
KR20240065124A (ko) * 2021-09-22 2024-05-14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결함 추적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인터페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564A (ko) * 2001-06-14 2002-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체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KR20030078523A (ko) * 2002-03-30 2003-10-08 텔스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생산라인의 품질관리를 위한 통계적 공정관리 시스템 및방법
KR20040092568A (ko) * 2003-04-24 2004-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제조공장의 생산라인용 자기완결형 품질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564A (ko) * 2001-06-14 2002-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체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KR20030078523A (ko) * 2002-03-30 2003-10-08 텔스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생산라인의 품질관리를 위한 통계적 공정관리 시스템 및방법
KR20040092568A (ko) * 2003-04-24 2004-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제조공장의 생산라인용 자기완결형 품질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5392B2 (en) 2013-12-05 2016-01-26 Hyundai Motor Company Inspection system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338A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1385B2 (en) Application facilitated claims damage estimation
US11625791B1 (en) Feedback loop in mobile damage assessment and claims processing
CN107144992B (zh) 基于aoi技术的全自动化lcd检测控制系统及方法
US202201014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pediting purchase of vehicular insurance
US10878507B1 (en) Feedback loop in mobile damage assessment and claims processing
KR101247465B1 (ko) 자동차 생산라인의 통합 품질관리 시스템
US10572944B1 (en) Claims damage estimation using enhanced display
US10846627B2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product repair cost estimates
US11403713B2 (en) Configuration and transfer of image data using a mobile device
US20140337077A1 (en) Task assignment and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CN111598280B (zh) 一种设备报修方法和装置
JP2017027374A (ja) 車両情報取得システム
US20140365335A1 (e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JP2019106052A (ja) 査定支援システム、そのサーバ装置、端末、査定支援方法
CN106773855B (zh) 车辆诊断选项显示方法和车辆诊断装置
JP2022063775A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671907A (zh) 用于监控车辆生产的生产监控方法和装置及存储介质
JP6987469B2 (ja) 検査管理システム
CN111325551A (zh) 一种支付系统
CN113484030B (zh) 异响源位置确定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5092289A (zh) 汽车总装车间电器故障诊断系统及方法
KR102207225B1 (ko) 블랙박스 영상 제공이 가능한 도로주행시험 관리시스템
KR102160504B1 (ko) 고객의 차량상태를 서비스하는 방법
US7028885B2 (en) Automated condition evaluator
JP7123513B2 (ja) 検査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