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948B1 - 이전의 발신 시도들에 기초하는 데이터 콜 발신의 제어 - Google Patents

이전의 발신 시도들에 기초하는 데이터 콜 발신의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948B1
KR101246948B1 KR1020077021358A KR20077021358A KR101246948B1 KR 101246948 B1 KR101246948 B1 KR 101246948B1 KR 1020077021358 A KR1020077021358 A KR 1020077021358A KR 20077021358 A KR20077021358 A KR 20077021358A KR 101246948 B1 KR101246948 B1 KR 101246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all
origination
attempt
call
re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1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4166A (ko
Inventor
스리람 나게시 누칼라
로템 쿠퍼
제임스 에이 허치슨
베누고팔 라마무시 (고팔)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14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무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더 높은 레이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데이터 콜을 발신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한다. 발신 제어가 적용되지 않으면,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콜을 즉시 발신한다. 그렇지 않으면, 데이터 콜의 발신은, 그 데이터 콜에 적용가능한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들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1)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거나, (2)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지만 이러한 미성공 발신 시도 이후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한다면, 즉시 데이터 콜을 발신할 수도 있다.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고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하지 않으면, 무선 디바이스는, (1) 이러한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하여 그 후 데이터 콜을 발신할 때까지 대기하거나, (2) 그 데이터 콜을 거부할 수도 있다.
데이터 콜 발신 시도, 스로틀링

Description

이전의 발신 시도들에 기초하는 데이터 콜 발신의 제어{CONTROL OF DATA CALL ORIGINATION BASED ON PRIOR ORIGINATION ATTEMPTS}
본 특허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실패 원인에 기초한 데이터 콜 발신의 스로틀링 (Throttling of the Data call originations based on Failure reasons)" 으로 2005년 2월 17일자로 출원되어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어 있으며, 여기서 참조로서 명백하게 포함되는 가출원 제 60/654,771 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배경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콜을 발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음성, 데이터, 비디오, 브로드캐스트, 메시징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를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그러한 다중-액세스 네트워크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네트워크,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네트워크,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네트워크,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CDMA 네트워크는, cdma2000, 광대역- CDMA (W-CDMA) 등과 같은 라디오 (radio) 액세스 기술 (RAT) 을 구현할 수도 있다. cdma2000은 IS-2000 및 IS-95 표준을 커버링한다. TDMA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 (GSM) 과 같은 RAT를 구현할 수도 있다. 다양한 RAT들 및 표준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해 데이터 콜을 발신할 수도 있다. 데이터 콜을 발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데이터 콜 발신으로 지칭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콜 발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들로 태스크들의 시퀀스를 수행한다. 데이터 콜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성공 또는 실패할 수도 있다. 데이터 콜이 실패하면, 무선 디바이스는 한번 더 데이터 콜을 발신할 수도 있다. 각각의 발신 시도의 결과에 의존하여, 무선 디바이스는, 콜 실패의 원인에 관계없이 가능하면 자동적으로 데이터 콜 발신을 임의의 횟수로 반복할 수도 있다. 각각의 실패된 발신 시도는, 임의의 유용한 결과 또는 이점을 달성하지 않고 가치있는 라디오-링크 리소스를 소비한다.
따라서, 라디오-링크 리소스를 보존하기 위한 방식으로 데이터 콜 발신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이 당업계에 요구된다.
요약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의 이력 (또는 콜 이력) 에 기초하여 데이터 콜의 발신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이 여기에서 설명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콜 이력 테이블에 콜 이력을 보유할 수도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그 테이블에서 각각의 엔트리는 무선 네트워크, 네트워크 구역, 및 데이터 콜 타입의 상이한 조합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 각각의 엔트리는, 마지막 데이터 콜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는지 또는 성공적이지 않았는지의 여부, 그 마지막 데이터 콜 발신 시도 이후의 실패된 발신 시도의 횟수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라디오-링크 리소스가 보전되도록 후속 데이터 콜 발신을 제어하기 위해, 콜 이력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서, 데이터 콜을 발신하기 위한 요청이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더 높은 레이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고, 데이터 콜의 발신을 제어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발신 제어는 데이터 콜의 일정 타입에 적용될 수도 있지만, 데이터 콜의 다른 타입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발신 제어가 적용되지 않으면,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콜을 즉시 발신한다. 그렇지 않으면, 데이터 콜의 발신은, 이러한 데이터 콜에 적용가능한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예를 들어, (1)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거나 (2)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미성공 발신 시도 이후에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하면,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콜을 즉시 발신할 수도 있다.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고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하지 않으면, 무선 디바이스는, (1)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 후 데이터 콜을 발신할 수도 있거나, (2) 데이터 콜을 거부할 수도 있다. 소정의 시간 주기는 고정된 지속기간 또는 가변의 지속기간일 수도 있다. 가변의 지속기간은, 마지막의 성공적인 발신 시도 이후의 미성공 발신 시도들의 횟수 (예를 들어, 더 많은 실패된 발신 시도들에 대한 더 긴 지속기간), 가장 최근의 발 신 시도에 대해 직면된 실패의 타입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들에 의존할 수도 있다. 데이터 콜이 발신되면, 콜 이력은 이러한 발신 시도에 대한 결과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이 더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특성, 본질은 도면과 함께 취해졌을 때 아래에 진술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하게 될 것이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대응하는 대상을 나타낸다.
도 1은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무선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2a는 간단한 (Simple) IP에 대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데이터 콜 발신을 도시한다.
도 2b은 이동 (Mobile) IP에 대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데이터 콜 발신을 도시한다.
도 3은 콜 스로틀링 (throttling) 에 의한 데이터 콜 발신을 도시한다.
도 4는 예시적인 콜 이력 테이블을 도시한다.
도 5는 스로틀링으로 데이터 콜 발신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6은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의 이력에 기초하여 데이터 콜 발신을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7은 무선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무선 디바이스내의 제어기를 도시한다.
상세한 설명
여기에서 "예시적인" 이라는 용어는 "예,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제공되는"의 의미로 사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여기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형태 또는 설계는 다른 실시형태 또는 설계에 비하여 반드시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서 해석할 필요는 없다.
데이터 콜의 발신을 제어하기 위해 여기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시스템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술들은, cdma2000 네트워크, 1xEV-DO 네트워크,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 GSM 네트워크, GSM 및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GPRS) 를 구현한 GSM/EDGE 네트워크, IEEE 802.11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등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명확화를 위해, 아래의 설명의 대부분은 cdma2000 및 1xEV-DO 네트워크에 대한 것이다. cdma2000 네트워크는 IS-2000 및/또는 IS-95를 구현하고,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1xEV-DO 네트워크는 IS-856을 구현하며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 최적화되어 있다.
도 1은, 액세스 제공자 네트워크로 또한 지칭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와 통신하는 무선 디바이스 (110) 를 도시한다. 무선 네트워크 (100) 는 cdma2000 네트워크 또는 1xEV-DO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 (100) 는, 기지국 (122), 패킷 제어 기능 (PCF; 124),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DSN; 130), 원격 인증 다이얼-인 사용자 서비스 (RADIUS) 서버 (132) 및 홈 에이전트 (home agent; HA; 134) 를 포함한다. 기지국 (122) 은 무선 디바이스를 위한 라디오 통신을 제공하며, 또한, 액세스 포인트 (1xEV-DO 용어), 기지국 트랜시버 (BTS), 또는 일부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패킷 제어 기능 (124) 은 기지국 (122) 과 PDSN (130) 사이의 데이터 패킷들의 송신을 제어한다. PDSN (130) 은 무선 네트워크 (100) 에서 무선 디바이스용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한다. RADIUS 서버 (132) 는, 인증, 인가, 및 어카운팅 (accounting) (AAA) 기능을 제공한다. 홈 에이전트 (134) 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IP) 을 지원하며, 외부 네트워크에 현재 부착된 이동 무선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것을 담당한다. PDSN (130), RADIUS (132), 및 홈 에이전트 (134) 는 직접적인 접속 또는 IP 네트워크 (140) 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IP 네트워크 (140) 는 공공 인터넷 및/또는 사설 I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호스트 (150) 와 같은 다른 엔티티들이 IP 네트워크 (140)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 (100) 는 라디오 네트워크 (120)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라디오 네트워크 (120) 는 기지국 (122) 및 패킷 제어 기능 (124) 을 포함하며 라디오 통신을 지원한다.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는 PDSN (130) 을 포함하며 라디오 네트워크 (120) 와 IP 네트워크 (140) 사이의 패킷-스위칭된 통신을 지원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100) 는, 간략화를 위해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엔티티들은 다른 용어에 의해 지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MTS 네트워크에서, 기지국 (122) 은 노드 B로 지칭되고, 패킷 제어 기능 (124) 은 서빙 GPRS 지 원 노드 (SGSN) 으로 지칭되며, PDSN (130) 은 게이트 GPRS 지원 노드 (GGSN) 으로 지칭된다.
무선 디바이스 (110) 는 고정 또는 이동중일 수도 있으며, 이동국 (cdma2000 용어), 액세스 단말기 (1xEV-DO 용어), 사용자 장비 (UMTS 용어), 단말기, 가입자 유닛, 또는 일부 다른 용어로 지칭된다. 무선 디바이스 (110) 는 cdma2000 네트워크 또는 1xEV-DO, 또는 양 네트워크들과 통신할 수 있을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 (100) 는 간단한 IP 및/또는 이동 IP를 지원할 수도 있다. 간단한 IP는, 무선 디바이스가 IP 어드레스를 할당받고 무선 네트워크에 의한 IP 라우팅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로 지칭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그의 IP 어드레스가 동일한 서빙 PDSN에 대한 접속도를 갖는 라디오 네트워크에 의해 서빙되는 한, 그 IP 어드레스를 보유한다. 이동 IP는, 상이한 PDSN들에 접속된 라디오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핸드오프되는 경우라도 무선 디바이스가 영속적인 (persistent) IP 어드레스를 보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칭한다. 데이터 콜 발신은 간단한 IP 및 이동 IP에 대해 상이하다.
도 2a는 간단한 IP에 대하여 무선 디바이스 (110) 에 의한 데이터 콜 발신에 대한 콜 흐름 (200) 을 도시한다. 데이터 콜 발신은, 무선 디바이스 (110) 의 사용자 또는 무선 디바이스상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개시될 수도 있다. 먼저, 무선 디바이스 (110) 는 라디오 네트워크 (120) 와의 라디오 접속을 확립하여, 그 라디오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트래픽 채널을 초기 설정한다 (단계 210). 그 후, 무선 디바이스 (110) 는 PDSN (130) 과의 PPP (포인트-투-포인트 프로토콜) 세션을 확립한다 (블록 220). 그 PPP 세션을 확립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 (110) 및 PDSN (130) 은 데이터 링크를 구성 및 테스트하도록 LCP (링크 제어 프로토콜) 패킷들을 교환한다 (단계 222). 데이터 링크가 확립된 이후, 무선 디바이스 (110) 는 CHAP (Challenge 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 또는 PAP (Password Authorization Protocol) 를 사용하여 인증될 수도 있다 (단계 224). 또한, 무선 디바이스 (110) 가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인가가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224). 그 후, 무선 디바이스 (110) 및 PDSN (130) 은, PPP의 상단에서 동작하는 IP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들을 선택 및 구성하기 위해, NCP (Network Control Protocol) 패킷 또는 IPCP (Internet Protocol Control Protocol) 패킷을 교환한다 (단계 226). 그 후, 무선 디바이스 (110) 는 PDSN (130) 을 통해 원격 호스트 (150) 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단계 230).
도 2b는 이동 IP에 대하여 무선 디바이스 (110) 에 의한 데이터 콜 발신에 대한 콜 흐름 (250) 을 도시한다. 먼저, 무선 디바이스 (110) 는 라디오 네트워크 (120) 와의 라디오 접속을 확립하여, 트래픽 채널을 초기 설정한다 (단계 260). 그 후, 무선 디바이스 (110) 는 PDSN (130) 과의 PPP 세션을 확립한다 (블록 270). PPP 세션을 확립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 (110) 및 PDSN (130) 은 데이터 링크를 구성 및 테스트하도록 LCP 패킷들을 교환한다 (단계 272). 데이터 링크가 확립된 이후, 무선 디바이스 (110) 는 CHAP 또는 PAP를 이용하지 않아야 하고, PPP 인증을 요청하지 않아야 한다 (단계 274). 그 후, 무선 디바이 스 (110) 및 PDSN (130) 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을 선택 및 구성하도록 NCP 또는 IPCP 패킷들을 교환한다 (단계 276). 그 후, 무선 디바이스 (110) 는, 홈 에이전트 (134) 에 등록, 무선 디바이스를 인증, 및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 무선 디바이스를 인가하는 것을 수반하는, 이동 IP (MIP) 등록을 수행한다 (단계 280). 그 후, 무선 디바이스 (110) 는 PDSN (130) 을 통해 원격 호스트 (150) 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단계 290).
cdma2000에서 간단한 IP 및 이동 IP 양자에 대한 데이터 콜 발신은, 명칭이 "cdma2000 무선 IP 네트워크 표준: 간단한 IP 및 이동 IP 액세스 서비스 (cdma2000 Wireless IP Network Standard: Simple IP and Mobile IP Access Services)" 인, 2003년 8월자 3GPP2 X.S0011-002-C 에 설명되어 있다. PPP 확립은, 명칭이 "포인트-투-포인트 프로토콜 (PPP) (The Point-to-Point Protocol)" 인, 1994년 7월자 RFC 1661에 설명되어 있다. 이동 IP 등록은, 명칭이 "IP 이동도 지원 (IP Mobility Support)" 인 1996년 10월자 RFC 2002에 설명되어 있다. 이들 문서들은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하다.
무선 디바이스 (110) 는, 임의의 소정의 순간에 널 (null) 상태, 휴면 상태, 또는 활성 상태에 있을 수도 있다. 널 상태에서, PPP가 확립되지 않으며, 트래픽 채널도 할당되지 않는다. 휴면 상태에서, PPP가 확립되지만, 트래픽 채널은 할당되지 않는다. 활성 상태에서, PPP가 확립되고, 트래픽 채널이 할당되며,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널 상태에서 데이터 콜을 발신할 수 있으며, 휴면 상태에서 데이터 콜을 재-발신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데이터 콜 발신들이 성공적인 경우를 도시한다. 많은 예시에서, 데이터 콜 발신들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성공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콜 발신은 다음의 원인들 중 임의의 원인때문에 실패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7067252711-pct00001
무선 디바이스가 유효한 데이터 가입자가 아니다.
Figure 112007067252711-pct00002
인증이 PPP 또는 MIP 등록에서 실패한다.
Figure 112007067252711-pct00003
네트워크가 일시적으로 이용가능하지 않다.
Figure 112007067252711-pct00004
다른 원인들.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 가입자에 대한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을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콜을 발신한다. 기지국은 PDSN과 통신하고, 또한, 통상적으로 (간단한 IP에 대해) RADIUS 서버 또는 (이동 IP에 대해) 홈 에이전트와 통신한다. RADIUS 서버 또는 홈 에이전트는, 무선 디바이스가 요청된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 가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렇지 않다면, 무선 디바이스가 유효한 데이터 가입자가 아니라고 기지국에 통지한다. 그 후, 기지국은 그 이유로 데이터 콜 발신을 거부한다.
인증 실패에 대한 일부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을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널 상태로부터 데이터 콜을 발신한다. 기지국은 트래픽 채널을 그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한다. 그 후, PPP는 무선 디바이스와 PDSN 사이에서 협의된다. 간단한 IP에 있어서, PPP 협의 동안의 인증 (예를 들어, CHAP 또는 PAP) 은 실 패할 수도 있다. 이동 IP에 있어서, MIP 등록 동안의 인증은 실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비이용가능도에 대한 일부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을 수도 있다. 일 시나리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널 상태로부터 데이터 콜을 발신한다. 라디오 네트워크가 패킷 제어 기능과 PDSN 사이에서 A10/A11 접속을 확립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 콜을 거부한다면, 그 데이터 콜은 실패할 수도 있다. 또한, 라디오 네트워크가 A10/A11 접속을 성공적으로 확립하지만 PPP 협의가 불량한 상태에 있는 PDSN으로 인해 실패한다면, 데이터 콜은 실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시나리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휴면 상태로부터 데이터 콜을 재-발신한다. 라디오 네트워크가 PDSN과 통신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 콜을 거부한다면, 그 데이터 콜은 실패할 수도 있다. 또한, 라디오 네트워크가 데이터 콜을 수용하지만 PDSN이 불량한 상태에 있어서 그 데이터 콜을 폐기한다면, 그 데이터 콜은 실패할 수도 있다.
또한, 간단한 IP 및 이동 IP에 대한 데이터 콜 발신은, LCP 타임아웃, IPCP 타임아웃, PPP 셋업 실패 등으로부터 초래되는 PPP 협의 실패로 인해 실패할 수도 있다. LCP 구성-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이 LCP 타임아웃 주기내에서 수신되지 않으면, LCP 타임아웃이 발생한다. IPCP 타임아웃 주기 이후에 IPCP 협의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IPCP 타임아웃이 발생한다. 무선 디바이스의 옵션에서의 미스매치, 및 초기 데이터 콜 셋업 또는 핸드오프에 후속하는 PPP 재동기화에 대한 PDSN으로 인해, PPP 셋업은 실패할 수도 있다. 간단한 IP에 있어서, PPP 협의 실패는 또한 PPP 인증 실패로부터 초래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IP (MIP) 에 대한 데이터 콜 발신은, MIP 에이전트 간청 (solicitation) 타임아웃, MIP RRQ (등록 요청) 타임아웃, MIP 외부 에이전트 실패, 및 MIP 홈 에이전트 실패와 같은 원인들 때문에 실패할 수도 있다. 에이전트 간청 메세지에 대한 응답이 타임아웃 주기내에서 수신되지 않으면, MIP 에이전트 간청 타임아웃이 발생한다. 등록 요청에 대한 회답이 RRQ 타임아웃 주기내에서 수신되지 않으면, MIP RRQ 타임아웃이 발생한다. 외부 에이전트 실패 코드를 갖는 등록 회답 메세지가 홈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되면, MIP 외부 에이전트 실패가 발생한다. 홈 에이전트 실패 코드를 갖는 등록 회답 메세지가 PDSN으로부터 수신되면, MIP 홈 에이전트 실패가 발생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콜 이력 테이블에서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들의 이력을 보유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콜 이력 테이블에서의 각각의 엔트리는, 무선 네트워크, 네트워크 구역, 및 데이터 콜 타입의 상이한 조합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 각각의 엔트리는, 마지막 데이터 콜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는지 또는 성공적이지 않았는지의 여부, 마지막 성공적인 발신 시도 이후의 실패된 데이터 콜 발신 시도 (또는 콜 실패) 의 횟수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콜 이력은 장래의 데이터 콜 발신에 대한 성공의 가능도를 나타내는 콜 실패의 일정 타입에 대해 보유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라디오-링크 리소스가 보존되도록 후속 데이터 콜 발신들을 제어하기 위해 이러한 콜 이력을 이용할 수도 있다. 장래의 데이터 콜 발신을 제어하기 위한 이전의 발신 시 도들의 이용은 "콜 스로틀링" 으로 지칭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다음의 타입의 콜 실패들은 장래의 데이터 콜 발신들의 스로틀링을 초래한다.
Figure 112007067252711-pct00005
라디오 네트워크에 의한 데이터 콜 발신의 거부 - 이는 유효한 데이터 가입자가 아닌 무선 디바이스, PDSN과 통신할 수 없는 라디오 네트워크 등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다.
Figure 112007067252711-pct00006
인증 실패 - 이는 (간단한 IP에 대하여) PPP 협의 또는 (이동 IP에 대하여) MIP 등록동안 발생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7067252711-pct00007
PPP 협의 실패 - 이는 불량한 상태에 있는 PDSN, LCP 타임아웃, IPCP 타임아웃, PPP 셋업 실패 등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다.
Figure 112007067252711-pct00008
이동 IP 셋업 실패 - 이는 MIP 에이전트 간청 타임아웃, MIP RRQ 타임아웃, MIP 외부 에이전트 실패, MIP 홈 에이전트 실패 등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가 휴면 상태로부터 데이터 콜을 재-발신하면, PPP 협의가 수행되지 않는다. PDSN은 불량한 상태에 있을 수도 있으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폐기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가 통과하고 있지 않음을 알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가 휴면 상태로부터 데이터 콜을 재-발신하고 라디오 네트워크가 그 데이터 콜을 수용하지만 데이터가 적절히 교환되지 않으면, 무선 디바이스는 장래의 데이터 콜들을 스로틀링하기 위해 더 높은 레이어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데이터 콜을 다시 발신하기 이전에, 콜 실패 이후 대기하 기 위한 시간의 양을 나타내는 백-오프 (back-off) 타이머에 기초하여, 콜 스로틀링이 달성된다. 타이머는 각각의 콜 실패 이후에 점점 더 큰 값에 설정될 수도 있고, 데이터 콜이 성공적이면 재설정될 수도 있다. 타이머는, 제 1 콜 실패 이후 W1분, 제 2 콜 실패 이후 W2분, 제 3 콜 실패 이후 W3분, 제 4 콜 실패 이후 W4분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일반적으로, W1≤W2≤W3≤W4이다. 예를 들어, 4개의 지수 값들, W1=1, W2=2, W3=4, W4=8분의 세트가 타이머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임의의 수의 타이머 값들 및 임의의 소정의 타이머 값을 포함할 수도 있는 타이머 값들의 다른 세트들이 타이머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을 위해 선택된 타이머 값들의 세트는 W로 나타낸다. 타이머가 구동중이면,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콜을 발신하지 않는다.
도 3은 콜 스로틀링에 의한 데이터 콜 발신을 도시한다. 시간 T1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콜을 발신한다. 시간 T2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콜 실패에 직면하고, 타이머를 W1분에 설정하며, 타이머를 시작한다. 타이머가 만료할 때까지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콜을 발신하지 않는다. 시간 T2의 W1분 후인 시간 T3에서, 타이머가 만료한다. 시간 T3 이후인 시간 T4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콜을 다시 발신한다. 시간 T5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콜 실패에 직면하고, 타이머를 W2분에 설정하며, 타이머를 시작한다. 시간 T5의 W2분 후인 시간 T6에서, 타이머가 만료한다. 시간 T6이후의 시간 T7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콜을 다시 발신한다. 시간 T8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콜이 성공적이라고 결정하며, 다음의 콜 실패를 직면하면 및 직면할 때 타이머를 (W3분 대신에) W1분에 설정하도록 콜 이력을 클리어한다.
동시에 데이터 콜을 백-오프 및 발신하는 많은 무선 디바이스들로 인해 무선 네트워크를 오버로딩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상이한 시간 오프셋들이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타이머에 대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전화번호인 이동 디바이스 번호 (MDN) 에 기초하여, 랜덤 오프셋이 각각의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생성될 수도 있다. 그 후, 무선 디바이스용 타이머는 이러한 랜덤 오프셋에 의해 시스템 시간으로부터 오프셋될 것이다.
콜 이력은 다양한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포맷으로 보유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콜 이력은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네트워크 구역에 대해 개별적으로 보유된다. cdma2000에 있어서, 각각의 더 큰 시스템은 시스템 식별 (SID) 값에 의해 식별되고, 소정의 시스템내의 각각의 더 작은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식별 (NID) 값에 의해 식별되며, 소정의 SID/NID 영역내의 각각의 PCF 커버리지 영역은 패킷 구역 식별 (PZID) 값에 의해 식별된다. 따라서, cdma2000 네트워크에서의 각각의 네트워크 구역은 SID/NID/PZID 트리플릿 (triplet) 에 의해 식별된다. 1xEV-DO에 있어서, 시스템 및 더 작은 네트워크는 서브넷-ID를 사용하여 식별되며, 그 서브넷-ID는 길이가 최대 128비트일 수도 있고, 명칭이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 (IPv6) 규격" 인 1998년 12월자 RFC2460에 설명된 IPv6 표현 포맷을 따를 수도 있다. 따라서, 1xEV-DO 네트워크에서의 각각의 네트워크 구역은 서브넷-ID에 의해 식별될 수도 있다. 유사한 네트워크 식별자는, GSM, GSM/GPRS, UMTS, 및 802.11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 구역에 대해 개별적으로 콜 이력을 보유하는 이유는, 하나의 네트워크 구역에서의 콜 실패가 다른 네트워크 구역에서의 데이터 콜 발신에 대한 성공의 가능도를 나타내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콜 이력은 각각의 해당 데이터 콜 타입에 대해 개별적으로 보유된다. cdma2000에 있어서, 콜 이력은, (1)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옵션 33 (SO-33), (2) 낮은 데이터 레이트 회로-스위칭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옵션 12 (SO-12), (3) IS-95A에서의 중간 데이터 레이트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옵션 15 (SO-15), 및 (4) IS-95B에서의 중간 데이터 레이트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옵션 25 (SO-25) 와 같은 데이터 콜 타입들에 대하여 보유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cdma2000에서의 모든 서비스 옵션들은 하나의 데이터 콜 타입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도 있으며, 콜 이력은 이러한 하나의 데이터 콜 타입에 대해 보유될 수도 있다. 1xEV-DO에 있어서, 콜 이력은 패킷 데이터인 하나의 데이터 콜 타입에 대해 보유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콜 이력은 임의의 수의 데이터 콜 타입 및 임의의 소정의 데이터 콜 타입에 대해 보유될 수도 있다. 각각의 데이터 콜 타입에 대해 개별적으로 콜 이력을 유지하는 이유는, 하나의 데이터 콜 타입에 대한 콜 실패가 다른 데이터 콜 타입에 대한 데이터 콜 발신에 대하여 성공의 가능도와 상관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콜 이력은 콜 스로틀링이 적용되는 콜 실패의 일정 타입만을 추적할 수도 있다. 또한, 콜 이력은 실패된 데이터 콜에 대해 직면되는 실패의 타입을 추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콜 이력은, 콜 실패가 라디오 네트워크 거부, 인증 실패, PPP 협의 실패, 이동 IP 셋업 실패 등으로 인한 것인지의 여부를 추적할 수도 있다. 타이머 값들의 동일한 또는 상이한 세트가 상이한 콜 실패 타입들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더 작은 타이머 값들의 제 1 세트는 라디오 네트워크 거부로 인한 콜 실패들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고, 더 큰 타이머 값들의 제 2 세트는 PPP 협의 실패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으며, 훨씬 더 큰 타이머 값들의 제 3 세트는 이동 IP 셋업 실패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타이머 값들은 기대된 양의 시간에 매칭될 수도 있으며, 그 기대된 시간 양에서, 콜 실패의 원인은 치유될 것이다. 타이머 값들은, 필드 측정치,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기초하여, 또는 일부 다른 수단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콜 이력은, 콜 실패가 라디오 네트워크, PDSN, 또는 이동 IP로 인한 것인지의 여부를 추적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모든 콜 실패는 동일한 타입의 것으로 처리되며, 콜 이력은 각각의 콜 실패에 대한 실패 타입을 추적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콜 이력은 임의의 수의 콜 실패 타입 및 임의의 소정의 콜 실패 타입을 추적할 수도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콜 이력 테이블 (400) 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실 시형태에 있어서, 테이블 (400) 은, 네트워크 타입, 네트워크 구역, 데이터 콜 타입, 콜 실패 타입, 스로틀 인에이블, 현재의 타이머 값, 및 마지막 발신 시도의 시간에 대한 7개의 열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타입은 cdma2000 또는 1xEV-DO에 설정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구역은 cdma2000에 대한 SID/NID/PZID 트리플릿 또는 1xEV-DO에 대한 서브넷-ID에 설정될 수도 있다. 데이터 콜 타입은, cdma2000에 대한 SO-33, SO-12, SO-15, 또는 SO-25, 또는 1xEV-DO에 대한 패킷 데이터에 설정될 수도 있다. 실패 타입은, 라디오 네트워크 관련 실패에 대한 "라디오 네트워크", PPP 관련 실패에 대한 "PPP", 또는 이동 IP 관련 실패에 대한 "이동 IP" 에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네트워크 타입, 네트워크 구역, 및 데이터 콜 타입의 각각의 상이한 조합에 대하여, 하나의 엔트리가 테이블 (400) 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엔트리에 있어서, 스로틀 인에이블은, (1) 그러한 엔트리 (예를 들어, 동일한 데이터 콜 타입의 데이터 콜, 네트워크 구역, 및 엔트리로서의 무선 네트워크) 에 의해 커버링된 데이터 콜의 발신에 대해 스로틀링이 수행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예', 또는 (2) 스로틀링이 수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아니요' 중 하나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제로 (W0=0) 의 타이머 값은 스로틀링이 수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테이블 (400) 의 엔트리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 및 삭제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먼저 테이블은 엔트리를 포함하지 않는다. 콜 실패가 발생할 때마다, 그 콜 실패에 대한 콜 실패 타입, 데이터 콜 타입, 네트워크 구역, 및 무선 네트워크가 확인된다. 데이터 콜 타입, 네트워크 구역, 및 무선 네트워크의 이러한 조합에 대해 엔트리가 이미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으면, 이러한 콜 실패에 대해 신규한 엔트리가 테이블에 생성된다. 이러한 조합에 대해 엔트리가 이미 테이블에 존재하면, 이러한 엔트리는 이러한 콜 실패로 업데이트된다. 콜 성공을 직면할 때마다, 데이터 콜에 대한 데이터 콜 타입, 네트워크 구역, 및 무선 네트워크가 확인된다. 데이터 콜 타입, 네트워크 구역, 및 무선 네트워크의 이러한 조합에 대한 테이블에서의 엔트리는 식별되고 이러한 콜 성공으로 업데이트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엔트리들은 콜 실패가 발생한 때에 생성되고, 콜 성공을 직면할 때 삭제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데이터 콜 타입, 네트워크 구역, 및 무선 네트워크의 모든 또는 다수의 가능한 조합에 대해 엔트리들이 생성되고, 콜 실패 및 성공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테이블 (400) 은, (1) 각각의 엔트리에 대한 가장 최근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의 상태 (예를 들어, 성공 또는 실패), 및 (2) 각각의 엔트리에 대한 마지막 성공적인 발신 시도 이후의 실패된 발신 시도들의 수와 같은, 그 각각의 엔트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정보의 이러한 2개의 부분들은, 그러한 엔트리에 대하여 (존재한다면) 가장 최근의 실패에 대한 백-오프 타이머에 대해 사용되는 타이머에 의해 용이하게 표현될 수도 있다. 엔트리에 대한 타이머 값은 0으로 초기화될 수도 있고, 또한, 그 엔트리에 대해 콜 성공을 직면하면 0으로 재설정될 수도 있다. 콜 성공을 직면하면, 엔트리에 대한 타이머 값은 세트 W (예를 들어, 0으로부터 W1, W1으로부터 W2, W2로부터 W3, 또는 W3로부터 W4) 에서의 다음의 값으로 증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0의 타이머 값은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나타내고, W1의 타이머 값은 마지막 성공적인 발신 시도 이후의 하나의 실패된 발신 시도를 나타내고, W2의 타이머 값은 마지막 성공적인 발신 시도 이후의 2개의 실패된 발신 시도를 나타내고, W3의 타이머 값은 마지막 성공적인 발신 시도 이후의 3개의 실패된 발신 시도를 나타내며, W4의 타이머 값은 마지막 성공적인 발신 시도 이후의 4개 이상의 실패된 발신 시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형태에서, 또한, 테이블 (400) 은 각각의 엔트리에 대한 마지막 발신 시도의 시간을 저장한다. 이러한 마지막 시도 시간은 엔트리에 대한 타이머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현재 시간에서 마지막 시도 시간을 감산한 것이 현재의 타이머 값과 동일 또는 더 크다면, 타이머는 만료된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마지막 시도 시간은 테이블에서의 오래된 엔트리들을 정화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이 사이즈에서 제한되면, 데이터 콜 타입, 네트워크 구역, 및 무선 네트워크의 신규한 조합에 대한 엔트리는 테이블에서의 가장 오래된 마지막 시도 시간으로 그 엔트리를 오버라이팅 (overwrite) 할 수도 있다.
도 4는 콜 이력 테이블의 특정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임의의 포맷을 가질 수도 있고, 데이터 콜 발신을 제어하는데 적절한 임의의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테이블에 대한 다른 설계들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도 5는 스로틀링으로 데이터 콜 발신을 수행하는 프로세스 (500) 를 도시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콜을 발신하기 위한 요청을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더 높은 레이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다 (블록 510). 그 후, 무선 디바이스는 스로틀링을 그 데이터 콜에 적용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블록 512). 이는, (1) (예를 들어, 동일한 무선 네트워크, 네트워크 구역, 및 데이터 콜 타입에 대한) 데이터 콜에 적용가능한 콜 이력 테이블에서 엔트리를 식별하고, (2) 스로틀링 인에이블이 그 엔트리에 대하여 '예' 로 설정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콜의 일부 타입에 스로틀링을 적용할 수도 있고, 데이터 콜의 다른 타입에 스로틀링을 적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블록 514에서 판정된 바와 같이, 스로틀링이 데이터 콜에 적용되지 않으면,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콜을 즉시 발신한다 (블록 516).
스로틀링이 데이터 콜에 적용되면, 무선 디바이스는 그 데이터 콜에 적용가능한 타이머가 만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블록 518).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다면, 타이머는 구동하고 있지 않을 것이며 만료된 것으로 고려된다.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다면, 타이머는 이러한 미성공 발신 시도에 의해 시작할 것이고 만료되거나 만료되지 않을 수도 있다.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으면, 무선 디바이스는 타이머가 만료하는 것을 대기한다 (블록 520). 타이머가 만료한 후,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콜을 발신한다 (블록 522).
그 후, 데이터 콜에 대해 콜 실패를 직면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블록 524). 대답이 '예' 이고 Wx가 세트 W에서 아직 최대가 아니라면, 무선 디바이스는 Wx로부터 Wx+1까지 타이머 값을 증가시킨다 (블록 526). 그 후, 무선 디바이스는 현재의 타이머 값으로 타이머를 시작한다 (블록 528). 그렇지 않고 데이터 콜이 성공적이고 대답이 블록 524에 대해 '아니요' 라면, 무선 디바이스는 콜 이력을 클리어하고 타이머 값을 0으로 재설정한다 (블록 530).
도 6은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의 이력에 기초하여 데이터 콜 발신을 제어하는 프로세스 (600) 를 도시한다. 먼저, 데이터 콜을 발신하기 위한 요청이,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더 높은 레이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다 (블록 610). 그 후, 데이터 콜의 발신을 제어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블록 612). 이는, (1) 데이터 콜을 커버링하는 테이블 엔트리를 식별하고, (2) 발신 제어가 그 엔트리에 의해 커버링되는 데이터 콜에 적용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블록 614에서 판정된 바와 같이, 발신 제어가 데이터 콜에 적용되지 않으면,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 콜을 즉시 발신한다 (블록 626).
발신 제어가 데이터 콜에 적용되면, 데이터 콜의 발신은, 그 데이터 콜에 적용가능한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블록 620). 이러한 이전의 발신 시도는 그 데이터 콜을 커버링하는 테이블 엔트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블록 620에 있어서, 먼저, 데이터 콜에 대한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블록 622). 대답이 '예' 라면, 무선 디바이스는 그 데이터 콜을 즉시 발신한다 (블록 626). 그렇지 않고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다면, 무선 디바이스는 마지막 미성공 발신 시도 이후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한 다음에 데이터 콜을 발신한다 (블록 624). 이러한 소정의 시간 주기는 고정된 지속기간 또는 가변 지속기간일 수도 있다. 가변 지속기간은, 마지막 성공적인 발신 시도 이후의 미성공 발신 시도들의 횟수 (예를 들어, 더 많은 실패된 발신 시도들에 대한 더 긴 지속기간), 데이터 콜 타입, 콜 실패 타입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들에 의존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블록 624 대신,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하지 않았다면, 데이터 콜은 거부될 수도 있다.
데이터 콜 발신 이후,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의 이력은 현재의 발신 시도에 대한 결과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다 (블록 630). 현재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면, 이러한 발신 시도는 마지막 성공적인 발신 시도가 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현재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미성공 발신 시도들의 횟수는 증분된다.
프로세스들 (500 및 600) 은 여기에 설명된 기술들 중 2개의 실시형태에 대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기술들은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일정 환경에서, 스로틀링이 인에이블되더라도, 무선 디바이스는 실패된 데이터 콜 이후에 즉시 데이터 콜을 발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IP 데이터 콜이 실패하면, 무선 디바이스가 간단한 IP 데이터 콜을 발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의 미하는, MIP-to-SIP 폴백 (fallback) 이 허용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스로틀링을 간단한 IP 데이터 콜에 적용하지 않고, 이동 IP 콜 실패 이후 즉시 간단한 IP 데이터 콜을 발신할 수도 있다. 또한, 간단한 IP 데이터 콜이 실패하면, 무선 디바이스는 후속 데이터 콜 발신들에 스로틀링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무선 디바이스는, 이동 IP 콜 실패로 인해 간단한 IP 데이터 콜에 스로틀링을 적용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멀티-모드/하이브리드일 수도 있으며, cdma2000 및 1xEV-DO 네트워크 양자와 통신할 수 있을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1xEV-DO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콜을 발신할 수도 있고, 콜 실패를 직면할 수도 있다. 그 후, 무선 디바이스는 스로틀링으로 또는 스로틀링없이 cdma2000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콜을 발신할 수도 있다. cdma2000 및 1xEV-DO 네트워크는 독립적인 네트워크로서 고려될 수도 있으므로, 일 네트워크를 통한 콜 실패는 다른 네트워크를 통한 콜 성공의 가능도에 관해 임의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1xEV-DO 네트워크를 통한 콜 실패를 직면한 이후 즉시 cdma2000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콜을 발신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cdma2000 및 1xEV-DO 네트워크는 상관된 것으로 고려될 수도 있으므로, 일 네트워크를 통한 콜 실패는 다른 네트워크를 통한 콜 실패의 더 큰 가능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관은, 양 네트워크가 유사한 로딩 프로파일을 갖는다는 것, 일부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공유한다는 것 등 때문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1xEV-DO 네트워크를 통한 콜 실패로 인한 정상 또는 감소된 백-오프 주기를 대기한 이후, 무선 디바이스는 cdma2000을 통해 데이터 콜을 발신할 수도 있다.
도 7은 무선 디바이스 (110) 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그 디바이스는, 무선 네트워크 (100) 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모뎀, 제어기 (740), 메모리 (742), 및 타이머 (744) 를 포함한다. 송신 경로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 (110) 에 의해 전송될 데이터 및 시그널링은 인코더 (722) 에 의해 프로세싱 (예를 들어, 포맷팅, 인코딩, 및 인터리빙) 되고, 변조기 (Mod; 724) 에 의해 추가적으로 프로세싱되어, 데이터 칩의 스트림을 생성한다. 그 후, 송신기 유닛 (TMTR; 732) 은 그 데이터 칩 스트림을 컨디셔닝 (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필터링, 증폭, 및 주파수 상향변환) 하여 역방향 링크 신호를 생성하며, 그 신호는 안테나 (736) 를 통해 송신된다. 수신 경로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100) 에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순방향 링크 신호는 안테나 (736) 에 의해 수신되어 수신기 유닛 (RCVR; 738) 에 제공된다. 수신기 유닛 (738) 은 그 수신 신호를 컨디셔닝 (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주파수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 하여 데이터 샘플을 생성한다. 복조기 (Demod; 726) 는 그 샘플을 프로세싱 (예를 들어, 디스크램블링, 역확산, 채널화, 및 복조) 하여 심볼 추정치를 획득한다. 디코더 (728) 는 그 심볼 추정치를 추가적으로 프로세싱 (예를 들어,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 하여 디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한다. 인코더 (722), 변조기 (724), 복조기 (726), 및 디코더 (728) 는 모뎀 프로세서 (720)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닛들은 무선 네트워크 (100) 에 의해 사용된 무선 기술 (예를 들어, cdma2000, 1xEV-DO) 에 따라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제어기 (740) 는 무선 디바이스 (110) 내의 다양한 유닛들의 동작을 안내한다. 제어기 (740) 는, 데이터 콜들의 발신을 제어하기 위해, 도 5의 프로세스 (500) 및/또는 도 6의 프로세스 (600) 를 구현할 수도 있다. 메모리 유닛 (742) 은 제어기 (740) 및 다른 유닛들에 의해 사용된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타이머 (744) 는 콜 스로틀링을 위한 백-오프 타이머를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타이밍 정보를 제공한다.
도 8은 무선 디바이스 (110) 내의 제어기 (740) 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제어기 (740) 내에서, 더 높은 레이어 애플리케이션 (812) 은, 예를 들어, 데이터 서비스, 사용자 브라우저,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을 제공하는 데이터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다양한 최종-사용자 (end-user)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콜을 발신하기 위한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공통 데이터 프로토콜 모듈 (814) 은, 예를 들어, IP, PPP, 송신 제어 프로토콜 (TCP),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UDP)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콜 제어 모듈 (816) 은 데이터 콜의 확립 및 분해를 제어하고, 데이터 콜의 발신을 요청하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및 네트워크 구역을 추적한다. 콜 관리자 (818) 는 콜을 관리하고, 데이터의 발신 및 다른 타입의 콜을 제어하며, 이러한 콜의 상태를 추적한다. 콜 프로세싱 모듈 (820) 은 라디오 네트워크와 교환된 시그널링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송신 (TX) 모듈 (822) 은 무선 모뎀의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수신 (RX) 모듈 (824) 은 무선 모뎀의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더 높은 레이어 애플리케이션 (812) 은 공통 데이터 프로 토콜 모듈 (814) 과 통신하고, 또한, 그 공통 데이터 프로토콜 모듈 (814) 은 콜 제어 모듈 (816) 과 통신하고, 또한, 그 콜 제어 모듈 (816) 은 콜 관리자 (818) 와 통신하고, 또한, 그 콜 관리자 (818) 는 콜 프로세싱 모듈 (820) 과 통신하며, 또한, 그 콜 프로세싱 모듈 (820) 은 TX 모듈 (822) 및 RX 모듈 (824) 과 통신한다. 메모리 유닛 (742) 은 데이터 콜의 발신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콜 이력 테이블 (830) 을 저장할 수도 있다. 콜 이력 테이블 (830) 은 도 4의 테이블 (400) 과 동일한 포맷을 가질 수도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콜 관리자 (818) 는 데이터 콜의 발신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콜 관리자 (818) 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I) 를 제공하여, 다른 엔티티들로 하여금 데이터 콜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하게 하고 백-오프 타이머를 재설정하게 할 수도 있다. 콜 관리자 (818) 는, 데이터 콜에 대한 성공 또는 실패의 표시 및 각각의 실패된 데이터 콜에 대한 실패 타입의 표시를 콜 제어 모듈 (816) 로부터 수신한다. 콜 관리자 (818) 또는 일부 다른 엔티티는 콜 이력 테이블 (830) 을 보유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기술들은, 예를 들어, 소켓들 및 속박된 데이터 콜들, 간단한 IP 및 이동 IP 데이터 콜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 콜들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속박된 데이터 콜은, 무선 디바이스에 커플링되고 데이터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단말기 장비 (예를 들어, 랩탑 컴퓨터) 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콜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술들은, 무선 디바이스가 콜 실패들 및 가능하면 이러한 콜 실패들의 원인의 정보를 갖고 있는 임의의 타 입의 데이터 콜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들 기술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데이터 콜의 발신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세싱 유닛 (예를 들어, 제어기 (740) 또는 콜 관리자 (818)) 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 (DSPD),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자 디바이스, 여기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그들의 조합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여기에서 설명된 기술은 여기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들어, 절차, 함수 등과 같은)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 (예를 들어, 도 7의 메모리 유닛 (742)) 에 저장되고 프로세서 (예를 들어, 제어기 (740)) 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내에서, 또는 프로세서의 외부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형태의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수행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형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는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성에 부합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Claims (34)

  1.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들의 이력을 저장하도록 동작하는 메모리 유닛;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콜을 발신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성공적이지 않았던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를 포함하는 상기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들의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콜의 발신의 금지를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데이터 콜에 대한 콜 타입, 상기 데이터 콜에 대한 네트워크 구역, 상기 데이터 콜에 대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콜의 발신의 금지를 제어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이전의 데이터 콜에 대한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는지 또는 성공적이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다면,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 이후의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상기 데이터 콜의 발신을 금지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마지막 성공적인 발신 시도 이후의 실패된 발신 시도들의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를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는, 실패된 발신 시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더 길어지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는, 실패된 발신 시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수적으로 더 길어지는,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다면 즉시 상기 데이터 콜을 발신하고,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다면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한 이후 상기 데이터 콜을 발신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데이터 콜에 대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들의 이력을 업데이트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거나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하였으면, 즉시 상기 데이터 콜을 발신하고,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하지 않았다면, 상기 데이터 콜을 발신하기 위한 상기 요청을 거부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이전의 데이터 콜에 대한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다면 현재의 타이머 값으로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한 후 상기 데이터 콜을 발신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데이터 콜이 성공적이면 최소 값으로 상기 현재의 타이머 값을 재설정하고, 상기 데이터 콜이 성공적이지 않으면, 최대값 미만인 경우 상기 타이머 값을 증가시켜 상기 현재의 타이머 값으로 상기 타이머를 시작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들의 이력은 마지막 성공적인 발신 시도 이 후의 실패된 발신 시도들의 횟수를 나타내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이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 상이한 네트워크 구역들, 상이한 타입의 데이터 콜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상기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들의 이력을 저장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들의 이력을 포함하는 테이블을 저장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테이블에서의 각각의 엔트리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네트워크 구역, 및 데이터 콜 타입의 상이한 조합에 대한 것인,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유닛은, 마지막 성공적인 발신 시도 이후의 실패된 발신 시도들의 횟수, 상기 엔트리에 의해 커버링되는 데이터 콜들의 발신을 제어할지의 여부에 대한 표시, 마지막 발신 시도의 시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상기 테이블에서의 각각의 엔트리에 대해 저장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유닛은, 실패된 발신 시도와 함께 상기 테이블에서의 각각의 엔트리에 대한 콜 실패 타입을 저장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각각의 콜 실패 타입은 타이머 값들의 세트와 관련되고, 각각의 타이머 값은, 실패된 발신 시도 이후 또 다른 데이터 콜 발신을 시도하기 이전에 대기할 시간의 양을 나타내는, 장치.
  17.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콜을 발신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성공적이지 않았던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를 포함하는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들의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콜의 발신의 금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콜 발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콜의 발신의 금지를 제어하는 단계는,
    이전의 데이터 콜에 대한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는지 또는 성공적이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다면,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 이후의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상기 데이터 콜의 발신을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콜 발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콜의 발신의 금지를 제어하는 단계는, 마지막 성공적인 발신 시도 이후의 실패된 발신 시도의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콜 발신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콜의 발신의 금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다면 즉시 상기 데이터 콜을 발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다면,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한 이후 상기 데이터 콜을 발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콜 발신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콜에 대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들의 이력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콜 발신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콜의 발신의 금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다면, 또는,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고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하였다면, 즉시 상기 데이터 콜을 발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하지 않았다면, 상기 데이터 콜을 발신하기 위한 상기 요청을 거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콜 발신 방법.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이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 상이한 네트워크 구역들, 상이한 타입의 데이터 콜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상기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들의 이력을 보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콜 발신 방법.
  24.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콜을 발신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 및
    성공적이지 않았던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를 포함하는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들의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콜의 발신의 금지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콜의 발신의 금지를 제어하는 수단은,
    이전의 데이터 콜에 대한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는지 또는 성공적이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다면,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 이후의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상기 데이터 콜의 발신을 금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콜의 발신의 금지를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다면 즉시 상기 데이터 콜을 발신하는 수단; 및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다면,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한 이후 상기 데이터 콜을 발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콜에 대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들의 이력을 업데이트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콜의 발신의 금지를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다면, 또는,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하였다면, 즉시 상기 데이터 콜을 발신하는 수단; 및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하지 않았다면, 상기 데이터 콜을 발신하기 위한 상기 요청을 거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이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 상이한 네트워크 구역들, 상이한 타입의 데이터 콜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상기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들의 이력을 보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30. 무선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콜을 발신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성공적이지 않았던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를 포함하는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들의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콜의 발신의 금지를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31. 제 30 항에 있어서,
    이전의 데이터 콜에 대한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는지 또는 성공적이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다면,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 이후의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상기 데이터 콜의 발신을 금지하도록 동작가능한 명령들을, 또한, 저장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다면 즉시 상기 데이터 콜을 발신하고,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다면,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한 이후 상기 데이터 콜을 발신하도록 동작가능한 명령들을, 또한, 저장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었다면, 또는,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하였다면, 즉시 상기 데이터 콜을 발신하고,
    상기 가장 최근의 발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하지 않았다면, 상기 데이터 콜을 발신하기 위한 상기 요청을 거부하도록 동작가능한 명령들을, 또한, 저장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이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 상이한 네트워크 구역들, 상이한 타입의 데이터 콜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상기 이전의 데이터 콜 발신 시도들의 이력을 보유하도록 동작가능한 명령들을, 또한, 저장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KR1020077021358A 2005-02-17 2006-02-16 이전의 발신 시도들에 기초하는 데이터 콜 발신의 제어 KR101246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5477105P 2005-02-17 2005-02-17
US60/654,771 2005-02-17
US11/239,711 US8660527B2 (en) 2005-02-17 2005-09-29 Control of data call origination based on prior origination attempts
US11/239,711 2005-09-29
PCT/US2006/005786 WO2006089198A1 (en) 2005-02-17 2006-02-16 Control of data call origination based on prior origination attemp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166A KR20070114166A (ko) 2007-11-29
KR101246948B1 true KR101246948B1 (ko) 2013-03-25

Family

ID=3658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1358A KR101246948B1 (ko) 2005-02-17 2006-02-16 이전의 발신 시도들에 기초하는 데이터 콜 발신의 제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60527B2 (ko)
EP (2) EP1849332B1 (ko)
JP (2) JP4805956B2 (ko)
KR (1) KR101246948B1 (ko)
CN (1) CN101161020B (ko)
AT (1) ATE518403T1 (ko)
TW (1) TWI395503B (ko)
WO (1) WO20060891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8234B2 (en) * 2005-05-17 2009-07-07 Tektronix, Inc. System and method for correlation of mobile subscriber activity across multiple interfaces in a GPRS network
US7535848B2 (en) * 2005-05-17 2009-05-19 Tektronix,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IP services to mobile subscribers
US8331934B1 (en) 2005-06-09 2012-12-1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hard handoff in HRPD
WO2007021943A2 (en) * 2005-08-11 2007-02-22 Starent Network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gestion control signaling
US7761097B2 (en) * 2005-10-31 2010-07-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permitting communication system transition based upon signal threshold determination
CN101558670B (zh) * 2006-12-13 2011-07-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改变业务选项到电路数据的方法
US8412207B2 (en) * 2006-12-21 2013-04-02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Method of providing a mobility service
US8125954B2 (en) * 2007-05-04 2012-02-2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for FA relocation with context transfer in wireless networks
US8116727B1 (en) * 2008-06-19 2012-02-14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d presenting a current likelihood of a mobile station successfully engaging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8898323B2 (en) * 2008-10-22 2014-11-25 Qualcomm Incorporated Mobility protocol selection in a multi-internet protocol mobility environment
US8683048B2 (en) * 2008-11-26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IP services
US8699323B2 (en) * 2009-12-21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ed data retry mechanisms for evolved high rate packet data (EHRPD)
JP5329386B2 (ja) * 2009-12-24 2013-10-3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及び制御方法
US8780965B2 (en) * 2010-07-30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ing data calls on a mobile device with multiple modems
PL2418911T3 (pl) * 2010-08-13 2013-11-29 Deutsche Telekom Ag Sposób, publiczna naziemna sieć mobilna, wyposażenie użytkownika oraz program do sterowania ustanawianiem połączenia danych pakietowych
US8811281B2 (en) 2011-04-01 2014-08-19 Cisco Technology, Inc. Soft retention for call admission control in communication networks
US9161380B2 (en) 2011-07-19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Silent redial during mobile-originated call
US8738075B2 (en) * 2011-08-10 2014-05-27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radio resource control
US9042888B2 (en) * 2011-12-05 2015-05-26 Apple Inc. Mobile device network signaling management
US10219207B2 (en) 2012-03-12 201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access control with ensured service continuity guarantees
KR20130104175A (ko) * 2012-03-13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폰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50119034A1 (en) * 2013-10-31 2015-04-30 At&T Mobility Ii, Ll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wireless access to a communication system
CN106255051A (zh) * 2016-09-23 2016-12-21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设备的连接方法及设备
US10757602B2 (en) * 2018-12-07 2020-08-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nection history-based retry throttling
US10904938B2 (en) 2019-03-12 2021-0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ircuit-switched domain response to packet-switched domain failure
US11303754B1 (en) * 2021-01-13 2022-04-1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Ringless voicemail attempt detection
US11470675B2 (en) 2021-03-03 2022-10-11 Motorola Mobility Llc Call type selection based on failure probability
US11540179B2 (en) 2021-03-03 2022-12-27 Motorola Mobility Llc Multiple call types for a call event
US11523318B1 (en) 2021-07-15 2022-12-06 Motorola Mobility Llc Call recovery for multiple call failur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74508A1 (en) 1997-04-18 1998-10-28 Harris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to provide called party location and pre-call warning
US5960338A (en) * 1996-09-27 1999-09-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and preventing fraudulent long distance telephone calls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2510A (en) * 1988-04-27 1991-04-30 Scientific Atlantic Inc. Dynamic callback technique
US5280630A (en) * 1992-01-21 1994-01-1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channel allocation
US5640445A (en) * 1995-05-26 1997-06-17 Eis International, Inc Outbound call pacing method which statistically matches the number of calls dialed to the number of available operators
JP3783879B2 (ja) * 1996-03-07 2006-06-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安全弁
US5896448A (en) * 1996-12-17 1999-04-20 Bellsout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calls based on call success history
EP0948868A1 (en) * 1996-12-20 1999-10-13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011978A (en) * 1997-03-07 2000-01-04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system switching in a multiple-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H10262143A (ja) 1997-03-18 1998-09-29 Nec Eng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US6085084A (en) * 1997-09-24 2000-07-04 Christmas; Christian Automated creation of a list of disallowed network points for use in connection blocking
US6311055B1 (en) * 1997-10-02 2001-10-30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strictions on mobile-originated calls
JP2001119452A (ja) 1999-10-15 2001-04-27 Denso Corp 無線通信装置
JP2001268616A (ja) 2000-03-21 2001-09-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接続失敗履歴に基づく基地局選択方法
JP4141614B2 (ja) 2000-05-02 2008-08-27 株式会社リコー 通信装置
JP2002152838A (ja) 2000-11-13 2002-05-24 Denso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移動局によって再接続を試みる間の時間の長さを変化させる方法、および移動局
WO2002045386A2 (en) 2000-11-28 2002-06-06 Denso Corporation Retry limits for connection rescue procedures in telecommunication systems
US7187930B2 (en) 2000-11-28 2007-03-06 Denso Corporation Retry limits for connection rescue procedures in telecommunication systems
JP4336051B2 (ja) 2001-01-31 2009-09-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端末、発呼制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457265B2 (en) * 2001-06-13 2008-11-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ity management entity for high data rat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7180879B2 (en) * 2001-08-17 2007-02-20 Ragulan Sinnarajah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setup latency reduction
JP3719191B2 (ja) 2001-10-22 2005-11-24 富士通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情報提示方法
KR100405046B1 (ko) * 2001-10-30 2003-11-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사용 이력 관리에 의한배터리 대기시간 증대 방법 및 그 장치
JP3544368B2 (ja) * 2001-11-16 2004-07-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待ち受け制御方法および移動機
US20030210649A1 (en) * 2002-05-03 2003-11-13 Bondi Andre B. Managing network loading by control of retry processing at proximate switches associated with unresponsive targets
JP3973500B2 (ja) * 2002-07-03 2007-09-12 株式会社ケンウッド 通信機器
JP3969264B2 (ja) * 2002-09-24 2007-09-05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移動局
ATE345024T1 (de) * 2003-05-14 2006-11-15 Research In Motion Ltd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zeitgeber-basierte registrierung in einem mobilfunk-netz
US7194257B2 (en) * 2004-12-27 2007-03-2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utomatic dialing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7433335B2 (en) * 2005-06-29 2008-10-0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selecting an access channel or a traffic channel for data transmission
WO2007012024A1 (en) * 2005-07-19 2007-01-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quality of service processing
US8417285B2 (en) * 2006-03-17 2013-04-09 At&T Mobility Ii Llc Mobility management message analysi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0338A (en) * 1996-09-27 1999-09-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and preventing fraudulent long distance telephone calls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0874508A1 (en) 1997-04-18 1998-10-28 Harris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to provide called party location and pre-call war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60527B2 (en) 2014-02-25
WO2006089198A1 (en) 2006-08-24
ATE518403T1 (de) 2011-08-15
US20060183472A1 (en) 2006-08-17
JP5280484B2 (ja) 2013-09-04
KR20070114166A (ko) 2007-11-29
EP1849332A1 (en) 2007-10-31
CN101161020B (zh) 2014-02-26
JP2008530961A (ja) 2008-08-07
EP1849332B1 (en) 2011-07-27
JP2011182453A (ja) 2011-09-15
EP2276291B1 (en) 2018-05-23
TW200644678A (en) 2006-12-16
JP4805956B2 (ja) 2011-11-02
EP2276291A1 (en) 2011-01-19
TWI395503B (zh) 2013-05-01
CN101161020A (zh) 200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948B1 (ko) 이전의 발신 시도들에 기초하는 데이터 콜 발신의 제어
US80911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ifferent authentication credentials
US8447877B2 (en) Always-on wireless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
JP5048854B2 (ja) 無線装置で勝手に送りつけられて来るipパケットを受信することの影響を軽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026342B1 (ko)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 연결의 핸드오프에 대한 방법 및장치
US8218530B2 (en) Seamless handoff between access networks with saved session information
KR100450950B1 (ko) 구내/공중망 무선 패킷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이동단말기의 인증 방법 및 그 사설망 시스템
KR100968093B1 (ko) 휴면 데이터 세션 동안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데이터접속을 유지하는 방법
JP4856233B2 (ja) 共通ipアドレス付きの移動端末および無線装置
EP1692902B1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secure access and roaming support for mobile subscribers in a semi-connected mode
US20060104282A1 (en) Mobile node (MN) discovery using the protocol for carrying authentication for network access (PANA)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A2551989A1 (en) Scheme for resolving authentication in a wireless packet data network after a key upd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226

Effective date: 2012051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