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941B1 - 차량용 하중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하중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941B1
KR101246941B1 KR1020120052672A KR20120052672A KR101246941B1 KR 101246941 B1 KR101246941 B1 KR 101246941B1 KR 1020120052672 A KR1020120052672 A KR 1020120052672A KR 20120052672 A KR20120052672 A KR 20120052672A KR 101246941 B1 KR101246941 B1 KR 101246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vehicle
load
ai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율
Original Assignee
김창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율 filed Critical 김창율
Priority to KR1020120052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 G01G19/1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having fluid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0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helical sp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용 하중감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는 차량의 차체가 하중에 의해 하강하는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하강 정도에 비례하는 공기압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다이어프레임이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공기압 밸브; 밸브를 상기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캡; 일 단이 밸브의 다이어프레임에 연결된 실린더; 일 단이 차량의 구동축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이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어, 차체의 하강에 따라 실린더 내부로 진입하는 제1 로드; 및 실린더 내의 제1 로드와 다이어프레임 사이에 마련되고, 실린더 내부로 진입하는 제1 로드에 의해 압축될 경우 다이어프레임을 가압하여 밸브를 개방하는 메인 스프링;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하중감지장치{Weight Sensing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하중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작비용을 줄이면서 차량에 적재되는 적재물로 인한 하중을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차량용 하중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계용량 이상의 무거운 짐을 싣고 다니는 트럭은 차량 자체의 안정성에도 문제를 야기하지만, 도로 파괴의 주범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트럭의 경우, 바퀴를 구동하는 축당 허용된 무게에 관한 안전규격이 있으며, 규정범위를 넘어서는 짐을 싣게 되는 경우에는 단속의 대상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가변축(Lift Axle)을 장착하여 보조 바퀴를 운용하는 것이다. 가변축은 필요에 따라 내리거나(적차시) 올릴 수(공차시)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가변축을 내릴 경우 가변축에 연결된 보조바퀴가 차량의 하중을 나누어 지지함으로써 각 축당 부가되는 하중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가변축은 리프트(Lift) 에어스프링(Air Spring)과 로드(Load) 에어스프링의 동작에 의해 내려지거나 올려진다. 그리고 리프트 에어스프링과 로드 에어스프링은 소정의 공기압 회로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동작의 제어는 운전자가 직접 제어하는 방식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중 리프트 에어스프링과 로드 에어스프링의 제어를 자동으로 하기 위해서 적재물의 무게를 판단하는 방법은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차체와 지면과의 간격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차량의 하부에 거리센서를 부착하고, 적재물의 무게 정도에 따라서 차량이 눌려짐에 따라서 차체와 지면과의 거리가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적재물의 무게를 추정하는 것이다.
이처럼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무게를 추정하는 방법은 간접적인 방법으로서 신뢰도에 한계가 있다. 예컨대, 거리센서와 지면 사이에 존재하는 다른 장애물이나 물건에 의해서 적재량 측정에 큰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차량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하중을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적재물이 실려지는 차체에 직접적으로 무게센서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겠지만, 각각의 구동축이 인가받는 하중의 측정을 위해서 여러 개의 센서를 설치하기에는 비용이 많이 소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무게를 신뢰도 높게 추정할 수 있는 차량용 하중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는 차량의 차체가 하중에 의해 하강하는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하강 정도에 비례하는 공기압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다이어프레임이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공기압 밸브; 밸브를 상기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캡; 일 단이 밸브의 다이어프레임에 연결된 실린더; 일 단이 차량의 구동축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이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어, 차체의 하강에 따라 실린더 내부로 진입하는 제1 로드; 및 실린더 내의 제1 로드와 다이어프레임 사이에 마련되고, 실린더 내부로 진입하는 제1 로드에 의해 압축될 경우 다이어프레임을 가압하여 밸브를 개방하는 메인 스프링;을 구비한다.
제1 로드 끝단에 형성된 회전축; 및 회전축을 지지하는 홈이 형성되고 제1 로드를 구동축 하우징에 고정되는 구동축 하우징 결합부;를 포함하되, 구동축 하우징 결합부의 홈은 상부를 향해서 개방되어 제1 로드가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질 때 홈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는 메인스프링에 삽입되어서 메인스프링의 압축과 팽창시에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제2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는 밸브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압을 측정하는 공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공압센서는 공기압 밸브의 출구에 설치되어 밸브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하중감지장치를 이용하는 가변축 제어시스템은 하중감지장치의 공기압 밸브로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탱크; 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별도의 바퀴를 지지하는 가변축; 및 공압센서에서 측정한 공기압에 따라서 가변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때 가변축은 에어탱크로부터의 공압을 제공받아서 팽창함으로써 가변축을 지면으로 내리는 로드 에어스프링; 에어탱크로부터의 공압을 제공받아서 팽창함으로써 가변축을 지면으로부터 올리는 리프트 에어스프링;을 구비하고, 제어부는 측정된 공기압이 높을수록 로드 에어스프링으로 제공되는 공압을 높이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하중감지장치에 의하면 차체의 이동이 아닌 다른 요소에 의해서 적재물의 무게를 추정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때문에, 적재물에 의한 하중을 감지하는 과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의 절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가 차량에 결합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차체에 인가되는 하중에 따라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의 변위를 나타내는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를 이용한 가변축 제어시스템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차량용 하중감지장치가 차량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100)는 화물차량에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에 의해서 차체(301)가 내려앉는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100)는 일단이 구동축 하우징(324)에 고정되고 타단이 적재함인 차체(301)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적재물에 의해서 차체(301)가 하중을 받으면, 차량용 하중감지장치(100)에서 구동축 하우징(324)에 결합되는 제1 로드(11)는 바퀴가 일정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수평으로부터 고정된 높이를 유지한다. 그리고, 차체(301)와 결합되는 캡(41)은 하중에 의해서 차체(301)가 아래로 내려앉는 것에 대응하여 하강한다. 즉, 차량용 하중감지장치(100)의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의 위치가 가변하기 때문에 실린더(13)와 연결되는 제1 로드(11)는 실린더(13) 내부의 메인스프링(15)을 가압한다. 이때 제1 로드(11)에 의해서 메인스프링(15)이 압축될 경우에 밸브(30)에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서 유로의 개방 여부가 결정된다. 그리고, 유로를 개방하는 정도에 따라서 달라지는 공압을 산출하여 차체(301)가 받는 하중을 추정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의 구성을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는 실린더(13), 제1 및 제2 로드(11,12), 메인스프링(15), 밸브(30) 및 공압센서(39)를 구비한다.
실린더(13)는 내부가 비어있는 공간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의 공간에는 메인스프링(15)이 삽입된다.
제1 로드(11)는 실린더(13) 내부로 일정 부분이 피스톤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제1 로드(11)는 메인스프링(15)이 탄성 운동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 실린더(13) 내부로 밀려 들어가면서 메인스프링(15)을 압축한다.
제2 로드(12)는 실린더(13) 내부에서 메인스프링(15)이 탄성에 의해서 움직이는 것을 안내한다. 이러한 제2 로드(12)는 제1 로드(11)의 끝단에 연결되며, 실린더(13)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밸브(30)는 메인스프링(15)이 압축되는 정도를 바탕으로 차체(301)가 받는 하중을 추정하기 위한 것으로 다이어프레임(37), 유로(31,32) 및 스템(35)를 구비한다.
다이어프레임(37)은 메인스프링(15)의 끝단에 배치되어 메인스프링(15)의 가압에 따라서 메인스프링(15)의 용수철 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유로(31,32)는 에어탱크에서 제공받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유로(31) 및 제1 유로(32)를 경유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유로(32)를 포함한다.
스템(35)은 다이어프레임(37)의 가압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유로를 폐쇄하며, 다이어프레임(37)이 가압하는 것에 대응하여 밀려남으로써 유로(31,32)를 개방한다.
그리고, 공압센서(39)는 유로(31,32)의 개방 정도에 따라서 가변하는 공압을 측정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100)는 메인스프링(15)을 포함하는 실린더(13)와 실린더(13) 끝단에 형성되는 밸브(30)를 포함하는 기둥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의 차량용 하중감지장치(100)는 양 끝단이 각각 구동축 하우징(324) 및 차체(301)와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100)는 구동축 하우징 결합부(61) 및 차체 결합부(51)를 포함한다.
구동축 하우징 결합부(61)는 제1 로드(11)의 끝단에 장착되는 걸림축(10)이 걸리도록 상부 방향을 향해서 개구되는 홈이 형성되며, 엑슬(320)의 끝단에서 구동축(322)을 감싸는 구동축 하우징(324)에 결합된다.
제1 로드(11)의 걸림축(10)은 이러한 구동축 하우징 결합부(61)에 걸쳐진 상태에서 개구 영역을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때, 걸림축(10)은 자체적인 하중에 의해서 개구 영역의 하단에 고정된 것과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1 로드(11)는 완전히 고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구동축 하우징 결합부(61)의 홈을 따라서 수직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로드(11)의 걸림축(10)이 구동축 하우징 결합부(61) 홈의 상부방향으로 수직이동하는 경우는 차체(301)의 적재물이 없거나 매우 적은 상태에서 구동축(322)의 바퀴가 구덩이 등에 순간적으로 빠지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때에는 구동축(322)의 바퀴가 차체(301)로부터 순간적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차체(301)가 들려지는 것과 같다. 따라서 구동축 하우징 결합부(61)와 차체 결합부(51) 사이의 간격은 하중감지장치(100)가 정상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보다 벌어지게 된다. 이때 제1 로드(11)의 걸림축(10)이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다면 메인스프링(15)을 인장시키는 것과 동일한 현상이 나타나고,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며 메인스프링(15)의 스프링 상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제1 로드(11)의 걸림축(10)은 구동축 하우징 결합부(61)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제1 로드(11) 부분이 순간적으로 내려앉는 정도가 심하면 단순히 메인스프링(15)을 당기는 정도가 아니라 기구적인 파손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축 하우징 결합부(61)의 상부는 개구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고정용 프레임(51)은 차체(301)의 하단에 고정결합되고, 캡(41)은 이러한 고정용 프레임(51)에 회전축(43)을 이용하여 일정 범위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차량에 결합되는 차량용 하중감지장치(100)는 적재물에 의한 하중에 의해서 길이 변화가 나타난다.
적재물의 하중에 의해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100)의 길이변화를 도 4의 (a), (b) 및 (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a)는 차체(301)에 적재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초의 차량용 하중감지장치(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제1 로드(11)의 끝단에 결합되는 걸림축(10)으로부터 캡(41)의 회전축(43)까지의 높이를 h라고 할 때, 실린더(1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로드(11)의 길이(d)는 가장 긴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적재물의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 구동축 하우징(324)의 높이변화는 없는 반면에 차체(301)는 아래로 하강한다. 이러한 이유는 구동축 하우징(324)이 연결되는 바퀴는 지면에 맞닿기 때문에 지면으로부터 높이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차체(301)는 응력에 의해서 판 스프링(310)의 휘어짐에 따라서 아래로 쳐지기 때문이다.
즉, 도 5의 (b)에서와 같이 차체(301)가 하강하면, 제1 로드(11)와 캡(41) 사이의 수평거리의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제1 로드(11)로부터 캡(41)의 회전축(43)까지의 높이는 h보다 낮은 높이(h1)로 된다. 이때 제1 로드(11)에서 캡(41) 까지의 높이가 낮아지는 변화만큼 하중감지장치(100)는 길이방향으로 응력을 받고, 이에 따라서 제1 로드(11)는 실린더 내부로 밀려 들어가면서 메인스프링(15)을 가압한다.
결국 제1 로드(11)가 밀려 들어감으로써 실린더(13) 외부로 돌출되는 제1 로드(11)의 길이는 'd1'으로 감소하고, 제1 로드(11)가 감소한 길이에 대응하는 크기의 힘으로 메인스프링(15)은 가압된다. 제1 로드(11)의 가압에 의해서 메인스프링(15)은 일정부분 압축되면서 다이어프레임(37)을 가압한다.
마찬가지로 차체(301)에 더 큰 하중이 부가될 경우에는 도 5의 (c)에서와 같이 차체(301)가 더 아래로 하강하고, 이에 따라서 제1 로드(11)가 실린더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길이는 더 길어지고, 이에 따라서 메인스프링(15)은 더 큰 가압을 받는다. 따라서, 메인스프링(15)이 다이어프레임(37)을 가압하는 크기가 더 커진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재물의 하중에 의해서 제1 로드(11)가 실린더(13) 내부의 메인스프링(15)을 압축하는 것을 이용하여 적재물의 하중을 추정한다. 메인스프링(15)이 압축될 경우에는 다이어프레임(37)을 가압하면서 밀어내고, 이때, 도 5에 도시된 유로(31,32)가 개방된다. 유로(31,32)는 서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유로(31,32)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1 유로(31)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제2 유로(32)로 배출되는 경로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유로(31,32)는 적재물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 스템(35)에 의해서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하중에 의해서 메인스프링(15)이 가압 될 경우에는 메인스프링(15)에 의해서 밀려나는 다이어프레임(37)은 스템(35)을 밀어낸다. 이때, 스템(35)이 밀려나는 정도에 따라서 유로(31,32)가 개방하는 정도가 달라진다. 즉, 스템(35)이 많이 밀려날 경우에는 유로(31,32)가 많이 개방되고, 스템(35)이 적게 밀려날 경우에는 유로(31,32)가 개방되는 정도가 작다.
결국, 적재물에 의한 하중이 클수록 유로(31,32)가 많이 개방된다.
그리고, 공압센서(39)는 이처럼 밸브(30)의 개방에 의해서 1차 유로(31)에서 2차 유로(32)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공압을 측정한다.
이때, 1차 유로(31)에서 2차 유로(32)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은 1차 유로(31)에서 분사하는 공기에 기인한다. 이를 위해서 1차 유로(31) 측에는 공기의 분사를 위한 에어탱크(미도시)와 같은 공기분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를 이용한 가변축 제어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를 이용한 가변축 제어시스템은 차량용 하중감지장치(100), 가변축 상승에어백(622), 가변축 하강에어백(624), 에어탱크(640), 솔로네이드 밸브(30), 감압 밸브(30) 및 제어부(200)를 구비한다.
차량용 하중감지장치(100)는 차체(301)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체(301)에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을 감지한다. 차량용 하중감지장치(100)가 감지하는 화물의 하중은 스템(35)이 밀려나는 정도에 따른 유로(31,32)가 개방되는 정도에 따라서 변화하는 공압을 측정하여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하중감지장치(100)의 공압센서(39)가 산출하는 유로(31,32)의 공압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200)로 제공된다.
이때, 유로(31,32)의 공압은 에어탱크(640)에서 제1 유로(31)로 제공하는 일정한 크기의 압력이 제2 유로(32)를 통해서 배출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이처럼 유로(31,32)의 공압 정보를 이용하여 가변축(300)의 상승/하강을 제어함으로써 구동축의 부하를 분산시킨다. 즉, 제어부(200)는 차량용 하중감지장치(100)에서 측정한 제2 유로(32)의 공압을 이용하여 차체(301)에 인가되는 하중을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변축 하강에어백(624) 및 가변축 상승에어백(622)으로 출력하는 공압을 제어한다.
가변축 하강에어백(624)은 에어탱크(640)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서 팽창함으로써 가변축(300)을 지면으로 하강시킨다. 이처럼 가변축 하강에어백(624)의 팽창으로 가변축(300)이 하강함에 따라서 가변축(300)은 차체(301)의 하중을 일부 부담한다. 즉, 가변축 하강에어백(624)은 가변축(300)을 지면으로 하강시켜서 구동축의 부하를 가변축(300)으로 분산시킨다.
가변축 상승에어백(622)은 에어탱크(200)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서 팽창함으로써 가변축(300)을 상승시킨다. 이처럼 가변축 상승에어백(622)의 팽창으로 가변축(300)이 상승함에 따라서 가변축(300)이 받는 부하는 감소하고, 가변축(300)이 지면에서 이탈할 경우에는 차체(301)로부터 가변축(300)에 가해지는 하중은 제거된다.
솔로네이드 밸브(30)는 에어탱크(640) 및 가변축 상승에어백(622)과 연결되어서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서 에어탱크(640)의 공압을 가변축 상승에어백(622)으로 출력한다.
감압밸브(30)는 에어탱크(640)로부터 제공받은 공압을 출력압력만큼 조절하여 가변축 하강에어백(624)으로 출력한다.
압력센서(637)는 가변축 하강에어백(624)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이처럼 압력센서(637)에 의한 가변축 하강에어백(624)의 압력감지는 가변축(300)이 인가받는 하중을 측정하는 데에 이용된다.
조작부(652)는 소정의 압력 게이지를 구비하여 압력센서(637)가 감지한 압력을 표시하며, 자동모드를 위한 사용자의 설정압력을 입력받기 위한 키(Key)와 수동모드에서의 제어를 위한 조작레버를 구비한다. 수동 및 자동을 포함하는 조작부(652)에 의한 모든 제어명령은 제어부(200)에게 제공되며, 제어명령에 따른 조작은 제어부(2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7)

  1. 차량의 차체가 하중에 의해 하강하는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하강 정도에 비례하는 공기압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다이어프레임이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공기압 밸브;
    상기 밸브를 상기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캡;
    일 단이 상기 밸브의 다이어프레임에 연결된 실린더;
    일 단이 상기 차량의 구동축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차체의 하강에 따라 상기 실린더 내부로 진입하는 제1 로드; 및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제1 로드와 다이어프레임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 내부로 진입하는 상기 제1 로드에 의해 압축될 경우 상기 다이어프레임을 가압하여 상기 밸브를 개방하는 메인 스프링;을 구비하는 차량용 하중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 끝단에 형성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로드를 상기 구동축 하우징에 고정하는 구동축 하우징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축 하우징 결합부의 홈은 상부를 향해서 개방되어 상기 제1 로드가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질 때 상기 홈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중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프링에 삽입되어서, 상기 메인스프링의 압축과 팽창시에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제2 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중감지장치.
  4. 제 1 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압을 측정하는 공압센서;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하중감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센서는 상기 공기압 밸브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중감지장치.
  6. 제 4 항에 기재된 차량용 하중감지장치;
    상기 하중감지장치의 공기압 밸브로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탱크;
    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별도의 바퀴를 지지하는 가변축; 및
    상기 공압센서에서 측정한 공기압에 따라서 상기 가변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가변축 제어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축은,
    상기 에어탱크로부터의 공압을 제공받아서 팽창함으로써 상기 가변축을 지면으로 내리는 로드 에어스프링;
    상기 에어탱크로부터의 공압을 제공받아서 팽창함으로써 상기 가변축을 지면으로부터 올리는 리프트 에어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공기압이 높을수록 상기 로드 에어스프링으로 제공되는 공압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축 제어시스템.
KR1020120052672A 2012-05-17 2012-05-17 차량용 하중감지장치 KR101246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672A KR101246941B1 (ko) 2012-05-17 2012-05-17 차량용 하중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672A KR101246941B1 (ko) 2012-05-17 2012-05-17 차량용 하중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941B1 true KR101246941B1 (ko) 2013-03-25

Family

ID=4818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672A KR101246941B1 (ko) 2012-05-17 2012-05-17 차량용 하중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9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422A1 (ko) * 2020-07-21 2022-01-27 주식회사 오토비젼 차축이 지지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차량용 하중 측정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6231A (ja) * 1992-11-17 1994-06-03 Suzuki Motor Corp ロードセンシングプロポーショニングバルブ
JPH0834283A (ja) * 1994-07-20 1996-02-06 Showa Aircraft Ind Co Ltd 車輌の積載荷重測定装置
JP2009001257A (ja) 2007-06-22 2009-01-08 Koji Futamura 積載物の重量を計測することができる運搬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6231A (ja) * 1992-11-17 1994-06-03 Suzuki Motor Corp ロードセンシングプロポーショニングバルブ
JPH0834283A (ja) * 1994-07-20 1996-02-06 Showa Aircraft Ind Co Ltd 車輌の積載荷重測定装置
JP2009001257A (ja) 2007-06-22 2009-01-08 Koji Futamura 積載物の重量を計測することができる運搬車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422A1 (ko) * 2020-07-21 2022-01-27 주식회사 오토비젼 차축이 지지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차량용 하중 측정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061B1 (ko) 차량용 가변축 제어방법
CN110802986B (zh) 带有恒力机构的车轮组件
CN106840353B (zh) 一种电子台秤及其称重方法
KR101346290B1 (ko) 차량용 계근장치
US10046946B2 (en) Measuring weight of a compartment
KR101246941B1 (ko) 차량용 하중감지장치
US11858795B2 (en) Pallet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material handling vehicle
CN204354836U (zh) 一种基于磁流变效应的车载过载报警装置
US20010009206A1 (en) Vehicle load detection apparatus
US10676333B2 (en) Mobile lifting column with displacement system for lifting a vehicle, and lif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711750B2 (ja)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
CN207511629U (zh) 一种电梯称重装置
KR20070009024A (ko) 러기지 트레이용 충격시험장치
JP4832179B2 (ja) トラックの積載量検出装置
US3035650A (en) Scale attachment for hydraulic lifts
CN110869199B (zh) 对受到重量负载或有效负载加载的支撑体的内部压力进行基于重量的控制的方法
NL2011367C2 (en) In-ground lifting system for lifting a vehicle and method there for.
KR101632490B1 (ko) 코일 인출 장치
KR102561521B1 (ko) 차량의 가변축 제어 장치
KR102616299B1 (ko) 차량 장착형 중량 측정장치
KR200477231Y1 (ko) 화물차량용 화물리프트 장치
US2624320A (en) Pressure fluid motor with movement limit valve therefor
CN116519108B (zh) 车载称重传感器装置及采集方法
KR102289147B1 (ko) 차축이 지지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차량용 하중 측정장치와 그 방법, 그리고 하중 측정장치를 구비한 가변축제어시스템
JP5014186B2 (ja) 液圧シリンダ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