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490B1 - 코일 인출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490B1
KR101632490B1 KR1020140108694A KR20140108694A KR101632490B1 KR 101632490 B1 KR101632490 B1 KR 101632490B1 KR 1020140108694 A KR1020140108694 A KR 1020140108694A KR 20140108694 A KR20140108694 A KR 20140108694A KR 101632490 B1 KR101632490 B1 KR 101632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upporting
cylinder
support
sk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3938A (ko
Inventor
심광호
신재석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08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490B1/ko
Publication of KR20160023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복수개의 지지스키드; 복수개의 지지스키드 사이에 마련되고, 코일이 안착되어 승하강 하는 코일카; 일측 지지스키드에 마련되고, 상승하는 코일카로부터 코일을 분리시키는 지지슬라이더; 및 상기 지지슬라이더에 마련되고, 분리된 코일을 일측 또는 타측 지지스키드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코일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슬라이더는,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는 제1실린더와, 일단부가 피스톤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1실린더의 신장시 타단부가 코일과 접촉하며 코일의 하중을 지지하는 코일 지지브라켓과, 상기 제1실린더와 일측 지지스키드 사이에서 하면이 일측 지지스키드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면에 제1실린더가 설치되는 서포팅 플레이트와, 제1실린더의 양측에서 서포팅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제1실린더의 신장 방향으로 중공홀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블록과, 일단부가 코일 지지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중공홀에 삽입되어 제1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지지블록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서포팅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인출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코일 인출 장치{APPARATUS FOR EXTRACTING COIL}
본 발명은 코일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단중 코일의 형상 및 품질 손상을 방지하면서 용이한 소단중 코일의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코일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청정라인의 코일처리 프로세스는 텐션릴에서 강판을 코일형태로 감아 코일카을 이용하여 코일을 평량 할 수 있는 스키드에 안착한 후 코일을 평량하여 공장의 상부에 설치된 오버헤드 크레인에 코일을 양쪽에서 잡을 수 있는 통을 이용하여 코일을 처리한다. 이러한 코일은 보통 15~20톤의 중량을 가진 코일을 일반적으로 생산하는 코일이다. 정정라인의 일반적인 코일처리 공정은 이러한 보편적인 코일을 처리 하도록 디자인 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스테인리스 냉연강판의 생산단가가 고가로 제품의 결함이나 수요가의 요구에 의해 3톤 미만으로 소단중으로 코일을 처리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경우 소단중 코일이 코일카 스키드에 적재시 코일의 외경이 찌그러지는 현상으로 코일의 단중을 평량하기 어렵고 상부 오버헤드 크레인 통을 이용하여 코일처리시 코일 외경이 찌그러지는 현상 또한 발생되는 문제로 품질결함 및 공정지연에 대한 문제점이 있어왔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10-2004-0054971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생산되는 코일과 별도로 소단중 코일 생산시 선택적으로 소단중 코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소단중 코일은 상부 오버헤드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로 처리 할 수 있는 장치를 고안하여 종래 상부크레인을 사용시 시간 지연에 따른 생산성 저하와 코일의 외형이 폭방향 및 감김방향으로 찌그러지는 문제점을 제거하고 품질향상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코일 인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인출 장치는 복수개의 지지스키드; 복수개의 지지스키드 사이에 마련되고, 코일이 안착되어 승하강 하는 코일카; 일측 지지스키드에 마련되고, 상승하는 코일카로부터 코일을 분리시키는 지지슬라이더; 및 상기 지지슬라이더에 마련되고, 분리된 코일을 일측 또는 타측 지지스키드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코일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슬라이더는,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는 제1실린더와, 일단부가 피스톤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1실린더의 신장시 타단부가 코일과 접촉하며 코일의 하중을 지지하는 코일 지지브라켓과, 상기 제1실린더와 일측 지지스키드 사이에서 하면이 일측 지지스키드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면에 제1실린더가 설치되는 서포팅 플레이트와, 제1실린더의 양측에서 서포팅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제1실린더의 신장 방향으로 중공홀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블록과, 일단부가 코일 지지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중공홀에 삽입되어 제1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지지블록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서포팅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카 상단의 최대 승강 상태에서 지지슬라이더의 단부는 코일의 하단부를 가압면서 타측 지지스키드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코일 지지브라켓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 중 코일 지지브라켓의 타단부 측에 상기 액츄에이팅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팅 모듈은, 코일 지지브라켓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패널; 및 작동패널의 하방에서 단부가 작동패널의 타단부와 결합하며, 작동시 작동패널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지지브라켓의 상면에는 작동패널이 인출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은 작동패널의 형상과 매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작동패널이 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방으로 인출되어 코일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일 지지브라켓이 코일을 지지할 때 코일이 상기 작동패널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서포팅 플레이트와 일측 지지스키드의 상단부 사이에는 로드셀이 마련되고, 코일 지지브라켓이 코일의 하중을 지지할 때 상기 로드셀의 검출값을 통해 코일의 무게값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슬라이더의 돌출된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코일 인출 장치에 따르면, 스테인리스 정정라인의 소단중 코일처리시 코일이 코일카 하부로 빠지는 현상과 외경에 품질결함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하고 소단중 코일시 처리시간에 따른 공정지연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제거하여 생산성 향상과 품질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인출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인출 장치의 인출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코일 인출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인출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인출 장치의 인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인출 장치는 서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스키드(100a,100b); 복수개의 지지스키드(100a,100b) 사이의 상기 설정된 간격에 마련되고, 코일(500)이 안착되는 상단이 승하강 하는 코일카(400); 복수개의 지지스키드(100a,100b) 중 일측 지지스키드(100a)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코일카(400)의 승강에 따라 단부가 타측 지지스키드(100b)를 향해 돌출되어 코일(500)을 코일카(400)로부터 분리시키며, 돌출된 단부가 코일(500)을 지지하는 지지슬라이더(200); 및 상기 지지슬라이더(200)의 단부에 마련되고, 제어신호에 따라 돌출되며, 코일(500)을 일측 지지스키드(100a) 또는 타측 지지스키드(100b)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코일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팅 모듈(221,22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릴(미도시)로부터 코일을 수용하게 된 코일카(400)의 상단은 코일카의 이송을 위해 상기 복수개의 지지스키드(100a,100b),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지지스키드(100a,100b) 사이에서 상방으로 리프팅 되며, 리프팅을 위해 상기 코일카(400)에는 승강 실린더(420)가 마련될 수 있다. 적절한 높이로 리프팅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지지스키드(100a,100b) 중 어느 하나와 코일카(400) 모두 또는 어느 하나에는 위치 센서(401), 예컨데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 등의 송신기와 수신기가 각각 부착되어 코일카(400)의 상단이 설정된 위치가 되면 승강 실린더(420)를 제어하여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승강 실린더(42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위치 센서(401)에는 서술한 센서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감지 센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위치 센서(401)는 코일카(400)의 상단이 최대 승강상태일 때 코일카(400) 상단의 끝단이 상기 지지슬라이더(200)의 돌출된 단부에 인접하게 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슬라이더(200)의 단부가 돌출되면서 코일(500)의 하단부를 가압할 때, 지지슬라이더(200)의 단부가 코일(500)의 외주면을 따라 코일(500)의 저부로 미끄러지면서 코일(500)을 상방으로 리프팅 할 수 있는 위치에 코일(500)이 배치되도록 코일카(400) 상단의 최대 승강 높이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슬라이더(200)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지지슬라이더(200)는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는 제1실린더(210); 및 일단부가 피스톤의 단부에 고정되고, 제1실린더(210)의 신장시 타단부가 코일(500)과 접촉하며 코일(500)을 지지하는 코일 지지브라켓(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지지브라켓(22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 중 코일 지지브라켓(220)의 타단부 측에 상기 액츄에이팅 모듈(221,22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팅 모듈(221,222)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액츄에이팅 모듈(221,222)은 코일 지지브라켓(2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코일 지지브라켓(220)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패널(221); 및 작동패널(221)의 하방에서 단부가 작동패널(221)의 타단부와 결합하며, 작동시 작동패널(221)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222);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지지브라켓(220)의 상면에는 작동패널(221)이 인출될 수 있도록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222)는 코일 지지브라켓(220)의 상기 공간에서 코일 지지브라켓(220)의 저면에 설치되어 피스톤이 상방으로 신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은 작동패널(221)의 형상과 매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작동패널(221)이 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방으로 인출되어 코일(500)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실린더(222)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제2실린더(222)는 제어부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는 유압 또는 공압 또는 가스압 을 이용한 실린더가 될 수 있고, 이는 제1실린더(210) 및 승강 실린더(4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코일 지지브라켓(220)이 코일(500)을 지지할 때 코일(500)이 상기 작동패널(221)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작동패널(221)의 형상 또는 위치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코일(500)이 코일 지지브라켓(220)의 상방에 위치될 때, 코일(500)과 접하는 면에만 상기 작동패널(221)이 마련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작동패널(221)의 넓이, 길이, 폭등을 확대시켜 안정적으로 코일(500)이 작동패널(221) 상에 위치되도록 작동패널(22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코일(500)이 작동패널(221) 상에 위치됨에 따라, 제2실린더(222)의 작동시 작동패널(221)이 경사를 가지게 되고, 따라서 코일(500)이 구름성을 가지게 되어 종래와 같이 오버헤드 크레인 통을 이용하여 옮기지 않아도 손쉽게 코일(500)을 옮길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코일(500)과 접촉하는 것은 작동패널(221)이지만, 작동패널(221)은 코일 지지브라켓(220)에 결합되어 코일 지지브라켓(220)과 함께 코일(500)을 지지하므로, 코일 지지브라켓(220)이 코일(500)을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편, 타측 지지스키드(100b)의 상단부 중 상기 코일 지지브라켓(220)의 타단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코일 지지브라켓(220)의 돌출 이동시 코일 지지브라켓(220)의 가압에 따른 반력을 코일(500)에 인가하여 코일(500)이 상방으로 리프팅 되도록하고, 코일 지지브라켓(220)의 돌출이 완료되면 접촉시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300)를 더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댐퍼(300)는 탄성부, 예컨데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접촉부가 고무, 수지성 소재등의 탄성 소재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충격 흡수와 반력 제공을 모두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일측 지지스키드(100a) 및 타측 지지스키드(100b)의 상단부에는 각각 상기 지지슬라이더(200) 또는 댐퍼(3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서로 대면하는 면이 개구된 설치홈(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설치홈(120)은 상면이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작동패널(221)의 상승 회전시 코일(500)이 일측 지지스키드 또는 타측 지지스키드(100b) 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타측 지지스키드(100b)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타측 지지스키드(100b)에는 댐퍼(300)의 후방으로 슬로프(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로프(110)는 반드시 타측 지지스키드(100b)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설계자의 의도 및 사용 조건에 따라 일측 지지스키드(100a) 중 지지슬라이더(200)의 후방측에도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양측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슬라이더(200)는 상기 제1실린더(210)와 일측 지지스키드(100a) 사이에서 하면이 일측 지지스키드(100a)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면에 제1실린더(210)가 설치되는 서포팅 플레이트(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실린더(210)의 양측에서 서포팅 플레이트(230)에 고정되며 제1실린더(210)의 신장 방향으로 중공홀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블록(251); 및 일단부가 코일 지지브라켓(22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중공홀에 삽입되어 제1실린더(210)의 움직임에 따라 지지블록(251)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서포팅 로드(252);를 상기 지지슬라이더(200)는 더 포함할 수 있다.
서포팅 로드(252) 및 지지블록(251)을 통해 코일 지지브라켓(220)이 추가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코일(5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고, 코일(500)의 비대칭적 안착시 제1실린더(210)의 피스톤이 길이를 축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코일(500)의 지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팅 플레이트(230)와 일측 지지스키드(100a)의 상단부 사이에는 로드셀(240)이 마련되고, 코일 지지브라켓(220)이 코일(500)을 지지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240)의 측정값을 통해 코일(500)의 무게값을 산출할 수 있다. 코일(500)의 하중에 의해 코일 지지브라켓(220)과 제1실린더(210) 및 서포팅 로드(252)를 매개로 연결된 서포팅 플레이트(230)가 가압되고 상기 로드셀(240)에 하중이 전이되어 코일(500)의 무게 검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코일(500)의 무게 산출은 코일 지지브라켓(220)이 돌출 이동하는 도중에도 실시간으로 계속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코일(500)이 작동패널(221) 상에 완전히 올라온 상태에서의 산출값을 최종값으로 취함이 바람직하다. 또는 코일(500)이 작동패널(221) 상에 완전히 올라왔을 때의 측정값을 통해 무게값을 산출함이 바람직하다. 무게값의 산출시 설정된 측정 구간에서의 다수회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평균을 냄으로써 최종값을 얻을 수 있고 또는 어느 하나의 대표값만을 추려내어 이를 무게값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산출 방법에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한편, 코일(500)이 이동하여 지지가 해제되면 서포팅 플레이트(230)를 원위치로 원복시키기 위하여 서포팅 플레이트(230)와 일측 지지스키드(100a)의 상단부는 사이에 인장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두고 서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코일카의 스키드에 코일(500)이 안착시 평량을 검출하는 방식에서 발생되는 코일(5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코일(500)이 코일 지지브라켓(220) 상에 놓여져 있는 상태에서 코일(500)의 하중만을 검출하기 때문에 정확한 코일(500)의 하중 검출 및 무게산출이 가능하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인출 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자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릴로부터 코일(500)을 전달받은 코일카(400)의 상단은 제어부의 승강 실린더(420) 제어에 따라 상방으로 리프팅되며 설정된 위치에서 리프팅을 멈추게 된다. 이때 텐션릴에서 상기 지지슬라이더(200)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코일카(4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별도의 레일이 마련될 수 있고, 두 개의 지지스키드(100a,100b)는 레일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지지스키드(100a,100b)는 레일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코일(500)을 코일카(400)로부터 분리시켜 별도로 지정된 장소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위치에만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인출 장치는 다수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코일카(400)의 상단이 리프팅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500)을 코일카(400)의 상단으로부터 코일 지지브라켓(220)의 상면에 올리기 위하여 제어부는 제1실린더(210)를 구동하게 되며, 코일 지지브라켓(220)은 설치홈에 수납된 상태에서 타측 지지스키드(100b)를 향해 돌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하면서 코일(500)의 하단부를 가압하며 코일(500)을 상방으로 리프팅 시킨다. 제1실린더(210)가 설정된 거리만큼만 신장할 수 있도록 코일 지지브라켓(220)과 서포팅 플레이트(230)에는 상기 코일카(400)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위치센서(201)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일(500)을 자연스럽게 리프팅 시킬 수 있도록 코일 지지브라켓(220)의 타단부 중 코일(500)과 접하는 외주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코일 지지브라켓(220)이 완전히 돌출되어 타단부가 상기 댐퍼(300)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때는 코일(500)이 작동패널(221) 위에 올라가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제어부는 로드셀(240)에 의해 측정된 값을 이용해 코일(500)의 무게값을 산출하게 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제2실린더(222)가 신장되도록 제어하여 작동패널(22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일단부를 축으로 상방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코일(500)이 굴러서 슬로프를 따라 지정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코일 인출 장치에 따르면, 스테인리스 정정라인의 소단중 코일처리시 코일이 코일카 하부로 빠지는 현상과 외경에 품질결함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하고 소단중 코일시 처리시간에 따른 공정지연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제거하여 생산성 향상과 품질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a : 일측 지지스키드 100b : 타측 지지스키드
200 : 지지슬라이더 210 : 제1실린더
220 : 코일 지지브라켓 221 : 작동패널
222 : 제2실린더 230 : 서포팅 플레이트
240 : 로드셀 251 : 지지블록
252 : 서포팅 로드 300 : 댐퍼
400 : 코일카 420 : 승강 실린더
500 : 코일

Claims (11)

  1. 복수개의 지지스키드;
    복수개의 지지스키드 사이에 마련되고, 코일이 안착되어 승하강 하는 코일카;
    일측 지지스키드에 마련되고, 상승하는 코일카로부터 코일을 분리시키는 지지슬라이더; 및
    상기 지지슬라이더에 마련되고, 분리된 코일을 일측 또는 타측 지지스키드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코일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슬라이더는,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는 제1실린더와, 일단부가 피스톤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1실린더의 신장시 타단부가 코일과 접촉하며 코일의 하중을 지지하는 코일 지지브라켓과, 상기 제1실린더와 일측 지지스키드 사이에서 하면이 일측 지지스키드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면에 제1실린더가 설치되는 서포팅 플레이트와, 제1실린더의 양측에서 서포팅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제1실린더의 신장 방향으로 중공홀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블록과, 일단부가 코일 지지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중공홀에 삽입되어 제1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지지블록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서포팅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인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카 상단의 최대 승강 상태에서 지지슬라이더의 단부는 코일의 하단부를 가압면서 타측 지지스키드를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인출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 지지브라켓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 중 코일 지지브라켓의 타단부 측에 상기 액츄에이팅 모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인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모듈은, 코일 지지브라켓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패널; 및 작동패널의 하방에서 단부가 작동패널의 타단부와 결합하며, 작동시 작동패널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지지브라켓의 상면에는 작동패널이 인출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인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홀은 작동패널의 형상과 매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작동패널이 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방으로 인출되어 코일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인출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코일 지지브라켓이 코일을 지지할 때 코일이 상기 작동패널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인출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플레이트와 일측 지지스키드의 상단부 사이에는 로드셀이 마련되고, 코일 지지브라켓이 코일의 하중을 지지할 때 상기 로드셀의 검출값을 통해 코일의 무게값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인출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슬라이더의 돌출된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인출 장치.
KR1020140108694A 2014-08-21 2014-08-21 코일 인출 장치 KR101632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694A KR101632490B1 (ko) 2014-08-21 2014-08-21 코일 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694A KR101632490B1 (ko) 2014-08-21 2014-08-21 코일 인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938A KR20160023938A (ko) 2016-03-04
KR101632490B1 true KR101632490B1 (ko) 2016-07-04

Family

ID=5553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694A KR101632490B1 (ko) 2014-08-21 2014-08-21 코일 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4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073Y1 (ko) * 1996-03-28 2001-11-22 이구택 스크랩코일자동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058B1 (ko) 2002-12-20 2010-03-09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압연라인의 소코일 인출장치
KR101451722B1 (ko) * 2012-12-28 2014-10-15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랩 코일 인출 처리가 가능한 코일카, 이를 포함하는 스크랩 코일 인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랩 코일 인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073Y1 (ko) * 1996-03-28 2001-11-22 이구택 스크랩코일자동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938A (ko) 2016-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15879B (zh) 一种车用载货重心调节机构
CN105291738B (zh) 车轮组件、指示保养需求的方法及物料搬运车辆
CN104076090A (zh) 一种并行升降不落轮车轮探伤机
EP2077972B1 (en) Lifting frame for vehicle
CN102009926A (zh) 一种用于轮胎装配平衡工艺的升降平台及检测流水线
CN105905649A (zh) 一种收卷辊移动托架
KR101973103B1 (ko) 레일 이송장치
KR101632490B1 (ko) 코일 인출 장치
CN103658229A (zh) 带钢卷塔形消除装置及其消除方法
CN107377813B (zh) 一种能够自动卸料的卷圆机
KR20110059298A (ko) 솔레노이드밸브용 스트로크 세팅 및 측정장치와 그 제어방법
CN104313296B (zh) 一种冷轧带钢用摆动式跳动辊张力调节设备
KR101722404B1 (ko) 중량 측정 오차를 방지할 수 있는 대차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80186611A1 (en) Mobile Lifting Column with Displacement System for Lifting a Vehicle, and Lif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1182333B1 (ko) 충격시험장치
CN204057103U (zh) 一种车身转挂姿态检测装置
CN113003196B (zh) 一种轧制车轮自动分类筛选输送装置
KR101523965B1 (ko) 소재 형상 교정장치
CN108772423B (zh) 一种消除带材尾部托盘印的控制方法
CN107748003B (zh) 单/组合式电子皮带秤计量架加/卸载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562125B1 (ko) 롤 간격 측정장치
CN109489783B (zh) 一种用于对薄板带钢小尾卷进行称重的鞍座装置
KR101950607B1 (ko) 코크스 오븐용 승강장치
KR101009002B1 (ko) 게이트형 슬리브 인출장치
KR102442711B1 (ko) 파이프 길이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