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937B1 -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 및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 및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937B1
KR101246937B1 KR1020110105653A KR20110105653A KR101246937B1 KR 101246937 B1 KR101246937 B1 KR 101246937B1 KR 1020110105653 A KR1020110105653 A KR 1020110105653A KR 20110105653 A KR20110105653 A KR 20110105653A KR 101246937 B1 KR101246937 B1 KR 101246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lna
top box
multimedia file
virtual
un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10105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08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n identification number or address, e.g. local network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DLNA 미지원기기를 지원하는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하는 셋톱박스 및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로서, 셋톱박스 및 동작 방법은, 셋톱박스에 가상 DLNA 게이트웨이를 구현하여 DLNA 미지원기기에서 DLNA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동작 환경을 마련함으로써, DLNA 지원기기에서 제공하는 고품질의 컨텐츠를 DLNA 미지원기기에서 출력할 수 있고, 셋톱박스가 DLNA 미지원기기의 동작 특성에 대응한 DLNA 스택을 실행하여 DLNA 지원기기와 연동할 수 있는 동작 환경을 제공하고, 셋톱박스가 AV 단자에 DLNA 미지원기기의 케이블이 연결될 때 발생하는 접속 신호를 검출하고 AV 단자에 접속된 기기의 동작 특성에 해당하는 DLNA 스택을 실행함으로써 여러 DLNA 미지원기기를 가상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 및 동작 방법{SETTOP BOX AND OPERATION METHOD HAVING FUNCTION OF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GATEWA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DLNA 미지원기기를 지원하는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하는 셋톱박스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홈 네트워크 서비스는 가정 내의 모든 정보가전 기기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누구나 기기,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고품질 홈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가정 내 정보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이미 알려진 여러 가지 미들웨어(UPnP, HaVi, Jini, VESA, DLNA...)가 있어야 한다.
이러한 미들웨어 중 하나인 DLNA(Digtal Living Network Alliance)는 기존의 DHWG(Digital Home Working Group)의 후속 표준화 기구로 MS, IBM, HP, 인텔, 일본의 소니, 마쓰시다, 한국의 삼성전자 등이 모여 2003년 6월에 설립되었다. DLNA는 TV, VCR, 디지털 카메라, 오디오시스템 등의 기기들로부터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를 공유를 하고자 함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특히 콘텐츠 공유를 위해 기기들의 상호 호환성을 해결함에 큰 역점을 두고 있다. DLNA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 기술을 근간으로 물리적인 미디어, 네트워크 전송, 미디어 포맷, 스트리밍 프로토콜, DRM(Digital Right Management) 등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DLNA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알아보면, 우선 DLNA에서의 네트워크 연결은 IP(Internet Protocol)을 기반으로 한다. IP는 인터넷 상에 운용되는 기기의 기본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로 다양한 매체 상에서 운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투명한 방식으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DLNA를 이용하기 위해서 기기는 이더넷 포트(Ethernet Port)가 H/W 상으로 장착되어 있어야 하며, S/W적으로는 DLNA 스택(Stack)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해당 H/W와 S/W가 장착되지 않은 가전 기기에서는 DLNA 기능을 이용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셋톱박스에 가상 DLNA 게이트웨이를 구현하여 DLNA 미지원기기에서 DLNA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동작 환경을 마련함으로써, 고품질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 및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일실시예를 이루기 위한,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는, 케이블이 링크되는 AV 단자에서의 신호 검출에 따라, 상기 케이블로 연결되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미지원기기를 메모리에 등록하는 컨트롤러; 및 DLNA 지원기기로부터 DLNA기기확인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작성된 가상 DLNA 리스트를, 상기 DLNA 지원기기로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일실시예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으로서,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은, 케이블이 링크되는 AV 단자에서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로 연결되는 DLNA 미지원기기를 메모리에 등록하는 단계; DLNA 지원기기로부터 DLNA기기확인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가상 DLNA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작성된 가상 DLNA 리스트를, 상기 DLNA 지원기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셋톱박스에 가상 DLNA 게이트웨이를 구현하여 DLNA 미지원기기에서 DLNA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동작 환경을 마련함으로써, DLNA 지원기기에서 제공하는 고품질의 컨텐츠를 DLNA 미지원기기에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셋톱박스가 DLNA 스택을 실행하여 DLNA 지원기기와 연동할 수 있는 동작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셋톱박스가 AV 단자에 DLNA 미지원기기의 케이블이 연결될 때 발생하는 접속 신호를 검출하고 DLNA 스택을 실행함으로써 여러 DLNA 미지원기기를 가상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셋톱박스(1)는 DLNA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여, 셋톱박스(10)에 연결된 DLNA 미지원기기(5)인 오디오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DLNA 기능이 포함된 디지털 기기와 동일하게 DLNA 기능을 지원한다.
셋톱박스(1)는 DLNA 지원기기(6)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이더넷 포트와 DLNA 미지원기기(5)에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AV 단자를 모두 구비하고, DLNA 지원기기(6)와 DLNA 미지원기기(5)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한다.
LAN 영역(2)은 DLNA 기능을 지원하는 기기인 컴퓨터, 노트북,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며 데이터 통신 채널로 이더넷과 WIFI(Wireless-Fidelity)(4)를 이용한다.
AV 영역(3)은 DLNA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구형 AV 기기인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오디오 기기로 구성되며, 셋톱박스(1)에서 AV 단자에 AV 케이블로 직접 연결되어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전달받는다.
DLNA 지원기기(6)는 Local Area Network(이하 LAN)내에서 IP통신으로 데이터 채널을 형성해서 DLNA 지원기기(6)의 인식 및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송과 재생을 실행한다.
DLNA 미지원기기(5)는 셋톱박스(1)를 통하여 DLNA 지원기기(6)에서 가상 DLNA 지원기기로 인식되고 다른 DLNA 지원기기(6)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셋톱박스(20)는 DLNA 미지원기기를 인식하는 컨트롤러(21), 인식된 DLNA 미지원기기와 DLNA 지원기기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는 환경을 마련하는 프로세서(22)를 포함한다. 셋톱박스(20)의 상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컨트롤러(21)는 AV 케이블이 링크되는 AV 단자에서의 신호를 검출하여, DLNA 미지원기기의 연결을 감지하고 AV 케이블로 연결되는 DLNA 미지원기기를 메모리에 등록한다. 컨트롤러(21)는 DLNA 미지원기기의 접속에 따라 DLNA 스택을 실행하여, DLNA 지원기기와 연동하는 DLNA 미지원기기의 동작 환경을 마련한다.
프로세서(22)는 DLNA 지원기기로부터 DLNA기기확인요청을 수신하면 메모리를 참조하여 DLNA 미지원기기에 대한 정보가 작성된 가상 DLNA 리스트를 DLNA 지원기기로 제공한다. 프로세서(22)는 DLNA 지원기기로 가상 DLNA 리스트를 제공하여 DLNA 미지원기기를 활용할 수 있는 동작 환경을 제공한다.
프로세서(22)는 DLNA 미지원기기가 메모리에 등록되는 순서를 고려하여, DLNA 미지원기기에 부여된 식별자를 포함해서 가상 DLNA 리스트를 작성한다. 프로세서(22)는 DLNA 미지원기기가 접속된 AV 단자의 속성에 따라 구분되는 식별자를 포함해서 가상 DLNA 리스트를 작성한다.
가상 DLNA 리스트를 확인한 DLNA 지원기기가 식별자와 함께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 프로세서(22)는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DLNA 미지원기기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한다. DLNA 미지원기기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수신하고 해당 코덱을 실행시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한다.
다른 실시예로, 프로세서(22)는 DLNA 지원기기로부터 입력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식별된 DLNA 미지원기기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로 디코딩하여 전송한다. DLNA 미지원기기는 내장된 코덱이 지원하는 재생 가능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한다.
DLNA 지원기기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응하여 스트리밍 패킷을 입력받는 경우, 프로세서(22)는 스트리밍 패킷을 디코딩하여 식별된 DLNA 미지원기기로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DLNA 미지원기기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해서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3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도 3을 설명하여 발명의 이해를 도모한다.
단계 301에서 DLNA 미지원기기1은 셋톱박스의 AV 단자에 AV 케이블로 연결하면, 단계 302에서 셋톱박스는 AV 단자에서 검출되는 전류 신호로 접속 여부를 판단하여 접속으로 판단하면 가상 DLNA 리스트에 DLNA 미지원기기1을 추가한다.
마찬가지로 단계 303에서 DLNA 미지원기기2가 셋톱박스의 AV 단자에 AV 케이블로 연결하면, 단계 304에서 셋톱박스는 AV 단자에서 검출되는 전류 신호로 접속 여부를 판단하여 접속으로 판단하면 가상 DLNA 리스트에 DLNA 미지원기기2를 추가한다.
셋톱박스는 가상 DLNA 리스트에 해당 AV 단자 번호를 등록하여 연결 가능한 AV 단자의 수만큼 DLNA 미지원기기를 등록할 수 있다.
단계 305에서 DLNA 지원기기는 이더넷 영역에서 브로드캐스트 프로토콜로 DLNA기기확인요청을 전송하면, 단계 306에서 셋톱박스는 DLNA기기확인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가상 DLNA 리스트에 등록된 DLNA 미지원기기에 대응한 DLNA기기확인응답을 전송한다.
DLNA 지원기기는 셋톱박스에 접속된 각각의 DLNA 미지원기기를 각각 개별적인 DLNA 지원기기로 인식하고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재생 실행 요청을 할 수 있다.
단계 307에서 DLNA 지원기기는 DLNA 미지원기기2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하면,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패킷은 셋톱박스로 전송되고, 단계 308에서 셋톱박스는 스트리밍 패킷을 디코딩하여 단계 309에서 AV 단자에 연결된 DLNA 미지원기기2로 영상/음성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310에서 DLNA 미지원기기2는 영상/음성 정보를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단계 311에서 DLNA 지원기기가 DLNA 미지원기기1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하면,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패킷은 셋톱박스로 전송되고, 단계 312에서 셋톱박스는 스트리밍 패킷을 디코딩하여 단계 313에서 AV 단자에 연결된 DLNA 미지원기기1로 영상/음성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314에서 DLNA 미지원기기1은 영상/음성 정보를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셋톱박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4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도 4를 설명하여 발명의 이해를 도모한다.
단계 401에서 셋톱박스는 DLNA 미지원기기의 케이블이 링크되는 AV 단자에서 전기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402에서 셋톱박스는 신호 검출 결과, 전기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AV 단자에 연결된 DLNA 미지원기기를 메모리에 등록한다.
단계 403에서 셋톱박스는 DLNA 미지원기기의 메모리 등록과 함께, DLNA 스택을 실행하여, DLNA 지원기기와 연동하는 DLNA 미지원기기의 동작 환경을 마련한다. 셋톱박스는 DLNA 스택의 실행으로 DLNA 미지원기기가 외부에는 DLNA 지원기기로 보이도록 한다.
단계 404에서 셋톱박스는 DLNA 지원기기로부터 DLNA기기확인요청이 수신되면, 메모리를 참조하여 등록된 DLNA 미지원기기를 포함하는 가상 DLNA 리스트를 작성한다. 셋톱박스는 가상 DLNA 리스트를 작성할 때, 메모리에 등록되는 순서를 고려하여, DLNA 미지원기기에 부여된 식별자를 포함시킨다.
단계 405에서 셋톱박스는 작성된 가상 DLNA 리스트를 DLNA 지원기기로 제공한다. DLNA 지원기기는 가상 DLNA 리스트에 포함된 DLNA 미지원기기를 DLNA 지원기기로 인식한다.
가상 DLNA 리스트를 확인한 DLNA 지원기기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요청에 따라 셋톱박스에 연결된 DLNA 미지원기기로 식별자와 함께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한다.
단계 406에서 셋톱박스는 멀티미디어 파일과 함께 입력되는 식별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DLNA 미지원기기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한다. 셋톱박스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식별된 DLNA 미지원기기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로 디코딩하여 전송한다. DLNA 미지원기기는 셋톱박스로부터 재생 가능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수신하고 재생해서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로, 셋톱박스는 DLNA 지원기기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응하여 스트리밍 패킷을 입력받으면, 스트리밍 패킷을 디코딩하여 식별된 DLNA 미지원기기로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DLNA 미지원기기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로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구성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셋톱박스
2 : LAN 영역
3 : AV 영역
4 : 무선랜
5 : DLNA 미지원기기
6 : DLNA 지원기기

Claims (12)

  1. 케이블이 링크되는 AV 단자에서의 신호 검출에 따라, 상기 케이블로 연결되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미지원기기를 메모리에 등록하는 컨트롤러; 및
    DLNA 지원기기로부터 DLNA기기확인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작성된 가상 DLNA 리스트를, 상기 DLNA 지원기기로 제공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등록되는 순서를 고려하여, 상기 DLNA 미지원기기에 부여된 식별자를 포함하여 상기 가상 DLNA 리스트를 작성하는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DLNA 리스트는, 상기 DLNA 미지원기기에 부여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DLNA 리스트를 확인한 상기 DLNA 지원기기로부터, 식별자와 함께 멀티미디어 파일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DLNA 미지원기기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하는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상기 식별된 DLNA 미지원기기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로 디코딩하여 전송하는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LNA 지원기기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응하여 스트리밍 패킷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트리밍 패킷을 디코딩하여 상기 식별된 DLNA 미지원기기로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
  6. 삭제
  7. 케이블이 링크되는 AV 단자에서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로 연결되는 DLNA 미지원기기를 메모리에 등록하는 단계;
    DLNA 지원기기로부터 DLNA기기확인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가상 DLNA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작성된 가상 DLNA 리스트를, 상기 DLNA 지원기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DLNA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에 등록되는 순서를 고려하여, 상기 DLNA 미지원기기에 부여된 식별자를 포함하여 상기 가상 DLNA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DLNA 리스트를 확인한 상기 DLNA 지원기기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과 함께 입력되는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DLNA 미지원기기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상기 식별된 DLNA 미지원기기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로 디코딩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LNA 지원기기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응하여 스트리밍 패킷을 입력받으면,
    상기 스트리밍 패킷을 디코딩하여 상기 식별된 DLNA 미지원기기로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의 동작 방법.
  12. 삭제
KR1020110105653A 2011-10-17 2011-10-17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 및 동작 방법 KR101246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653A KR101246937B1 (ko) 2011-10-17 2011-10-17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 및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653A KR101246937B1 (ko) 2011-10-17 2011-10-17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 및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937B1 true KR101246937B1 (ko) 2013-03-25

Family

ID=4818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653A KR101246937B1 (ko) 2011-10-17 2011-10-17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 및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9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999B1 (ko) * 2013-04-15 2014-10-27 재단법인 씨윗코리아 유무선 공유기
KR20140146539A (ko) * 2013-06-17 2014-12-26 톰슨 라이센싱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호환성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8735A (ko) * 2006-11-29 2008-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전송을 위한 접근 제어 방법 및 상기 접근 제어방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노드
KR101039000B1 (ko) 2010-07-12 2011-06-03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dlna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dlna 게이트웨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8735A (ko) * 2006-11-29 2008-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전송을 위한 접근 제어 방법 및 상기 접근 제어방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노드
KR101039000B1 (ko) 2010-07-12 2011-06-03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dlna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dlna 게이트웨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999B1 (ko) * 2013-04-15 2014-10-27 재단법인 씨윗코리아 유무선 공유기
KR20140146539A (ko) * 2013-06-17 2014-12-26 톰슨 라이센싱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호환성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KR102194747B1 (ko) * 2013-06-17 2020-12-23 인터디지털 씨이 페이튼트 홀딩스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호환성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4700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cessing media
JP5839243B2 (ja) コマンド及び制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プロキシデバイスの動作
US20100235532A1 (en) Upnp-based media contents reproduc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0702508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contents over DLNA network
JP5517733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90075391A (ko) Dlna 네트워크의 dlna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20104091A1 (en) 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implementation for high definition passthrough, on-screen display, and copy protection
KR101871423B1 (ko) 네트워크로 연결된 방송 수신 디바이스와 다른 디바이스 간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4460541B2 (ja) コンテンツ送受信先認証方法、コンテンツ送受信先認証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89310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 DRM domain registration
KR101246937B1 (ko)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 및 동작 방법
US201000402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00797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covery of devices on a network
JP5257659B2 (ja) 映像データ送出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実行する映像データ送出装置、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映像データ送出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が書き込まれた記録媒体
JP5592474B2 (ja) サーバ装置、及びサーバ装置とクライアント装置の接続方法
JP5117599B1 (ja) 制御端末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120272280A1 (en) Video processor and video processing method
KR100743552B1 (ko) UPn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스위칭 기능을 갖는 통합디바이스 및 스위칭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20130060910A1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ontent reproduc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24788A (ko) 클라우드 시스템상의 컨텐츠를 디엘엔에이로 연결된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5752550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2029140A (ja) 映像配信装置
KR20110005449A (ko) Dlna 시스템 기반 컨텐츠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101386504B1 (ko) 클라우드 서버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659944B1 (ko)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