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8735A - 콘텐츠 전송을 위한 접근 제어 방법 및 상기 접근 제어방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노드 - Google Patents

콘텐츠 전송을 위한 접근 제어 방법 및 상기 접근 제어방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8735A
KR20080048735A KR1020060119088A KR20060119088A KR20080048735A KR 20080048735 A KR20080048735 A KR 20080048735A KR 1020060119088 A KR1020060119088 A KR 1020060119088A KR 20060119088 A KR20060119088 A KR 20060119088A KR 20080048735 A KR20080048735 A KR 20080048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access control
access
domai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848B1 (ko
Inventor
류현석
제프리 엠. 가너
코넬리스 요하니스 덴 홀란더
패이 패이 팽
정홍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9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848B1/ko
Priority to JP2007047614A priority patent/JP5186117B2/ja
Priority to US11/878,171 priority patent/US8667168B2/en
Publication of KR20080048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8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2Network node acting on behalf of an other network entity, e.g. prox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전송을 위한 접근 제어 방법 및 상기 접근 제어 방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노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SPC: Single Proximity Control domain), 혼합 접근 제어 도메인(MPC: Mixed Proximity Control domain) 및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도메인의 각각의 도메인에 따라 서로 다른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수행하고, 상기 도메인에 포함된 각각의 노드는 서로 이웃한 노드와의 물리적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수행한다.
AVB(Audio/Video Bridge), 접근 제어(proximity control), IEEE802, DTCP(Digital Transmission Content Protectio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escription

콘텐츠 전송을 위한 접근 제어 방법 및 상기 접근 제어 방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노드{PROXIMITY CONTROL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AND NOTE IN NETWORK USING THE PROXIMITY CONTROL METHOD}
도 1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에서의 DRM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접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에서의 접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4는 혼합 접근 제어 도메인에서의 접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5는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도메인에서의 접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각각의 노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CP 노드와 홈 네트워크간의 중계를 제어하는 중계 제어 노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전체 네트워크
201: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
202: 혼합 접근 제어 도메인
203: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도메인
204: 홈 네트워크
205: 중계 제어 노드
207: 중계 노드
209: 엣지(edge) 노드
210: CP 노드
본 발명은 콘텐츠 전송을 위한 접근 제어 방법 및 상기 접근 제어 방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노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콘텐츠 전송에 있어서, 종단(end-to-end)간의 정확한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향상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을 수행할 수 있는 접근 제어 방법 및 상기 접근 제어 방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노드에 관한 것이다.
DRM은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아 저작권 관련 당사자들의 이익과 권리를 보호해 주는 기술과 서비스로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의미한다. 즉, 콘텐 츠 제공자의 권리와 이익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불법복제를 막고 사용료 부과와 결제대행 등 콘텐츠의 생성에서 유통·관리까지를 일괄적으로 지원하는 기술이다.
여기에는 적법한 사용자만 콘텐츠를 사용하고 적절한 요금을 지불하도록 만드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기술, 저작권 승인과 집행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보안기술, 지불·결제기술이 모두 포함된다. 이러한 DRM은 음악공유서비스로 유명한 냅스터가 2001년 MP3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채택한 것이 시초이며, 온라인 콘텐츠가 유료화되며 중요한 기술로 떠올라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에서는 미래 10대 핵심정보기술로 선정하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에서의 DRM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면부호(100)는 홈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장치들과 각각의 장치들에서 이용되는 서로 다른 복제 방지 메커니즘을 나타내고 있다. 즉, 각각의 장치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Certificate Authority)(101), DTCP(Digital Transmission Content Protection)(102), CPRM(Content Protection for Removable Media)(103) 및 HDCP(High-Bandith Digital Copy Protection)(104) 등의 서로 다른 복제 방지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복제 방지 메커니즘간의 호환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포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비용의 증가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DRM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RTT(Round-Trip Time)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몇 가지 제안들이 있으나, 이러한 제안들은 프라이버 시(privacy) 및 콘텐츠 보호를 위해 충분히 정확하지 않다.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의 DTCP는 7밀리초의 종단간 지연시간 제한 및 RTT를 위한 3홉(hop)의 제한을 필요로 한다. 전기 신호는 1마이크로초 동안 100미터 이상을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7밀리초의 제한은 수백 킬로미터의 거리에 대한 오차를 만들 수 있다. 또한, 홉에 대한 제한은 홉 카운트를 제공하지만 서버와 수신측간의 링크에 대한 실제 거리를 제공해주지는 못한다. 즉, 이러한, 네트워크에서는 종단간의 정확한 거리 측정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AVB를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AVB(Audio/Video Bridge)는 시간-동기화(time-synchronization)를 이용하는 IEEE802 네트워크에서 적은 지연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IEEE802 네트워크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단간의 정확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고, 위와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DRM을 수행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콘텐츠 전송을 위한 접근 제어 방법 및 상기 접근 제어 방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노드에 관한 새로운 기술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콘텐츠의 전송을 위해 IEEE802.1AS에 기반한 홈 네트워크에서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홈 네트워크의 서로 이웃한 노드간에 정확한 물 리적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물리적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노드간에 접근 유효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접근 유효성이 확인된 노드들간의 링크를 통해 콘텐츠를 전송하여 상기 콘텐츠가 유효한 거리에 대해서만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콘텐츠에 대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SPC: Single Proximity Control domain), 혼합 접근 제어 도메인(MPC: Mixed Proximity Control domain) 및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도메인의 각각의 도메인에 따라 서로 다른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수행하고, 상기 도메인에 포함된 각각의 노드는 서로 이웃한 노드와의 물리적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접근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은 콘텐츠를 전송하는 근원지 노드와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목적지 노드간에 논리적 점 대 점(logically point-to-point) 연결이 가능한 도메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은 중계 노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계 노드는 상기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에서 교환망(switched network)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중계 노드는 IEEE802 AVB(IEEE802 Audio/Video Bridg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IEEE802 AVB는 IP(Internet Protocol)가 포함하는 제1 DTCP(Digital Transmission content protection)를 초기 참조 모델로 하는 제2 DTCP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은 각각의 구성 요소간에 접근 유효성을 체크하기 위해 공통의 링크에 대한 거리 측정 방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 내에서의 접근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거리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물리적 거리를 접근 매개변수로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혼합 접근 제어 도메인은 상기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에서 이용되는 접근 제어 메커니즘 및 추가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추가 접근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이 포함하는 중계 노드와 콘텐츠의 목적지 노드 사이에 엣지 노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엣지 노드는 상기 중계 노드 및 상기 목적지 노드간에 상기 추가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각각의 노드는, 콘텐츠가 전송되는 링크상에 존재하는 이전 노드 또는 다음 노드와의 접근 유효성을 확인하는 접근 유효성 확인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근 유효성 확인부는 기선정된(predetermined) 거리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물리적 거리를 접근 매개변수로서 이용하여 상기 접근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홈 네트워크는 집 안의 가전제품을 모두 연결하여 한꺼번에 제어하는 체제를 의미한다. 이때, 홈 네트워크에는 홈 PC, 홈시어터(home theater), 디지털텔레비전과 같은 가전제품들이 다양한 중계 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네트워크는 셋톱 박스(STB: Set-Top Box)를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셋톱 박스는 일반적으로 주문형 비디오(VOD), 영상판 홈 쇼핑, 네트워크 게임 등 차세대 쌍방향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이른바 대화형 텔레비전)를 이용하는 데 필요한 가정용 통신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기존에 텔레비전 세트 위에 놓고 이용하는 상자라는 뜻으로, ‘가입자 신호 변환 장치’라고도 한다.
쌍방향 텔레비전이나 전화 회사의 영상 전송 서비스, 예를 들어 미국 지역 전화 회사가 제공하는 비디오 다이얼 톤, 등의 망과 접속하여 가정에서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에 연결하여 이용한다. 이러한 셋톱 박스는 전화 회사나 종합 유선 방송(CATV)국에 설치되어 있는 비디오 서버 등과 통신하는 외에, 기본 기능으로 영상 신호의 수신·변환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전화와 PC 통신 등 데이터 통신 서비스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전화 인터페이스나 개인용 컴퓨터(PC)와의 접속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 등 다양한 규격이 검토되고 있다.
즉, 상기 홈 네트워크는 상기 가전제품을 연결하고, 상기 셋톱 박스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콘텐츠를 전송 받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CP(Content Provider)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상기 콘텐츠에 대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이 필요하게 되고, 상기 콘텐츠가 상기 홈 네트워크 내에서만 전송되도록 조절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 전체 네트워크에서는 상기 전체 네트워크에 포함된 노드간에 물리적 거리에 따른 접근 제어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접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콘텐츠 전송을 위한 접근 제어 방법에서 전체 네트워크(200)는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201), 혼합 접근 제어 도메인(202) 및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도메인(203)의 각각의 도메인에 따라 서로 다른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수행하고, 상기 도메인에 포함된 각각의 노드는 서로 이웃한 노드와의 물리적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수행한다.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20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EEE802에 기반한 홈 네트워트(204)에서 단일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갖는 도메인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은 콘텐츠를 전송하는 근원지 노드(205)와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목적지 노드(206)간에 논리적 점 대 점(logically point-to-point) 연결이 가능한 도메인일 수 있고, 이러한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201)은 각각의 구성 요소간에 접근 유효성을 체크하기 위해 공통의 링크에 대한 거리 측정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원지 노드는 홈 네트워크(204)를 통해 연결된 가전제품 또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셋톱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201) 내에서의 접근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거리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물리적 거리를 접근 매개변수로서 포함할 수 있 다. 이를 통해 IEEE802.1AS 기반의 DTCP를 위한 매우 정확한 위치 측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201)은 중계 노드(207)를 포함할 수 있고, 중계 노드(204)는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201)에서 교환망(switched network)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중계 노드(207)는 IEEE802 AVB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IEEE802 AVB는 IP(Internet Protocol)가 포함하는 제1 DTCP를 초기 참조 모델로 하는 제2 DTC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DTCP는 제2 계층(layer 2)으로의 접근 가능성을 갖는 경우, 상기 제2 DTCP의 도메인 중 하나에서 IEEE802.1x wireles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에서의 접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단계(S301)에서 근원지 노드(205)는 목적지 노드(206)의 콘텐츠 요청에 따라 EMI(Encrypted Mode Indicator) 세트를 포함하는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을 목적지 노드(206)로 전송한다. 이때, 근원지 노드(205)가 홈 네트워트(204)를 통해 연결된 가전제품인 경우에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은 상기 가전제품이 포함하는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고, 근원지 노드(205)가 상기 셋톱 박스인 경우에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은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홈 네트워크(204)로 수신되었을 수 있다.
단계(S302)에서 근원지 노드(205)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을 수신한 목적지 노드(206)의 인증 요청에 대해 접근 유효성을 확인한다. 이때, 근원지 노드(205)는 목적지 노드(206)의 인증을 위해 중계 노드(207)와의 접근 유효성을 확인하고, 중계 노드(207)는 목적지 노드(206)와의 접근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위한 링크상의 서로 이웃한 노드간에 상기 접근 유효성을 확인한다.
이러한 상기 접근 유효성은 IEEE802 AVB가 포함하는 DTCP를 이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IEEE802 AVB는 거리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이웃한 노드간의 물리적 거리를 접근 매개변수로 하는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802.1AS, IEEE802.11v, Ieee802.11k 및 IEEE802.xx 등의 표준들은 상기 물리적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정확한 시간-동기화 특성을 갖는 IEEE802 기술은 아직 결정되지 않은 거리 사이에서 서비스 도메인의 경계 즉, 종단간의 콘텐츠 전송을 달성할 수 있다. 현재, 상기 거리는 하드웨어 프로토타입 테스트를 통한 증명을 통해 약 30피트의 타겟값을 가질 수 있다.
단계(S303)에서 근원지 노드(205)는 상기 접근 유효성이 확인된 링크를 통해 목적지 노드(206)로 장치 AKE(Authentication and Key Encrypted indicator)를 전송하고, 상기 장치 AKE를 통해 인증된 목적지 노드(206)로 상기 EMI 세트를 포함하지 않는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을 전송한다. 즉, 목적지 노드(206)는 상기 장치 AKE를 통해 인증되고,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을 복호화할 수 있다.
혼합 접근 제어 도메인(202)은 위에서 설명한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201)에서 이용되는 접근 제어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추가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추가 접근 제어 메커니즘은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201)이 포함하는 중계 노드(207)와 홈 네트워크(204)에 포함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목적지 노드(208) 사이의 연결을 위해 엣지 노드(209)를 포함할 수 있고, 엣지 노드(209)는 중계 노드(207) 및 목적지 노드(208)간에 상기 추가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추가 접근 제어 메커니즘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서 사용되는 많은 경우에 대한 조건적 확장이 가능하다. DLNA는 세계 홈 네트워크 상용화를 선도해 나갈 새로운 공식적 협력체로서 2003년 6월 출범한 DHWG(Digital Home Working Group)를 명칭을 변경, 새롭게 출범한 것이다.
이미 구축되어 있는 공개 업계 표준에 기반하여 상호 호환이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하여 업계 간 컨버전스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 따라서 가전 제품, 개인용 컴퓨터(PC), 무선 기기 제조 업체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IP, HTTP, UPnP, Wi-Fi 등 업계 표준을 기반으로 업체의 가이드라인 도입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되며, DLNA 가이드 라인에 따라 설계된 제품들은 음악, 사진, 비디오 등의 미디어 콘텐츠를 홈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추가 접근 제어 메커니즘은 IEEE1394, 무선 IEEE1394, 블루투스, USB 또는 무선 USB 등을 이용한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고,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201)에서 이용되는 접근 제어 메커니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도 메인을 혼합 접근 제어 도메인(202)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혼합 접근 제어 도메인에서의 접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단계(S401)에서 콘텐츠를 전송하는 근원지 노드(205 또는 206)는 목적지 노드(208)의 콘텐츠 요청에 따라 EMI 세트를 포함하는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을 목적지 노드(208)로 전송한다. 이때, 홈 네트워트(204)를 통해 연결된 가전제품인 근원지 노드(206)의 경우에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은 상기 가전제품이 포함하는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셋톱 박스인 근원지 노드(205)의 경우에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은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홈 네트워크(204)로 수신되었을 수 있다.
단계(S402)에서 근원지 노드(205 또는 206)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을 수신한 목적지 노드(208)의 인증 요청에 대해 접근 유효성을 확인한다. 이때, 근원지 노드(205 또는 206)는 목적지 노드(208)의 인증을 위해 중계 노드(207)와의 접근 유효성을 확인하고, 중계 노드(207)는 추가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수행하는 엣지 노드(209)와의 접근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엣지 노드(209)는 목적지 노드(208)와의 접근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엣지 노드(209)와 목적지 노드(208)는 IEEE1394, 무선 IEEE1394, 블루투스, USB 또는 무선 USB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링크의 타입에 따라 상기 다양한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접근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계(S402)에서는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위한 링크상의 서로 이웃한 노드간에 상기 접근 유효성을 확인한다.
이러한 상기 접근 유효성은 IEEE802 AVB가 포함하는 DTCP를 이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IEEE802 AVB는 거리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이웃한 노드간의 물리적 거리를 접근 매개변수로 하는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IEEE802.1AS, IEEE802.11v, Ieee802.11k 및 IEEE802.xx 등의 표준들은 상기 물리적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정확한 시간-동기화 특성을 갖는 IEEE802 기술은 아직 결정되지 않은 거리 사이에서 서비스 도메인의 경계 즉, 종단간의 콘텐츠 전송을 달성할 수 있다. 현재, 상기 거리는 하드웨어 프로토타입 테스트를 통한 증명을 통해 약 30피트의 타겟값을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도메인(203)은 접근 제어를 위한 중계 제어 노드(205)를 포함할 수 있고, 중계 제어 노드(205)는 콘텐츠를 전송하는 CP(Content Provider) 노드(210)에 의해 인증될 수 있다. 이때, 중계 제어 노드(205)는 상기 CP와 상기 콘텐츠의 목적지 노드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셋톱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중계 제어 노드(205)는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201) 및 혼합 접근 제어 도메인(202)에서의 근원지 노드(205)일 수 있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도메인(203)은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201) 또는 혼합 접근 제어 도메인(2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도메인에서의 접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단계(S501)에서 CP 노드(210)는 중계 제어 노드(205)와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즉, CP 노드(210)와 중계 제어 노드(205)간의 링크는 거리를 측정할 필요가 없고, CP 노드(210)에서 제공되는 인증 방법을 통해 중계 제어 노드(205)를 인증함으로써, 접근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S502)에서 CP 노드(210)는 목적지 노드(206)의 콘텐츠 요청에 따라 EMI 세트를 포함하는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을 목적지 노드(206 또는 208)로 전송한다. 이때, 중계 제어 노드(205)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을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여 홈 네트워크(204)로 전달하는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503)에서 CP 노드(210)는 중계 제어 노드(205)로 장치 AKE를 전송한다. 상기 장치 AKE는 목적지 노드(206 또는 208)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홈 네트워크(204) 내의 링크에 대한 접근 유효성이 확인된 이후에 중계 제어 노드(205)에서 목적지 노드(206 또는 208)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S504)에서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도메인(203)이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201)을 포함하는 경우, 즉 목적지 노드(206)를 포함하는 경우, 중계 제어 노드(205)는 중계 노드(207)와의 접근 유효성을 확인하고 중계 노드(207)는 목적지 노드(206)와의 접근 유효성을 확인한다.
또한,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도메인(203)이 혼합 접근 제어 도메인(202)을 포함하는 경우, 즉 목적지 노드(208)를 포함하는 경우, 중계 제어 노드(205)는 중계 노드(207)와의 접근 유효성을 확인하고 중계 노드(207)는 추가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수행하는 엣지 노드(209)와의 접근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엣지 노드(209)는 상기 추가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목적지 노드(208)와의 접근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접근 유효성은 IEEE802 AVB가 포함하는 DTCP를 이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IEEE802 AVB는 거리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이웃한 노드간의 물리적 거리를 접근 매개변수로 하는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802.1AS, IEEE802.11v, Ieee802.11k 및 IEEE802.xx 등의 표준들은 상기 물리적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단계(S505)에서 중계 제어 노드(205)는 접근 유효성이 확인된 링크를 통해 CP 노드(210)로부터 수신한 상기 장치 AKE를 목적지 노드(206 또는 208)로 전송한다. 즉, 목적지 노드(206 또는 208)는 상기 장치 AKE를 통해 인증되고,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을 복호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접근 제어 방법을 통해 콘텐츠의 전송을 위해 IEEE802.1AS에 기반한 홈 네트워크에서 접근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홈 네트워크의 서로 이웃한 노드간에 정확한 물리적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물리적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노드간에 접근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근 유효성이 확인된 노드들간의 링크를 통해 콘텐츠를 전송하 여 상기 콘텐츠가 유효한 거리에 대해서만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콘텐츠에 대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각각의 노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홈 네트워크(600)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600)에 포함된 각각의 노드(601 내지 603)는 콘텐츠가 전송되는 링크상에 존재하는 이전 노드 또는 다음 노드와의 접근 유효성을 확인하는 접근 유효성 확인부(605)를 포함한다.
이때, 접근 유효성 확인부(605)는 기선정된(predetermined) 거리 측정 방법을 통해 측정된 물리적 거리를 접근 매개변수로서 이용하여 상기 접근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거리 측정 방법은 IP가 포함하는 제1 DTCP를 초기 참조 모델로 하는 제2 DTCP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602)는 상기 거리 측정 방법을 통해 측정된 노드(601), 노드(603) 또는 노드(604)와의 물리적 거리를 접근 매개변수로서 이용하여 노드(601), 노드(603) 또는 노드(604)에 대한 접근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노드(601 내지 604)는 (1) 홈 네트워크(600)에 연결된 가전제품, (2) 셋톱 박스를 포함하는 중계 제어 노드, (3) IEEE802 AVB를 포함하는 중계 노드 또는 (4) IEEE1394, 무선 IEEE1394, 블루투스, USB 또는 무선 USB와 연관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엣지 노드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603)가 상기 가전제품인 경우, 노드(603)는 홈 네트워크(600) 내에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근원지 노드 이거나 또는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목적지 노드일 수 있다.
또한, 노드(601)가 중계 제어 노드인 경우, 노드(601)는 외부 네트워크(606)와 홈 네트워크(600)간의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중계 제어 노드의 접근 유효성은 외부 네트워크(606)를 통해 콘텐츠를 전송하는 CP 노드(607)를 통해 확인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접근 유효성은 CP 노드(607)와 상기 중계 제어 노드간의 거리를 이용하지 않고, CP 노드(607)에서 제공하는 인증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노드(602)가 상기 중계 노드인 경우, 노드(602)는 콘텐츠를 전송하는 근원지 노드와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목적지 노드간에 논리적 점 대 점 연결이 가능한 도메인인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에서 교환망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노드인 노드(602)는 근원지 노드(601)와 목적지 노드(603)간의 콘텐츠 전송을 위한 교환망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노드(604)가 홈 네트워크(600)에 포함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외부 노드(608)와의 연결을 위한 상기 엣지 노드인 경우, 노드(604)는 중계 노드(602) 및 외부 노드(608)간에 추가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추가 접근 제어 메커니즘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서 사용되는 많은 경우에 대한 조건적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추가 접근 제어 메커니즘은 IEEE1394, 무선 IEEE1394, 블루투스, USB 또는 무선 USB 등을 이용한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각각의 노드를 통해 콘텐츠의 전 송을 위해 IEEE802.1AS에 기반한 홈 네트워크에서 접근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홈 네트워크의 서로 이웃한 노드간에 정확한 물리적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물리적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노드간에 접근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근 유효성이 확인된 노드들간의 링크를 통해 콘텐츠를 전송하여 상기 콘텐츠가 유효한 거리에 대해서만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콘텐츠에 대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CP노드와 홈 네트워크간의 중계를 제어하는 중계 제어 노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제어 노드(700)는 인증 프로세스 처리부(701), 접근 유효성 확인부(702), 송수신부(703) 및 장치 AKE 처리부(704)를 포함한다.
인증 프로세스 처리부(701)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CP 노드와의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외부 네트워크와 홈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중계 제어 노드(700)는 홈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에 대한 인증을 위해서 중계 제어 노드(700) 및 상기 다른 노드간에 물리적 거리를 이용한 접근 유효성을 확인하지만, 상기 CP 노드와는 상기 CP 노드에서 제공되는 상기 인증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인증된다. 이러한 상기 인증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CP 노드와 중계 제어 노드(700)간에는 상기 물리적 거리를 측정하지 않는다.
접근 유효성 확인부(702)는 상기 콘텐츠가 전송되는 링크상에 존재하는 다음 노드와의 접근 유효성을 확인한다. 이때, 접근 유효성 확인부(702)는 기선정된(predetermined) 거리 측정 방법을 통해 측정된 물리적 거리를 접근 매개변수로 서 이용하여 상기 접근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거리 측정 방법은 IP가 포함하는 제1 DTCP를 초기 참조 모델로 하는 제2 DTCP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홈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노드들에 대한 물리적 거리를 이용하여 접근 유효성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CP 노드는 전송하고자 하는 콘텐츠에 대한 DRM을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부(703)는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을 상기 CP 노드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콘텐츠의 목적지 노드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은 상기 목적지 노드가 인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EMI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AKE 처리부(704)는 상기 접근 유효성이 확인된 링크를 통해 상기 목적지 노드로 장치 AKE를 전송한다. 이때, 장치 AKE 처리부(704)는 상기 링크 내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간의 접근 유효성이 확인된 후 상기 목적지 노드로 상기 장치 AKE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목적지 노드는 이러한 상기 장치 AKE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전송 받기 위해 인증될 수 있고,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의 복호화를 위한 키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라 함은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의 전송을 위해 IEEE802.1AS에 기반한 홈 네트워크에서 접근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홈 네트워크의 서로 이웃한 노드간에 정확한 물리적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물리적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노드간에 접근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근 유효성이 확인된 노드들간의 링크를 통해 콘텐 츠를 전송하여 상기 콘텐츠가 유효한 거리에 대해서만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콘텐츠에 대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22)

  1. 콘텐츠 전송을 위한 접근 제어(proximity control) 방법에 있어서,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SPC: Single Proximity Control domain), 혼합 접근 제어 도메인(MPC: Mixed Proximity Control domain) 및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도메인의 각각의 도메인에 따라 서로 다른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수행하고,
    상기 도메인에 포함된 각각의 노드는 서로 이웃한 노드와의 물리적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은 콘텐츠를 전송하는 근원지 노드와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목적지 노드간에 논리적 점 대 점(logically point-to-point) 연결이 가능한 도메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은 각각의 구성 요소간에 접근 유효성을 체크하기 위해 공통의 링크에 대한 거리 측정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 내에서의 접근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거리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물리적 거리를 접근 매개변수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은 중계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노드는 상기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에서 교환망(switched network)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노드는 IEEE802 AVB(IEEE802 Audio/Video Bridge)를 포함하고,
    상기 IEEE802 AVB는 IP(Internet Protocol)가 포함하는 제1 DTCP(Digital Transmission content protection)를 초기 참조 모델로 하는 제2 DTC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DTCP는 제2 계층(layer 2)으로의 접근 가능성을 갖는 경우, 상기 제2 DTCP의 도메인 중 하나에서 IEEE802.1x wireles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접근 제어 도메인은 상기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에서 이용되는 접 근 제어 메커니즘 및 추가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접근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이 포함하는 중계 노드와 콘텐츠의 목적지 노드 사이에 엣지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엣지 노드는 상기 중계 노드 및 상기 목적지 노드간에 상기 추가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접근 제어 메커니즘은 IEEE1394, 무선 IEEE1394, 블루투스, USB 또는 무선 USB를 이용한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도메인은 접근 제어를 위한 중계 제어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제어 노드는 콘텐츠를 전송하는 CP(Content Provider) 노드에 의해 인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도메인은 상기 단일 접근 제어 도메인 또는 상기 혼합 접근 제어 도메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제어 노드는 상기 CP와 상기 콘텐츠의 목적지 노드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STB(Set-Top Box)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근 제어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각각의 노드에 있어서,
    콘텐츠가 전송되는 링크상에 존재하는 이전 노드 또는 다음 노드와의 접근 유효성을 확인하는 접근 유효성 확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유효성 확인부는 기선정된(predetermined) 거리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물리적 거리를 접근 매개변수로서 이용하여 상기 접근 유효성을 확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측정 방법은 IP가 포함하는 제1 DTCP를 초기 참조 모델로 하는 제2 DTC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17. 제14항에 있어서,
    (1)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제품, (2) 셋톱 박스를 포함하는 중계 제어 노드, (3) IEEE802 AVB를 포함하는 중계 노드 또는 (4) IEEE1394, 무선 IEEE1394, 블루투스, USB 또는 무선 USB와 연관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엣지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18. CP노드와 홈 네트워크간의 중계를 제어하는 중계 제어 노드에 있어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CP 노드와의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인증 프로세스 처리부; 및
    상기 콘텐츠가 전송되는 링크상에 존재하는 다음 노드와의 접근 유효성을 확인하는 접근 유효성 확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제어 노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유효성 확인부는 기선정된(predetermined) 거리 측정 방법을 통해 측정된 물리적 거리를 접근 매개변수로서 이용하여 상기 접근 유효성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제어 노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측정 방법은 IP가 포함하는 제1 DTCP를 초기 참조 모델로 하는 제2 DTC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제어 노드.
  21. 제18항에 있어서,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을 상기 CP 노드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콘텐츠의 목적지 노드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접근 유효성이 확인된 링크를 통해 상기 목적지 노드로 장치 AKE를 전송하는 장치 AKE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제어 노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AKE 처리부는
    상기 링크 내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간의 접근 유효성이 확인된 후 상기 목적지 노드로 상기 장치 AKE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제어 노드.
KR1020060119088A 2006-11-29 2006-11-29 콘텐츠 전송을 위한 접근 제어 방법 및 상기 접근 제어방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노드 KR101145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088A KR101145848B1 (ko) 2006-11-29 2006-11-29 콘텐츠 전송을 위한 접근 제어 방법 및 상기 접근 제어방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노드
JP2007047614A JP5186117B2 (ja) 2006-11-29 2007-02-27 コンテンツを送信するための接近制御方法および前記接近制御方法を用いるネットワークのノード
US11/878,171 US8667168B2 (en) 2006-11-29 2007-07-20 Proximity control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and node in network using the proximity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088A KR101145848B1 (ko) 2006-11-29 2006-11-29 콘텐츠 전송을 위한 접근 제어 방법 및 상기 접근 제어방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735A true KR20080048735A (ko) 2008-06-03
KR101145848B1 KR101145848B1 (ko) 2012-05-17

Family

ID=39465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088A KR101145848B1 (ko) 2006-11-29 2006-11-29 콘텐츠 전송을 위한 접근 제어 방법 및 상기 접근 제어방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노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67168B2 (ko)
JP (1) JP5186117B2 (ko)
KR (1) KR101145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937B1 (ko) * 2011-10-17 2013-03-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 및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9999B2 (en) * 2007-10-18 2011-09-13 Sony Corporation Wireless receiver device revocation management
US8850532B2 (en) * 2008-10-31 2014-09-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s to control access to multimedia content
CN101741581B (zh) * 2008-11-05 2012-09-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播广播业务的计费方法及装置
JP5754491B2 (ja) * 2009-09-09 2015-07-29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8605900B2 (en) 2009-10-30 2013-12-10 Panasonic Corporation AV data receiving device, AV data receiving method, and AV data transmission and receiving system
CN101813790B (zh) * 2010-04-08 2012-10-10 西安电子科技大学 双波段探测器对红外小目标的距离估计方法
EP2987307B1 (en) * 2013-04-17 2019-01-02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enabling use of a wi-fi direct services (wfds) application services platform (asp) for layer 2 services
US9197919B2 (en) * 2013-06-12 2015-11-24 Mediacom Communications Corporation Video on demand using combined host and client addressing
US9391984B2 (en) * 2014-09-10 2016-07-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obile virtual communication and entertainment service
US10111054B2 (en) 2014-09-30 2018-10-23 Symbol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feedback reduction
US10205938B2 (en) 2014-11-10 2019-02-12 Keysight Technologies Singapore (Holdings) Pte. Ltd.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onitoring and/or testing network communications
RO132010A2 (ro) 2015-12-22 2017-06-30 Ixia, A California Corporation Metode, sisteme şi suport citibil de calculator pentru diagnosticarea reţelei
US10511516B2 (en) 2016-08-29 2019-12-17 Keysight Technologies Singapore (Sales) Pte. Ltd.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quiescence-informed network testing
CN106773689B (zh) * 2016-12-16 2019-08-13 西北工业大学 基于分层分布式模型预测控制的auv编队协同控制方法
US11552874B1 (en) 2019-01-18 2023-01-10 Keysight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active network testing
CN112311614B (zh) * 2019-07-30 2022-10-04 华为技术有限公司 评估网络节点相关传输性能的系统、方法以及相关设备
JP7347019B2 (ja) * 2019-08-30 2023-09-20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ノード、マルチホップネットワーク、機器の正当性確認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6542A (en) * 1993-11-29 1996-08-13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Method for efficiently determining the direction for routing a set of anticipated demands between selected nodes on a ring communication network
JP3302168B2 (ja) * 1994-04-05 2002-07-15 株式会社東芝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JP4167367B2 (ja) * 1999-11-18 2008-10-15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3688982B2 (ja) 2000-07-05 2005-08-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JP3832289B2 (ja) * 2001-08-20 2006-10-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ビデオ信号出力装置、ストリーム出力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データ構造
JP2003224556A (ja) * 2002-01-28 2003-08-08 Toshiba Corp 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2003224884A (ja) * 2002-01-30 2003-08-08 Canon Inc 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03271487A (ja) * 2002-03-12 2003-09-26 Nec Corp 通信システム、ゲートウエイ装置、ゲートウエイプログラム
KR20030073891A (ko) * 2002-03-13 2003-09-19 주식회사 신텔정보통신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 및그 운영방법
KR20030073890A (ko) * 2002-03-13 2003-09-19 주식회사 신텔정보통신 인터넷 콘텐츠 변환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TWI265697B (en) * 2002-06-06 2006-11-01 Ibm Digital contents distribution system, digital contents distribution metho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therein, and server and client therefor
EP1514380A1 (en) * 2002-06-18 2005-03-16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devices
US7024204B2 (en) * 2002-07-10 2006-04-04 Kabushiki Kaisha Toshiba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with communication quality guarantee and copyright protection
US7058719B2 (en) * 2002-07-22 2006-06-06 Ricoh Company, Ltd.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a local network of electronic devices and reliably and securely adding an electronic device to the network
US7042867B2 (en) * 2002-07-29 2006-05-09 Mes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hysical location of a node in a wireless network during an authentication check of the node
JP3826100B2 (ja) * 2002-11-27 2006-09-27 株式会社東芝 通信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4161791B2 (ja) * 2003-05-12 2008-10-08 ソニー株式会社 機器間認証システム及び機器間認証方法、通信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92826B2 (ja) * 2003-07-28 2011-06-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50234735A1 (en) * 2003-11-26 2005-10-20 Williams Jim C Digital rights management using proximity testing
JP4000110B2 (ja) * 2003-12-09 2007-10-31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4273973B2 (ja) * 2004-01-15 2009-06-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843413B2 (en) * 2004-02-13 2014-09-23 Microsoft Corporation Binding content to a domain
US8170841B2 (en) * 2004-04-16 2012-05-01 Knowledgebase Marketing, Inc. Predictive model validation
EP1792469A1 (en) * 2004-09-17 2007-06-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roximity check server
JP4594753B2 (ja) * 2005-01-24 2010-12-08 日本放送協会 コンテンツ利用許可証送信装置、コンテンツ利用許可証送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利用許可証受信プログラム
US7620809B2 (en) * 2005-04-15 2009-11-1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registration with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framework
US7530088B2 (en) * 2005-09-20 2009-05-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pology based proximity validation for broadcast content
EA200901153A1 (ru) * 2005-10-18 2010-04-30 Интертраст Текнолоджиз Корпорейшн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на основе механизма управления цифровыми правами
US7730184B2 (en) * 2005-11-17 2010-06-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igital rights management based on device proximity
US20070250476A1 (en) * 2006-04-21 2007-10-2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pproximate nearest neighbor search in metric sp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937B1 (ko) * 2011-10-17 2013-03-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Dlna 게이트웨이 기능이 포함된 셋톱박스 및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848B1 (ko) 2012-05-17
US8667168B2 (en) 2014-03-04
US20080126561A1 (en) 2008-05-29
JP2008141717A (ja) 2008-06-19
JP5186117B2 (ja)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848B1 (ko) 콘텐츠 전송을 위한 접근 제어 방법 및 상기 접근 제어방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노드
US8656156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authenticating between DRM agents for moving RO
US7613829B2 (en) Proximity enforcement in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s
US8037541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different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s
US8327136B2 (en) Inter-entity coupl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ent protection
KR101366277B1 (ko) 도메인에서 ro 이동을 위한 멤버쉽 확인 방법 및 장치
US78858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RM agent in user domain in digital rights management
US20110055935A1 (en) System for group access to shared media, resources, and services
KR101548753B1 (ko) 컨텐츠 공유 방법
US9961549B2 (en) Right object acquisition method and system
EP2194691A1 (en) Remote access of protected internet protocol (IP)-based content over an IP multimedia subsystem (IMS)-based network
JP5248505B2 (ja) 制御デバイス、再生デバイス、及び許可サーバ
US20050246282A1 (en) Monitoring of digital content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over a network
KR101590781B1 (ko) 디지털 콘텐츠 대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9310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 DRM domain registration
US20050097052A1 (en) Distribution of media objects
KR100988374B1 (ko) 사용권리 이동 방법, 사용권리의 발급권한 관리 방법 및시스템
US201301601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ownloadable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a content service
KR100738911B1 (ko) 다이나믹 디지털 콘텐츠 권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32555A (ko) 디바이스들 간에 컨텐츠를 임시적으로 공유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JP2008301119A (ja) 端末間ライセンス伝送装置、端末間ライセンス伝送方法、および端末間ライセンス伝送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