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3891A -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 및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 및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3891A
KR20030073891A KR1020020013647A KR20020013647A KR20030073891A KR 20030073891 A KR20030073891 A KR 20030073891A KR 1020020013647 A KR1020020013647 A KR 1020020013647A KR 20020013647 A KR20020013647 A KR 20020013647A KR 20030073891 A KR20030073891 A KR 20030073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sumer
server
content delivery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종
허권
송영관
김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텔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텔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텔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020013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3891A/ko
Publication of KR2003007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89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에서 콘텐츠를 전송받는 컨텐츠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에 참여하여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에 지능형 콘텐츠 전송 경로 선택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소비자의 위치정보 및 다양한 개인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최적의 컨텐츠 배포 서버 및 사용자 취향에 맞는 최적의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선정할 수 있고, 컨텐츠 전송 경로를 최단거리로 좁힐 수 있는 소비자 참여 방식의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소비자 참여 방식의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은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서비스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소비자용 프로그램(110)을 배포하도록 콘텐츠 사이트(210)를 구비한 콘텐츠 서버(200)와; 이런 콘텐츠 서버(200)에서 미리 콘텐츠를 전송 받아,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100)에게 최적의 근접 위치에서 콘텐츠를 전송하는 서버팜(300, 310, 320)과; 이런 서버팜(300, 310, 320)에 대해서 자동으로 콘텐츠 전송 정책(룰세트) 동기화 과정을 수행하고, 소비자의 웹 요청이 변경된 콘텐츠 전송 정책에 따라 서버팜(310)으로 적절히 재설정될 수 있도록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등록 받아 저장하고,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소비자용 프로그램(110)의 콘텐츠 전송 정책과 변경된 콘텐츠 전송 정책을 동기화 시키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정책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PULL-TYPED CONTENTS DELIVERY NETWORK}
본 발명은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능형 소비자용 프로그램이 콘텐츠 소비자의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되어 인터넷의 여러 위치에 설치된 콘텐츠 서버 중에 최적의 콘텐츠 전송속도의 콘텐츠 서버를 통해 상기 콘텐츠 소비자의 요구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도록 콘텐츠 전송 경로를 조정하고, 인터넷 기간 망 부분의 콘텐츠 전송 부하를 최소화하는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은 전세계 200여 개 국가들의 통신망들과 서로 연결되어 있는 세계 최대의 네트워크로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 규약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런 인터넷은 2억명 이상의 사용자가 사용 중이고, 약 3,000만대 이상의 호스트가 연결되어 있는 매우 광범위하고 범용적인 네트워크이며 현재도 지속적인 확장 추세에 있다.
이런 인터넷 사용의 폭발적 증가는 역설적으로 통신의 품질을 현격히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따라서, 최근 들어서는 막대한 비용이 드는 네트워크 인프라 증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낮은 비용으로 더 고품질의 서비스를 소비자들에게 할 수 있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ontents Delivery Network ; 이하 CDN 이라 한다)라는 기술에 대한 논의와 투자가 지속되고 있다
여기에서, 콘텐츠(contents)는 웹 페이지, 메일, 뉴스, 자료화일, 그림화일, 동영상 등의 인터넷상에서 정보 교환을 위해 전송되는 보편적 데이터를 의미한다.
CDN 기술이란 콘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 ; 이하 CP 라 한다)의 중앙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까지 콘텐츠를 원거리로 전송함에 따르는 통신상의 부하 및 콘텐츠 전송 속도 저하, 그리고 콘텐츠 품질 저하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콘텐츠 소비자로부터 가까운 주변 네트워크에 전략적으로 다수의 콘텐츠 서버(contents server) 또는 캐쉬 서버(cache server)를 설치하고, 소비자의 콘텐츠요청(request)을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응답 및 처리하는 콘텐츠 배포 기술을 의미한다.
이런 CDN은 주변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를 전송함으로써 기간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소비자들에게 더 나은 양질의 콘텐츠 서비스와 함께 빠르고 안정적인 네트워크 접속 인프라를 제공한다. 또한, CDN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 ; 이하 ISP라 한다)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Network Service Provider ; 이하 NSP라 한다) 및 CP와 같은 인터넷 사업자들의 입장에서, 주변 네트워크에 설치된 콘텐츠 서버들의 분산처리를 통해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다수의 콘텐츠 소비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기술적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인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인 것이다.
일반적인 CDN은 도 1에 도시 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기(10)와, CP의 콘텐츠 서버(20)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0)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서버팜(30 ; ISP Edge Farm)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CDN을 통해서 제공되는 콘텐츠의 전송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① 소비자가 클라이언트 단말기(10)를 통해 CP의 콘텐츠 서버(20)에게 요청을 하고, ② CP의 콘텐츠 서버(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팜(30)을 선택하여, 서버팜(30)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 이하 IP 주소라 한다)로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요청을 재설정(Request Redirection)한다. 그러면, ③ 클라이언트 단말기(10)는 사용하는 소비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즉 투명(transparent)하게 재설정된 IP 주소로 요청을 하게 되고, ④ 결과적으로, 요청된 콘텐츠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게 가까이 있는 서버팜(30)으로부터 전송된다.
이런 일련의 과정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게 가장 적절한 서버팜(30)으로 소비자의 콘텐츠 요청을 재설정하기 위한 서버팜의 선택 과정인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가장 일반적인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은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인터넷 사용자(40)의 지역 네트워크 인식 DNS(Domain Name System)의 IP 주소를 기반으로 최적의 서버팜인 콘텐츠 캐쉬 클러스터(53)를 선정하는 콘텐츠 분산 전송 방식을 이용한다.
즉, 인터넷 사용자(40)는 ISP(50)의 근거리 접속 지점[이하 ISP POP(51 ; Point of Presence)라 한다]을 통해 접속하여, 특정 콘텐츠 서버(70)에 대한 일관된 자원 위치기, 즉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요구한다(a).
이런 경우, URL내의 호스트 이름에 대한 IP 주소 질의는 인터넷 사용자(40)의 현재 인터넷 사용자(40)의 DNS 서버로 설정된 ISP DNS(52)에 전달된다(b).
그리고, ISP DNS(52)는 상기 특정 콘텐츠 서버(70)가 속한 인터넷 도메인에 대한 책임 DNS(authoritative DNS)인 지역 네트워크 인식 DNS(60)에게 상기 특정 콘텐츠 서버(70)의 호스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질의한다(c).
이때, 지역 네트워크 인식 DNS(60)는 ISP DNS의 IP 주소를 근거로 ISP DNS(52)에게 ISP(50)에 설치된 캐쉬 서버 클러스터(53)로 접속할 수 있는 IP 주소를 응답한다(d).
따라서, ISP DNS(52)는 ISP POP(51)를 통해서(e), 지역 네트워크 인식 DNS(60)로부터 응답 받은 바와 같이, 특정 콘텐츠 서버(70)에 대한 IP 주소 대신에, 캐쉬 서버 클러스터(53)의 IP 주소를 인터넷 사용자(40)에 전달한다(f).
이런 경우, 인터넷 사용자(40)는 캐쉬 서버 클러스터(53)를 상기 특정 콘텐츠 서버(70)로 인식하여 콘텐츠를 요구하고 전송 받는다(g)(h).
이러한 종래의 콘텐츠 분산 전송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에서는 인터넷 병목 현상 제거에 크게 기여하였으나, 인터넷 사용자(40)들이 사용하는 ISP DNS(52)의 IP 주소에 의거하여 인터넷 사용자(40)의 네트워크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실제 ISP/NSP의 복잡한 주변 네트워크(sub-network)를 인식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한 ISP에서 DNS를 하나의 네트워크 주소 내에 설치했다면 지역인식 DNS는 상기 ISP의 DNS를 통한 호스트 네임 질의에 하나의 콘텐츠 서버팜의 IP 주소를 응답하게 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콘텐츠 서버팜이 ISP 내에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인터넷 사용자와 콘텐츠 서버팜 간의 네트워크 성능 및 거리에 대한 지식 없이 순번제로 콘텐츠 서버팜을 선택하는 방식과 같은 라운드 로빈(round-robin) 등의 알고리즘(algorithm)을 사용하여 비효율적인 콘텐츠 서버팜의 IP 주소 응답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만일 인터넷 사용자(40)가 접속 중인 ISP DNS(52)의 DNS 서버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네트워크의 DNS 서버를 사용하게 될 경우, 지역 네트워크 인식 DNS(60)는 다른 네트워크에 설치된 캐쉬 서버 클러스터(도시 안됨)의 IP 주소를 응답하는 등과 같은 오류를 범할수 있다.
또한, 종래의 콘텐츠 분산 전송 방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은 인터넷 사용자의 제한된 위치 정보만을 이용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자의 개인정보에 따른 차별된 콘텐츠 전송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결과적으로 통신자원의 낭비와 콘텐츠 전송 품질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텐츠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을 통해서 미리 소비자의 위치정보 및 다양한 개인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최적의 콘텐츠 전송 서버를 정확하게 선정할 수 있고, 콘텐츠 전송 과정을 최단거리로 좁힐 수 있는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비자의 개인정보에 적합한 개인화된 콘텐츠 전송을 통해서 불필요한 콘텐츠의 전송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전체 인터넷 사용 부하를 감소시켜서 콘텐츠 전송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자의 경영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부스터의 초기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에 대한 룰세트에 정의된 콘텐츠 전송 경로에 따라 콘텐츠 전송 요구 재설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에 대한 룰세트의 목표 지향적 콘텐츠 선정 및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에 대한 룰세트에 의한 콘텐츠 프리로딩(preloading)과 예약 다운로드(scheduled download)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
도 8과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에서의 룰세트(rule-set) 동기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 : 인터넷 망 100 :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
110 : 소비자용 프로그램 111 : 콘텐츠 목록
200 : 콘텐츠 서버 210 : 콘텐츠 사이트
220 : 다운로드 페이지 300, 310, 320 : 서버팜
400 :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정책 관리 서버 410 : 데이터베이스 서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에 설치되는 소비자용 지능형 콘텐츠 전송 경로 판단 프로그램[이하 부스터(booster)라 칭함]을 배포하도록 웹사이트를 구비한 부스터 배포용 콘텐츠 서버와; CP의 콘텐츠 서버로부터 미리 콘텐츠를 전송 받아,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에게 최적의 근접 위치에서 실제로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다수의 캐쉬 및 콘텐츠 서버들을 구비한 서버팜[이하 브랜치(branch)라 칭함]과; 이런 브랜치에 대해서 자동 콘텐츠 전송 정책[이하 룰세트(rule-set)라 칭함] 배포 및 업데이트 과정을 수행하고, 소비자의 콘텐츠 요청이 변경된 룰에 따라 최적의 브랜치로 적절히 재설정될 수 있도록,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등록 받아 저장하고,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에 설치되는 소비자용 프로그램의 룰세트와 변경된 룰세트를 동기화시키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정책 관리 서버[이하 팀버(timber)라 칭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텐츠 제공자의 콘텐츠를 브랜치가 전송 받아, 소비자가 원하는 콘텐츠들이 소비자에 최근접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와; 소비자가 CP의 콘텐츠 배포 서버 혹은 관련된 콘텐츠 제공자의 콘텐츠 배포 서버를 방문할 경우, 소비자가 방문한 콘텐츠 배포 서버에 링크(link)된 소비자용 프로그램인 부스터를 브랜치를 통해 소비자에게 배포하는 단계와; 본 발명인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 관리자가 변경되어진 룰세트를 팀버에 입력하여서 팀버에 룰세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팀버에 소비자가 직접 등록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소비자용 프로그램이 팀버를 통해 룰세트의 동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로 룰세트에 의해 설정된 소비자 요구 콘텐츠에 대한최적의 브랜치에서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4는 부스터의 초기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또한, 도 5는 룰세트의 재설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룰세트의 개인화된 콘텐츠 선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또한, 도 7은 룰세트의 프리로딩(preloading)과 예약 다운로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8과 도 9는 룰세트 동기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는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참여를 원하는 소비자로 하여금 콘텐츠 전송 서비스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부스터(110)가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100)에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 구성은 CP의 콘텐츠 서버(200)와,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100)에게 최적의 근접 위치에서 실제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브랜치(300 ; branch)와, 소비자 개인정보를 등록 받고 저장하여 정보서버(information server)의 역할을 하고 개인화(personalized)된 콘텐츠 선정 등과 같은 목표지향형(targeted)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위해서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룰세트(rule-set)를 제공하는 팀버(400 ; timber)와, 목표지향형 또는 개인화된 광고 이미지와 같은 콘텐츠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10)와,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인프라를 구성하기 위한 미들웨어(middleware; 도시 안됨)들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지역 네트워크 인식 DNS의 역할을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의 부스터(110)가 직접 수행함으로써 정밀한 콘텐츠 전송 경로 선택이 가능하며 최적의 주변 네트워크의 브랜치(300)를 통해 콘텐츠를 전송 받음으로써 획기적으로 중앙 네트워크 부하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런 부스터(110)는 브랜치(300)에서 배포되는 플러그-인(plug-in) 타입의 프로그램으로서, 특정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요청을 룰세트에 정의된 브랜치(300)로 소비자의 콘텐츠 전송 요구를 재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CP의 콘텐츠 서버(200) 또는 콘텐츠 배포 서버는 CP에 의해서 전체 콘텐츠들을 총괄적으로 관리하고, 특히 소비자가 CP의 웹사이트를 방문할 시에 부스터(110)에 대한 다운로드 페이지(220)를 제공한다.
또한, 브랜치(300)는 미리 선정된 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캐쉬 및 콘텐츠 서버들로서, 콘텐츠 서버(200)로부터 미리 전송 받은 콘텐츠를 저장하고, 소비자가 룰세트에 정의된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200)에 요청 시, 부스터(110)가 이를 감지하고 소비자의 콘텐츠 전송 요구를 브랜치(300)로 재설정하면 실제로 콘텐츠를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팀버(400)는 특정 CP의 콘텐츠를 서비스할 브랜치에 대한 지정, 개인화된 콘텐츠의 선정 역할, 그리고 프리로딩(preloading)과 예약 다운로드 (scheduled download) 등과 같은 룰세트를 생성함과 동시에, 전체 사용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을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소비자는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콘텐츠 서버(200) 또는 부스터 배포 서버에서 내려 받은 부스터(110)를 설치하고, 원하는 콘텐츠를 특정의 콘텐츠 서버(200)에 요청한다. 이때, 부스터(110)는 룰세트에 정의 되어있는 브랜치(300)로 원래의 소비자 콘텐츠 전송 요청을 재설정하고, 콘텐츠 전송 요청을 받은 브랜치(300)는 소비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소비자에게 전송한다. 이런 경우, 콘텐츠 요청에 대한 반응은 종래의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콘텐츠 서버(200)의 시스템 부하 및 콘텐츠 서버(200)가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부하, 그리고 NSP의 중앙 네트워크 부하를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랜치(300)는 팀버(400)에서 관리되고 있는 소비자의 등록된 개인정보 및 개인화된 콘텐츠 선정 기능과 연동하여 소비자에게 가장 적절한 내용의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앞서 간략하게 언급한 부스터(110)와 브랜치(300) 및 팀버(400)에 관련된 일련의 콘텐츠 전송 과정을 원활히 구현하기 기술적 사상은 다음의 항목들로 설명될 수 있다.
1) 부스터 초기 설치(booster initial setup)
2) 룰세트의 적용(rule-set adoption)
- 콘텐츠 요구 재설정 방식(contents request redirection)
- 목표 지향형 콘텐츠 선정 방식(targeted contents selection)
- 프리로딩(preloading)과 예약 다운로드(scheduled download) 방식
3) 룰세트의 동기화(rule-set synchronization)
첫 번째 항목인 부스터 초기 설치에 대해 설명하면, 도 4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소비자는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콘텐츠 서버(200)로 운영되는 CP의 웹사이트(210) 혹은 관련된 업체의 웹사이트(도시 안됨)를 방문하고(A), 웹사이트(210)의 다운로드 페이지(220)에서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100)에 부스터(110)의 설치를 요청하며(B), 등록 양식(420)을 통해 팀버(400)에 소비자 자신의 다양한 개인정보를 등록한다(C). 여기에서, 팀버(400)에 등록한 소비자의 개인정보는 성명을 비롯하여 인터넷 접속방식(예를 들면, PSTN, IDSN, Cable model, xDSL, 전용선, 무선 인터넷 등), 접속지역, 성별, 연령층, 기호, 직업 등이 포함된다. 이후, 팀버(400)는 브랜치(300)로 소비자의 부스터(110) 다운로드 요구를 재설정하고(D), 브랜치(300)로부터 부스터(110)를 소비자가 컴퓨터 단말기(100)로 다운로드하면(E), 컴퓨터 단말기(100)에 부스터(110)가 설치된다(F). 설치된 부스터(110)는 등록된 소비자의 다양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팀버(400)에서 생성되어 있는 룰세트와 동기화된다(G).
두 번째 항목인 룰세트의 적용을 설명하면, 팀버(4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되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 서버라 할 수 있는데, 부스터 초기 설치과정에서 소비자에게 제공받은 다양한 개인정보를 파악해, 그소비자의 시스템 또는 컴퓨터 단말기(100)에 적용될 일련의 룰세트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룰세트는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100)에 설치된 부스터(110)에 적용 즉, 동기화되는데, 이후 인터넷 콘텐츠 요청이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100)에서 발생할 때 이 부스터(110)는 이를 감지하고 설정되어진 룰세트를 적용하게 된다.
본 설명에서 핵심적인 룰세트의 내용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세 가지 정도로 설명되겠지만, 이는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 설명 내용만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핵심적인 룰세트의 첫 번째 특징은 최적의 콘텐츠 전송 경로 재설정 방식에 있다.
최적의 콘텐츠 전송 경로 재설정 방식의 요점은 부스터 초기 설치 시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에 담긴 네트워크 위치 정보를 통해서, 소비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콘텐츠 유형별 브랜치들을 우선 순위가 적용된 복수 브랜치들로 선정하고, 그 선정된 브랜치들 중 우선순위에 따라 현재 가용한 브랜치를 검증한 후, 최적의 브랜치로부터 소비자가 콘텐츠를 전송 받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룰세트가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에 적용되어진 이후, 특정 인터넷 콘텐츠에 대한 요청이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에서 발생하면(S10), 이를 감지한 부스터가 판단하여 룰세트에 등록된 CP의 콘텐츠인 경우(S20), 부스터에 기 설정된 브랜치들을 검색함으로써(S30), 기 설정된 브랜치들중 현재의 최적의 브랜치로 사용자 콘텐츠 전송 요구를 재설정하고(S40), 현재 가용 상태의 브랜치가 없을 경우 사용자가 콘텐츠 전송을 요구한 원래의 콘텐츠 서버(origin contents server)로 콘텐츠 전송 요청이 전달 되도록 상기 요구를 무시하게 된다(S50).
물론, 사용자가 요구하는 모든 인터넷 콘텐츠가 부스터의 룰세트를 적용 받는 것은 아닌데, 바로 이 점에서 본 발명이 하나의 수익 모델로 자리잡을 수 있는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http://aaa.net'이라는 웹사이트의 CP는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며, 팀버가 생성하는 룰세트에 등록되어 있고, 이와 반면에 http://bbb.com'이라는 웹사이트의 CP는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지 않는 상황이라면, 소비자의 요청에 응답하는 속도와 품질은 인터넷에 설치된 다수의 브랜치를 효율적으로 배치 및 운용하는 상황에서는 현저하게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사업적 측면에서 본 발명을 통해서 발생시킬 수 있는 수익 모델은 현존하는 다양한 CP들을 대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소비자 참여방식의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이용케 함으로써, CP들의 수익 모델을 개선 시키는 효익을 CP에게 제공하며 CP로 부터 수익을 창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핵심적인 룰세트의 두 번째 특징은 개인화된 콘텐츠의 선정에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소비자의 위치 정보 파악을 통한 최적의 브랜치 선정에 따른 서비스 속도 및 품질의 증대와 함께, 등록된 소비자들의 다양한 개인 정보와 소비자 개인 취향에 부합되는 차별화된 즉, 소비자 개인별로 서로 다른 내용의 콘텐츠를 선정하여 전송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팀버(400)는 앞서 언급한 인터넷 접속 방식(PSTN, ISDN, Cable model, xDSL, 전용선, 무선 인터넷 등), 접속 지역, 성별 연령층, 기호, 직업, 개인소득, 관심분야 등과 같이 소비자가 직접 등록한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410)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e-CRM(인터넷 기반의 고객 관계 관리)의 데이터 마이닝과 같은 소정 기법을 통해서 개인화된 콘텐츠를 선정하여 전송하도록 소비자에 설치된 부스터와 콘텐츠 전송 역할을 수행하는 브랜치들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광고 콘텐츠의 전송에 있어서는 개인 정보를 등록한 소비자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CP의 포털 사이트에 접속한 경우에, 일반적으로 포털 사이트의 첫 페이지 상단에 상업용 광고가 게재되는 경우를 예상하면. 그 포털에 접속한 본 발명 시스템 참여 소비자가 남성이며 20대 초반이라고 등록되어 있다면, 상업용 광고 섹션에 보청기 이미지(411)보다는 가죽옷에 잘빠진 20대 남성이 타고 있는 오토바이 이미지(412)가 일반적으로 훨씬 더 효과적으로 소비자의 관심을 집중시킬 것이다.
상기한 광고 효과를 위해, 소비자의 상기 포털 사이트의 광고 콘텐츠 요청이 부스터를 통해 브랜치(300)로 전달되면, 브랜치(300)는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팀버(400)에게 콘텐츠 요청자(소비자)의 개인정보에 부합하는 콘텐츠의 선정을 요청한다. 이후, 콘텐츠의 선정을 요청받은 팀버(40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10)에 저장하고 있는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콘텐츠 요청자에게 가장 적절한 콘텐츠 411 또는 412를 선정해 브랜치(300)에게 응답하고, 브랜치(300)는팀버(400)가 선정한 콘텐츠 411 또는 412를 소비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선정된 콘텐츠 411 또는 412는 브랜치(300)로부터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100)에게 전송되는 과정을 거쳐서,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최적의 콘텐츠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내용을 선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등록된 소비자가 이용하는 하드웨어, 특히 네트워크 용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 전송속도도 최적의 것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소비자의 인터넷 접속방식을 사전에 파악하여 적절한 전송속도를 가진 콘텐츠를 선택하는 기능이다. 특히, 스트리밍 서비스에 있어서 적절한 전송속도의 선택은 그 내용을 선택하는 것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핵심적인 룰세트의 세 번째 특징은 프리로딩과 예약 다운로드 방식에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망(80)을 통해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100)에 설치된 부스터(110)는 소비자가 주로 이용하는 콘텐츠들에 대한 콘텐츠 목록(111)을 파악하고 있다가, 컴퓨터 단말기(100)의 휴지 기간(system idle time)에 미리, 차후 당해 컴퓨터 단말기(100)의 소비자가 요청할 것으로 예상되는 콘텐츠를 선정하여, 소비자가 자주 방문하는 콘텐츠 서버 목록(111)에 대한 분석을 통해 컴퓨터 단말기(100)의 로컬 캐쉬에 소비자가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의 콘텐츠를 미리 내려받아 놓음으로써, 소비자에게 훨씬 더 빠른 콘텐츠 뷰(contents view)를 제공한다. 또한, 부스터(110)는 캐쉬 기능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특정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미리 예약해 두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즉, 소비자는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100) 상에서 부스터(110)의 기능 메뉴 중 프리로딩과 예약 다운로드용 기능메뉴를 이용하여 예약 시간과, 콘텐츠 종류 등을 선택해 소비자의 컴퓨터단말기에 내려받기를 예약 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주식 시세와 같이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동적 콘텐츠에 대한 내려 받기는 소비자의 직접적인 선택이 가능한 옵션으로 존재하게 되어 소비자가 가치 없는 낡은 정보를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인다.
아래에서, 마지막 항목인 룰세트의 동기화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8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앞서 상세히 설명한 콘텐츠 전송 요구 재설정 방식과, 개인화된 콘텐츠 선정 방식 및 프리로딩과 예약 다운로드 방식은 팀버(400)에서 룰세트라는 형태로 생성되고 관리된다. 그런데, 소비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거나, 또는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CP가 변경되거나, 혹은 CP에서 제공하려는 콘텐츠의 내용이나 위치가 변경되면 팀버(400)에서 관리되는 룰세트가 변경되어야 함을 의미하며, 이는 개개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부스터(110)의 룰세트와도 동기화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http://aaa.net이라는 CP가 관리하는 많은 콘텐츠 중 하나의 특정 콘텐츠를 저장/전송해 주는 서버가 제1콘텐츠서버(이하 CS1라 한다)에서 제2콘텐츠서버(이하 CS2라 한다)로 변경되었다면, 소비자의 콘텐츠 요청도 CS1에서 CS2로 변경되어 재설정(redirection)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해 소비자의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부스터에는 여전히 당해 콘텐츠 요청에 대한 재설정을 CS1로 하게끔 설정되어 있다면 본 발명이 추구하는 원활한 콘텐츠 전송 서비스가 불가능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팀버(400)에서 변경된 룰세트가 상시적으로 개개 소비자의 부스터(110)와 동기화되는 룰세트 동기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룰세트 동기화 기능에 대한 기본적인 과정에서는 변경되어진 룰을 관리자가 팀버(400)에 입력 및 갱신하고(H), 팀버(400)에서 룰세트에 대한 버전 제어(version control)를 수행하고(I), 상시/주기적으로 팀버(400)에 새로운 룰세트 버전을 확인하는 부스터(110)는 새 버전이 있음을 파악하고, 룰세트 다운로드를 팀버에 요청한다(J). 이때, 팀버(400)는 룰세트 다운로드 요청을 접수하고, 룰세트 패치(rule-set patch)를 전송한다(K). 룰세트 패치를 전송받은 부스터는 자신의 룰세트를 변경 및 갱신한다(L).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부스터(110)와 팀버(400)간의 룰세트는 항시적으로 최신화되며,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전송 서비스는 제대로 작동된다. 위에서 설명한 과정에서 전체 룰세트가 전송되지 않고 패치를 전송하는 것은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고 전송 속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이런 본 발명에 따른 룰세트 동기화 과정은 팀버(400)와 부스터(110)뿐만이 아니라 팀버(400)와 브랜치들 사이에서도 수행되어야 하는데, 그 전체 구성이 도 9에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되어진 룰을 관리자가 팀버(400)에 입력하여서 팀버(400)에 룰세트가 변경되면(M), 팀버(400)와 브랜치(300, 310, 320)들간에 자동 룰 갱신 과정이 수행되고(N, O, P), 상시적으로 버전 체크를 수행하던부스터(110)에게 룰세트 패치가 다운로드되어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100)에 설치되면(Q), 소비자의 인터넷 콘텐츠 요청은 변경된 룰세트의 정의에 따라 브랜치(310)로 적절히 재설정되고(R), 이후 재설정된 브랜치(310)로부터 콘텐츠를 전송받게 된다(S).
아래에서,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CP는 콘텐츠 서버의 콘텐츠를 브랜치에 전송함으로써, 소비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소비자의 최근접 위치에 배치시킨다(S100). 또한, 소비자가 CP의 콘텐츠 배포 사이트 혹은 관련된 콘텐츠 제공자의 콘텐츠 배포 사이트(도시 안됨)를 방문할 경우, 브랜치를 통해서 소비자용 프로그램인 부스터를 배포한다(S200). 이후,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시스템의 운영 관리자가 변경되어진 룰세트를 팀버에 입력하여 팀버에 새로운 룰세트가 생성되면(S300), 팀버에 소비자가 직접 등록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부스터와 룰세트의 동기화 과정을 수행한다(S400). 이때, 필요에 따라 팀버는 부스터의 상시적 버전 확인에 의해서 소비자용 프로그램인 부스터의 룰세트 패치 배포 과정(S500)을 진행하고, 또한 팀버의 룰이 변경될 경우, 소비자의 콘텐츠 전송 요청이 변경된 룰세트에 따라 최적의 브랜치로 적절히 재설정되도록, 팀버와 브랜치간의 자동 룰 업데이트 과정(S600)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CP는 소비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룰세트에 의해 정의된 최적의 브랜치에서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한다(S700).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은 소비자에게 좀 더 가까운 곳에서 콘텐츠를 전송하기 때문에, 빠르게 고품질의 콘텐츠를 소비자에게 서비스하기 위해서 고비용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증설하지 않고도, 콘텐츠 전송의 속도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은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려는 기존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서비스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소비자들을 적극적으로 콘텐츠 전송 서비스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비용, 고효율의 서비스를 창출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방법은 소비자에게 가장 가까운 곳에서, 최고의 콘텐츠 전송 속도로, 자신의 개인 취향에 최적인 내용의 콘텐츠를 제공받게 하는 효과가 있고, 콘텐츠 제공자에게 콘텐츠 전송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며, 서비스의 품질 및 효율성 향상을 도모하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방법은 전체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여 국가 네트워크 인프라의 증설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하고, 전체 국가 경제에도 도움이 됨은 예측 가능하며, 따라서 정보 기술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및 그 운영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6)

  1. 콘텐츠를 원하는 소비자로 하여금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서비스에 능동적으로 참여시키는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소비자용 프로그램(110)을 배포하도록 웹사이트(210)를 구비한 콘텐츠 서버(200)와;
    상기 콘텐츠 서버(200)로부터 미리 콘텐츠를 전송받아, 상기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100)에게 최적의 근접 위치에서 실제로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다수의 캐쉬 서버 및 콘텐츠 서버들을 구비한 서버팜(300, 310, 320)들과;
    상기 서버팜(300, 310, 320)들에 대해서 자동 콘텐츠 전송 정책 배포 및 업데이트 과정을 수행하고, 소비자의 콘텐츠 전송 요청이 변경된 콘텐츠 전송 정책에 따라 최적의 서버팜 (310)으로 적절히 재설정될 수 있도록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등록 받아 저장하고, 상기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상기 소비자용 프로그램(110)의 콘텐츠 전송 정책과 변경된 콘텐츠 전송 정책을 동기화시키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정책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정책 관리 서버(400)는 고객 관계 관리와 목표 지향적 콘텐츠 선정 및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타깃화되고 개인화된 콘텐츠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정책 관리 서버(400)에 의해 생성되고 변경되는 콘텐츠 전송 정책은 소비자 콘텐츠 요구 재설정 방식과, 목표 지향적 콘텐츠 선정 방식 및 프리로딩과 예약 다운로드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용 프로그램(110)은 상기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100)에서 인터넷 콘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이 발생할 때, 상기 콘텐츠 전송 정책에 등록된 콘텐츠 제공자의 콘텐츠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소비자용 프로그램(110)에 기 설정된 상기 서버팜(300, 310, 320)들을 검색하고, 이후 기 설정된 상기 서버팜(300, 310, 320)들 중 최적의 서버팜으로 콘텐츠 전송 요구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
  5.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자의 콘텐츠를 서버팜이 전송받아, 소비자가 원하는 콘텐츠들이 소비자의 근접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S100)와;
    상기 소비자가 상기 콘텐츠 제공자의 콘텐츠 서버 혹은 관련된 콘텐츠 제공자의 콘텐츠 서버를 방문할 경우, 소비자가 방문한 콘텐츠 서버에 링크된 소비자용 프로그램을 서버팜을 통해 소비자에게 배포하는 단계(S200)와;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 관리자가 변경되어진 콘텐츠 전송 정책을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정책 관리 서버에 입력하여 콘텐츠 전송 정책을 생성하는 단계(S300)와;
    상기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정책 관리 서버에 상기 소비자가 직접 등록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소비자용 프로그램이 상기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정책 관리 서버를 통해 콘텐츠 전송 정책의 동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400)와;
    상기 소비자의 컴퓨터 단말기로 콘텐츠 전송 정책에 의해 설정된 소비자 요구 콘텐츠에 대한 최적의 서버팜에서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정책 관리 서버가 상기 소비자용 프로그램의 상시적 버전 확인에 의해서 상기 소비자용 프로그램의 콘텐츠 전송 정책 패치를 배포하는 단계(S500)와;
    상기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정책 관리 서버의 룰이 변경될 경우, 상기 소비자의 웹 요청이 변경된 콘텐츠 전송 정책에 정의된 콘텐츠 전송 경로에 따라 최적의 서버팜으로 적절히 재설정될 수 있도록, 상기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정책 관리서버와 상기 서버팜간의 자동 룰 업데이트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방법.
KR1020020013647A 2002-03-13 2002-03-13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 및그 운영방법 KR20030073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647A KR20030073891A (ko) 2002-03-13 2002-03-13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 및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647A KR20030073891A (ko) 2002-03-13 2002-03-13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 및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891A true KR20030073891A (ko) 2003-09-19

Family

ID=3222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647A KR20030073891A (ko) 2002-03-13 2002-03-13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 및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38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015B1 (ko) * 2007-02-16 2007-10-09 주식회사 에이씨티소프트 그룹 내 클라이언트 단말들의 콘텐츠 배포 관리 장치, 콘텐츠 배포 관리 시스템 및 그 콘텐츠 배포 관리 방법
KR100801137B1 (ko) * 2006-09-22 2008-02-05 주식회사 버츄얼웨어 쌍방향 방송형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계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0923954B1 (ko) * 2007-11-22 2009-10-29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피투피 기반의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서비스 지원 장치 및방법
KR101145848B1 (ko) * 2006-11-29 2012-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전송을 위한 접근 제어 방법 및 상기 접근 제어방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노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7667A2 (en) * 1997-02-21 1998-08-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ata caching on the internet
JPH10334057A (ja) * 1997-06-04 1998-12-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分散システム環境におけるバッチジョブの動的負荷分散処理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19990024309A (ko) * 1997-08-22 1999-04-06 전주식 분산된 공유 메모리 구조의 다중 프로세서 장치
JP2000200253A (ja) * 1999-01-05 2000-07-18 Hitachi Ltd デ―タベ―ス負荷分散処理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
KR20020004899A (ko) * 2001-10-25 2002-01-16 고사무열 콘텐츠 능동적 동기화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인터넷 콘텐츠 전송 네트웍 서비스 방법
KR20020017926A (ko) * 2000-08-29 2002-03-07 오명철 주변 네트워크 인식 인터넷 컨텐츠 분산 배포 시스템 및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7667A2 (en) * 1997-02-21 1998-08-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ata caching on the internet
JPH10334057A (ja) * 1997-06-04 1998-12-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分散システム環境におけるバッチジョブの動的負荷分散処理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19990024309A (ko) * 1997-08-22 1999-04-06 전주식 분산된 공유 메모리 구조의 다중 프로세서 장치
JP2000200253A (ja) * 1999-01-05 2000-07-18 Hitachi Ltd デ―タベ―ス負荷分散処理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
KR20020017926A (ko) * 2000-08-29 2002-03-07 오명철 주변 네트워크 인식 인터넷 컨텐츠 분산 배포 시스템 및그 제어 방법
KR20020004899A (ko) * 2001-10-25 2002-01-16 고사무열 콘텐츠 능동적 동기화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인터넷 콘텐츠 전송 네트웍 서비스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137B1 (ko) * 2006-09-22 2008-02-05 주식회사 버츄얼웨어 쌍방향 방송형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계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1145848B1 (ko) * 2006-11-29 2012-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전송을 위한 접근 제어 방법 및 상기 접근 제어방법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노드
KR100764015B1 (ko) * 2007-02-16 2007-10-09 주식회사 에이씨티소프트 그룹 내 클라이언트 단말들의 콘텐츠 배포 관리 장치, 콘텐츠 배포 관리 시스템 및 그 콘텐츠 배포 관리 방법
KR100923954B1 (ko) * 2007-11-22 2009-10-29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피투피 기반의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서비스 지원 장치 및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4581B2 (en) Integrated adaptive anycast for content distribution
US9002978B2 (en) Content delivery prediction and feedback systems
US10264062B2 (en) Request routing using a popularity identifier to identify a cache component
US8943170B2 (en) Content delivery network aggregation with selected content delivery
CN106888270B (zh) 回源选路调度的方法和系统
US10230819B2 (en) Translation of resource identifiers using popularity information upon client request
US8447862B2 (en) Global load balancing on a content delivery network
WO2007039576A1 (en) 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a user request redirection method thereof
US20070208737A1 (en) Cache Server Network And Method Of Scheduling The Distribution Of Content Files Within The Same
US20070192474A1 (en) Personalized Content Delivery Using Peer-To-Peer Precaching
US20060288119A1 (en) Multi-level redirection system
CN102118376A (zh) 内容分发网络服务器及内容下载方法
EP1697833A2 (en) Cache server at hotspots for downloading services
CN105450780A (zh) 一种cdn系统及其回源方法
ATE361628T1 (de) Verfahren zum umlenken von client-anforderungen zu web-diensten
CN109218362A (zh) 一种互联网内容分发方法、装置和系统
KR20110039513A (ko) 컨텐트 배포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5528666A (ja) ヘテロジーニアス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サービスコンテンツ配布方法、およびサービス管理プラットフォーム
CN106385426A (zh) 节点内容的命中方法及装置
WO2017140247A1 (zh) 移动基站cdn系统及其服务方法
US96545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selection based on personal profiles
KR20030073891A (ko) 소비자 참여 방식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운영시스템 및그 운영방법
EP27080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istribution internetworking
KR100693724B1 (ko) 아이피 주소 정보를 이용한 파일 배포 방법 및 이를구현하는 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어트-서버 시스템
KR20050086029A (ko)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