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944B1 -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944B1
KR101659944B1 KR1020150075945A KR20150075945A KR101659944B1 KR 101659944 B1 KR101659944 B1 KR 101659944B1 KR 1020150075945 A KR1020150075945 A KR 1020150075945A KR 20150075945 A KR20150075945 A KR 20150075945A KR 101659944 B1 KR101659944 B1 KR 101659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ption
dlna
network environment
sma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선
김흥주
진덕
Original Assignee
㈜스파이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파이카 filed Critical ㈜스파이카
Priority to KR1020150075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8Subtit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중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 관한 것으로,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반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은 자막정보 수집단계, 네트워크 환경, 장치 및 자막정보 저장단계, 환경정보 전송단계 및 장치 및 자막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 및 시스템{Caption supporting method and system using DLNA}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중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 기술이란, 가정 내 정보가전 제품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물리적 네트워크 기술을 의미한다.
최근 IP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음악이나 영상과 같은 AV(Audio/video) 콘텐츠를 교환하는 장면이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으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보거나 음악을 듣는 것은 이미 당연한 일이다. 그리고 네트워크를 통해 AV 콘텐츠를 교환하는 경향이 일반 가정으로도 번져가고 있다. 따라서 가정은 여러 가지 AV 기기를 연결 시켜서, 손쉽게 AV 콘텐츠를 즐기는 홈 네트워크를 원하는 추세이다. 이를 실현키 위해서는 여러 가지 자동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단순히 가전이 LAN 인터페이스에 접속되거나 무선 LAN 기능을 보유하면 되는 것이 아니며, 서로 상대의 존재를 네트워크를 통해 인식하고, 콘텐츠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원하는 콘텐츠를 교환할 수 있도록 설정해 두어야 한다.
홈 네트워크에서는 디바이스(device)들 간 또는 서버(server)와 디바이스간의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수신 측의 입장에서 송신 측의 메시지가 정당한 메시지인지 또는 송신 측이 정당한 사용자인지에 대한 확인 및 인증이 필요하다. 아울러, 서버와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들이 서버와의 정상적인 통신을 위해서 먼저 등록하고 인증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며, 이때에도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한 다양한 인증 방법들이 고려되고 있다.
종래 등록특허 제10-0667333호(공개일자: 2006.06.21) "홈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은 홈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디바이스와 사용자에 대한 접근 권한에 차별화를 두고 인증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홈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구현을 위해서, 디바이스 접속 시 사용자 및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효과적인 인증 방법의 요구에 일부 부응하는 측면이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대의 존재를 인식을 하고, 콘텐츠를 찾아 원하는 콘텐츠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데는 여러 가지 미들웨어(UPnP, HaVi, Jini, VESA, DLNA 등)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들웨어 중 하나인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는 TV, VCR, 디지털 카메라, 오디오시스템 등의 기기들로부터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를 공유하고자 함에 초점이 맞추어 지고 있다. 콘텐츠 공유는 기기들의 상호 호환성이 우선되어야 한다. 특히 가정 내에 PC 인터넷 네트워크(PC, 프린터 등), 이동 네트워크(PDA, 휴대폰, 노트북 등), 가전 네트워크(TV, 오디오, DVD플레이어 등) 등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주요 산업체간의 협력, 상호 운용성 프레임 워크(Operating Frame Work)의 표준화, 이를 준수하는 제품 등에서 운용성(Operating)을 만족해야할 필요가 있다.
특히, DLNA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모바일 장치나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개인 영역의 장치로부터 많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예컨대, 사진, 음악 및 비디오 등)를 획득하고, 전송하며,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즉, DLNA는 가정 내의 위치 및 장치에 무관하게 미디어 콘텐츠를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DLNA 시스템은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기반으로 하며, DMS(Digital Media Server), DMP(Digital Media Player), DMC(Digital Media Controller), DMR(Digital Media Renderer)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상기 DLNA 시스템은 유선망(IEEE 802.3) 또는 무선망(IEEE 802.11)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홈 네트워크 상의 DMS, DMP 및 DMR도 유선(IEEE 802.3) 또는 무선망(IEEE 802.11)을 통하여 상호 접속된다. 상기 홈 네트워크 상의 디지털 기기들은 IEEE 1394에 의해 영상, 음성 등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DLNA 환경에서 TV로 영상을 볼 때, 자막이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고 깨지는 경우가 있다. 원격의 DLNA 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며, TV마다 처리 가능한 TV 자막 인코딩 포맷(encoding format)이 다르기 때문에 문제 내용을 파악하여 해결하는 게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DLNA를 이용하는 개별 사용자들이 재생장치(예를 들어, TV)에 대한 자막 문제 해결이 어려워 DLNA 기술을 사용한 미디어 감상에 발생하는 장애를 해결할 수 있는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스마트 단말에서 재생장치(예를 들어, TV)에서 처리 가능한 TV 자막 인코딩 포맷(encoding format) 정보 획득에 실패하는 경우에도 정보서버로부터 자막정보를 알 수 있어 정상적으로 재생장치에서 자막을 감상할 수 있는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반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스마트 단말이 DLNA 내의 재생장치로부터 처리가능한 자막 인코딩 포맷 정보를 수집하는 자막 정보 수집단계; 상기 제1 스마트 단말이 제1 네트워크 환경정보, 상기 재생장치의 장치정보 및 자막정보를 정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서버는 전송받은 상기 네트워크 환경정보, 상기 장치정보 및 상기 자막정보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환경, 장치 및 자막정보 저장단계; 상기 재생장치의 자막 호환성에 장애가 있는 제2 스마트 단말이 상기 정보서버에 제2 네트워크 환경정보를 전송하는 환경정보 전송단계; 그리고 상기 정보서버가 상기 제2 스마트 단말의 상기 제2 네트워크 환경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장치정보 및 상기 자막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제2 스마트 단말에 제공하는 장치 및 자막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반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시스템은 DLNA 내의 제1 네트워크 환경정보, 재생장치의 장치정보 및 상기 재생장치의 처리 가능한 자막 인코딩 포맷 자막정보를 수집하는 제1 스마트 단말; 상기 제1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환경정보, 상기 재생장치의 장치정보 및 자막정보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정보서버; 및 상기 재생장치의 자막 호환성에 장애가 있으며 제2 네트워크 환경정보를 상기 정보서버로 전송하는 제2 스마트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정보서버는 상기 제2 네트워크 환경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장치정보 및 상기 자막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제2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은 DLNA를 이용하는 개별 사용자들이 재생장치(예를 들어, TV)에 대한 자막 문제 해결이 어려워 DLNA 기술을 사용한 미디어 감상에 발생하는 장애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은 특정 스마트 단말에서 재생장치(예를 들어, TV)에서 처리 가능한 TV 자막 인코딩 포맷(encoding format) 정보 획득에 실패하는 경우에도 정보서버로부터 자막정보를 알 수 있어 정상적으로 재생장치에서 자막을 감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시스템에 사용되는 재생장치 자막 정보(예를 들어, 자막 인코딩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시스템에 사용되는 장치정보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일부가 간략하거나 과장되게 표현되었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도시되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더불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시스템(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DLNA는 홈 네트워킹을 위한 규격으로 같은 네트워크의 장치들 중 DLNA규격을 만족하는 장치들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반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DLNA를 이용한 재생장치의 자막 호환성 장애가 있는 스마트 단말에 대해 자막을 지원하는 자막 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DLNA를 이용한 자막 호환성 여부를 검증하고 자막 보정 방법을 개선하여 원격 네트워크에서의 자막 지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시스템(10)은 제1 스마트 단말(100), 정보서버(200) 및 제2 스마트 단말(300)을 포함한다.
제1 스마트 단말(100)은 DLNA 기반 홈 네트워크 환경 내의 재생장치(1)를 검색하여, DLNA 내의 재생장치(1)로부터 처리 가능한 자막 인코딩 포맷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마트 단말(100)은 정상적으로 DLNA 통신을 지원하는 기기로, DLNA 내의 재생장치(1)로부터 자막 정보(예를 들어, 인코딩 포맷)를 가져와 정보서버(200)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 스마트 단말(100)은 핸드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DNLA 기기 중 컨트롤러(CP) 기능이 구현된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재생장치(1)는 자막을 볼 수 있는 화면부를 포함하는 TV나 PC 등일 수 있으며, 재생장치(1)는 재생장치(1)에서 지원 가능한 자막 정보(예를 들어, 인코딩 포맷)를 미리 파악하여 특정 스마트 단말(예를 들어, 제1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확인 요청이 있을 때 자막 정보를 제1 스마트 단말(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제1 스마트 단말(100)은 네트워크 환경 정보와 재생장치(1)의 장치정보도 함께 수집한다. 따라서 제1 스마트 단말(100)은 수집된 DLNA 내의 제1 네트워크 환경정보(X1), 재생장치(1)의 장치정보(Y) 및 재생장치(1)의 처리 가능한 자막 인코딩 포맷 자막정보(Z)를 수집하여 정보서버(200)로 전달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시스템(10)은 해당 DLNA 네트워크 내에 있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1스마트 단말(100)을 중개 기기로 이용하여 해당 재생장치(1)로부터 처리 가능한 자막 정보(예를 들어, 자막 인코딩 포맷)를 가져와 제1 네트워크 환경 정보(X1) 및 재생장치(1)의 장치정보(Y)를 함께 정보서버(200)에 저장한다.
제1 네트워크 환경정보(X1)는 DLNA 기반 홈 네트워크 환경의 동일한 공유기에 다수의 재생장치가 연결된 환경 정보를 포함한다.
장치정보(Y)는 재생장치(1)의 IP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JSON 포맷으로 전달할 수 있다.
자막정보(Z)는 재생장치(1)에서 지원하는 자막 인코딩 포맷(encoding format) 정보를 포함한다. 자막 인코딩 포맷은 재생장치(1)에서 지원하는 자막 인코딩 포맷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재생장치(1)가 UTF8 encoding을 지원하면 UTF8을 반환하고, CP949 encoding을 지원하면 CP949를 반환하며 도 2와 같은 ProtocolInfo 포맷을 가진다.
정보서버(200)는 제1 스마트 단말(100)로부터 제1 네트워크 환경정보(X1), 장치정보(Y) 및 자막정보(Z)를 인가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스마트 단말(100)은 네트워크 내에서 수집된 제1 네트워크 환경정보(X1), 장치정보(Y) 및 자막정보(Z)를 정보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정보서버(200)는 인가받은 제1 네트워크 환경정보(X1), 장치정보(Y) 및 자막정보(Z)를 저장할 수 있다.
정보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DB)를 구비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 환경정보(X1), 장치정보(Y) 및 자막정보(Z)는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정보서버(200)는 제2 스마트 단말(300)로부터 요청이 있을 시 제2 네트워크 환경정보(X2)를 기반으로 장치정보(Y)를 이용하여 자막정보(Z)를 검색하여 제2 스마트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정보서버(200)는 각 네트워크 환경정보(X1, X2), 장치정보(Y) 및 자막정보(Z)를 저장하여 가지고 있는 서버로서, DLNA 통신에 문제가 있는 어느 특정 스마트 단말(예를 들어, 제2 스마트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Connection Manager Service와의 ProtocolInfo를 가져오기 위해 제2 스마트 단말(300)에게 자막정보(Z, 예를 들어, 자막 인코딩 포맷)를 전달한다.
제2 스마트 단말(300)은 재생장치(1)의 검색에 호환성 장애가 있거나 다양한 기기에 대해 호환성 장애가 있는 기기일 수 있다. 제2 스마트 단말(300)은 제2 네트워크 환경정보(X2)를 수집하여 이를 정보서버(200)로 전송한다.
정보서버(200)는 제2 네트워크 환경정보(X2)에 대응하는 장치정보(Y) 및 자막정보(Z)를 검색할 수 있다. 정보서버(200)는 검색된 장치정보(Y) 및 자막정보(Z)를 제2 스마트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마트 단말(300)은 정보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장치정보(Y) 및 자막정보(Z)를 토대로 재생장치(1)가 지원하는 인코딩 포맷을 파악하여 이에 맞게 자막을 변환하여 사용함으로서 재생장치(1)를 통해 정상적으로 자막이 보일 수 있도록 한다.
네트워크 환경 정보 및 재생 장치의 정보는 자주 변동되지 않으며, 혹은 변동되는 경우에도 해당 네트워크에서 DLNA 기능을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서버가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환경 정보 및 재생 장치의 정보를 보정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LNA 기반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DLNA를 이용한 자막을 지원하는 방법은 자막정보(Z) 수집단계(S10), 제1 네트워크 환경정보(X1), 장치정보(Y) 및 자막정보(Z) 저장단계(S20), 제2 네트워크 환경정보(X2) 전송단계(S30) 및 장치정보(Y) 및 자막정보(Z) 제공단계(S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막정보(Z) 수집단계(S10)는 하나 이상의 제1 스마트 단말(100)이 DLNA 내의 재생장치(1)로부터 처리 가능한 자막정보(Z)(예를 들어, 인코딩 포맷 정보)를 수집한다.
제1 네트워크 환경정보(X1), 장치정보(Y) 및 자막정보(Z) 저장단계(S20)는 제1 스마트 단말(1)이 제1 네트워크 환경정보(X1), 재생장치(1)의 장치정보(Y) 및 자막정보(Z)를 정보서버(200)로 전송하고, 정보서버(200)는 전송받은 제1 네트워크 환경정보(X1), 장치정보(Y) 및 자막정보(Z)를 저장한다.
제2 네트워크 환경정보(X2) 전송단계(S30)는 재생장치(1)의 자막 호환성에 장애가 있는 제2 스마트 단말(300)이 정보서버(200)에 제2 네트워크 환경정보(X2)를 전송한다.
장치정보(Y) 및 자막정보(Z) 제공단계(S40)는 정보서버(200)가 제2 스마트 단말(300)의 제2 네트워크 환경정보(X2)에 대응하는 장치정보(Y) 및 자막정보(Z)를 검색하여 제2 스마트 단말(300)에 제공한다.
이를 통해, 자막 호환성에 장애가 있는 제2 스마트 단말(300)은 재생장치(1)에서 지원 가능한 자막 인코딩 포맷 형태로 변형하여 자막이 재생장치(1)에 보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 및 시스템은 DLNA를 이용하는 개별 사용자들이 재생장치(예를 들어, TV)에 대한 자막 문제 해결이 어려워 DLNA 기술을 사용한 미디어 감상에 발생하는 장애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스마트 단말에서 재생장치(예를 들어, TV)에서 처리 가능한 TV 자막 인코딩 포맷(encoding format) 정보 획득에 실패하는 경우에도 정보서버로부터 자막정보를 알 수 있어 정상적으로 재생장치에서 자막을 감상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재생장치
10 :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시스템
100 : 제1 스마트 단말
200 : 정보서버
300 : 제2 스마트 단말

Claims (5)

  1.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반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DLNA를 이용한 자막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스마트 단말이 DLNA 내의 제1 네트워크 환경정보, DLNA 내의 재생장치로부터 재생장치의 장치정보 및 처리가능한 자막 인코딩 포맷 정보를 수집하는 자막 정보 수집단계;
    상기 제1 스마트 단말이 제1 네트워크 환경정보, 상기 재생장치의 장치정보 및 자막정보를 정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서버는 전송받은 상기 네트워크 환경정보, 상기 장치정보 및 상기 자막정보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환경, 장치 및 자막정보 저장단계;
    상기 재생장치의 자막 호환성에 장애가 있는 제2 스마트 단말이 상기 정보서버에 제2 네트워크 환경정보를 전송하는 환경정보 전송단계; 그리고
    상기 정보서버가 상기 제2 스마트 단말의 상기 제2 네트워크 환경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장치정보 및 상기 자막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제2 스마트 단말에 제공하는 장치 및 자막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환경정보는 DLNA 기반 홈 네트워크 환경의 동일한 공유기에 다수의 재생장치가 연결된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정보는 상기 재생장치의 IP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정보는 UDN(Unique Device Name)을 갖는 JSON 포맷으로 전송되고,
    상기 자막정보는 상기 재생장치에서 지원하는 자막 인코딩 포맷(encoding format)을 포함하고,
    상기 자막정보는 ProtocolInfo 포맷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반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DLNA 내의 제1 네트워크 환경정보, 재생장치의 장치정보 및 상기 재생장치의 처리 가능한 자막 인코딩 포맷 자막정보를 수집하는 제1 스마트 단말;
    상기 제1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환경정보, 상기 재생장치의 장치정보 및 자막정보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정보서버; 및
    상기 재생장치의 자막 호환성에 장애가 있으며 제2 네트워크 환경정보를 상기 정보서버로 전송하는 제2 스마트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정보서버는 상기 제2 네트워크 환경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장치정보 및 상기 자막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제2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환경정보는 DLNA 기반 홈 네트워크 환경의 동일한 공유기에 다수의 재생장치가 연결된 환경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정보는 상기 재생장치의 IP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정보는 UDN(Unique Device Name)을 갖는 JSON 포맷으로 전송되며,
    상기 자막정보는 상기 재생장치에서 지원하는 자막 인코딩 포맷(encoding format)을 포함하고,
    상기 자막정보는 ProtocolInfo 포맷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시스템.
KR1020150075945A 2015-05-29 2015-05-29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101659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945A KR101659944B1 (ko) 2015-05-29 2015-05-29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945A KR101659944B1 (ko) 2015-05-29 2015-05-29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944B1 true KR101659944B1 (ko) 2016-09-27

Family

ID=5710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945A KR101659944B1 (ko) 2015-05-29 2015-05-29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9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811A (ko) * 2008-09-01 2010-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재생하는 단말기의 변경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10005449A (ko) * 2009-07-10 2011-01-18 주식회사 케이티 Dlna 시스템 기반 컨텐츠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44082A (ko) * 2010-10-27 2012-05-07 주식회사 케이티 홈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간 공유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그 렌더러
CN103369357A (zh) * 2012-03-27 2013-10-23 宏碁股份有限公司 影音播放字幕的系统和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811A (ko) * 2008-09-01 2010-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재생하는 단말기의 변경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10005449A (ko) * 2009-07-10 2011-01-18 주식회사 케이티 Dlna 시스템 기반 컨텐츠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44082A (ko) * 2010-10-27 2012-05-07 주식회사 케이티 홈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간 공유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그 렌더러
CN103369357A (zh) * 2012-03-27 2013-10-23 宏碁股份有限公司 影音播放字幕的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1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contents over DLNA network
US7907213B1 (en) Wireless multimedia content at television host device
US8510798B2 (en) Authentication in an audio/visual system having multiple signaling paths
CN102263782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系统
US92299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gital contents distributed over network
US2009024078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nformation Playback Uni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layback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US200901934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Viewing Sessions Among Different Devices in a Home Network
EP2490404B1 (en) Method and digital media player for mounting a network attached storage device
JP4460541B2 (ja) コンテンツ送受信先認証方法、コンテンツ送受信先認証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917428A (zh) 家庭媒体视频播放的方法、系统及移动通信终端
US20080141323A1 (en) Content information outputting apparatus, content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content information outputting method, content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US93858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ne communication using home network
CN103812828A (zh) 处理媒体内容的方法、控制设备、媒体服务器和媒体播放器
US20080201770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EP26618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distribution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s
CN103685303A (zh) 连接内容传送网络的处理方法与系统
KR100744473B1 (ko) Dlna 네트워크의 dms에서 디바이스 들의 rss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1102651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ethernet data through audio/video interface
DK2647168T3 (en) REGISTERING IN A LOCAL NETWORK
KR101659944B1 (ko) Dlna를 이용한 자막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05194A (ko)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68812B1 (ko) Dlna를 이용한 재생장치 검색의 호환성 개선 방법 및 시스템
KR100768514B1 (ko) Dlna네트워크의 pts에서 컨텐츠 재 전송방법 및시스템
JP202200371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14644B1 (ko) 홈네트워크 정보와 가전기기 상태 정보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