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644B1 - 홈네트워크 정보와 가전기기 상태 정보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 정보와 가전기기 상태 정보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644B1
KR101514644B1 KR1020130093159A KR20130093159A KR101514644B1 KR 101514644 B1 KR101514644 B1 KR 101514644B1 KR 1020130093159 A KR1020130093159 A KR 1020130093159A KR 20130093159 A KR20130093159 A KR 20130093159A KR 101514644 B1 KR101514644 B1 KR 101514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home
terminal
control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185A (ko
Inventor
변형근
강종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93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644B1/ko
Publication of KR20150017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서 홈 네트워크 정보와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전화가 수신된 경우 효율적으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단말에서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전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이 댁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단말이 댁내에 위치하는 경우 댁내 가전기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제어할 댁내 가전기기가 있는 경우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유저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또는 단말이 제어할 댁내 가전기기가 없는 경우 전화 요청 신호만을 표시하는 제2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홈네트워크 정보와 가전기기 상태 정보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using home network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s}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홈 네트워크 정보와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전화가 수신된 경우 효율적으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냉장고, 에어컨, 전자레인지, TV, 홈 시어터,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등 주요 가전제품을 제어하고 기기 간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홈네트워크 환경이 구현되면 집안은 물론 집 밖에서도 휴대전화, 컴퓨터 등으로 가전제품을 조종하고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전제품을 통해 가정 내ㆍ외부에서 인터넷 접속, 동영상 전송, e-메일의 송ㆍ수신이 가능해져 진정한 사이버 홈을 구축할 수 있다. 즉, 홈 네트워크는 댁내의 모든 가전기기들과 정보통신 기기들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 인터넷 망과의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지능화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방식이다.
초기의 홈 네트워크는 가정 내 보안, 조명, 온도 등을 자동통제하는 수준인 홈 오토메이션(HA: Home Automation) 또는 홈 컨트롤 시스템(HCS: Home Control System) 정도를 의미하였었다. 그러나, 최근 전송매체 기술의 발전으로 기술상의 한계가 극복되고, 가입자망의 광대역화로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PC뿐만 아니라 각종 디지털 정보단말기들이 가정 내에 등장하게 되어 급속히 확산되었다.
홈네트워크 기술은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되며 유선은 기존의 전화선이나 전력선을 이용하는 방법이 보편적인 반면, 무선은 별도 배선이 필요 없고 이동성과 유연성이 보장되며 네트워크 구조 변경이 용이하여 선호된다. 예를 들어, Ethernet, PLC, IEEE 1394, 홈 PNA 등과 같은 유선 기술과 IEEE 802.11 WLAN, IEEE 802.15 WPAN, UWB와 같은 무선 기술, UPnP, HAVI, JINI, HNCP(Home Network Control Protocol) 등 홈 네트워크 제어 미들웨어, 그리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게임이나 영화에 이르기까지 홈 네트워크는 각종 서비스 기술 등이 총동원되어 장차 커다란 시장이 형성될 수 있는 미래 신성장 동력 산업이다.
다만, 사용자가 댁내에서 가전기기들 중 TV나 A/V 기기들을 이용하는 도중에 외부로부터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는 상대방과의 통화를 잠시 보류하고 TV나 A/V기기들의 음량을 줄이거나 끄는 등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리모콘이나 해당 기기들을 직접 제어해야 한다. 즉, 통화 중단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또한, 종래에는 댁내에서 TV나 A/V 기기들을 이용하는 도중에 전화가 수신되면, TV나 A/V 기기에 대한 리모콘을 찾아서 PVR(녹화) 메뉴를 찾아 녹화를 해야 하는데 리모콘을 이용하여 녹화하기가 불편하고,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즉시 이를 이용하기 어려움으로 시청중단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즉, 사용자는 외부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TV 시청이나 A/V 기기들을 이용한 컨텐츠의 시청이나 음악 감상 등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 수신시 통화가 잠시 보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 수신시 즉시 홈 네트워크 상의 가전기기들의 전원 및/또는 음향을 제어함으로써 통화 보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화 수신시 TV 및/또는 A/V 기기들의 시청 또는 청취 중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TV, 비디오 등을 시청하는 도중에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TV 또는 비디오의 자동 또는 즉시 녹화하도록 함으로써 시청 중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서 홈 네트워크 정보와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전화가 수신된 경우 효율적으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단말에서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전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이 댁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단말이 댁내에 위치하는 경우 댁내 가전기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제어할 댁내 가전기기가 있는 경우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유저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또는 단말이 제어할 댁내 가전기기가 없는 경우 전화 요청 신호만을 표시하는 제2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이 댁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는 댁내 기지국(AP)과 인증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UI를 통해 획득한 제어정보를 댁내 가전기기에 전송함으로써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댁내 가전기기를 이전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댁내 가전기기를 이전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제1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댁내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댁내 기지국(AP)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트리거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접속점(AP)에서 단말의 댁내 가전기기 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은, 단말과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댁내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홈 네트워크를 통해 댁내 가전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에 댁내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댁내 가전기기로부터 전화 통화 중 방송되는 컨텐츠를 녹화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은, 댁내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통합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가전기기 상태 관리부, 댁내 가전기기를 통합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가전기기 제어부, 외부로부터 전화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전화수신 감지부, 댁내 접속점(AP)과 연동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댁내 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위치정보 판단부,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제어 및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UI 처리부 및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RF(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화수신 감지부가 단말에 대한 전화 요청 신호를 감지하면, 위치정보 판단부는 단말이 댁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말이 댁내에 위치하는 경우, 가전기기 상태 관리부는 댁내 가전기기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I 처리부는 단말이 제어할 댁내 가전기기가 있는 경우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유저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하고, 또는 단말이 제어할 댁내 가전기기가 없는 경우 전화 요청 신호만을 표시하는 제2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들에서 단말이 댁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는 위치정보 판단부에서 AP와 인증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제1 UI를 통해 획득한 제어정보를 RF 모듈을 통해 댁내 가전기기에 전송함으로써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가전기기 제어부는 댁내 가전기기를 이전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UI 처리부는 댁내 가전기기를 이전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제1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은 댁내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댁내 기지국(AP)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트리거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단말의 댁내 가전기기 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접속점(AP)은, 홈 네트워크 정보로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등록, 변경, 및 관리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관리부, 사용자를 인증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인증부 및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RF(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AP의 사용자 인증부는 단말과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RF 모듈은 댁내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홈 네트워크를 통해 댁내 가전기기로부터 수신하고, AP는 RF 모듈을 이용하여 단말에 댁내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P는 RF 모듈을 통해 댁내 가전기기로부터 전화 통화 중 방송되는 컨텐츠를 녹화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AP는 RF 모듈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단말에서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통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의 표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를 표시하도록 결정한 경우 통신 요청 신호 및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의 표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는 단말이 댁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댁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는 댁내 기지국(AP)과 인증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 표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는, 댁내 가전기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단말이 제어할 댁내 가전기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이 제어할 상기 댁내 가전기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단말은 컨텐츠를 재생 중인 댁내 가전기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된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를 통해 획득한 제어정보를 댁내 가전기기에 전송함으로써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는 “전원 OFF”, “소리 제거”, “소리 축소”, “소리 조절”, “컨텐츠 재생 정지”, “컨텐츠 재생 일시 중지” 및 “타임 머신 기능 선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는 댁내 가전기기가 제어를 지원하는 메뉴만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는 댁내 가전기기가 복수인 경우 댁내 가전기기 별로 제어 메뉴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는, 댁내 가전기기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댁내 가전기기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온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공통 제어 메뉴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댁내 가전기기를 이전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정보를 댁내 가전기기에 전송함으로써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댁내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댁내 가전기기를 이전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댁내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댁내 기지국(AP)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트리거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요청 신호는 전화 요청 신호일 수 있다.
댁내 가전기기 중 디스플레이 가능한 댁내 가전기기에 단말에 전화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음이 표시될 수 있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를 표시하는 단말로부터 단말에 전화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컨텐츠와 제1 제어정보를 동시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단말로부터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로부터 생성된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2 제어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재생을 중지 또는 녹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댁내 가전기기를 이용하는 도중에 전화 수신시 통화가 잠시 보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전화 수신시 즉시 홈 네트워크 상의 가전기기들의 전원 및/또는 음향을 제어할 수 있다.
셋째, 전화 수신시 TV 및/또는 A/V 기기들의 시청 또는 청취 중단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넷째, TV, 비디오 등을 시청하는 도중에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TV 또는 비디오의 자동 또는 즉시 녹화하도록 함으로써 시청 중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기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단말이 댁내에 진입 이후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 4에서 설명한 제1 UI 및 제2 UI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홈 네트워크에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홈 네트워크 정보와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전화가 수신된 경우 효율적으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및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기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기지국의 역할을 담당하는 접속점(AP: Access Point; 110) 및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AP는 펨토 셀 (Femto Cell), 피코 셀(Pico Cell), 스몰 셀(Small Cell) 및/또는 결합 스몰셀(Converged Small Cell) 등을 관리하는 개체를 의미한다. AP는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또는 발전된 기지국(ABS: Advanced Base Station) 등의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또한, 단말은 UE(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발전된 이동단말(AMS: Advanced Mobile Station) 등의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단말은 개인휴대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개인통신서비스(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폰, WCDMA(Wideband CDMA) 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 폰, 핸드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PC, 스마트(Smart) 폰 또는 멀티모드 멀티밴드(MM-MB: Multi Mode-Multi Band) 단말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폰이란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장점을 혼합한 단말기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개인 휴대 단말기의 기능인 일정 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합한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멀티모드 멀티밴드 단말기란 멀티 모뎀칩을 내장하여 휴대 인터넷시스템 및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시스템, WCDMA(Wideband CDMA) 시스템 등)에서 모두 작동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AP(110)는 홈 네트워크 정보로서 댁내 가족 구성원(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가족 구성원의 등록, 변경 및/또는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관리부(111), 댁네 가족 구성원인지 여부를 인증해주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인증부(112) 및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RF(Radio Frequency) 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AP는 단말이 댁내에 출입하는 것을 파악하기 위한 인증 과정만을 수행하거나, 단말의 인증 및 가전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홈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단말에 주기적 또는 이벤트 트리거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말(120)은 댁내 가전기기 각각의 상태정보(예를 들어, 켜짐/꺼짐/볼륨 크기 등)를 통합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가전기기 상태 관리부(121), 댁내 가전기기를 통합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가전기기 제어부(122), 단말에서 외부로부터 전화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전화수신 감지부(123), 단말에서 댁내 AP와 연동하여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댁내 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위치정보판단부(124),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제어 및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UI 처리부(125) 및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RF(Radio Frequency) 모듈(12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적외선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AP(110)와 단말(120)이 포함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을 하였으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사용자의 가정 환경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가전 기기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가전기기로서 TV, 오디오, 비디오, 셋톱 박스 및/또는 XBOX 등의 홈 엔터테인먼트 기기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에는 AP(110), 단말(120), TV, TV와 연동되는 셋톱 박스(예를 들어, TVG) 및 홈시어터(즉, A/V 기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이 댁내에 진입을 하게 되면, AP의 사용자 인증부(112)는 해당 단말이 사용자 관리부(111)에서 관리하는 가족 구성원 정보에 기반하여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한다. 또한, 단말의 위치정보 판단부(124)는 사용자가 댁내 진입시 해당 스몰셀이 자신이 등록된 스몰셀인지 여부를 AP와의 인증과정을 기반으로 판단한다(①).
단말의 가전기기 상태 관리부(121)에서는 현재 사용자가 시청 또는 청취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가전기기의 상태를 파악한다. 단말이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파악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댁내에 어떤 가전기기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또는 현재 어떤 가전기기가 실행 중에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AP를 통해 가전기기 상태 관리부(121)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댁내에서 사용하는 가전기기의 목록을 단말의 가전기기 상태 관리부(121)에 개별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댁내에서 TV를 시청하고 있거나, 홈 시어터(A/V 기기)를 이용하여 영화를 시청하거나, 음악을 청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외부로부터의 전화 요청이 전화수신 감지부(123)에 감지되는 경우, 단말의 가전기기 상태 관리부(121)에서는 현재 실행 중에 있는 가전기기가 어떤 것이 있는지를 홈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 및 가전기기 상태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의 외부 전화 수신시 가전기기 상태 관리부(121)는 자신에 저장된 모든 가전기기에 대한 상대정보를 모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홈 네트워크와 무관하게 단말의 가전기기 상태 관리부(121)에 저장된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의 UI 처리부(125)에서는 가전기기 상태 관리부(121)에서 출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외부에서 전화가 오는 경우 전화 수신 화면에 홈 존 메뉴가 함께 팝업되어 사용자에게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홈 존 메뉴는 댁내의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로서,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 또는 제1 UI(User Interface)라 불릴 수 있다.
이때, 홈 존 메뉴에는 TV, 홈시어터, A/V 기기 등을 제어하기 위한 녹화 버튼, 정지 버튼, 음소거 버튼 등이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선택(예를 들어, 터치 또는 플리킹)함으로써 실시간 방송을 녹화하거나, VOD를 일시 정지시키거나 오디오를 음소거할 수 있다(②).
사용자가 녹화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가전기기 제어부(122)에서는 RF 모듈(126) 또는 적외선 모듈을 이용하여 TV의 셋톱 박스에 실시간 방송을 녹화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 신호를 전송한다. 녹화 지시 신호를 수신한 셋톱 박스(예를 들어, TVG)는 실시간 방송을 셋톱 박스의 내장 메모리, 외장하드,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해당 방송 내용을 녹화한다(③). 이때, 셋톱 박스는 타임머신기능을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을 녹화할 수 있다. 타임머신기능은 사용자가 녹화 지시 신호가 수신된 때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까지의 실시간 방송을 녹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일시 정지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가전기기 제어부(122)에서는 RF 모듈(126) 또는 적외선 모듈을 이용하여 홈 시어터(예를 들어, A/V기기)에 현재 실행 중인 컨텐츠(예를 들어, VOD 등)의 재생을 중지하기 위한 중지 신호를 전송한다. 중지 신호를 수신한 홈 시어터는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재생을 중지한다.
사용자가 음소거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가전기기 제어부(122)에서는 RF 모듈(126) 또는 적외선 모듈을 이용하여 홈 시어터 또는 오디오에서 현재 플레이 되고 있는 음악에 대한 음량을 줄이기 위한 음소거 신호를 전송한다. 음소거 신호를 수신한 오디오 또는 홈 시어터 등은 음량을 줄임으로써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통화가 종료되면 단말은 방송 중단, 음소거 등을 한 가전기기를 사용자의 확인 없이 원래 상태로 되돌려 놓을 수 있다.
또는, 단말의 UI 처리부는 전화가 왔을 경우에 표시하였던 UI 화면을 다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녹화버튼, 일시 중지 버튼, 음소거 버튼 중 하나를 다시 선택함으로써 타임머신기능을 통해 녹화된 내용을 다시 이어서 시청하거나, 현재 정지 중인 컨텐츠를 다시 재생시키거나, 오디오의 음소거된 음량을 다시 키움으로써 가전기기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에서는 사용자가 하나의 가전기기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을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내용은 사용자가 둘 이상의 가전기기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TV 및 홈 시어터의 콘텐츠를 함께 시청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녹화 버튼을 선택한 후 일시 정지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TV 및 홈 시어터를 모두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3a 및 도 3b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2에서 설명한 홈 네트워크 내에 단말이 진입한 이후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 설명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가전기기(e.g., TV, 홈 시어터, 및/또는 오디오)로써 TV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단말이 AP가 관리하는 홈 네트워크 (즉, 스몰셀 또는 팸토 셀) 영역에 진입하면 AP는 단말과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S301).
S301 단계에서, 단말의 위치정보 판단부(124)는 AP와 인증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단말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AP의 사용자 관리부(111) 및 사용자 인증부(112)는 해당 단말이 정당한 사용자인지 즉, 가족 구성원인지 여부를 판단 및 인증할 수 있다.
또는, S301 단계에서의 단말 위치정보 판단부(124)의 AP와 인증 과정은 AP의 사용자 인증부(112)의 별도 인증 과정 없이, 단말의 위치 정보 판단부(124)가 감지하는 AP 장치 정보가 단말에 미리 저장된 AP 장치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 만을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단말의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 상에서 TV를 시청하는 도중에 단말에 외부로부터 전화 요청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S302).
S302 단계에서, 단말의 전화수신 감지부(123)가 외부에서 전화가 온 것을 감지하는 경우, 가전기기 상태 관리부(121)에 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가전 기기 상태 관리부(121)에서는 현재 사용중인 가전기기에 대한 정보를 가전기기 제어부(122) 및 UI 처리부(125)에 전송하여, 현재 사용 중인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팝업창(즉, 홈 존 메뉴)을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전화 요청 화면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S303).
사용자가 홈 존 메뉴에서 녹화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단말의 가전기기 제어부(122)에서는 RF 모듈(126)을 제어하여 TV의 실시간 방송을 녹화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TV 및/또는 TV의 셋톱 박스에 전송한다(S304).
제어신호를 수신한 TV 및/또는 TV의 셋톱 박스는 현재 방송 중인 실시간 방송을 녹화한다. 이때, TV 및/또는 TV의 셋톱 박스는 타임머신기능을 이용하여 자체 내장 메모리, 외장 하드,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해당 방송을 저장할 수 있다(S305).
단말에서 제어신호가 TV 및/또는 TV 셋톱 박스로 전송됨으로써 TV 화면은 정지되거나 일시적으로 종료됨으로써 사용자가 전화를 수신할 수 있는 환경에 조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서 전화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가전기기에 대한 별도의 동작(예를 들어, 개별 리모콘 조작 등)을 하지 않아도, 가전기기를 바로 제어함으로써 통화 중단 없이 전화를 바로 수신할 수 있다(S306).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도 3a의 S302 단계에서 단말은 전화 요청 신호 수신시, 단말이 전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제어신호(제1 제어신호)를 가전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TV 및/또는 TV 셋톱 박스는 컨텐츠를 재생하여 TV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있을 수 있다. 만약, TV 등이 제1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TV 등은 컨텐츠와 제1 제어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TV 등이 단말로부터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로부터 생성된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하면, TV 등은 제2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중지 또는 녹화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가 S302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제1 제어신호를 받는 경우, S304 단계의 제어신호는 제2 제어신호로 불릴 수 있다. 이때, 제2 제어신호에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에서 선택된 제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에는 “전원 OFF”, “소리 제거”, “소리 축소”, “소리 조절”, “컨텐츠 재생 정지”, “컨텐츠 재생 일시 중지” 및 “타임 머신 기능 선택”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는 댁내 가전기기가 제어를 지원하는 메뉴만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는 댁내 가전기기가 복수인 경우 댁내 가전기기 별로 제어 메뉴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는, 댁내 가전기기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댁내 가전기기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온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공통 제어 메뉴로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제어신호는 상술한 내용의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로부터 선택된 제어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에서는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즉, TV 및/또는 TV의 셋톱 박스는 녹화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한다(S307).
도 3b에서는 통화 종료 이후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낸다.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수신한 전화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S308).
이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단말의 가전기기 제어부(122)는 S303 단계 내지 S304 단계에서 녹화한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통화가 종료된 경우 가전기기 제어부(122)는 바로 S303 단계 내지 S304 단계에서 녹화하도록 지시한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TV 및/또는 TV의 셋톱 박스로 전송할 수 있다(S309). 이러한 경우, 통화 전에 녹화된 방송 내용이 타임머신기능을 통해 바로 이어서 재생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통화가 종료된 경우, 가전기기 제어부(122)는 S303 단계에서 표시한 홈 존 메뉴를 다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저장되고 있는 방송 내용을 다시 이어서 감상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끝낸 이후 다른 일을 해야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녹화 재생을 나중에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전기기 사용의 자유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S309 단계에서 녹화 내용의 재생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가전기기는 이전 상태로 복귀하고, 녹화한 방송 내용을 이어서 바로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통화 이전에 미시청한 내용을 이어서 시청할 수 있게 제공할 수 있다(S310).
S310 단계에서, 만약 녹화된 방송 내용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경우에는 가전기기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저장된 방송 내용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단말이 댁내에 진입 이후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댁내에 진입하면, 단말은 위치정보 판단부(124)를 이용하여 댁내 AP와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S410).
단말의 전화수신 감지부(123)가 댁내에서 전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S420), 단말의 위치정보 판단부(124)는 S410 단계에서 수행한 인증 과정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댁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사용자가 댁내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의 가전기기 상태 관리부(121)는 단말이 제어할 가전기기가 댁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40).
만약, 사용자가 댁내에 위치하고, 단말이 제어할 가전기기가 댁내에 있는 경우에는 단말의 UI 처리부(125)는 전화 요청 화면 및 홈 존 메뉴가 함께 표시되는 제1 UI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S450).
S430 단계에서 사용자가 댁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에 있거나 다시 외부로 나가는 경우)에는, 단말의 UI 처리부(125)는 전화 요청 화면만이 표시되는 제2 UI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S460).
또한, S430 단계에서 사용자가 댁내에 위치하고 있으나, S440 단계에서 단말이 제어할 가전기기가 없는 경우에는 단말의 UI 처리부(125)는 전화 요청 화면만이 표시되는 제2 UI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S460).
단말이 제어할 가전기기가 없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경우를 포함한다. 단말이 제어할 댁내 가전기기가 있으나 현재 사용 중이지 않는 경우에는 가전기기 상태 관리부(121)는 댁내 가전기기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가전기기 상태 관리부에 저장된 가전기기 등이 없는 경우에도 댁내 가전기기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 4에서 설명한 제1 UI 및 제2 UI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제1 UI 디스플레이로서 사용자가 댁내에 있는 경우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팝업되는 홈존메뉴가 전화 수신 화면과 함께 표시된다.
도 5(b)는 제2 UI 디스플레이로서 사용자가 댁외에 있는 경우 또는 제어 대상 기기가 없는 경우에는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전화 수신 화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110: AP
111: 사용자 관리부
112: 사용자 인증부
113: RF 모듈
120: 단말
121: 가전기기 상태 관리부
122: 가전기기 제어부
123: 전화수신 감지부
124: 위치정보 판단부
125: UI 처리부
126: RF 모듈

Claims (34)

  1. 단말에서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댁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댁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댁내 가전기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제어할 상기 댁내 가전기기가 있는 경우 상기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유저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이 제어할 상기 댁내 가전기기가 없는 경우 상기 전화 요청 신호만을 표시하는 제2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댁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는 댁내 기지국(AP)과 인증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판단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를 통해 획득한 제어정보를 상기 댁내 가전기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상기 댁내 가전기기를 이전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상기 댁내 가전기기를 이전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댁내 기지국(AP)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트리거 방식으로 수신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7. 접속점(AP)에서 단말의 댁내 가전기기 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댁내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홈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댁내 가전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상기 댁내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 지원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가전기기로부터 전화 통화 중 방송되는 컨텐츠를 녹화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 지원방법.
  9.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에 있어서,
    상기 댁내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통합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가전기기 상태 관리부;
    상기 댁내 가전기기를 통합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가전기기 제어부;
    외부로부터 전화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전화수신 감지부;
    댁내 접속점(AP)과 연동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댁내 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위치정보 판단부;
    상기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제어 및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UI 처리부; 및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RF(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모듈을 더 포함하는,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수신 감지부가 상기 단말에 대한 전화 요청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위치정보 판단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댁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댁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가전기기 상태 관리부는 상기 댁내 가전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UI 처리부는 상기 단말이 제어할 상기 댁내 가전기기가 있는 경우 상기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유저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하고, 또는
    상기 단말이 제어할 상기 댁내 가전기기가 없는 경우 상기 전화 요청 신호만을 표시하는 제2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댁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는 상기 위치정보 판단부에서 상기 AP와 인증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판단하는,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를 통해 획득한 제어정보를 상기 RF 모듈을 통해 상기 댁내 가전기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상기 가전기기 제어부는 상기 댁내 가전기기를 이전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상기 UI 처리부는 상기 댁내 가전기기를 이전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댁내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댁내 기지국(AP)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트리거 방식으로 수신하는, 단말.
  17. 단말의 댁내 가전기기 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접속점(AP)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정보로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등록, 변경, 및 관리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관리부;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인증부; 및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RF(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하는, 접속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P의 상기 사용자 인증부는 상기 단말과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RF 모듈은 댁내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홈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댁내 가전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AP는 상기 RF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 상기 댁내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접속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RF 모듈을 통해 상기 댁내 가전기기로부터 전화 통화 중 방송되는 컨텐츠를 녹화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AP는 상기 RF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접속점.
  20. 단말에서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통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의 표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를 표시하도록 결정한 경우 상기 통신 요청 신호 및 상기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의 표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댁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댁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는 댁내 기지국(AP)과 인증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판단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 표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댁내 가전기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이 제어할 상기 댁내 가전기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제어할 상기 댁내 가전기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컨텐츠를 재생 중인 댁내 가전기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기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를 통해 획득한 제어정보를 상기 댁내 가전기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는,
    “전원 OFF”, “소리 제거”, “소리 축소”, “소리 조절”, “컨텐츠 재생 정지”, “컨텐츠 재생 일시 중지” 및 “타임 머신 기능 선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는,
    상기 댁내 가전기기가 제어를 지원하는 메뉴만을 표시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는,
    상기 댁내 가전기기가 복수인 경우 상기 댁내 가전기기 별로 제어 메뉴가 있는 것인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는,
    상기 댁내 가전기기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댁내 가전기기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온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공통 제어 메뉴인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29. 제20항에 있어서,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상기 댁내 가전기기를 이전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댁내 가전기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댁내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경우, 상기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댁내 가전기기를 이전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3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가전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댁내 기지국(AP)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트리거 방식으로 수신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3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요청 신호는 전화 요청 신호이며,
    상기 댁내 가전기기 중 디스플레이 가능한 댁내 가전기기에 상기 단말에 전화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음이 표시될 수 있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댁내 가전기기 제어방법.
  34. 댁내 가전기기에서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댁내 가전기기가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를 표시하는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전화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댁내 가전기기가 상기 컨텐츠와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동시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댁내 가전기기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댁내 가전기기 제어 메뉴로부터 생성된 상기 댁내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댁내 가전기기에서 상기 제2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중지 또는 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댁내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130093159A 2013-08-06 2013-08-06 홈네트워크 정보와 가전기기 상태 정보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14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159A KR101514644B1 (ko) 2013-08-06 2013-08-06 홈네트워크 정보와 가전기기 상태 정보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159A KR101514644B1 (ko) 2013-08-06 2013-08-06 홈네트워크 정보와 가전기기 상태 정보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185A KR20150017185A (ko) 2015-02-16
KR101514644B1 true KR101514644B1 (ko) 2015-04-23

Family

ID=53046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159A KR101514644B1 (ko) 2013-08-06 2013-08-06 홈네트워크 정보와 가전기기 상태 정보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6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601A (ko) * 2016-12-08 2018-06-18 (주)온테스트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중계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944B1 (ko) 2004-03-12 2011-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메뉴 구현장치 및 방법
KR101188043B1 (ko) 2010-11-25 2012-10-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944B1 (ko) 2004-03-12 2011-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메뉴 구현장치 및 방법
KR101188043B1 (ko) 2010-11-25 2012-10-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185A (ko)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22598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ed music playback
KR101917126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US9003456B2 (en) Presentation of still image data on display devices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EP30894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same-screen interaction
US85098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telephone and UPnP control point integration
US8649652B2 (en) Slide show display system with BGM, slide show display method with BG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layback device, and programs
EP1855290A1 (en) Access of data resources using pause points
CN107615258A (zh) 信息处理方法、程序、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系统
KR101514644B1 (ko) 홈네트워크 정보와 가전기기 상태 정보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005194A (ko)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50019626A1 (en) Server device, client machine, and content playback program
US2012011042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038573B1 (ko) 전력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1064527B1 (ko) 이동단말을 이용한 dlna 홈네트워크의 디바이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1128892A (ja) コンテンツ記憶装置及びコンテンツ転送方法
JP2007209001A (ja) 情報処理端末及び記録再生装置
KR20090095856A (ko) 콘텐츠 녹화/재생 장치 및 타임시프트 방법
KR20110050155A (ko) 디지털 미디어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50102336A (ko)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획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