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336A -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획득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획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336A
KR20150102336A KR1020140024082A KR20140024082A KR20150102336A KR 20150102336 A KR20150102336 A KR 20150102336A KR 1020140024082 A KR1020140024082 A KR 1020140024082A KR 20140024082 A KR20140024082 A KR 20140024082A KR 20150102336 A KR20150102336 A KR 20150102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external device
streaming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1843B1 (ko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주)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맥스 filed Critical (주)휴맥스
Priority to KR1020140024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843B1/ko
Priority to US14/632,795 priority patent/US20150249697A1/en
Priority to EP15156795.5A priority patent/EP2924922B1/en
Publication of KR20150102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가 컨텐츠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로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말기 및 그 컨텐츠 획득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획득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OBTAINING CONTENTS THEREOF}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기들 간에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획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정에서는 PC,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TV 등의 방송 기기, DVD(Digital Video Disc) 플레이어, 스마트 카메라 등을 포함한 AV 기기 등과 같은 각종 기기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기들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해 홈-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홈-오토메이션은 초기에 전화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가전기기들을 별도로 제어하는 수준이었다. 즉 초기의 홈-오토메이션은 각 가전기기들 간에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가전 기기들 간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두어 통합/관리하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전 기기들을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통합/관리하는 시스템을 홈-네트워크 시스템이라 한다.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홈-게이트웨이(home gateway) 또는 홈-서버(home server)와 같은 제어기에 각종 네트워크 가전기기(예컨대, TV, 세탁기, 전자레인지, 가스레인지, 오디오, 에어컨, 보일러 등), 조명, 가스 밸브 및 현관문 등을 연결하고 특정 단말기(예컨대, 리모콘 등, 이하, ‘리모콘’이라 칭함)를 통해 상기 기기들을 제어한다.
최근 이러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표준화가 진행 중이며, 특히 가정 내 정보 가전 기기들(예컨대, TV, VTR, 디지털 카메라 및 오디오 시스템 등)을 제어하기 위한 표준안인 DNL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가 대두되고 있다.
상기 DLNA는 기존의 DHWG(Digital Home Working Group)의 후속 표준화 기구로, MS, IBM, HP, 인텔, 일본의 소니, 마쓰시다, 한국의 삼성전자 등이 모여 2003년 6월에 설립되었다.
특히, DLNA는 가정 내 정보가전기기들(예컨대, TV, VCR, 디지털 카메라, 오디오시스템 등)로부터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들을 공유하고자 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를 들어, 'DLNA'는 모바일 장치나 PC(Personal Computer)등과 같은 개인 영역의 장치에 저장된 많은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들(예컨대, 사진, 음악, 동영상 등)을 가정 내의 장치들이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상기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들을 가정 내의 위치 및 장치에 무관하게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DLNA는 기기들의 상호 호환성을 해결함에 큰 역점을 두고 있다. 즉, DLNA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 기술을 근간으로 물리적인 미디어, 네트워크 전송, 미디어 포맷, 스트리밍 프로토콜, DRM(Digital Right Management) 등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DLNA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알아보면, 우선 DLNA에서의 네트워크 연결은 IP(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한다. IP는 인터넷상에 운용되는 기기의 기본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로서, 다양한 매체 상에서 운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투명한 방식으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모든 DLNA 기기는 전세계 어디라도 인터넷과 연결된 다른 기기와 통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DLNA 미들웨어가 탑재된 PC나 STB(Set-Top Box)는 이더넷 케이블에 연결된 802.11 AP(Access Point)를 통해 무선으로 안방 TV에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DLNA의 물리 계층으로는 유선 고속 이더넷(802.11u)과 무선 이더넷(802.11 a/b/g)이 사용되며, 유선 이더넷의 경우 안정성이 이미 입증되었고 무선 이더넷은 무선 홈 네트워크 통신의 증가에 따라 와이파이(Wi-Fi)를 채택하게 되었다.
또한 DLNA 망 내부에서 기기를 발견하고 제어하는 기술은, IP 주소 같은 네트워킹 설정을 자동으로 구성하고 네트워크 상에 있는 다른 기기를 인식하도록 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기존의 UPnP AV 아키텍쳐(Architecture) 및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Device Architecture)에 기반을 두고 있다. 'DLNA' 망 내부의 서비스를 발견하고 제어하는 기술 역시 마찬가지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본인 소유의 제1 기기를 DLNA 망에 접속시키고, 상기 DLNA 망에 접속된 컨텐츠 서버에서 송출되는 컨텐츠 스트리밍을 제1 기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제1 기기에서 이용 중인 컨텐츠 스트리밍을 제2 기기에서 그래도 이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설정 과정을 거쳐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가 컨텐츠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로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말기 및 그 컨텐츠 획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가 재생 중인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말기 및 그 컨텐츠 획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 기기 및 상기 컨텐츠 서버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기기로 스트리밍되어 재생 중인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로 상기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단계와; 및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출력부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및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컨텐츠 서버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 기기 및 상기 컨텐츠 서버를 검색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 스트리밍되어 재생 중인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로 상기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 기기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외부 기기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정보를 근거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출력부와; 상기 컨텐츠를 재생 중인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 기기를 검색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외부 기기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근거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을 나타낸 제1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을 나타낸 제2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200) 및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TV, 셋톱박스, IP TV, 스마트 가전,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A/V(Audio/Video) 입력부(130), 메모리(140), 인터페이스부(150), 출력부(160) 및 제어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100) 및 단말기(100)가 접속된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미도시), 이동 통신 모듈(미도시), 무선 인터넷 모듈(미도시) 및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DLNA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기기들을 멀티캐스팅 서칭(Multicasting-Searching)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를 제어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검색된 기기들(200, 300)과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획득과 관련된 통신을 수행한다. 즉, 무선 통신부(110)는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 서버(300) 또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컨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하여 수신한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센터(400)로부터 실시간 또는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센터(400)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외부 기기(200) 또는 단말기(100)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센터(400)는 이하의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되는 컨텐츠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텐츠 서버(300)가 상기 방송 센터(400)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이동 통신 망을 이용하여 상기 검색된 기기들(200, 300)과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획득과 관련된 통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 서버(300) 또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컨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하여 수신한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상기 검색된 기기들(200, 300)과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획득과 관련된 통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 서버(300) 또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컨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하여 수신한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통신 망을 이용하여 상기 검색된 기기들(200, 300)과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획득과 관련된 통신을 수행한다. 즉,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 서버(300) 또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컨텐츠 스트리밍을 요청하여 수신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일 예로, 입력부(1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3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및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6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4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거나 또는 송/수신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라이브 컨텐츠 스트림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출력부(160)는 시각 및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61) 및 음향 출력부(1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1)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100)가 컨텐츠 재생 모드이면,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 화면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61)는 터치스크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TOLED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1)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컨텐츠 재생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기 음향 출력부(16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컨텐츠 재생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7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40)에 저장되고, 제어부(1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단말기(100)가 동일 DLNA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 기기(200)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200)가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300)로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을 나타낸 제1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DLNA 네트워크에 컨텐츠 서버(300) 및 외부 기기(200)가 접속되고, 컨텐츠 서버(300)가 외부 기기(200)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상태에서[S111], 단말기(100)의 제어부(170)는 입력부(120) 또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16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DLNA 네트워크 접속 및 기기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DLNA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DLNA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기기의 검색을 위한 멀티캐스팅 서칭 동작을 수행한다[S112].
컨텐츠 서버(300)가 외부 기기(200)로 스트리밍 중인 컨텐츠는, 동영상, 음악 및 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200)가 검색되면, 외부 기기(200)로 상기 스트리밍되어 재생 중인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요청 신호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한다[S113].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검색 결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 중인 외부 기기가 둘 이상이면, 상기 외부 기기들에 대응되는 객체들을 포함한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외부 기기(200)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객체들은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들을 나타내는 명칭, 아이콘, 장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300)의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정보의 요청 시점에 상기 외부 기기로 스트리밍되어 재생된 상기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 및 외부 기기(200)에 설치되어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 기기(200)는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스트리밍되고 있는 상기 컨텐츠의 정보로써, 상기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300)의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정보의 요청 시점에 상기 외부 기기로 스트리밍되어 재생된 상기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 및 외부 기기(200)에 설치되어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한다.
그리고, 외부 기기(200)는 상기 파악된 컨텐츠 정보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제어부(17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200)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컨텐츠의 정보가 수신되면[S114],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서버(300)로 상기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스트리밍 요청 신호를 컨텐츠 서버(300)로 전송하고[S115],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서, 출력부(160)를 통해 재생한다[S116].
즉, 제어부(170)는 상기 스트리밍 요청 신호 내에 외부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컨텐츠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컨텐츠 서버(300)가 상기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컨텐츠 정보의 요청 시점에 외부 기기(200)로 스트리밍된 부분부터 스트리밍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300)가 상기 요청 신호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송출하면, 상기 수신된 컨텐츠 서버(300)의 URI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받아 재생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예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단말기(100)가 동일 DLNA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 기기(200)로부터 외부 기기(200)가 재생 중인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100)로 상기 컨텐츠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을 나타낸 제2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DLNA 네트워크에 외부 기기(200)가 접속되고, 외부 기기(200)가 컨텐츠를 재생 중인 상태에서, 단말기(100)의 제어부(170)는 입력부(120) 또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16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DLNA 네트워크 접속 및 기기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DLNA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DLNA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기기의 검색을 위한 멀티캐스팅 서칭 동작을 수행한다[S211].
이때, 외부 기기(200)가 재생 중인 컨텐츠는, 동영상, 음악 및 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검색 결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특정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외부 기기가 둘 이상이면, 상기 외부 기기들에 대응되는 객체들을 포함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61) 상에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외부 기기(200)가 선택되면[S212], 상기 선택된 외부 기기(20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요청 신호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한다[S213].
이때, 상기 객체들은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들을 나타내는 명칭, 아이콘, 장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의 정보는, 외부 기기(200)가 상기 재생 중인 컨텐츠를 단말기(100)로 스트리밍하기 위해 생성하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정보의 요청 시점에 상기 외부 기기에서 재생된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 및 외부 기기(200)에 설치되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 기기(200)는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정보로써, 상기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와, 상기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한다.
그리고, 외부 기기(200)는 상기 재생 중인 컨텐츠를 단말기(100)로 스트리밍하기 위해 상기 URI를 생성하고[S214], 상기 파악된 컨텐츠 정보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제어부(17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200)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컨텐츠의 정보가 수신되면[S215],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200)로 상기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스트리밍 요청 신호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하고[S216], 상기 수신된 URI를 통해 외부 기기(200)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서, 출력부(160)를 통해 재생한다[S217].
즉, 제어부(170)는 상기 스트리밍 요청 신호 내에 외부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외부 기기(300)로 전송함으로써, 외부 기기(200)가 상기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컨텐츠 정보의 요청 시점에 외부 기기(200)에서 재생된 부분부터 상기 생성된 URI를 통해 단말기(100)로 스트리밍하도록 할 수 있다.
외부 기기(200)가 상기 요청 신호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상기 URI를 통해 송출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기기(200)의 URI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받아 재생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예 ]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단말기(100)가 동일 DLNA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 기기(200)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200)가 방송 센터(400)로부터 스트리밍되는 방송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200)로 상기 방송 컨텐츠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DLNA 네트워크에 외부 기기(200)가 접속되고, 외부 기기(200)가 상기 DLNA 네트워크에 접속되지 않은 방송 센터(400)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서 재생 중인 상태에서[S311], 단말기(100)의 제어부(170)는 입력부(120) 또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16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DLNA 네트워크 접속 및 기기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DLNA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DLNA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기기의 검색을 위한 멀티캐스팅 서칭 동작을 수행한다[S312].
이때, 외부 기기(200)가 재생 중인 방송 컨텐츠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다시 보기 방송 프로그램, 주문형 비디오(Vo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멀티미디어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검색 결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상기 방송 센터(400)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서 재생하고 있는 외부 기기가 둘 이상이면, 상기 외부 기기들에 대응되는 객체들을 포함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61) 상에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외부 기기(200)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외부 기기(200)에서 재생 중인 방송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요청 신호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한다[S313]. 이때, 상기 객체들은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들을 나타내는 명칭, 아이콘, 장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컨텐츠의 정보는, 외부 기기(200)가 상기 재생 중인 방송 컨텐츠를 단말기(100)로 스트리밍하기 위해 생성하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와, 상기 컨텐츠 정보의 요청 시점에 상기 외부 기기에서 재생된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 및 외부 기기(200)에 설치되어 상기 방송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서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 기기(200)는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방송 센터(400)로부터 스트리밍 받아서 재생 중인 방송 컨텐츠의 정보로써, 상기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와,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한다.
그리고, 외부 기기(200)는 상기 재생 중인 방송 컨텐츠를 단말기(100)로 스트리밍하기 위해 상기 URI를 생성하고[S314], 상기 파악된 방송 컨텐츠의 정보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제어부(17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200)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방송 컨텐츠의 정보가 수신되면[S315],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200)로 상기 방송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스트리밍 요청 신호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하고[S316], 상기 수신된 URI를 통해 외부 기기(200)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해당하는 방송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서, 출력부(160)를 통해 재생한다[S317].
즉, 제어부(170)는 상기 스트리밍 요청 신호 내에 외부 기기(200)로부터 수신된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외부 기기(300)로 전송함으로써, 외부 기기(200)가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방송 컨텐츠 정보의 요청 시점에 외부 기기(200)에서 스트리밍 받아서 재생된 부분부터 상기 생성된 URI를 통해 단말기(100)로 스트리밍하도록 할 수 있다.
외부 기기(200)가 상기 요청 신호에 해당하는 방송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상기 URI를 통해 송출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기기(200)의 URI에 접속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받아 재생한다.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20: 입력부 130: AV 입력부
140: 메모리 150: 인터페이스부
160: 출력부 161: 디스플레이부
162: 음향 출력부 170: 제어부

Claims (19)

  1.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 기기 및 상기 컨텐츠 서버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로 스트리밍되어 재생 중인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로 상기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 서버가 실시간 스트리밍 중인 동영상, 음악 및 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는 상기 컨텐츠 서버의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정보의 요청 시점에 상기 외부 기기로 스트리밍되어 재생된 상기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요청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컨텐츠 정보의 요청 시점에 상기 외부 기기로 스트리밍된 부분부터 스트리밍 받도록 상기 컨텐츠 서버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에 설치되고,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 중인 외부 기기가 둘 이상이면, 상기 외부 기기들에 대응되는 객체들을 포함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단계는,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외부 기기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
  8.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출력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 및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컨텐츠 서버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 기기 및 상기 컨텐츠 서버를 검색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 스트리밍되어 재생 중인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로 상기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는 상기 컨텐츠 서버의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정보의 요청 시점에 상기 외부 기기로 스트리밍되어 재생된 상기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컨텐츠 정보의 요청 시점에 상기 외부 기기로 스트리밍된 부분부터 스트리밍 받도록 상기 컨텐츠 서버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결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 중인 외부 기기가 둘 이상이면, 상기 출력부의 화면 상에 상기 외부 기기들에 대응되는 객체들을 포함한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외부 기기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 기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외부 기기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정보를 근거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컨텐츠가 스트리밍되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정보의 요청 시점에 상기 외부 기기에서 재생된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요청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컨텐츠 정보의 요청 시점에 상기 외부 기기에서 재생된 부분부터 스트리밍 받도록 상기 외부 기기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 기기가 둘 이상이면, 상기 외부 기기들에 대응되는 객체들을 포함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요청 단계는,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외부 기기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획득 방법.
  16.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출력부;
    상기 컨텐츠를 재생 중인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외부 기기를 검색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외부 기기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근거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정보는, 상기 컨텐츠가 스트리밍되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 및 상기 컨텐츠 정보의 요청 시점에 상기 외부 기기에서 재생된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 시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컨텐츠 정보의 요청 시점에 상기 외부 기기에서 재생된 부분부터 스트리밍 받도록 상기 외부 기기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결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 기기가 둘 이상이면, 상기 출력부의 화면 상에 상기 외부 기기들에 대응되는 객체들을 포함한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외부 기기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140024082A 2014-02-28 2014-02-28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획득 방법 KR102161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082A KR102161843B1 (ko) 2014-02-28 2014-02-28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획득 방법
US14/632,795 US20150249697A1 (en) 2014-02-28 2015-02-26 Terminal and method for obtaining content thereof
EP15156795.5A EP2924922B1 (en) 2014-02-28 2015-02-26 System, computer program, terminal and method for obtaining conten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082A KR102161843B1 (ko) 2014-02-28 2014-02-28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획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336A true KR20150102336A (ko) 2015-09-07
KR102161843B1 KR102161843B1 (ko) 2020-10-05

Family

ID=5259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082A KR102161843B1 (ko) 2014-02-28 2014-02-28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획득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249697A1 (ko)
EP (1) EP2924922B1 (ko)
KR (1) KR1021618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793A (ko) * 2008-12-01 2010-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간 콘텐트를 멀티캐스트 스트리밍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10278504A (ja) * 2009-05-26 2010-12-09 Kddi Corp コンテンツの再生端末及び記録端末を切り替える方法、制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13511887A (ja) * 2009-11-20 2013-04-0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メディアコンテンツ情報の提供
KR20130076455A (ko) * 2011-12-28 2013-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36010A1 (en) * 2006-01-17 2007-07-17 Baker Hugh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DATA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US20090215416A1 (en) * 2008-02-25 2009-08-27 Harry Lee Devor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Broadcasted Content
JP5857405B2 (ja) * 2010-12-28 2016-02-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再生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US9953297B2 (en) * 2012-10-17 2018-04-24 Google Llc Sharing online with granular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793A (ko) * 2008-12-01 2010-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간 콘텐트를 멀티캐스트 스트리밍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10278504A (ja) * 2009-05-26 2010-12-09 Kddi Corp コンテンツの再生端末及び記録端末を切り替える方法、制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13511887A (ja) * 2009-11-20 2013-04-0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メディアコンテンツ情報の提供
KR20130076455A (ko) * 2011-12-28 2013-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24922A1 (en) 2015-09-30
US20150249697A1 (en) 2015-09-03
EP2924922B1 (en) 2020-03-25
KR102161843B1 (ko)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3445B2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再生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95539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99925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EP30894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same-screen interaction
US9736205B2 (en) Media share control apparatus, medi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media sharing thereof
US20130027289A1 (en) Electronic device
US11716497B2 (en) Control system for playing a data stream on a receiving device
KR20100095609A (ko)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들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트 정보에 대한 액세스 및 멀티미디어 컨텐트 정보의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6614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media via a set-top box
CN104125499A (zh) 电视节目的播放方法及装置
KR101231821B1 (ko)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402584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KR102161843B1 (ko)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획득 방법
KR20130062477A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기기
US20150019626A1 (en) Server device, client machine, and content playback program
CN105224673B (zh) 一种媒体文件传送方法及装置
KR102014630B1 (ko) 홈 네트워크를 통한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가이드 콘텐츠 항목의 공유
US20230269207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hat room ser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6302062B2 (ja) 電子機器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40073470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system
KR101865822B1 (ko) 채널 시청 분석 데이터 실시간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188968A1 (en) Electronic device and playback method of streaming media thereof
US201200795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ross-system searches
WO2014192155A1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50042356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