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821B1 -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821B1
KR101231821B1 KR1020110066629A KR20110066629A KR101231821B1 KR 101231821 B1 KR101231821 B1 KR 101231821B1 KR 1020110066629 A KR1020110066629 A KR 1020110066629A KR 20110066629 A KR20110066629 A KR 20110066629A KR 101231821 B1 KR101231821 B1 KR 101231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dms
mobile phone
digital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194A (ko
Inventor
강종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10066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82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Abstract

본 발명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에서 DLNA 기기간 컨텐츠를 공유하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들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들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에서 제 1 기기(예를 들어, 휴대폰, PDA, 테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로부터 컨텐츠 정보 및 제 1 기기의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DMS에서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정보가 2D 컨텐츠인지 3D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컨텐츠가 3D 컨텐츠이고 제 1 기기가 2D 기기이면, DMS는 컨텐츠를 2D 컨텐츠로 변환하여 제 1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DMS에서 제 2 기기(예를 들어, PC, TV, 테블릿 PC, 노트북 등)로부터 이어보기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 및 제 2 기기의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이어보기 시점부터 제 2 기기의 기기 성능에 따라 컨텐츠를 제 2 기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continuous play service}
본 발명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LNA 기기간 컨텐츠를 공유하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들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는 빠른 속도로 확산되어 가고 있다. 다만, 댁내 네트워킹은 아직까지 엔터테인먼트, 홈오토메이션(Home-Automation), PC 접속 등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홈 네트워킹 기술은 크게 유선과 무선 기술로 나뉘어 발전되어 왔다. 유선 기술로는 전화선(Phone Line), 전력선(Power Line), IEEE 1394, USB(Universal Serial Bus), 이더넷(Ethernet) 기술 등이 있으며, 무선 기술로는 IEEE 802.11x 계열의 무선랜,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개인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등의 정보기기, 전화 등의 통신 기기, TV 등의 방송 기기, DVD(Digital Video Disc) 플레이어나 디지털 카메라 등을 포함한 AV(Audio and Video) 기기 등과 같은 각종 기기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기들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해 홈 오토메이션이 제안되어 현재 상용화되고 있다.
초기의 홈 오토메이션은 전화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가전 기기들을 별도로 제어하는 수준이었다. 즉, 초기의 홈 오토메이션 기술은 각 가전기기들 간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가전 기기들 간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두어 통합/관리하도록 하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전 기기들을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통합/관리하는 시스템을 홈-네트워크 시스템이라 한다.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홈-게이트웨이(Home Gateway) 또는 홈-서버(Home Server)와 같은 제어기에 각종 네트워크 가전기기(예를 들어, TV, 세탁기, 전자레인지, 가스레인지, 오디오, 에어컨 및 보일러 등), 조명, 가스 밸브 및 현관문 등을 연결하고 특정 단말기(예를 들어, 리모콘)를 통해 상기 기기들을 제어한다.
최근 이러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표준화가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가정 내 정보 가전기기들(예컨대, TV, VTR, 디지털 카메라 및 오디오 시스템 등)을 제어하기 위한 표준안인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가 대두 되고 있다. 이러한 DLNA 시스템은 가정 내 정보/가전 기기들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모든 컨텐츠들을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 기술의 발전과는 별개로, 컨텐츠의 개발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일반 2D 영상이 아닌 3D 영상의 컨텐츠가 개발되고 있으며, 댁내외에서 이러한 3D 컨텐츠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들이 개발되고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3D 컨텐츠와 3D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기들이 개발되는 것에 반하여, DLNA 환경에서 각 기기 간의 성능에 맞도록 2D 컨텐츠와 3D 컨텐츠를 제공해주는 최적화된 서비스는 아직 제공되지 않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를 각 기기상에서 효율적으로 공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LNA 네트워크 상에서 각 기기 간에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텐츠의 형식(예를 들어, 2D/3D 컨텐츠)과 DLNA 기기의 성능(예를 들어, 2D/3D 기기)을 고려하여, 각 기기에 최적화된 형태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방법들을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에서 DLNA 기기간 컨텐츠를 공유하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들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들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에서 제 1 기기(예를 들어, 휴대폰, PDA, 테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로부터 컨텐츠 정보 및 제 1 기기의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DMS에서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원본 컨텐츠가 2D 컨텐츠인지 3D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원본 컨텐츠가 3D 컨텐츠이고 제 1 기기가 2D 기기이면, DMS는 원본 컨텐츠를 2D 컨텐츠로 변환하여 제 1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DMS에서 제 2 기기(예를 들어, PC, TV, 테블릿 PC, 노트북 등)로부터 이어보기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 및 제 2 기기의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이어보기 시점부터 제 2 기기의 기기 성능에 따라 원본 컨텐츠를 제 2 기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듈,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및 컨텐츠의 형식을 변환하기 위한 영상 변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상술한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지원하는 장치로서 상기 DMS 또는 상기 DMS를 포함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DMS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고, 제 1 기기는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DMC)를 포함하고, 제 2 기기는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또는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MR)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DMS는 개인 컴퓨터에 포함될 수 있고, 제 1 기기는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DMC)를 포함하고, 제 2 기기는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또는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M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기의 기기 정보는 제 1 기기가 2D 기기인지 3D 기기인지 여부를 나타내고, 제 2 기기의 기기 정보는 제 2 기기가 2D 기기인지 3D 기기인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정보는 원본 컨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 및 컨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클라우드 서버 또는 개인 컴퓨터에 저장될 수 있고,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기기 및 제 2 기기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어보기 정보는 원본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컨텐츠를 이어보는 방법은,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에 전송하는 단계와 DMS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컨텐츠가 3D 컨텐츠인 경우,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하나를 추출하여 2D 컨텐츠로 변환하는 단계와 2D 컨텐츠를 시청하는 도중에, 3D 기기로 이어보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어보기 정보가 나타내는 이어보기 시점부터 3D 기기에 3D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듈,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컨텐츠의 형식을 변환하기 위한 영상 변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휴대폰, 노트북, 테블릿 PC 또는 PDA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DMS는 클라우드 서버 또는 개인 컴퓨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 및 컨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어보기 정보는 해당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나의 컨텐츠를 각 기기상에서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둘째, DLNA 네트워크 상에서 각 기기 간에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셋째, 컨텐츠의 형식(예를 들어, 2D/3D 컨텐츠)과 DLNA 기기의 성능(예를 들어, 2D/3D 기기)에 따라 각 기기에 최적화된 형태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DLNA 네트워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통신 환경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2D 컨텐츠 및/또는 3D 컨텐츠를 이어보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2D 컨텐츠 및/또는 3D 컨텐츠를 이어보는 방법 중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2D 컨텐츠 및/또는 3D 컨텐츠를 이어보는 방법 중 또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DLNA 네트워크에서 2D 컨텐츠 및/또는 3D 컨텐츠를 이어보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DLNA 네트워크에서 2D 컨텐츠 및/또는 3D 컨텐츠를 이어보는 방법 중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DLNA 네트워크에서 2D 컨텐츠 및/또는 3D 컨텐츠를 이어보는 방법 중 또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DLNA 네트워크에서 2D 컨텐츠 및/또는 3D 컨텐츠를 이어보는 방법 중 또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DLNA 네트워크에서 2D 컨텐츠 및/또는 3D 컨텐츠를 이어보는 방법 중 또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에서, DLNA 기기간 컨텐츠를 공유하는 다양한 방법들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3D 컨텐츠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2개의 영상정보로 구성된 컨텐츠를 의미하며, 2D 컨텐츠는 일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하나의 영상정보로 구성된 컨텐츠를 의미한다. 이때, 컨텐츠는 영화, 동영상 및 사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D 기기(Device)는 2개의 영상정보를 조합한 3D 컨텐츠를 재생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며, 2D 기기는 2D 컨텐츠만을 재생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이 3D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경우에는 휴대폰을 3D 기기로 부를 수 있다. 또한, DLNA 기기는 DLNA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 가능한 모든 기기들을 의미한다.
1. DLNA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컴퓨팅 일반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는 모바일 장치나 PC 등과 같은 개인 영역의 장치에 저장된 많은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들을 가정 내의 장치들이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들을 가정 내의 어떤 위치 또는 어떤 장치에 무관하게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DLNA는 기기들의 상호 호환성을 위해 해결함에 초점을 두고 있다. DLNA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기술을 근간으로 물리적인 미디어 네트워크 전송, 미디어 포맷, 스트리밍 프로토콜 및 DRM(Digital Right Management) 등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DLNA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연결은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을 기반으로 한다. IP는 인터넷상 운용되는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로서, 다양한 매체 상에서 운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투명한(transparent) 방식으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IP를 통해 모든 DLNA 기기는 어디에서라도 인터넷과 연결된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LNA 미들웨어가 탑재된 PC나 STB(SetTop Box)는 이더넷 케이블에 연결된 IEEE 802.11 표준기술의 접속점(AP: Access Point)을 통해 무선으로 댁내의 멀티미디어 기기(예를 들어, TV)에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DLNA 시스템의 물리 계층으로서는 유선 고속 이더넷(예를 들어, IEEE 802.11u)과 무선 이더넷(예를 들어, IEEE 802.11a/b/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선 이더넷의 경우 안정성이 이미 입증되었고, 무선 이더넷은 무선 홈 네트워크 통신의 증가에 따라 와이파이(Wi-Fi)를 채택하게 되었다.
또한, DLNA 망 내부에서 다른 기기를 발견하고 제어하는 기술은 IP 주소와 같은 네트워킹 설정을 자동으로 구성하고 네트워크상에 있는 다른 기기를 인식하도록 관리하는 것으로, 기존의 UPnP AV 아키텍처(Architecture) 및 UPnP 디바이스 아키텍처에 기반을 두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DLNA 네트워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DLNA 네트워크는 UPn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DLNA를 지원하는 기기들은 DLNA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UPnP 프로토콜에 기초한 포맷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DLNA 네트워크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 (DMS: Digital Media Server, 110),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DMP: Digital Media Player, 120) 및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 (DMC: Digital Media Controller, 130) 및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MR: Digital Media Renderer, 1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DMS, DMP, DMC 및 DMR은 각각 독립된 DLNA 기기이거나, DLNA 기기에 일 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
DMS(110)는 다양한 컨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며, 특정 컨텐츠를 요구한 기기에 해당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S(110)는 미디어 컨텐츠(예를 들어, 사진, 동영상 음악 파일 등)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및/또는 수신 모듈을 구비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VCR,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셋탑박스(STB), TV 튜너 및/또는 PC 등이 DMS(110)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DMS(140)는 자신의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 아이템을 검색하여 DLNA 네트워크 사용자에 해당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DMP(120) 및 DMR(140)은 DMS 탑재 기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DMC(130)는 DLNA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에서 DMS에서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를 DMP 또는 DMR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DMC(130)는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는 기기로서, DMS의 컨텐츠를 DMR 또는 DMP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DMR(110)은 DMC(130)에 의해 선택된 미디어를 실행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DMP(120)는 DMC(130)를 통해 DMS(110)로부터 제공되는 미디어 컨텐츠의 선택, 제어 및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DLNA 가이드 라인에 따라 설계된 DMS, DMP, DMR 및 DMC 디바이스들은 음악, 사진, 비디오 등의 미디어 컨텐츠를 DLNA 네트워크에 따라 서로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댁내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를 DLNA 시스템을 지원하는 기기들에서 자유로이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은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컴퓨터들의 리소스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해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즉,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은 개인용 컴퓨터나 기업의 서버에 개별적으로 저장해 두었던 프로그램이나 문서를 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있는 다수의 컴퓨터 또는 대형 컴퓨터에 저장하고, 개인 컴퓨터는 물론이고 모바일 등 다양한 기기로 웹 브라우저 등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용자 중심의 컴퓨터 환경을 말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크게 소프트웨어 형태의 서비스(SaaS: Software as a Service), 플렛폼 형태의 서비스(PaaS: Platfrom as a service) 및 인프라 형태의 서비스(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소프트웨어 형태의 서비스(SaaS)는 로컬 컴퓨터나 로컬 데이터 센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대신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브라우저 상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플렛폼 형태의 서비스(PaaS)는 온라인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인프라와 개발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인프라 형태의 서비스(IaaS)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유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내장된 자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온라인 하드웨어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를 클라우드 기반의 서버에 업로드하여, 해당 컨텐츠를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라도 해당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통신 환경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댁내에서는 DLNA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댁외에서는 클라우드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3G 네트워크 또는 4G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댁내의 AP도 클라우드 기반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댁내에서는 유선 및/또한 무선을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들이 DLNA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서로 컨텐츠, 제어 정보 및/또는 다양항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LNA 네트워크는 AP를 중심으로 컴퓨터(211)와 TV(212)는 유선으로, 테블릿 PC(215), 휴대폰(214a) 및 노트북(213) 등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 DLNA 기기들 간에는 UPnP 미들웨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DMS, DMP, DMR 및 DMC는 특정 장치를 의미할 수 있지만, 해당 기능을 탑재한 기기, 단말 및/또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기기가 컨텐츠를 나머지 기기에 공급하는 컨텐츠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고, 다른 기기가 이를 수신하여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형태(renderer)로 컨텐츠 공유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기기가 컨텐츠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기를 제어(controller)하고, 나머지 기기는 컨텐츠 표시 기능만을 수행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휴대폰(214a)은 컴퓨터(211) 및 텔레비전과(212)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호간의 컨텐츠/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휴대폰(214a)은 DMC로서, 컴퓨터(211)는 DMS로서, 텔레비전(212)은 DMP 또는 DMR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컴퓨터(211)가 컨텐츠 서버가 되고, 이동단말(214a)이 컴퓨터를 제어하여 컴퓨터의 특정 컨텐츠가 텔레비전(212)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댁외에서 특정 컨텐츠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휴대폰들(214b, 214c)은 3G 망 또는 4G 망을 통해 웹 기반의 클라우드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기기들 간의 연결은 콘텐트 서버가 제어 기능을 겸할 수도 있고,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담당하는 렌더러(renderer)가 제어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2. 클라우드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2D 컨텐츠 및/또는 3D 컨텐츠를 이어보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클라우드 서버(320)는 자신과 연결된 기기들의 성능을 미리 알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320)는 특정 기기가 2D 기기인지 또는 3D 기기인지 여부를 접속 과정 및 등록 과정을 통해 미리 알고 있을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클라우드 서버(320)는 미리 특정 기기의 성능을 알지 못하는 경우라도, 해당 기기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시 함께 전송되는 기기 정보를 통해 해당 기기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PC 등에 저장된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폰(310)을 제어하여 클라우드 서버(320)에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S301).
클라우드 서버(320)는 컨텐츠를 요청한 휴대폰이 2D 기기인지 또는 3D 기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요청된 컨텐츠가 2D 컨텐츠인지 또는 3D 컨텐츠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320)는 해당 기기의 특성에 따라 컨텐츠를 변환하여 해당 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S302, S303).
예를 들어, 휴대폰(310)이 2D 기기인 경우에는 클라우드 서버(320)는 해당 컨텐츠가 3D 컨텐츠인지 또는 2D 컨텐츠인지를 확인하여, 3D 컨텐츠인 경우에는 2D 컨텐츠로 변환하여 휴대폰에 제공할 수 있다. 즉, 3D 컨텐츠는 좌안과 우안의 두 가지 영상이 결합되는 형태로서, 클라우드 서버(320)는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선택 및 보정함으로써 2D 컨텐츠로 변환하여 이를 휴대폰에 제공할 수 있다.
휴대폰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TV(330)를 통해 해당 컨텐츠를 계속해서 이어서 제공받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휴대폰을 제어하여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을 TV(330) 및/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304).
휴대폰으로부터 이어보기 요청을 받은 TV(330)는 TV에 대한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클라우드 서버(320)로 전송할 수 있다. TV(330)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받은 클라우드 서버는 TV(330)의 성능 및 컨텐츠의 종류를 판단하여, TV에 최적화된 형태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서버는 TV가 3D 기기이며, TV에서 요청한 컨텐츠가 원래 3D 컨텐츠이므로, 2D로의 변환 없이 3D 컨텐츠를 바로 TV에 제공할 수 있다(S305).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다른 관점으로서, 휴대폰은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을 TV가 아닌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TV의 기기 성능을 미리 알고 있을 수 있으므로, 현재 휴대폰에 제공하고 있는 컨텐츠를 바로 TV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2D 컨텐츠 및/또는 3D 컨텐츠를 이어보는 방법 중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해당 네트워크에 두 개의 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 1 기기는 휴대폰이고, 제 2 기기는 TV인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휴대폰은 2D 기기이고, TV는 3D 기기이며, A 컨텐츠는 3D 컨텐츠임을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버(이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A 컨텐츠를 휴대폰을 통해 제공받으려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조작하여 서버에 저장된 A 컨텐츠를 선택하면, 휴대폰은 A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 및 휴대폰에 대한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정보는 A 컨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자 및 해당 컨텐츠의 URL 정보를 포함하고, 기기 정보는 휴대폰의 식별자 및 휴대폰의 성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401).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서버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기기의 성능 및 컨텐츠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서버는 컨텐츠 제공을 요청한 기기가 2D 기기인지 또는 3D 기기인지 여부와 A 컨텐츠가 3D 컨텐츠인지 또는 2D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2).
휴대폰에서 요청한 A 컨텐츠는 3D 컨텐츠임에 반하여 휴대폰은 2D 기기이므로, 서버는 A 컨텐츠가 휴대폰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A 컨텐츠를 2D 컨텐츠로 변환한다(S403).
서버는 2D 컨텐츠로 변환된 A 컨텐츠를 휴대폰에 제공할 수 있다(S404).
사용자가 휴대폰을 통해 A 컨텐츠를 제공받는 도중에 원래 3D 컨텐츠로 제공받기를 원하거나, 대형 화면을 통해 컨텐츠를 즐기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폰은 TV로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에는 이어보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어보기 정보는 A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 및 휴대폰에서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의 현재 재생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즉, 이어보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405).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TV는 이어보기 정보 및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406).
TV로부터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서버는, TV의 기기 성능을 판단하여 3D 기기인지 2D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7).
TV는 3D 기기이므로, 서버는 A 컨텐츠의 원래 형태인 3D 컨텐츠를 TV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이어보기 정보를 기반으로 휴대폰에 컨텐츠를 제공하던 플레이 시점(즉, 이어보기 시점)부터 바로 TV로 3D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408).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2D 컨텐츠 및/또는 3D 컨텐츠를 이어보는 방법 중 또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해당 네트워크에 두 개의 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 1 기기는 휴대폰이고, 제 2 기기는 TV인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휴대폰은 2D 기기이며, TV는 3D 기기임을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한 A 컨텐츠를 휴대폰을 통해 제공받기 위해, 휴대폰을 제어하여 A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 및 휴대폰에 대한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정보는 해당 컨텐츠의 식별자 및 URL 정보를 포함하고, 기기 정보는 휴대폰의 식별자 및 휴대폰의 성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501).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서버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기기의 성능 및 컨텐츠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서버는 컨텐츠 제공을 요청한 기기가 2D 기기인지 또는 3D 기기인지 여부와 A 컨텐츠가 3D 컨텐츠인지 또는 2D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2).
휴대폰에서 요청한 A 컨텐츠는 2D 컨텐츠이고 휴대폰도 2D 기기이므로, 서버는 A 컨텐츠를 바로 휴대폰에 제공할 수 있다(S503).
사용자가 휴대폰을 통해 A 컨텐츠를 제공받는 도중에 대형 화면을 통해 컨텐츠를 즐기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폰은 TV로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에는 이어보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어보기 정보는 A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 및 휴대폰에서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의 현재 재생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504).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TV는 이어보기 정보 및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505).
TV로부터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서버는, 기기 정보로부터 TV가 3D 기기인지 2D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6).
TV는 3D 기기이므로, 서버는 2D 컨텐츠인 A 컨텐츠를 3D 컨텐츠 형식으로 변환하여 TV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이어보기 정보를 기반으로 휴대폰에 컨텐츠를 제공하던 현재 재생 시점(즉, 이어보기 시점)부터 바로 TV에 3D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507, S508).
3. DLNA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DLNA 네트워크에서 2D 컨텐츠 및/또는 3D 컨텐츠를 이어보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댁내에 하나 이상의 기기들이 DLNA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DLNA 네트워크에 휴대폰(610), PC(620) 및 TV(63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더 많은 기기들이 DLNA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휴대폰(610)은 2D 기기이고, TV(630)는 3D 기기인 것을 가정한다.
DLNA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각의 기기들은 자신과 연결된 다른 기기들의 성능을 미리 알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PC(620)는 특정 기기가 2D 기기인지 또는 3D 기기인지 여부를 DLNA 네트워크 접속 및/또는 등록 과정을 통해 미리 알고 있을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PC(620)는 미리 특정 기기의 성능을 알지 못하는 경우라도, 해당 기기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시 함께 전송되는 기기 정보를 통해 해당 기기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폰을 통해 A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A 컨텐츠가 저장된 PC(620)에 컨텐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601).
이때, PC(620)는 기기 성능 및 컨텐츠의 종류를 판단하여 기기 성능에 맞게 컨텐츠를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는, PC(620)는 기기 성능이나 컨텐츠의 종류를 판단하지 않고 컨텐츠를 요청한 기기로 해당 컨텐츠를 바로 제공할 수 있다(S602).
예를 들어, PC(620)는 (1) A 컨텐츠를 아무런 변환 없이 컨텐츠를 요청한 휴대폰(610)으로 전송하거나, (2) A 컨텐츠가 2D 컨텐츠인지 3D 컨텐츠인지 여부 및 휴대폰(610)의 성능을 판단하여 휴대폰의 성능에 맞게 A 컨텐츠를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A 컨텐츠를 휴대폰이 아닌 TV(630)를 통해 시청하고 싶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휴대폰을 제어하여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를 TV(630) 및/또는 PC(6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휴대폰이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를 TV(630)로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S603).
휴대폰으로부터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을 수신한 TV(630)는 PC(620)에 컨텐츠가 저장된 URL 및 현재 재생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정보 및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PC는 A 컨텐츠를 현재 재생 시점부터 휴대폰이 아닌 TV로 A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TV(630)가 3D 기기이므로 PC는 3D 컨텐츠인 A 컨텐츠를 변환 없이 바로 TV에 전송할 수 있다(S604).
S603 단계에서 휴대폰이 이어보기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TV가 아닌 PC로 직접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PC에서는 각 기기의 성능을 DLNA 네트워크 접속시 및/또는 등록시 미리 알고 있을 수 있으므로, TV의 기기 성능에 맞게 A 컨텐츠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DLNA 네트워크에서 2D 컨텐츠 및/또는 3D 컨텐츠를 이어보는 방법 중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DLNA 네트워크에 PC, 휴대폰 및 TV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휴대폰의 경우 DLNA 네트워크의 DMC 및 DMP가 탑재되고, TV의 경우 DMR이 탑재될 수 있으며, PC는 DMS로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은 2D 기기이며, TV는 3D 기기임을 가정하고, A 컨텐츠는 3D 컨텐츠임을 가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PC에 저장되어 있는 A 컨텐츠를 휴대폰을 통해 제공받으려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조작하여 PC에 저장된 A 컨텐츠를 선택하면, 휴대폰은 A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PC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정보는 해당 컨텐츠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 해당 컨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를 포함한다(S701).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PC는 URL 정보를 토대로 A 컨텐츠를 휴대폰에 제공할 수 있다(S702).
휴대폰은 A 컨텐츠의 헤더 정보를 분석하여 3D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은 h.264 파일인 경우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정보를 기반으로 A 컨텐츠가 3D 컨텐츠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휴대폰은 2D 기기이므로 3D 컨텐츠를 2D 컨텐츠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휴대폰은 3D 컨텐츠에서 우안 영상 또는 좌안 영상을 추출 및 보정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703).
사용자가 휴대폰을 통해 A 컨텐츠를 제공받는 도중에 원래 3D 컨텐츠로 제공받기를 원하거나, 대형 화면을 통해 컨텐츠를 즐기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폰은 TV로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에는 이어보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어보기 정보는 A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 및 휴대폰에서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의 현재 재생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704).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TV는 이어보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PC로 전송할 수 있다(S705).
PC는 이어보기 정보를 기반으로 휴대폰에 컨텐츠를 제공하던 플레이 시점(즉, 이어보기 시점)부터 바로 TV로 A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S706).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DLNA 네트워크에서 2D 컨텐츠 및/또는 3D 컨텐츠를 이어보는 방법 중 또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DLNA 네트워크에 현재 PC, 휴대폰 및 TV가 연결되어 있다. 휴대폰의 경우 DLNA 네트워크의 DMC 및 DMP가 탑재되고, TV의 경우 DMR이 탑재될 수 있으며, PC는 DMS로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은 2D 기기이며, TV는 3D 기기임을 가정하고, A 컨텐츠는 2D 컨텐츠 임을 가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PC에 저장되어 있는 A 컨텐츠를 휴대폰을 통해 제공받으려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조작하여 PC에 저장된 A 컨텐츠를 선택하면, 휴대폰은 A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PC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정보는 해당 컨텐츠의 URL 정보 및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한다(S801).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PC는 URL 정보를 토대로 A 컨텐츠를 휴대폰에 제공할 수 있다(S802).
사용자가 휴대폰을 통해 A 컨텐츠를 제공받는 도중에 대형 화면을 통해 컨텐츠를 즐기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폰은 TV로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에는 이어보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어보기 정보는 A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 및 휴대폰에서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의 현재 재생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803).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TV는 이어보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PC로 전송할 수 있다(S804).
PC는 이어보기 정보를 기반으로 휴대폰에 컨텐츠를 제공하던 플레이 시점(즉, 이어보기 시점)부터 바로 TV로 A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805).
TV는 A 컨텐츠의 헤더 정보를 분석하여 A 컨텐츠가 2D 컨텐츠인지 3D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TV는 3D 기기이므로 2D 컨텐츠를 3D 컨텐츠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806).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DLNA 네트워크에서 2D 컨텐츠 및/또는 3D 컨텐츠를 이어보는 방법 중 또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DLNA 네트워크에 현재 PC, 휴대폰 및 TV가 연결되어 있다. 휴대폰의 경우 DLNA 네트워크의 DMC 및 DMP가 탑재되고, TV의 경우 DMR이 탑재될 수 있으며, PC는 DMS로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은 2D 기기이며, TV는 3D 기기임을 가정하고, A 컨텐츠는 3D 컨텐츠 임을 가정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PC에 저장되어 있는 A 컨텐츠를 휴대폰을 통해 제공받으려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조작하여 PC에 저장된 A 컨텐츠를 선택하면, 휴대폰은 A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 및 휴대폰에 대한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PC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정보는 해당 컨텐츠의 식별자 및 컨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를 포함하고, 기기 정보는 휴대폰의 식별자 및 휴대폰의 성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901).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PC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기기의 성능 및 컨텐츠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PC는 컨텐츠 제공을 요청한 기기가 2D 기기인지 또는 3D 기기인지 여부와 A 컨텐츠가 3D 컨텐츠인지 또는 2D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02).
휴대폰에서 요청한 A 컨텐츠는 3D 컨텐츠임에 반하여 휴대폰은 2D 기기이므로, PC는 A 컨텐츠를 2D 컨텐츠로 변환한다(S903).
PC는 2D 컨텐츠로 변환된 A 컨텐츠를 휴대폰에 제공할 수 있다(S904).
사용자가 휴대폰을 통해 A 컨텐츠를 제공받는 도중에 원래 3D 컨텐츠로 제공받기를 원하거나, 대형 화면을 통해 컨텐츠를 즐기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폰은 TV로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에는 이어보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어보기 정보는 A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 및 휴대폰에서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의 현재 재생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905).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TV는 이어보기 정보 및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PC로 전송할 수 있다(S906).
TV로부터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PC는, TV의 기기 성능을 판단하여 TV가 3D 기기인지 2D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07).
TV는 3D 기기이므로, 서버는 A 컨텐츠를 바로 TV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이어보기 정보를 기반으로 휴대폰에 컨텐츠를 제공하던 플레이 시점(즉, 이어보기 시점)부터 계속해서 TV로 3D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908).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DLNA 네트워크에서 2D 컨텐츠 및/또는 3D 컨텐츠를 이어보는 방법 중 또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DLNA 네트워크에 PC, 휴대폰 및 TV가 연결되어 있다. 휴대폰의 경우 DLNA 네트워크의 DMC 및 DMP가 탑재되고, TV의 경우 DMR이 탑재될 수 있으며, PC는 DMS로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은 2D 기기이며, TV는 3D 기기임을 가정하고, A 컨텐츠는 2D 컨텐츠 임을 가정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PC에 저장되어 있는 A 컨텐츠를 휴대폰을 통해 제공받으려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조작하여 PC에 저장된 A 컨텐츠를 선택하면, 휴대폰은 A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 및 휴대폰에 대한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PC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정보는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자 및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를 포함하고, 기기 정보는 휴대폰의 식별자 및 휴대폰의 성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1001).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PC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기기의 성능 및 컨텐츠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PC는 컨텐츠 제공을 요청한 기기가 2D 기기인지 또는 3D 기기인지 여부와 A 컨텐츠가 3D 컨텐츠인지 또는 2D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02).
휴대폰에서 요청한 A 컨텐츠는 2D 컨텐츠이고 휴대폰도 2D 기기이므로, 서버는 A 컨텐츠를 바로 휴대폰에 제공할 수 있다(S1003).
사용자가 휴대폰을 통해 A 컨텐츠를 제공받는 도중에 대형 화면을 통해 컨텐츠를 즐기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폰은 TV로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에는 이어보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어보기 정보는 A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 및 휴대폰에서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의 현재 재생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1004).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TV는 이어보기 정보 및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1005).
TV로부터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서버는 기기 정보를 기반으로 TV가 3D 기기인지 2D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06).
TV는 3D 기기로 판단되므로, PC는 2D 컨텐츠인 A 컨텐츠를 3D 컨텐츠로 변환하여 TV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PC는 이어보기 정보를 기반으로 휴대폰에 컨텐츠를 제공하던 현재 재생 시점(즉, 이어보기 시점)부터 바로 TV에 3D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1007, S1008).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1110),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듈(1120), 컨텐츠의 형식을 변환하기 위한 영상 변환 모듈(1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그 기능에 따라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14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 개시하는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10에서 개시한 DLNA 네트워크, 클라우딩 컴퓨팅 및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는 장치로서, DLNA 기기, 2D 기기 또는 3D 기기들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클라우드 서버 또는 DMS이 탑재된 PC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클라우드 서버 또는 PC는 제 1 기기(예를 들어, 휴대폰, PDA, 노트북 등)로부터 컨텐츠 정보 및 제 1 기기의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상기 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원본 컨텐츠가 3D 컨텐츠이고 제 1 기기가 2D 기기이면, 클라우드 서버 또는 PC는 영상 변환 모듈을 이용하여 원본인 3D 컨텐츠를 2D 컨텐츠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 또는 PC는 송신 모듈을 이용하여 3G 네트워크, 4G 네트워크 또는 DLNA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 또는 PC는 제 2 기기(예를 들어, TV, 캠코더, PDA, 노트북 등)로부터 이어보기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 및 제 2 기기의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클라우드 서버 또는 PC는 이어보기 시점부터 제 2 기기의 기기 성능에 따라 컨텐츠를 원본 그대로 또는 2D 컨텐츠로 변환한 후, 송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2 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휴대폰 등 DMC를 탑재한 모든 기기(이하, 휴대폰으로 통칭)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1110),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듈(1120), 컨텐츠의 형식을 변환하기 위한 영상 변환 모듈(1130) 및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140)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폰은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송신 모듈을 이용하여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은 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DMS로부터 요청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요청한 컨텐츠가 3D 컨텐츠이고, 휴대폰이 2D 기기인 경우, 휴대폰은 영상 변환 모듈을 이용하여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하나를 추출하여 2D 컨텐츠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폰을 통해 2D 컨텐츠를 시청하는 도중에, 휴대폰을 제어하여 이어보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 모듈을 이용하여 3D 기기(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컨텐츠는 이어보기 정보가 나타내는 이어보기 시점부터 3D 기기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한 휴대폰은 개인휴대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개인통신서비스(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폰, WCDMA(Wideband CDMA) 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 폰, 핸드헬드 PC(Hand-Held PC), 스마트(Smart) 폰 또는 멀티모드 멀티밴드(MM-MB: Multi Mode-Multi Band) 단말기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폰이란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장점을 혼합한 단말기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개인 휴대 단말기의 기능인 일정 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합한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멀티모드 멀티밴드 단말기란 멀티 모뎀칩을 내장하여 휴대 인터넷시스템 및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시스템, WCDMA(Wideband CDMA) 시스템 등)에서 모두 작동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미도시)에 저장되어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기기 또는 장치의 각 기능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클라우드 환경 또는 DLNA 네트워크에 포함된 기기들이 PC, 휴대폰 및 TV 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기들은 일례에 불과하며, 다양한 DLNA 기기들에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유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유무선 접속 시스템을 응용한 모든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2)

  1.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에서 제 1 기기로부터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제 1 기기의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DMS에서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원본 컨텐츠가 이차원(2D) 컨텐츠인지 삼차원(3D)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기기의 기기 정보로부터 상기 제1기기가 2D 컨텐츠만을 재생할 수 있는 2D 기기인지 또는 3D 컨텐츠도 재생할 수 있는 3D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1기기의 기기 정보에 따라 상기 원본 컨텐츠를 2D 컨텐츠 또는 3D 컨텐츠로 적응적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DMS에서 제 2 기기로부터 상기 원본 컨텐츠에 대한 이어보기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 및 상기 제 2 기기의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DMS는 상기 이어보기 시점부터 상기 제 2 기기의 기기 성능에 따라 상기 원본 컨텐츠를 상기 3D 컨텐츠 또는 상기 2D 컨텐츠로 적응적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MS는 클라우드 서버이고,
    상기 제 1 기기는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DMC)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기는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또는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MR)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MS는 개인 컴퓨터에 포함되고,
    상기 제 1 기기는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DMC)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기는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또는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MR)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의 기기 정보는 상기 제 1 기기가 2D 기기인지 3D 기기인지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제 2 기기의 기기 정보는 상기 제 2 기기가 2D 기기인지 3D 기기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원본 컨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 및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개인 컴퓨터에 저장되고,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기기 및 상기 제 2 기기에 제공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보기 정보는 상기 원본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방법.
  8. 컨텐츠를 이어보는 방법에 있어서,
    이차원(2D) 컨텐츠만을 재생할 수 있는 2D 기기에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2D 기기에서 상기 DMS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2D 기기에서 상기 컨텐츠가 삼차원(3D) 컨텐츠인 경우, 상기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하나를 추출하여 2D 컨텐츠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2D 컨텐츠를 재생하는 도중에, 3D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3D 기기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이어보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어보기 정보가 나타내는 이어보기 시점부터 상기 3D 기기에 상기 3D 컨텐츠가 제공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DMS는 클라우드 서버 또는 개인 컴퓨터에 포함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컨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 및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보기 정보는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방법.
  12.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듈;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및
    원본 컨텐츠의 형식을 변환하기 위한 변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장치는, 제 1 기기로부터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제 1 기기의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상기 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원본 컨텐츠가 이차원(2D) 컨텐츠인지 삼차원(3D)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기기의 기기 정보로부터 상기 제1기기가 2D 컨텐츠만을 재생할 수 있는 2D 기기인지 또는 3D 컨텐츠도 재생할 수 있는 3D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1기기의 기기 정보에 따라 상기 원본 컨텐츠를 2D 컨텐츠 또는 3D 컨텐츠로 적응적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기기에 전송하고;
    제 2 기기로부터 상기 원본 컨텐츠에 대한 이어보기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 및 상기 제 2 기기의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상기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이어보기 시점부터 상기 제 2 기기의 기기 성능에 따라 상기 원본 컨텐츠를 상기 3D 컨텐츠 또는 상기 2D 컨텐츠로 적응적으로 변환하여 상기 송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기기에 제공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클라우드 서버이고,
    상기 제 1 기기는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DMC)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기는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또는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MR)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개인 컴퓨터이고,
    상기 제 1 기기는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DMC)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기는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또는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MR)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의 기기 정보는 상기 제 1 기기가 2D 기기인지 3D 기기인지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제 2 기기의 기기 정보는 상기 제 2 기기가 2D 기기인지 3D 기기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원본 컨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 및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컨텐츠는 개인 컴퓨터에 저장되고,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 1 기기 및 상기 제 2 기기에 제공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장치.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보기 정보는 상기 원본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장치.
  19.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2차원(2D) 컨텐츠만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듈;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컨텐츠의 형식을 변환하기 위한 변환 모듈을 포함하되,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상기 송신 모듈을 이용하여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에 전송하고,
    상기 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DMS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가 삼차원(3D) 컨텐츠인 경우, 상기 변환 모듈에서 상기 컨텐츠의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하나를 추출하여 2D 컨텐츠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2D 컨텐츠를 재생하는 도중에, 이어보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이어보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송신 모듈을 이용하여 3D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3D 기기로 전송하되,
    상기 이어보기 정보가 나타내는 이어보기 시점부터 상기 3D 컨텐츠가 상기 3D 기기에 제공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DMS는 클라우드 서버 또는 개인 컴퓨터에 포함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컨텐츠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 및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보기 정보는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장치.
KR1020110066629A 2011-07-05 2011-07-05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31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629A KR101231821B1 (ko) 2011-07-05 2011-07-05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629A KR101231821B1 (ko) 2011-07-05 2011-07-05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194A KR20130005194A (ko) 2013-01-15
KR101231821B1 true KR101231821B1 (ko) 2013-02-08

Family

ID=47836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629A KR101231821B1 (ko) 2011-07-05 2011-07-05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8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599B1 (ko) 2016-05-30 2021-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미디어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1070982A1 (ko) * 2019-10-08 2021-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60124B1 (ko) * 2021-03-09 2022-10-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셋톱 박스
KR102438910B1 (ko) * 2022-01-24 2022-09-01 주식회사 엔에스랩 기기 변경에 대응하는 3d 컨텐츠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183A (ja) 2002-05-28 2003-12-05 Canon Inc 3dコンテンツ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70039733A (ko) * 2005-10-10 2007-04-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3d 콘텐츠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61620A (ko) * 2005-12-10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리밍 재생 중에 컨텐트 재생 장치를 변경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183A (ja) 2002-05-28 2003-12-05 Canon Inc 3dコンテンツ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70039733A (ko) * 2005-10-10 2007-04-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3d 콘텐츠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61620A (ko) * 2005-12-10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리밍 재생 중에 컨텐트 재생 장치를 변경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194A (ko) 201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8914B2 (en) Multiple flinging devices in a media fling system
KR101604409B1 (ko) 매체 렌더링 디바이스 상의 인터넷으로부터의 컨텐츠 출력
US98832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nection betwe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another device connected by network
US11716497B2 (en) Control system for playing a data stream on a receiving device
JP5607095B2 (ja) 情報生成装置および情報出力装置
US20130282793A1 (en) Media content sharing
EP2549680B1 (en) Content output system and codec information sharing method in same system
CN105323628B (zh) 基于dlna跨屏播放的方法及系统、浏览器端装置和播放装置
US9118497B2 (en) Method for mounting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device, and digital media player DMP
WO2015035742A1 (zh) 一种数字电视的音视频共享方法、终端及系统
JPWO2016174960A1 (ja) 受信装置、送信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KR101231821B1 (ko)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30254813A1 (en) Recording in a Local Network
EP26618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distribution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s
EP3160101B1 (en) Multi-media resource management method, cloud server and electronic device
KR100744473B1 (ko) Dlna 네트워크의 dms에서 디바이스 들의 rss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K2647168T3 (en) REGISTERING IN A LOCAL NETWORK
KR20120072100A (ko) 웹 콘텐트 서비스와 홈네트워크의 연동을 위한 웹 미디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4768056A (zh) 电子装置及其串流媒体的播放方法
KR20140103377A (ko) 컨텐츠 서버 및 서버의 컨텐츠 제공방법
KR101991787B1 (ko) 홈 네트워크 미디어 전송 협상
CN102143225A (zh) 媒体播放的控制方法和装置
KR102079339B1 (ko) 클라우드 시스템상의 컨텐츠를 디엘엔에이로 연결된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14630B1 (ko) 홈 네트워크를 통한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가이드 콘텐츠 항목의 공유
US20130060910A1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ontent reproduc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