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043B1 -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043B1
KR101188043B1 KR1020110086730A KR20110086730A KR101188043B1 KR 101188043 B1 KR101188043 B1 KR 101188043B1 KR 1020110086730 A KR1020110086730 A KR 1020110086730A KR 20110086730 A KR20110086730 A KR 20110086730A KR 101188043 B1 KR101188043 B1 KR 101188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identification
electronic devices
received
hom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6756A (ko
Inventor
박세현
박상욱
황지온
홍인성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86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04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은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 AP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의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각각의 제1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로부터 각각의 제2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신호 중 상기 선택된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제2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 중 적어도 일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적어도 일부의 전기/전자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사용자 및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제어가 수행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사용자 및 공간에 적용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는 네트워크를 통해 댁내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를 제어하고 기기간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반의 기술을 의미한다.
홈 네트워크가 구축된 경우, 사용자는 가정 내/외부에서 휴대용 단말기로 손쉽게 전기/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전기/전자기기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즉시에 제공받을 수 있다.
즉,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전기/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홈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환경정보 수집이 스마트폰에 의해 수행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이 직접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일례로,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 및 사용자 주변의 환경정보를 다각도로 수집하여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지능화된 홈 네트워크 제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공개번호 특2003-0012909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충전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의 모바일화는 사용자에게 기존의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에 비해 보다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홈 네트워크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로서 역할을 하는 경우, 댁내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전자기기 중 어느 것이 제어될 것인지, 또한 누구에 의해 제어될 것인지의 문제점은 존재한다.
즉, 댁내 여러 사용자는 각각 다른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댁내 복수의 전기/전자기기 중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와 동작 상태는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는 RFID 태그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등이 제안되고 있으나, 여전히 복수의 사용자 처리 문제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특정 공간 내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전자기기의 사용자가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공간 내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를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에 새롭게 등록해주어야 하는 불편함도 존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사용자 및 공간에 적용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제어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 AP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의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각각의 제1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로부터 각각의 제2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신호 중 상기 선택된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제2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 중 적어도 일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적어도 일부의 전기/전자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는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제2 식별신호는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 각각이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수신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각각의 제1 식별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식별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전기/전자기기의 전원의 ON/OFF, 볼륨 설정, 채널 설정, 온도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 AP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각각의 제1 식별신호를,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로부터 각각의 제2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선택하는 식별신호 선택부 및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 중 적어도 일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신호 중 상기 선택된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제2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 중 적어도 일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각각의 제1 식별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제2 식별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 제어를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 AP로부터 각각의 제1 식별신호를,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로부터 각각의 제2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신호 중 상기 선택된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 중 적어도 일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적어도 일부의 전기/전자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각각의 제1 식별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식별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사용자 및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제어가 수행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 AP 및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를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 AP(102a, 102b, 이하 'AP'라 함) 및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a, 104b)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P(102a, 102b) 및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a, 104b)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특정 공간(룸 a 또는 룸 b) 내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a 또는 104b)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a, 104b)는 룸 a과 룸 b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는 룸 a에 위치한다.
이때, 룸 a에 위치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는 룸 a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a)를 제어한다.
즉,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는 댁내 위치에 따라, 주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에 적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에는 Bluetooth, HomeRF, IrDA 및 무선 LAN 등이 있으며, AP(102) 및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에도 동일한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는 이동 가능한 장치로서, 스마트폰, PDA, 노트북과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댁내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는 TV, 홈씨어터, 오디오, 조명, 냉온풍기, 가습기, 공기청정기 등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특정 공간 내의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특정 공간 내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의 제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AP(102)는 제어가 요구되는 특정 공간마다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AP(102)와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가 설치된 룸이 2개(룸 a, 룸 b)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AP(102)와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가 설치되는 룸은 1개에서부터 수개로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110), 식별신호 선택부(120) 및 제어신호 생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AP(102) 및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로부터 식별신호를 수신한다.
보다 상세하게, 통신부(110)는 AP(102)로부터 제1 식별신호를 수신하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로부터 제2 식별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1 식별신호는 AP(10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며, AP(102)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식별신호는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식별신호는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는 브로드캐스팅된 제1 식별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제2 식별신호를 생성하므로, 제2 식별신호에는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가 제2 식별신호를 생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는 AP(102)로부터 수신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b)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P(102a, 102b)로부터 각각 제1 식별신호를 수신하게 되나, 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될 수 있는 AP(102b)의 제1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제2 식별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는 특정 공간별로 서로 다른 제1 식별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는 특정 공간별로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어신호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에 송신할 수도 있다.
표 1은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가 룸 a에 위치하는 경우, 통신부(110)에 수신된 제1 식별신호와 제2 식별신호를 나타낸다.
Figure 112011067331400-pat0000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AP(102a, 102b)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제1 식별신호와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a1, 104a2, 104b1, 104b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제2 식별신호가 각각 통신부(110)에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제2 식별신호에는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에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신호 선택부(120)는 통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선택한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가 룸 a에 위치하는 경우,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AP(102a, 102b)로부터 각각의 제1 식별신호를 수신하게 되나, 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될 수 있는 AP(102a)의 제1 식별신호를 선택한다.
다른 예로,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가 룸 b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AP(102a, 102b)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될 수 있는 AP(102b)의 제1 식별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는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의 주변에 위치하는 AP(102)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인식된 AP(102) 주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제어에 관한 것이며, 수신된 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신호를 선택하는 구성은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인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신호 생성부(130)는 통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제2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신호 생성부(130)는 식별신호 선택부(120)에 의해 선택된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즉, 제어신호 생성부(130)는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에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로써,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는 주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댁내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a, 104b) 중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에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될 수 있는 AP(102a)의 제1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제2 식별신호를 생성한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a)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표 2는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가 룸 a에 위치하는 경우, 식별신호 선택부(120)에 의해 선택된 제1 식별신호와 제어신호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Figure 112011067331400-pat00002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별신호 선택부(120)는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AP(102a)의 제1 식별신호를 선택하며, 제어신호 생성부(130)는 AP(102a)의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계속하여, 제어신호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10)에 의해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a1, 104a2)로 송신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는 특정 공간 내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제어신호는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의 전원의 ON/OFF에 관한 정보, 볼륨 설정, 채널 설정, 온도 설정 등과 같은 상세한 동작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 각각에 유효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가 스마트폰인 경우, 스마트폰(100)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댁내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를 제어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는 댁내 위치에 따라, 주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이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은 제1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10), 제1 식별신호를 선택하는 단계(S320), 제2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30),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340) 및 송신하는 단계(S3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310)에서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는 AP(102)로부터 각각의 제1 식별신호를 수신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식별신호는 AP(102a, 102b)에 관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AP(102a, 102b)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320)에서는 단계(S310)에서 수신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선택한다.
이러한 단계(S320)에 의해,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는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의 주변에 위치하는 AP(102)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AP(102) 주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330)에서는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로부터 각각의 제2 식별신호를 수신한다.
마찬가지로, 제2 식별신호는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a, 104b)에 관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a, 104b)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또한, 제2 식별신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a, 104b)에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340)에서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는 단계(S330)에서 수신된 제2 식별신호 중 단계(S320)에서 선택된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제2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 중 적어도 일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은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에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식별신호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를 특정 공간별로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350)에서는 단계(S34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적어도 일부의 전기/전자기기(104)에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를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410)에서는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 AP(102)로부터 각각의 제1 식별신호를,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로부터 각각의 제2 식별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제2 식별신호는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가 AP(102)로부터 제1 식별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성한 신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는 제2 식별신호를 생성함에 있어서, AP(102)로부터 수신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제2 식별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는 특정 공간별로 서로 다른 제1 식별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420)에서는 단계(S410)에서 수신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선택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430)에서는 단계(S410)에서 수신된 제2 식별신호 중 단계(S420)에서 선택된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 중 적어도 일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단계(S420 및 S430)에 의해, 주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기/전자기기(104) 중 적어도 일부가 자동으로 인식되고, 제어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440)에서는 단계(S43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적어도 일부의 전기/전자기기(104)에 송신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과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앞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100)에 관한 구성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하다. 이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 102 : 근거리 무선 통신 AP
104 : 복수의 전기/전자기기 110 : 통신부
120 : 식별신호 선택부 130 : 제어신호 생성부

Claims (9)

  1.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 AP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의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각각의 제1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로부터 각각의 제2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신호 중 상기 선택된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제2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 중 적어도 일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적어도 일부의 전기/전자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는 이동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신호는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 각각이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수신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각각의 제1 식별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식별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전기/전자기기의 전원의 ON/OFF, 볼륨 설정, 채널 설정, 온도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6.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 AP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각각의 제1 식별신호를,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로부터 각각의 제2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선택하는 식별신호 선택부; 및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 중 적어도 일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신호 중 상기 선택된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제2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 중 적어도 일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각각의 제1 식별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제2 식별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
  8. 홈 네트워크 제어를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 AP로부터 각각의 제1 식별신호를,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로부터 각각의 제2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신호 중 상기 선택된 제1 식별신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 중 적어도 일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적어도 일부의 전기/전자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전자기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AP로부터 각각의 제1 식별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1 식별신호 중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제1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식별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110086730A 2010-11-25 2011-08-29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188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730A KR101188043B1 (ko) 2010-11-25 2011-08-29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299 2010-11-25
KR1020110086730A KR101188043B1 (ko) 2010-11-25 2011-08-29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756A KR20120056756A (ko) 2012-06-04
KR101188043B1 true KR101188043B1 (ko) 2012-10-08

Family

ID=4660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730A KR101188043B1 (ko) 2010-11-25 2011-08-29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0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644B1 (ko) 2013-08-06 2015-04-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홈네트워크 정보와 가전기기 상태 정보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0823B (zh) * 2014-03-26 2016-09-21 广州合立正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多个无线控制设备的场景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644B1 (ko) 2013-08-06 2015-04-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홈네트워크 정보와 가전기기 상태 정보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756A (ko) 201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3934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rrounding devices, based on topology
CN103576125B (zh) 多装置间转移工作的方法及手持通信装置
EP238720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Fi Service by Wi-Fi Device
JP5598081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886205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20224457A1 (en) Server for grouping devices based on sounds collected and method therefore
CN104823411A (zh) 自动化系统的语音控制配置
CN102932543B (zh) 利用多媒体配置多媒体采集设备的方法
US99529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via an intermediate device
KR20110125695A (ko)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6042693A (ja) 通信タグを設けたデバイスのユーザによる操作を検出する方法、対応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ユーザ端末、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KR102173242B1 (ko)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정보 자동 설정 방법, 장치
KR102243027B1 (ko) 하이브리드 방식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N104105224B (zh) 用于连接电子装置中的短程通信的方法和电子装置
CN104144515A (zh) 终端及其实现wifi热点网络共享的方法
JP2011166417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3680101B (zh) 一种为nfc设备或nfc标签编辑nfc数据的方法及系统
KR101943430B1 (ko) 사용자 장치, 사용자 장치의 구동방법, 서비스제공장치 및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
KR102200825B1 (ko) 이종 무선 통신 시스템 간 오프로딩을 하기 위한 정책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KR101188043B1 (ko)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EP4195708A1 (en) Movement trajectory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2712683B (zh) 家电设备的控制方法、系统、遥控器和服务器
KR102025363B1 (ko) 휴대형 단말기
EP3657732B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101488085B1 (ko) 무선 충전 시 자동으로 동작 모드를 변환하는 이동 단말 및 상기 이동 단말을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