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424B1 -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424B1
KR101246424B1 KR1020100078404A KR20100078404A KR101246424B1 KR 101246424 B1 KR101246424 B1 KR 101246424B1 KR 1020100078404 A KR1020100078404 A KR 1020100078404A KR 20100078404 A KR20100078404 A KR 20100078404A KR 101246424 B1 KR101246424 B1 KR 101246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tion metal
mesoporous
nitride
present
metal ox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716A (ko
Inventor
박경원
고아라
이영우
한상범
김현수
김시진
김도영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78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424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4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1/00Nitrogen; Compounds thereof
    • C01B21/06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metals, with silicon, or with boron, or with carbon, i.e. nitrides; Compounds of nitrogen with more than one metal, silicon or boron
    • C01B21/0615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metals, with silicon, or with boron, or with carbon, i.e. nitrides; Compounds of nitrogen with more than one metal, silicon or boron with transition metals other tha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1/00Nitrogen; Compounds thereof
    • C01B21/06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metals, with silicon, or with boron, or with carbon, i.e. nitrides; Compounds of nitrogen with more than one metal, silicon or boron
    • C01B21/076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metals, with silicon, or with boron, or with carbon, i.e. nitrides; Compounds of nitrogen with more than one metal, silicon or boron with titanium or zirconium or hafnium
    • C01B21/0761Preparation by direct nitridation of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6Pore dia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atalyst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이 전이금속 산화물을 질화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실리카 템플릿 또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필요 없이 균일한 크기의 가진 기공 및 비표면적인 넓은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을 제공할 수 있고, 반응 온도 및 시간에 보다 안정적인 메조포러스 구조체를 이루고 있기에 반응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질화물의 기공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 방법{Synthesis Method for Mesoporous Transition metal Nitrides}
본 발명은 전이금속 산화물을 질화하여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을 제조하는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이금속 촉매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전이금속 다공체의 산환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다공체 산화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실리카 등의 템플릿을 사용하거나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공성 질화물에 이용되는 템플릿은 제올라이트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기공 크기가 약 1 nm로 작기 때문에 다공성 질화물을 제조하는데 제한적이고, 이러한 템플릿이 가지고 있는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계면활성제가 이용되고 있지만, 질화물의 합성 이후에 사용된 계면활성제를 완전하게 제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합성 중 계면활성제의 잔여물로 인해 카본 등의 불순물이 발생하여 질화물의 촉매 활성을 저해시킬 수 있다. 이에 템플릿이나 계면활성제 같은 이차적인 보강제의 사용없이 공정이 보다 간단한 다공체 질화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템플릿 또는 계면활성제의 사용 없이 균일한 기공 및 높은 비표면적을 가진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을 제공할 수 있는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상은,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이 전이금속 산화물을 질화하여 제조되는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이 Mo, Cr, Ta, Zr, V, Ti, Hf, Nb 및 W의 산화물 또는 그 수화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이 판상형 또는 막대형일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서,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이 암모니아(NH3), 시안화물(CN) 및 질소(N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질소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서, 반응 온도는 400 ℃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서, 반응 시간이 15시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 방법은 전이금속 산화물을 질화 과정을 거쳐서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을 제조하기에 템플릿 또는 계면활성제와 같은 첨가제를 이용할 필요가 없고, 제조 공정이 보다 간단하다.
본 발명에 의한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 방법은 균일한 기공 및 높은 비표면적을 가진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은 안정적인 메조포러스 구조체를 유지할 수 있고, 반응 시간 및 반응 온도에 따라 기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텅스텐 산화물 및 질화물의 X-선 회절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텅스텐 질화물의 고배율 투과현미경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텅스텐 질화물의 질소 흡-탈착 등온선 측정(BET)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텅스텐 질화물의 X-선 회절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텅스텐 질화물의 고배율 투과현미경 사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텅스텐 질화물의 질소 흡-탈착 등온선 측정(BET)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텅스텐 질화물의 BJH(Berret-Joyner-Halenda)법에 의거해서 측정된 기공 크기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텅스텐 산화물 및 질화물의 고배율 투과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조 방법은 전이금속 산화물과 질화 화합물이 반응하여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조 방법은 전이금속 산화물을 이용하기에 균일한 기공 및 비표면적이 넓은 전이금속 질화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은 Mo, Cr, Ta, Zr, V, Ti, Hf, Nb 및 W의 산화물 또는 그 수화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텅스텐 옥사이드 또는 텅스텐 옥사이드 하이드레이드일 수 있고, 상기 텅스텐 옥사이드 하이드레이드는 WO3·H2O, WO3·0.33H2O 등일 수 있다.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은 다양한 형상을 상기 제조 방법에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판상형 또는 막대형일 수 있다.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은 질화 공정에서 x, y축 방향으로 입자의 성장을 한정시켜 2차원 이차의 저차원 성장된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 구조체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이금속 산화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구조체는 고온의 열처리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이러한 안정된 구조체에 의해서 열처리온도 및 시간에 따라 기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의 입자 크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500 nm 내지 1μm 일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서, 반응 온도는 400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0 ℃ 이상 800 ℃ 일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서, 반응 시간은 1시간 이상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서,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은 암모니아(NH3), 시안화물(CN) 및 질소(N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질소 화합물과 반응한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은 30 ㎡/g 이상의 비표면적을 가질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40 내지 100 ㎡/g의 비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 WO 3 ·H 2 O(( tungsten oxide hydrate ) 판상형의 합성
0.01 M의 소듐 메타텅스테이드 하이드레이트(Sodium metatungstate hydrate, Aldrich)을 5 M 염산 용액에 약 1시간 동안 초음파 분해기와 교반기를 이용하여 용해시킨다. 다음 열수방법을 이용하여 약 120℃까지(승온온도 2℃/min) 온도를 상승시켜 1시간 동안 반응을 유지하게 되면 판형의 텅스텐 산화물의 결정을 얻는다. 5회 정도 과량의 증류수를 넣고 염산을 희석시켜 용매를 제거한 후, 진공건조기를 이용하여 60℃의 온도에서 증류수를 제거하고 고체상의 텅스텐 옥사이드 촉매를 회수한다.
메조포러스 텅스텐 질화물의 제조
[ 실시예 1]
제조예 1을 전기로 내에서 암모니아 가스 분위기에서 400 ℃, 500℃, 600℃, 700℃, 800 ℃에서 각각 3 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승온속도 1 oC/min). 다음으로, X-선 회절분석, 고배율 투과현미경 및 BET를 측정하였다.
도 2를 참조하여, (a)800 ℃, (b)700 ℃, (c)600 ℃, (d)500 ℃, (e)400 ℃, (f)300 ℃, (g)제조예 1의 WO3·H2O의 X-선 회절분석 결과에서, 400 ℃에서 37.7, 43.8, 63.7o 에서 W2N의 피크가 나타나고, (b)~(e)까지는 상의 변화는 없으나 (a) 800 ℃에서 열처리하면, 환원성 기체 하에서 텅스텐 금속(W)이 생성되는 것을 40o의 피크에 의해서 확인된다. 이로 인해 텅스텐 질화물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비교적 낮은 온도인 400 ℃부터 상 전이가 발생하여 W2N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a)600 ℃, (b)700 ℃, (c)800 ℃(각각 3시간 반응)의 고배율 투과현미경 사진 결과에서, (a), (b)는 기공을 가지고 있는 반면 (c)의 경우 기공이 관찰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텅스텐 질화물은 일정 온도 내에서 안정적인 메조포러스 구조체를 유지할 수 있으나, 텅스텐 금속(W)으로 상전이하면 메조포러스 구조체가 응집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a) 600 ℃, (b) 700 ℃, (c) 800 ℃(각각 3시간 반응)의 질소 흡-탈착 등온선 측정(BET)의 결과에서, (a), (b)의 흡착 등온선 형상은 IV형인 메조포러스한 형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BET법에 의거해서 산출된 비표면적은 (a)는 38.1㎡/g, (b)는 55.6 ㎡/g이다.
[ 실시예 2]
제조예 1의 WO3ㆍH2O(tungsten oxide hydrate)는 전기로에서 암모니아 가스 분위기에서 700 ℃에서 1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동안 측정하였다(각각승온속도 1 oC/min).
도 5를 참조하면, 700 ℃에서 (a) 1시간, (b) 3시간, (c) 6시간. (d) 12시간 반응한 샘플의 X-선 회절 (XRD) 분석을 참조하면, 시간이 증가함에 관계없이 700 ℃에서 열처리시 W2N의 상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6을 참조하면, 700 ℃에서 (a) 1시간, (b) 3시간, (c) 6시간. (d) 12시간 반응한 샘플의 고배율 투과현미경 사진 결과에서, 균일한 기공을 가진 W2N이 합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700 ℃에서, (a) 1시간, (b) 3시간, (c) 6시간. (d) 12시간 반응한 샘플의 질소 흡-탈착 등온선 (BET)을 참조하면, 시간의 증가에 따라 흡착 등온선의 형상은 IV형인 메조포러스한 형상임을 확인하였고 또한 비표면적은 (a) 40.9, (b) 55.6, (c) 45.0, (d) 46.0 ㎡/g로 높은 비표면적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700 ℃에서, (a) 1시간, (b) 3시간, (c) 6시간, (d) 12시간 반응한 샘플의 BJH(Berret-Joyner-Halenda)법에 의거해서 측정된 기공 크기 분포의 결과에서, 메조포러스 W2N의 미세 기공 크기 분포는 (a)6.29 ㎚, (b)6.02 ㎚, (c)7.03 ㎚, (d)8.56 ㎚의 순으로 증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a)인 경우에는 기공이 형성과정 중이므로 기공의 사이즈가 반응시간 (b)와 비슷한 크기를 가진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메조포러스 W2N의 기공 크기는 질화 반응 시간에 따라 얻고자 하는 기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실시예 3]
제조예 1의 WO3ㆍH2O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700 ℃에서 3 시간동안 열처리하여 W2N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W2N은 산소분위기에서 500 ℃에서 1 시간 열처리하여 WO3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판상형 WO3를 질소 분위기에서 700 ℃에서 3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W2N을 제조하였다.
도 9을 참조하면, (1)WO3ㆍH2O, (2)W2N, (3)WO3,(4)WO3에서 제조된 W2N의 고배율 투과현미경 사진 결과에서, WO3ㆍH2O 및 WO3에서 제조된 W2N이 모두 메조포러스 구조체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은 텅스텐 산화물 및 그 수화물을 이용하여 메조포러스 구조체를 가진 텅스텐 질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의한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 방법은 전이금속 산화물로부터 질화공정을 거쳐 제조되기에 고온에서 보다 안정적인 메조포러스 구조체를 가지면서, 균일한 기공 및 높은 비표면적을 나타내는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전이금속 산화물을 질화반응시켜 제조되고,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이 Mo, Cr, V, Hf 및 W의 산화물 또는 그 수화물에서 선택되며,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이 암모니아(NH3), 시안화물(CN) 및 질소(N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질소 화합물과 반응하고,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의 입자크기는 500 nm 내지 1μm이며,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이 판형 또는 막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반응 온도가 40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반응 시간이 15 시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 방법.
KR1020100078404A 2010-08-13 2010-08-13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 방법 Active KR101246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404A KR101246424B1 (ko) 2010-08-13 2010-08-13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404A KR101246424B1 (ko) 2010-08-13 2010-08-13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716A KR20120021716A (ko) 2012-03-09
KR101246424B1 true KR101246424B1 (ko) 2013-03-21

Family

ID=4612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404A Active KR101246424B1 (ko) 2010-08-13 2010-08-13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4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403B1 (ko) * 2016-05-31 2019-04-1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열처리 방법, 및 질소 도핑된 금속 산화물 구조체
WO2017209517A1 (ko) * 2016-05-31 2017-12-07 한양대학교에리카산학협력단 열처리 방법, 및 질소 도핑된 금속 산화물 구조체
KR101939484B1 (ko) * 2017-08-11 2019-01-1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전이금속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활물질
KR102125123B1 (ko) 2018-01-05 2020-06-1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439A (ko) * 2001-12-29 2003-07-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텅스텐 게이트 및 텅스텐 게이트 형성 방법
JP2006069804A (ja) 2004-08-31 2006-03-16 Asahi Kasei Chemicals Corp メソポーラスオキシナイトライド化合物及び/またはメソポーラスナイトライド化合物
KR100769707B1 (ko) 2003-12-02 2007-10-23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금속 산 질화물 전극촉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439A (ko) * 2001-12-29 2003-07-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텅스텐 게이트 및 텅스텐 게이트 형성 방법
KR100769707B1 (ko) 2003-12-02 2007-10-23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금속 산 질화물 전극촉매
JP2006069804A (ja) 2004-08-31 2006-03-16 Asahi Kasei Chemicals Corp メソポーラスオキシナイトライド化合物及び/またはメソポーラスナイトライド化合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화학공학회,199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716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 et al. A room‐temperature reactive‐template route to mesoporous ZnGa2O4 with improved photocatalytic activity in reduction of CO2
Tong et al. Polymorphous α-and β-Ni (OH) 2 complex architectures: morphological and phasal evolution mechanisms and enhanced catalytic activity as non-enzymatic glucose sensors
KR20090015449A (ko) 수크로스 탄소 전구체로부터 결정성이 우수한 기공성그래파이트 탄소의 제조방법
Wang et al. Easy hydrothermal synthesis of external mesoporous γ-Al2O3 nanorods as excellent supports for Au nanoparticles in CO oxidation
KR101954792B1 (ko) 단일 수열합성법을 이용한 금속 담지 이산화티타늄/그래핀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산화티타늄/그래핀 복합체
Asgarian et al. The effect of different sources of porous carbon on the synthesis of nanostructured boron carbide by magnesiothermic reduction
Huang et al. Hydrothermal growth and characterization of length tunable porous iron vanadate one-dimensional nanostructures
KR101246424B1 (ko) 메조포러스 전이금속 질화물의 제조 방법
Chen et al. Surfactant-additive-free synthesis of 3D anatase TiO 2 hierarchical architectures with enhanced photocatalytic activity
CN115805076B (zh) 催化剂及其制备方法、阵列碳纳米管及其制备方法
CN104843803B (zh) 一种以三维多孔洋麻杆碳为模板制备Co3O4螺旋纳米带的方法
Qi et al. Alkali concentration-dependent tailoring of highly controllable titanate nanostructures: From yolk-shell, hollow 3D nanospheres to 1D nanowires
Peng et al. Controlled synthesis of Bi 2 O 2 CO 3 nanorods with enhanced photocatalytic performance
Ma et al. Controllabl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rous FeVO 4 nanorods and nanoparticles
KR100497775B1 (ko) 탄소 나노 섬유 합성용 촉매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이용한 탄소 나노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US20230073650A1 (en) Carbon nanotube (cnt)-based three-dimensional ordered macroporous (3dom)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Niu et al. A simple solution calcination route to porous MgO nanoplates
KR100986941B1 (ko) 나노 결정질의 나노 다공성 전이금속 산화물의 제조 방법
Shao et al. Peptization technique in the synthesis of titania–silica composites and their photocatalytic properties
KR100991013B1 (ko) 질소 치환 티타니아 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JP6015453B2 (ja) 多孔質結晶性α型リン酸水素チタン1水和物球状粒子の製造方法
Han et al. Template-free synthesis of uniform single-crystal hollow cerium dioxide nanocubes and their catalytic activity
KR100790012B1 (ko) 유기산을 주형으로 하여 합성된 메조기공 실리카를주형제로 이용한 메조기공을 갖는 티타니아 입자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성가스반응
Li et al. Hydrothermal synthesis of crystalline rectangular titanoniobate particles
Ding et al. High surface area ZnO–carbon composite tubular arrays based on the Kirkendall effect and in situ Zn evap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