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358B1 -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장치, 진료 통합 장치 및 훈련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장치, 진료 통합 장치 및 훈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358B1
KR101246358B1 KR1020100139533A KR20100139533A KR101246358B1 KR 101246358 B1 KR101246358 B1 KR 101246358B1 KR 1020100139533 A KR1020100139533 A KR 1020100139533A KR 20100139533 A KR20100139533 A KR 20100139533A KR 101246358 B1 KR101246358 B1 KR 101246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data
user terminal
content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7540A (ko
Inventor
김기웅
정진엽
백롱민
이학종
박진우
김성찬
안기환
이수미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139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3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장치, 진료 통합 장치 및 훈련 시스템이 개시된다.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단어들을 선별하여 인지 단어 그룹을 생성하는 단어 선별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훈련 단계 별로 콘텐츠를 표시할 출력 시간을 설정하는 콘텐츠 설정부, 상기 인지 단어 그룹 및 상기 출력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훈련 단계 별로 수신한 입력 데이터와 상기 인지 단어 그룹을 비교하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훈련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결과 분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장치, 진료 통합 장치 및 훈련 시스템{TRAINING MANAGEMENT APPARATUS, MEDICAL TREATMENT INTERGRATED APPARATUS AND TRAINING SYSTEM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S}
본 발명은 훈련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 관리 장치, 진료 통합 장치 및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게 되면서 노인 인구에 많은 각종 퇴행성 노인 질환들이 사회적, 경제적인 손실을 야기시키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고서에서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치매인구가 급증하여 2010년 현재 치매 유병은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환자가 약47만명으로 전체 노인의 8.76%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2012년에는 약52만명, 2020년에는 약75만명, 2030년에는 약114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또한, 2008년 우리나라 노인 채매 유병율은 65~69세 3.64%, 70~74세 5.19%, 80~84세 17.08%, 85세 이상 30.49%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치매 유병율도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낸다.
치매 질환은 환자 자신의 인간적인 삶을 황폐화시킬 뿐만 아니라 가족의 삶까지도 망가뜨리게 되는 질환이므로 심각한 사회적, 경제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므로 치료되어야할 심각한 난치성 질환이다.
치매의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 MCI)는 동일 연령대에 비해 인지 기능, 특히 기억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이며,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이 보전되어 있어 아직은 치매가 아닌 상태를 의미한다. 즉, 경도인지장애는 정상노화와 치매의 중간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경도인지장애는 역학연구 결과, 알츠하이머병으로 이행할 수 있는 고위험군으로 지목되고 있다. 또한, 이 상태는 알츠하이머병을 가장 이른 시기에 발견할 수 있는 단계이며,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최근 임상 연구 결과에 의하면 경도인지장애의 상태에 있는 환자들은 치매로 이행될 위험도가 매우 높음을 시사하고 있어 경도인지장애의 조기 치료는 치매의 예방 및 치료에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인지장애 환자의 인지 재활 훈련은 단기간에 수차례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행해야 하나, 인지장애 환자가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진행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에 환자가 직접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발명은 환자가 직접 의료기관에 방문하지 않아도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장치, 진료 통합 장치 및 훈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환자 수준에 맞게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장치, 진료 통합 장치 및 훈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 관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단어들을 선별하여 인지 단어 그룹을 생성하는 단어 선별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훈련 단계 별로 콘텐츠를 표시할 출력 시간을 설정하는 콘텐츠 설정부; 상기 인지 단어 그룹 및 상기 출력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훈련 단계 별로 수신한 입력 데이터와 상기 인지 단어 그룹을 비교하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훈련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결과 분석부를 포함하는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및 훈련 관리 장치와 접속하며,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의료기관의 진료 통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및 훈련 관리 장치와 접속하며,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의료기관의 진료 통합 장치에 있어서, 기본 데이터 및 훈련 기준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할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에 대한 훈련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훈련 설정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할 콘텐츠를 설정하는 콘텐츠 관리부; 및 상기 훈련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훈련 분석 데이터에 따라 의료진 권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인지 기능 향상용 의료기관의 진료 통합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 시스템에 있어서, 인지 단어 그룹 및 콘텐츠를 출력 시간 동안 표시하고, 상기 인지 단어 그룹에 해당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단어들을 선별하여 상기 인지 단어 그룹을 생성하고, 훈련 단계 별로 상이한 상기 출력 시간을 설정하며, 상기 입력 데이터와 상기 인지 단어 그룹에 동일 여부에 따라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 및 기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훈련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훈련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장치, 진료 통합 장치 및 훈련 시스템은 환자가 직접 의료기관에 방문하지 않아도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장치, 진료 통합 장치 및 훈련 시스템은 환자 수준에 맞게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장치, 진료 통합 장치 및 훈련 시스템은 환자의 시간 및 치료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장치, 진료 통합 장치 및 훈련 시스템은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훈련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의 훈련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의 진료 통합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인지 단어 그룹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인지 기능 향상용 화상 진료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장치, 진료 통합 장치 및 훈련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50)은 훈련 관리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의료기관의 진료 통합 장치(이하, 진료 통합 장치(300)로 통칭함, 300)를 포함한다.
훈련 관리 장치(100)는 단어들을 포함하는 인지 단어 그룹을 생성하고, 콘텐츠를 표시할 출력 시간을 설정한다. 이때, 인지 단어 그룹은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을 실시하기 위해 인지장애 환자에게 제공할 단어들을 포함한다. 단어는 환자가 기억해야 할 단어이다. 콘텐츠는 이미지, 동영상 및 게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시간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콘텐츠를 표시할 시간을 나타낸다.
훈련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입력 데이터와 인지 단어 그룹을 비교하여 동일한지를 판단해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입력 데이터는 환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인지 단어 그룹을 확인하고 출력 시간이 흐른 후에 인지 단어 그룹에 포함된 단어들 중 환자가 기억한 단어들을 입력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훈련 관리 장치(100)는 결과 데이터 및 기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훈련 분석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기본 데이터는 환자의 이름, 환자의 인지장애 레벨, 환자 및 환자 가족 등록 정보, 훈련단계의 횟수, 훈련 날짜, 훈련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환자의 인지장애 레벨은 환자가 경도인지장애가 진행된 상태를 레벨로 나타낸 것이다. 훈련 단계의 횟수는 환자가 훈련한 단계의 횟수를 나타내며, 훈련 날짜는 환자가 훈련한 날짜이고, 훈련 시간은 환자가 훈련한 총 시간을 나타낸다. 환자 및 환자 가족 등록 정보는 환자 주소, 환자 전화 번호, 환자 가족 성함, 환자 가족 주소, 환자 가족 전화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 주소는 환자의 집 주소를 나타내며, 환자 전화 번호는 환자가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 및 집 전화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 가족 성함은 환자의 가족 성함을 나타내며, 배우자, 자식, 손주들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 가족 주소는 환자 가족의 집 주소이며, 환자 가족 전화 번호는 환자 가족의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 및 집 전화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훈련 관리 장치(100)는 훈련 분석 데이터를 진료 통합 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때, 훈련 분석 데이터는 환자가 훈련한 결과인 결과 데이터 및 환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기본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훈련 관리 장치(100)는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망을 통해 훈련 관리 장치(100)와 접속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훈련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인지 단어 그룹을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출력 시간 동안 콘텐츠를 표시하고, 환자로부터 인지 단어 그룹에 해당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 데이터를 훈련 관리 장치(100)로 전송하며, 훈련 관리 장치(100)로부터 결과 데이터를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결과 데이터에 따라 인지 단어 그룹을 표시하거나 콘텐츠를 출력 시간 동안 표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은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인지 단어 그룹 및 콘텐츠를 표시하고, 환자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아 훈련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는 단말이면 그 종류는 무관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WCDMA(Wideband CDMA)폰, 스마트(Smart)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s : PDA) 등과 같이 음성 통화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데스크탑, 노트북 및 넷북과 같은 컴퓨터, 이북(e-book), 게임기, MP3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진료 통합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을 설정한다. 즉, 진료 통합 장치(300)는 기본 데이터 및 훈련 기준 데이터에 따라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에 대한 훈련 설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훈련 기준 데이터는 의료진이 환자에 따라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을 설정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설정하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훈련 기준 데이터는 환자의 인지 능력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 훈련 설정 데이터는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을 설정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또한, 진료 통합 장치(300)는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을 훈련할 환자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콘텐츠를 설정한다.
진료 통합 장치(300)는 훈련 관리 장치(100)와 접속하여 훈련 관리 장치(100)로부터 훈련 분석 데이터를 수신한다. 진료 통합 장치(300)는 의료진이 확인할 수 있도록 훈련 분석 데이터를 표시한다. 진료 통합 장치(300)는 의료진이 훈련 분석 데이터를 확인하고 진단한 데이터인 의료진 권고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의료진 권고 데이터는 진단 날짜, 의료진 이름, 의료진 의견, 훈련 단계의 변경 횟수, 훈련 단계의 변경 시간, 단어 변경 개수 및 보호자의 주의 사항 등이 포함할 수 있다. 진단 날짜는 의료진이 훈련 분석 데이터를 진단한 날짜이며, 의료진 이름은 진단한 의료진의 이름이고, 의료진 의견은 의료진이 훈련 분석 데이터에 따라 작성한 의견이다. 그리고, 훈련 단계의 변경 횟수는 의료진이 훈련 단계를 변경하고자 하는 횟수를 나타내며, 훈련 단계의 변경 시간은 의료진이 훈련 단계 별로 변경하고자 하는 출력 시간을 나타내고, 단어 변경 개수는 의료진이 인지 단어 그룹에 포함될 단어를 변경하고자 하는 개수이다. 보호자의 주의 사항은 의료진이 보호자에게 요구하는 사항을 나타낸다. 진료 통합 장치(300)는 의료진 권고 데이터를 훈련 관리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진료 통합 장치(300)는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의 훈련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훈련 관리 장치(100)는 단어 선별부(110), 콘텐츠 설정부(120), 제1 전송부(130), 장치 제어부(140), 제1 통신부(150), 결과 분석부(160) 및 제1 저장부(170)를 포함한다.
단어 선별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단어들을 선별하여 인지 단어 그룹을 생성한다. 즉, 단어 선별부(110)는 훈련 설정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의 개수만큼 단어들을 선별한다. 이때, 단어의 개수는 인지 단어 그룹에 포함될 단어의 개수이며, 환자가 기억해야 할 단어의 개수이다. 단어 선별부(110)는 선별한 단어들을 포함하는 인지 단어 그룹을 생성한다. 이때, 단어 선별부(110)는 기본 데이터에 포함된 환자 및 환자 가족 등록 정보를 포함시켜 단어들을 선별할 수 있다. 한편, 단어 선별부(110)는 의료진 권고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 변경 개수를 이용하여 단어의 개수를 재설정할 수도 있다.
콘텐츠 설정부(12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콘텐츠를 표시할 출력 시간을 설정한다. 다시 말하면, 콘텐츠 설정부(120)는 훈련 설정 데이터에 포함된 훈련 단계 횟수에 따라 환자가 훈련할 단계의 횟수를 나타내는 훈련 단계의 횟수를 설정한다. 한편, 콘텐츠 설정부(120)는 의료진 권고 데이터에 포함된 훈련 단계의 변경 횟수를 이용하여 훈련 단계 횟수를 재설정할 수 있다. 콘텐츠 설정부(120)는 훈련 설정 데이터에 포함된 훈련 시간에 따라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의 총 시간을 설정한다.
콘텐츠 설정부(120)는 콘텐츠 설정 데이터에 따라 이미지, 동영상, 게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콘텐츠를 설정한다. 이때, 콘텐츠 설정 데이터는 진료 통합 장치에서 설정한 콘텐츠에 대한 이름 또는 식별 코드를 나타낼 수 있다. 콘텐츠 설정부(120)는 일정 기간 동안 흐른 뒤에 환자가 단어를 기억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인지 단어 그룹을 표시한 후에 콘텐츠를 표시할 출력 시간을 설정한다. 즉, 콘텐츠 설정부(120)는 훈련 설정 데이터에 포함된 콘텐츠 출력 시간에 따라 콘텐츠를 표시할 출력 시간을 설정한다. 이때, 콘텐츠 설정부(120)는 훈련 단계 별로 출력 시간을 상이하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설정부(120)는 훈련 단계가 높아질수록 출력 시간을 증가시켜 설정할 수 있다.
제1 전송부(130)는 사용자 단말(200) 및 진료 통합 장치(300)와 접속한다. 제1 전송부(130)는 사용자 단말(200)로 인지 단어 그룹, 콘텐츠, 출력 시간을 전송한다. 그리고, 제1 전송부(130)는 진료 통합 장치(300)로 훈련 분석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제1 전송부(13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화상 진료 요청을 진료 통합 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때, 화상 진료 요청은 환자가 의료진과 화상 진료를 요청하는 신호를 나타낸다. 화상 진료 요청은 환자가 의료진과 화상 진료하기를 원하는 요청 날짜 및 요청 시간, 의료진이 이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전송부(130)는 기본 데이터를 진료 통합 장치(300)로 전송한다.
장치 제어부(140)는 훈련 관리 장치(100)의 구성 요소인 단어 선별부(110), 콘텐츠 설정부(120), 제1 전송부(130), 제1 통신부(150), 결과 분석부(160) 및 제1 저장부(17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장치 제어부(140)는 인지 단어 그룹, 콘텐츠 및 출력 시간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제1 전송부(130)를 제어하며, 훈련 분석 데이터를 진료 통합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제1 전송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장치 제어부(140)는 제1 통신부(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화상 진료 요청을 수신하면 제1 전송부(130)를 통해 진료 통합 장치(300)로 화상 진료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1 전송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200) 및 진료 통합 장치(300)와 접속한다. 제1 통신부(15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1 통신부(150)는 진료 통합 장치(300)로부터 훈련 설정 데이터 및 진료 결과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진료 결과 데이터는 의료진이 환자와 화상 진료 후에 작성한 의견을 나타낸다.
결과 분석부(160)는 입력 데이터와 인지 단어 그룹을 비교하여 동일한지를 판단해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결과 분석부(16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1 통신부(150)를 통해 훈련 단계 별로 수신한 입력 데이터와 인지 단어 그룹을 비교하여 동일하면 성공 데이터를 포함하는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결과 분석부(160)는 입력 데이터와 인지 단어 그룹을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으면 실패 데이터를 포함하는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결과 분석부(160)는 훈련 단계 별로 생성한 결과 데이터 및 기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훈련 분석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1 저장부(170)는 단어 선별부(110), 콘텐츠 설정부(120), 제1 전송부(130), 장치 제어부(140), 제1 통신부(150), 결과 분석부(160)에서 생성한 데이터 및 단어 선별부(110), 콘텐츠 설정부(120), 제1 전송부(130), 장치 제어부(140), 제1 통신부(150), 결과 분석부(160)에서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을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저장부(170)는 인지 단어 그룹에 포함될 단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70)는 환자 별로 기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70)는 이미지, 동영상, 게임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70)는 결과 분석부(160)에서 생성한 훈련 분석 데이터를 환자 별로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70)는 진료 통합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진료 결과 데이터를 환자 별로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70)는 단어 선별부(110), 콘텐츠 설정부(120), 제1 전송부(130), 장치 제어부(140), 제1 통신부(150) 및 결과 분석부(160)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부(210), 훈련 수행부(220), 단말 제어부(230), 표시부(240), 제1 입력부(250), 카운터부(260), 송신부(270) 및 제2 저장부(280)를 포함한다.
수신부(210)는 통신망을 통해 훈련 관리 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수신부(210)는 훈련 관리 장치(100)로부터 인지 단어 그룹, 콘텐츠, 출력 시간을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210)는 훈련 관리 장치(100)로부터 결과 데이터, 의료진 권고 데이터, 진료 결과 데이터를 수신한다.
훈련 수행부(220)는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인지 단어 그룹을 표시부(240)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이때, 훈련 수행부(220)는 환자로부터 확인 버튼과 같은 것을 제1 입력부(250)를 통해 입력할 때까지 인지 단어 그룹을 표시부(240)에 표시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훈련 수행부(220)는 제1 입력부(250)를 통해 확인 버튼을 입력받으면 인지 단어 그룹을 표시부(240)에서 표시하는 것을 종료한다. 한편, 훈련 수행부(220)는 표시 시간 동안 인지 단어 그룹을 표시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표시 시간은 인지 단어 그룹을 표시하는 시간을 나타내며, 훈련 수행부(220) 또는 훈련 관리 장치(100)에서 설정하거나, 의료진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훈련 수행부(220)는 인지 단어 그룹을 표시한 후에 콘텐츠를 표시부(240)를 통해 출력 시간 동안 표시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즉, 훈련 수행부(220)는 콘텐츠를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하고, 카운터부(260)로부터 카운터 완료를 제공받으면 표시부(240)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종료할 수 있다. 훈련 수행부(220)는 콘텐츠를 표시한 후에 환자로부터 인지 단어 그룹에 해당하는 것을 입력받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설정하여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수신부(210)를 통해 성공 데이터를 포함하는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면, 훈련 수행부(220)는 표시부(240)를 통해 다음 훈련 단계에 해당하는 출력 시간 동안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한편, 수신부(210)를 통해 실패 데이터를 포함하는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면, 훈련 수행부(220)는 표시부(240)를 통해 인지 단어 그룹을 다시 표시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단말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 요소인 수신부(210), 훈련 수행부(220), 표시부(240), 제1 입력부(250), 카운터부(260), 송신부(270) 및 제2 저장부(28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 제어부(230)는 제1 입력부(250)를 통해 화상 진료 요청을 입력받으면 송신부(270)를 통해 화상 진료 요청을 훈련 관리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송신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동작 정보, 결과 정보 또는 제1 입력부(250)를 통해 입력되는 숫자 또는 문자들을 환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표시부(240)는 훈련 수행부(220)의 제어하에 인지 단어 그룹을 표시하고, 훈련 단계 별로 출력 시간 동안 콘텐츠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240)는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의료진 권고 데이터 및 진료 결과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입력부(250)는 환자로부터 인지 단어 그룹에 포함된 단어 중 환자가 기억하고 있는 단어들을 입력받아 입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1 입력부(250)는 환자로부터 화상 진료 요청을 입력받는다.
제1 입력부(250)는 환자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이다. 즉, 제1 입력부(25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기능 선택 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기능 선택 명령은 문자 입력, 배경화면 설정 등과 같은 명령을 나타낼 수 있다.
카운터부(260)는 훈련 단계 별로 설정된 출력 시간을 이용하여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의 시간을 카운터하여 출력 시간이 되면 카운터를 완료하고 카운터 완료 신호를 훈련 수행부(220)에 제공한다.
송신부(270)는 제1 입력부(250)를 통해 입력받은 입력 데이터를 훈련 관리 장치(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송신부(270)는 훈련 관리 장치(100)로 제1 입력부(250)를 통해 입력받은 화상 진료 요청을 전송한다.
제2 저장부(28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2 저장부(280)는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인지 단어 그룹, 콘텐츠, 출력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저장부(280)는 제1 입력부(250)를 통해 환자가 입력한 입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저장부(280)는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결과 데이터 및 의료진 권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저장부(280)는 훈련 수행부(220), 단말 제어부(230), 표시부(240), 제1 입력부(250), 카운터부(260) 및 송신부(270)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저장부(280)는 통합 메모리로 이루어지거나 복수의 메모리들로 세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저장부(280)는 롬(Read Only Memory : ROM), 램(Random Access Memory : RAM) 및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의 진료 통합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진료 통합 장치(300)는 제2 입력부(310), 제2 통신부(315), 훈련 설정부(320), 콘텐츠 관리부(325), 통합 제어부(330), 모니터링부(335), 제2 전송부(340), 생성부(345), 디스플레이부(350) 및 제3 저장부(355)를 포함한다.
제2 입력부(310)는 의료진으로부터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을 설정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즉, 제2 입력부(310)는 의료진으로부터 환자의 인지 능력 수준을 입력받는다.
제2 입력부(310)는 의료진으로부터 훈련 분석 데이터를 확인하고 진단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즉, 제2 입력부(310)는 의료진으로부터 훈련 분석 데이터에 대한 의료진 의견, 훈련 단계의 변경 횟수, 훈련 단계의 변경 시간, 단어 변경 개수 및 보호자의 주의 사항 등을 입력받는다. 또한, 제2 입력부(310)는 의료진으로부터 화상 진료를 완료한 후에 화상 진료에 대한 결과를 입력받는다.
제2 통신부(315)는 훈련 관리 장치(200)와 접속하여 훈련 관리 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제2 통신부(315)는 훈련 관리 장치(200)로부터 기본 데이터 및 훈련 분석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제2 통신부(315)는 훈련 관리 장치(200)로부터 화상 진료 요청을 수신한다.
훈련 설정부(320)는 기본 데이터 및 훈련 기준 데이터에 따라 훈련 설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훈련 설정부(320)는 제2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받은 환자의 인지 능력 수준을 포함하는 훈련 기준 데이터를 생성한다. 훈련 설정부(320)는 환자 별로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을 설정하기 위해 기본 데이터 및 훈련 기준 데이터에 따라 인지 단어 그룹에 포함될 단어 개수, 훈련 단계 횟수, 훈련 시간 및 콘텐츠 출력 시간을 포함하는 훈련 설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단어 개수, 훈련 단계 횟수, 훈련 시간 및 콘텐츠 출력 시간은 의료진이 기본 데이터 및 훈련 기준 데이터를 확인하고 입력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하거나,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예를 들어, 프로그램 및 확률 모델 등)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325)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콘텐츠를 설정한다. 다시 말하면, 콘텐츠 관리부(325)는 기본 데이터에 포함된 환자 선호도 및 훈련 기준 데이터에 포함된 인지 능력 수준에 따라 콘텐츠를 설정하여 콘텐츠 설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렇게 콘텐츠를 설정하는 이유는 환자에 따라 상이하게 콘텐츠를 설정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콘텐츠 관리부(325)는 환자 선호도가 게임을 좋아하고, 환자의 인지 능력 수준이 높으면 게임에서 난이도가 높은 콘텐츠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부(325)는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해 콘텐츠 별로 평가 및 승인하여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관리부(325)는 콘텐츠를 외부의 개발자로부터 수신하여 제3 저장부(355)에 저장시킬 수 있다.
통합 제어부(330)는 진료 통합 장치(300)의 구성 요소인 제2 입력부(310), 제2 통신부(315), 훈련 설정부(320), 콘텐츠 관리부(325), 모니터링부(335), 제2 전송부(340), 생성부(345), 디스플레이부(350) 및 제3 저장부(355)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합 제어부(330)는 훈련 설정부(320)에서 생성한 훈련 설정 데이터 및 콘텐츠 관리부(325)에서 생성한 콘텐츠 설정 데이터를 제2 전송부(340)를 통해 훈련 관리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2 전송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330)는 생성부(345)에서 생성한 의료진 권고 데이터를 제2 전송부(340)를 통해 훈련 관리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2 전송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315)를 통해 화상 진료 요청을 수신하면 통합 제어부(330)는 사용자 단말(200)과 화상 진료를 수행하기 위해 환자 또는 보호자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335)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인지 단어 그룹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과정을 모니터링하여 의료진으로부터 제2 입력부(310)를 통해 중지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훈련 관리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을 제어하여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을 중지시킨다. 또한, 모니터링부(335)는 의료진으로부터 제2 입력부(310)를 통해 재개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훈련 관리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을 제어하여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을 재개시킨다. 모니터링부(335)는 훈련 관리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을 제어하여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의 난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전송부(340)는 훈련 관리 장치(200)와 접속하여, 훈련 관리 장치(20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제2 전송부(340)는 훈련 관리 장치(200)로 훈련 설정 데이터 및 콘텐츠 설정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2 전송부(340)는 생성부(345)에서 생성한 의료진 권고 데이터 및 진료 결과 데이터를 훈련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생성부(345)는 의료진 권고 데이터 및 진료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시 말하면, 생성부(345)는 진단 날짜, 의료진 이름, 의료진으로부터 입력받은 의료진 의견, 훈련 단계의 변경 횟수, 훈련 단계의 변경 시간, 단어 변경 개수 및 보호자의 주의 사항 등을 포함하는 의료진 권고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부(345)는 제2 입력부(310)를 통해 의료진으로부터 입력받은 화상 진료에 대한 결과를 포함하는 진료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350)는 제2 통신부(315)를 통해 수신한 기본 데이터 및 훈련 분석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350)는 통합 제어부(330)의 제어하에 화상 진료를 수행하기 위해 환자 또는 보호자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인지 단어 그룹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50)는 제3 저장부(355)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3 저장부(355)는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을 설정하고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 제2 입력부(310), 제2 통신부(315), 훈련 설정부(320), 콘텐츠 관리부(325), 모니터링부(335), 제2 전송부(340) 및 생성부(345)인 진료 통합 장치(300)의 구성 요소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저장부(355)는 훈련 분석 데이터 및 기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3 저장부(355)는 훈련 설정 데이터 및 콘텐츠 설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3 저장부(355)는 생성부(345)에서 생성한 의료진 권고 데이터 및 진료 결과 데이터를 환자 별로 저장할 수 있다. 제3 저장부(355)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3 저장부(355)는 훈련 설정부(320), 콘텐츠 관리부(325), 통합 제어부(330), 모니터링부(335), 제2 전송부(340), 생성부(345), 디스플레이부(350)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진료 통합 장치(300)는 환자 별로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을 설정하기 위해 기본 데이터 및 훈련 기준 데이터에 따라 인지 단어 그룹에 포함될 단어 개수, 훈련 단계 횟수, 훈련 시간 및 콘텐츠 출력 시간을 포함하는 훈련 설정 데이터를 생성한다(510).
진료 통합 장치(300)는 환자 선호도 및 인지 능력 수준에 따라 콘텐츠를 설정하여 콘텐츠 설정 데이터를 생성한다(520).
진료 통합 장치(300)는 훈련 설정 데이터 및 콘텐츠 설정 데이터를 훈련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530). 이후, 훈련 관리 장치(200)에서 콘텐츠 및 인지 단어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은 도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진료 통합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과정을 모니터링한다(540).
진료 통합 장치(300)는 의료진에 의해 환자가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을 하는 것을 중지시키거나 재개시킬 수 있다(550). 또한, 진료 통합 장치(300)는 의료진에 의해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의 난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훈련 관리 장치(100)는 환자가 기억할 단어들을 훈련 설정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의 개수만큼 선별하여 인지 단어 그룹을 생성한다(611).
훈련 관리 장치(100)는 훈련 설정 데이터에 포함된 콘텐츠 출력 시간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콘텐츠를 표시할 출력 시간을 설정한다(613). 이때, 훈련 관리 장치(100)는 이미지, 동영상, 게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콘텐츠를 설정한다.
훈련 관리 장치(100)는 인지 단어 그룹, 콘텐츠, 출력 시간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615).
사용자 단말(200)은 인지 단어 그룹을 표시한다(617).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어(710)들을 포함하는 인지 단어 그룹(72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인지 단어 그룹을 표시한 후에 콘텐츠를 출력 시간 동안 표시한다(619).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 관리 장치(100)에서 설정한 게임(810) 또는 이미지(8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는 사진과 같은 이미지이거나, 단순한 색상으로 표시한 이미지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도면 번호 815번과 같이 콘텐츠를 표시하는 시간을 카운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환자로부터 환자가 기억하고 있는 단어들을 입력받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환자로부터 단어들을 입력받아 입력 데이터를 생성한다(621).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환자로부터 음성, 필기, 자판 입력 등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 데이터를 훈련 관리 장치(100)로 전송한다(623).
훈련 관리 장치(100)는 입력 데이터와 인지 단어 그룹을 비교하여 동일한지를 판단해서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625). 즉, 훈련 관리 장치(100)는 입력 데이터와 인지 단어 그룹이 동일하면 성공 데이터를 포함하는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입력 데이터와 인지 단어 그룹이 동일하지 않으면 실패 데이터를 포함하는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훈련 관리 장치(100)는 입력 데이터가 음성일 경우에 음성 인식 프로그램 등을 통해 환자가 입력한 단어들을 판단할 수 있다.
훈련 관리 장치(100)는 훈련 단계의 횟수와 입력 데이터의 입력 횟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627). 이렇게 훈련 단계의 횟수와 입력 횟수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이유는 환자가 설정한 훈련 단계의 횟수만큼 훈련을 수행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훈련 관리 장치(100)는 훈련 단계의 횟수와 입력 횟수가 동일하지 않으면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629).
사용자 단말(200)은 결과 데이터가 성공 데이터를 포함하는 결과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631).
사용자 단말(200)은 결과 데이터가 성공 데이터를 포함하는 결과 데이터이면 단계 619로 돌아가서 다음 훈련 단계에 해당하는 출력 시간 동안 콘텐츠를 표시한다(633). 이후, 사용자 단말(200)은 단계 619 이후의 단계를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결과 데이터가 실패 데이터를 포함하는 결과 데이터이면 단계 617로 돌아가서 인지 단어 그룹을 표시한다(635). 이후, 사용자 단말(200)은 단계 617 이후의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훈련 관리 장치(100)는 훈련 단계의 횟수와 입력 횟수가 동일하면 환자가 훈련을 완료하였으므로 결과 데이터 및 기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훈련 분석 데이터를 생성한다(637).
훈련 관리 장치(100)는 훈련 분석 데이터를 진료 통합 장치(300)로 전송한다(639).
진료 통합 장치(300)는 훈련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며, 의료진이 훈련 분석 데이터를 확인하고 진단한 데이터인 의료진 권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의료진 권고 데이터를 훈련 관리 장치(100)로 전송한다(641). 이때, 훈련 관리 장치(100)는 환자 별로 의료진 권고 데이터를 생성한다.
훈련 관리 장치(100)는 의료진 권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643).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환자 또는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의료진 권고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9는 인지 기능 향상용 화상 진료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환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화상 진료 요청을 입력받으면 훈련 관리 장치(100)로 화상 진료 요청을 전송한다(910).
훈련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화상 진료 요청을 수신하면 화상 진료 요청을 진료 통합 장치(300)로 전송한다(920). 이때, 훈련 관리 장치(100)는 화상 진료 요청과 함께 환자의 이름 등을 포함하는 기본 데이터를 진료 통합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훈련 관리 장치(100)는 화상 진료 요청에 포함된 요청 시간 및 요청 날짜에 해당하는 날짜 및 시간에 진료 통합 장치(300)와 사용자 단말(200)을 연결하여 화상 진료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930).
진료 통합 장치(300)는 의료진이 환자와 화상 진료가 완료된 후 화상 진료의 결과를 작성하여 진료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940).
진료 통합 장치(300)는 진료 결과 데이터를 훈련 관리 장치(100)로 전송한다(950). 이때, 훈련 관리 장치(100)는 진료 결과 데이터를 환자 별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훈련 관리 장치(100)는 진료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960).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훈련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진료 결과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은 환자가 직접 의료기관에 방문하지 않아도 의료진과 화상으로 진료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로피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훈련 관리 장치
110 : 단어 선별부
120 : 콘텐츠 설정부
130 : 제1 전송부
160 : 결과 분석부
200 : 사용자 단말
220 : 훈련 수행부
240 : 표시부
250 : 제1 입력부
260 : 카운터부
300 : 진료 통합 장치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훈련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가 기억해야 하는 인지 단어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인지 단어 그룹을 환자에게 제공한 후에 콘텐츠를 출력할 출력 시간을 훈련 단계별로 상이하게 설정하며, 환자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데이터와 상기 인지 단어 그룹에 동일 여부에 따라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 및 기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훈련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훈련 관리 장치;
    상기 훈련 관리 장치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인지 단어 그룹,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의 출력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인지 단어 그룹을 화면에 표시한 후에 상기 출력 시간 동안 상기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인지 단어 그룹에 대한 입력 데이터가 상기 환자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훈련 관리 장치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훈련 관리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훈련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훈련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훈련 분석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의료진 권고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훈련 관리장치에 전송하는 진료 통합 장치
    를 포함하는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관리 장치는,
    상기 입력 데이터와 상기 인지 단어 그룹을 비교하여 동일하면 성공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상기 입력 데이터와 상기 인지 단어 그룹을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으면 실패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성공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결과 데이터 또는 상기 실패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성공 데이터를 포함하는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전 훈련 단계에서 표시한 상기 콘텐츠의 출력 시간 보다 증가시킨 출력 시간 동안 상기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실패 데이터를 포함하는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인지 단어 그룹을 표시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출력 시간 동안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통합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는 과정을 표시하며, 상기 기본 데이터에 포함된 환자 선호도 및 훈련 기준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할 상기 콘텐츠를 설정하여 콘텐츠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기본 데이터 및 상기 훈련 기준 데이터에 따라 상기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의 인지 단어 그룹에 포함될 단어 개수, 훈련 단계 시간 및 콘텐츠 출력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훈련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관리 장치는,
    상기 진료 통합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 설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상기 콘텐츠를 설정하고, 설정한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관리 장치는,
    상기 의료진 권고 데이터에 따라 상기 인지 단어 그룹에 포함되는 단어의 개수 및 상기 출력 시간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화상 진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진료 통합 장치로 상기 화상 진료 요청을 전송하고, 화상 진료를 위해 상기 진료 통합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시스템.
KR1020100139533A 2010-12-30 2010-12-30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장치, 진료 통합 장치 및 훈련 시스템 KR101246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533A KR101246358B1 (ko) 2010-12-30 2010-12-30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장치, 진료 통합 장치 및 훈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533A KR101246358B1 (ko) 2010-12-30 2010-12-30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장치, 진료 통합 장치 및 훈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540A KR20120077540A (ko) 2012-07-10
KR101246358B1 true KR101246358B1 (ko) 2013-03-21

Family

ID=4671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533A KR101246358B1 (ko) 2010-12-30 2010-12-30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장치, 진료 통합 장치 및 훈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27670A1 (en) * 2013-02-14 2014-08-14 Lumos Lab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babilistically generating individually customized cognitive training sessions
US9116509B2 (en) 2013-06-03 2015-08-25 Lumos Labs, Inc. Rhythm brain fitness processes and systems
KR101706755B1 (ko) * 2016-07-05 2017-02-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 재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14228B1 (ko) * 2019-11-27 2022-06-27 박도영 경도인지장애 개선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080B1 (ko) * 1999-12-30 2002-06-20 이영란 뇌기능 장애 검사/평가/훈련 시스템
KR20030073810A (ko) * 2002-03-13 2003-09-19 주식회사 리즈텍 통신망을 통한 첨삭 학습지도시스템 및 학습지도방법
KR20060033918A (ko) * 2003-07-28 2006-04-20 토카이 유니버시티 에듀케이셔널시스템 치매 검사 장치, 치매 검사 서버, 치매 검사 클라이언트 및치매 검사 시스템
KR20090096952A (ko) * 2008-03-10 2009-09-15 (주)나인앤미디어 인지단어 그룹을 이용한 속해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080B1 (ko) * 1999-12-30 2002-06-20 이영란 뇌기능 장애 검사/평가/훈련 시스템
KR20030073810A (ko) * 2002-03-13 2003-09-19 주식회사 리즈텍 통신망을 통한 첨삭 학습지도시스템 및 학습지도방법
KR20060033918A (ko) * 2003-07-28 2006-04-20 토카이 유니버시티 에듀케이셔널시스템 치매 검사 장치, 치매 검사 서버, 치매 검사 클라이언트 및치매 검사 시스템
KR20090096952A (ko) * 2008-03-10 2009-09-15 (주)나인앤미디어 인지단어 그룹을 이용한 속해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540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2503B2 (en) Empathy injection for question-answering systems
US10957451B2 (en) Patient healthcare interaction device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the same
US2019000520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 patient digital twin
Jadczyk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can improve patient management at the time of a pandemic: the role of voice technology
US20220270752A1 (en) Health testing and diagnostics platform
Ariani et al. Innovative healthcare applications of ICT for developing countries
US102625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rategic memory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US11264138B1 (en) Generating brain network impact scores
KR101246358B1 (ko) 인지 기능 향상용 훈련 관리 장치, 진료 통합 장치 및 훈련 시스템
Ware et al.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smartphone-based telemonitoring program for patients with heart failure: mixed-methods study protocol
US202201227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Nuclear Imaging Appropriateness Decisions
Verma et al. Integrating patient‐reported outcomes within routine Hepatology care: a prompt to action
Mbwogge et al. Waiting time and patient satisfaction in a subspecialty eye hospital using a mobile data collection kit: pre-post quality improvement intervention
WO2020185938A1 (en) Population health platform
US20220139550A1 (en) Population health platform
JP2020187687A (ja) 医用情報処理装置
JP2022548966A (ja) 行動障害、発達遅延、および神経学的障害の効率的な診断
Casillas et al. Perspectives from leadership and frontline staff on telehealth transitions in the Los Angeles safety ne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beyond
US2022019922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digitally-delivered home exercise therapy
JP2020528185A (ja) 画像獲得ワークフローを最適化する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Mallipeddi et al. Telepractice in the Treatment of Speech and Voice Disorders: What Could the Future Look Like?
CN114496169A (zh) 一种儿童心理健康发展的辅助管理方法、装置和设备
US20190189288A1 (en) Providing subject-specific information
TW202111657A (zh) 醫療資源整合系統、計算機裝置及醫療資源整合方法
Kupferschmid et al. Utilization of Kotter’s stages and statistical process control to implement and sustain delirium screening in PIC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