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671B1 -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 Google Patents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671B1
KR101245671B1 KR1020120055610A KR20120055610A KR101245671B1 KR 101245671 B1 KR101245671 B1 KR 101245671B1 KR 1020120055610 A KR1020120055610 A KR 1020120055610A KR 20120055610 A KR20120055610 A KR 20120055610A KR 101245671 B1 KR101245671 B1 KR 101245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collecting
electric vacuum
filter
sol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이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우 filed Critical 이춘우
Priority to KR1020120055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671B1/ko
Priority to PCT/KR2013/004365 priority patent/WO20131764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8Built-in suction cleaner installations, i.e. with fixed tube system to which, at different stations, hoses can be connec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진공청소기의 구동원에 의해 상기 전기 진공청소기 밖으로 방출되는 먼지 등의 고형물을 실외의 수거대에 송출시키되, 상기 수거대에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내외를 통기시키는 필더가 구비된 포집포대를 배치시켜 상기 송출된 고형물을 상기 포집포대가 수용하게 하고, 상기 수거대에 각 가정의 실내와 선택적으로 유통할 수 있는 개구를 마련함으로써, 전기 진공 청소기의 구동원에 의해 전기 진공 청소기 내의 먼지 등의 고형물을 실외에 배치된 수거대에 방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여, 종래보다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으면서도, 그리고 종래보다 길이가 짧은 호스를 가지고서, 사용자로 하여금, 혐오물인 포집포대를 접촉함 없이, 전기 진공 청소기의 먼지 등의 고형물을 배출시켜, 전기 진공 청소기의 청소작업을 배제시킬 수 있게 하고, 실내에 포집포대의 필터를 경유하여 포집포대에서 방출되는 미세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collector for collecting dust discharged from 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진공 청소기에서는 본체의 하류부에, 전동송풍기를 내장한 전동송풍기실이 배치되고, 상류부에 먼지 등의 고형물을 분리 포집하는 집진케이스가 배치되고, 그리고 호스의 일단에 마련된 접속파이프가 탈착 자재로 접속된 흡입구가 상기 본체의 상류단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호스의 타단에는 청소시에 파지부를 구비한 선단 파이프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선단 파이프에는 연장관의 일단이 탈착 자재로 접속되고,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는 청소기 외측 바닥의 먼지 등의 고형물을 흡인하기 위한 흡입 더트구가 탈착 자재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일정 시간 사용되면, 전동송풍기실과 집진케이스 사이에 배치된 필터에 고형물이 붙어 있게 되어, 집진케이스에 음압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집진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필터에 붙어 있는 고형물을 수동으로 털어내어 재장전하거나 필터를 교환하게 된다.
이러한 필터 청소작업이나 필터교환작업은 사용자로 하여금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게 하여 매우 불편하고 성가신 작업으로서 취급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동송풍기의 구동원에 의해 필터를 진동 또는 타격하여 필터에 붙어 있는 고형물을 집진 케이스 내에 털어 내거나 전동송풍기실로 유입된 여과된 기류를 선택적으로 역류시켜 필터에 붙어 있는 고형물을 집진 케이스 내에 털어 내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안은 여전히 집진 케이스 내에 일정 양의 고형물이 쌓이게 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고형물을 상기 집진 케이스 내에서 배출시키는 수동작업을 요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먼지 등과 같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게 하여, 매우 불편하고 성가신 작업으로서 여전히 취급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기 진공청소기가 본 발명자에 의해 2012.05.15일자에 특허출원되어 계류중인 한국특허출원 제10-2012-0051494에 제시된 바 있다.
상기 특허출원에 개시된 전기 진공청소기에서는 청소대상물이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된 필터 내부가 포집공간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되어 있고, 전동 송풍기가 내장된 흡인실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통기구가 마련되어 있고, 흡인실에서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유로에 바이패스유로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바이패스유로의 기류를 상기 필터 외부에서 내부를 경유하여 필터의 입구 또는 출구로 방출시키는 유로가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내부에 집진실(12)과 흡인실(13)이 구획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흡인실(13) 내에 마련된 전동송풍기(20), 상기 본체(10)의 집진실(12)에 방사 바깥방향으로 이격 공간을 둔 상태에서 마련되어 흡입된 공기 중에 고형물을 분리 포집하는 필터(50),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집진실(12)을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구비된 개구(14), 상기 흡인실(13)의 토출유로(21)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집진실(12)에 접속되어 있는 바이패스유로(22)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류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1)에는 호스(2)의 일단에 마련된 접속파이프(3)가 탈착자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호스(2)의 타단에는 청소시에 파지부를 구비한 선단파이프(4)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선단 파이프(4)에는 연장관(5)의 일단이 탈착자재로 접속되고, 상기 연장관(5)의 타단에는 청소기 외측 바닥의 고형물을 흡인하기 위한 흡입 덕트구(6)가 탈착자재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필터(50)는 내부가 빈 절두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필터(50)의 소직경부(51)는 개구되어서 상기 흡입구(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50)의 대직경부(52)는 막힌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토출유로(21)의 하류단에는 밸브(V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도중에는 밸브(V2)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개구(14)와 상기 전동송풍기(20) 사이의 흡인실(13)에는 상기 흡인실(13)을 선택적으로 외부와 유통가능하게 하는 밸브(V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14)에는 제2의 필터(60) 또는 밸브(V4)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필터(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끄러운 소재(예를 들면 우레탄 소재)의 제1메시층(53)과 상기 제1메시층(53)보다 조밀하고 매끄럽지 않은 소재(예를 들면 면 소재)의 제2메시층(54)이 적층되어 만들어진 것으며, 그리고 상기 필터(50)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필터(50)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날개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은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55)의 어느 하나의 날개부를 상기 필터(50)의 둘레방향 일측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하류단에서 배출되는 기류에 의해 상기 필터(50)가 용이하게 둘레방향 타측으로 회전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헤더관(22a)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헤더관(22a)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와 마주하게 길다란 슬롯구멍(2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구멍(22b)은 상기 슬롯구멍(22b)을 통하여 배출되는 기류로 하여금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의 전장을 가압하여 균형적으로 상기 필터(50)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 진공 청소기(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1. 개구(14)에 제2필터(60)가 개재된 상태에서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는, 밸브(V2, V3)를 닫고 밸브(V1)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동송풍기(20)를 가동하면,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이, 흡입 덕트구(6), 연장관(5), 선단파이프(4), 호스(2), 접속파이프(3) 및 흡입구(1)를 경유하여 필터(50)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50)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2필터(60)에 의해 상기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 고형 입자들이 여과처리된 다음, 상기 제2필터(60)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2. 개구(14)에 제2필터(60)가 개재된 상태에서 필터(50)를 청소하는 경우
필터(50) 청소시에는, 밸브(V1)를 닫고 밸브(V2, V3)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동송풍기(20)를 가동하면, 외기가 상기 밸브(V3)를 경유하여 토출유로(21) 및 바이패스유로(22)를 통하여 상기 집진실(12) 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집진실(12)의 공기는, 상기 밸브(V3)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보다도 상기 제2필터(60)에 의해 더 부하를 받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필터(60)를 통하여 상기 흡인실(13)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의 복수개의 날개부(55)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5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필터(50)가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가 상기 필터(5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게 되면, 상기 필터(50) 내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게 되고, 상기 필터(5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상기 흡입구(1)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상기 흡입구(1)에서 접속파이프(3)를 빼어내고 일단이 포집포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흡입구(1)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포집포대(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집관(71)을 통하여 고형물과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포집포대(70)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일부 벽면에 필터(72)가 구비되어 있다.
3. 개구(14)에 밸브(V4)가 개재된 상태에서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는, 밸브(V2, V3)를 닫고 밸브(V1, V4)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동송풍기(20)를 가동하면,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이, 흡입 덕트구(6), 연장관(5), 선단파이프(4), 호스(2), 접속파이프(3) 및 흡입구(1)를 경유하여 필터(50)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50)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밸브(V4)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4. 개구(14)에 밸브(V4)가 개재된 상태에서 필터(50)를 청소하는 경우
필터(50) 청소시에는, 밸브(V1, V4)를 닫고 밸브(V2, V3)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동송풍기(20)를 가동하면, 외기가 상기 밸브(V3)를 경유하여 토출유로(21) 및 바이패스유로(22)를 통하여 상기 집진실(12) 내로 유입된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의 복수개의 날개부(55)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5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필터(50)가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가 상기 필터(5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게 되면, 상기 필터(50) 내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게 되고, 상기 필터(5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상기 흡입구(1)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상기 흡입구(1)에서 접속파이프(3)를 빼어내고 일단이 포집포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흡입구(1)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5에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진공 청소기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100')는,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내부에 집진실(12)과 흡인실(13)이 구획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흡인실(13) 내에 마련된 전동송풍기(20), 상기 본체(10)의 집진실(12)에 방사 바깥방향으로 이격 공간을 둔 상태에서 마련되어 흡입된 공기 중에 고형물을 분리 포집하는 필터(50),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집진실(12)을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구비된 개구(14), 상기 흡인실(13)의 토출유로(21)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집진실(12)에 접속되어 있는 바이패스유로(2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체(10)의 상류단에는, 상기 일 실시예와 같이, 흡입구(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1)에는 접속파이프(3), 호스(2), 선단파이프(4), 연장관(5) 및 흡입 덕트구(6)가 순서적으로 탈착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필터(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절두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필터(50)의 대직경부(52)는 상기 흡입구(1)와 유통하는 입구(56)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50)의 소직경부(51)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칸막이 벽부(11)에 형성된 출구(1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토출유로(21)의 하류단에는 밸브(V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도중에는 밸브(V2)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개구(14)와 상기 전동송풍기(20) 사이의 흡인실(13)에는 상기 흡인실(13)을 선택적으로 외부와 유통가능하게 하는 밸브(V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14)에는 제2의 필터(60) 또는 밸브(V4)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출구(15)에는 밸브(V5)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구(1)에는 밸브(V6)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출구(15)는 일단이 상기 본체(10)의 외부와 유통하는 고형물방출관(80)의 타단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필터(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끄러운 소재(예를 들면 우레탄 소재)의 제1메시층(53)과 상기 제1메시층(53)보다 조밀하고 매끄럽지 않은 소재(예를 들면 면 소재)의 제2메시층(54)이 적층되어 만들어져 있으며, 그리고 상기 필터(50)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필터(50)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날개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은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55)의 어느 하나의 날개부를 상기 필터(50)의 둘레방향 일측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하류단에서 배출되는 기류에 의해 상기 필터(50)가 용이하게 둘레방향 타측으로 회전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바이패스유로(22)의 하류단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헤더관(22a)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헤더관(22a)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와 마주하게 길다란 슬롯구멍(2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구멍(22b)은 상기 슬롯구멍(22b)을 통하여 배출되는 기류로 하여금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부의 전장을 가압하여 균형적으로 상기 필터(50)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 진공 청소기(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1. 개구(14)에 제2필터(60)가 개재된 상태에서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는, 밸브(V2, V3, V5)를 닫고 밸브(V1, V6)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동송풍기(20)를 가동하면,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이, 흡입 덕트구(6), 연장관(5), 선단파이프(4), 호스(2), 접속파이프 및 흡입구(1)를 경유하여 필터(50)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50)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2필터(60)에 의해 상기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 고형 입자들이 여과된 다음, 상기 제2필터(60)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2. 개구(14)에 제2필터(60)가 개재된 상태에서 필터(50)를 청소하는 경우
필터(50) 청소시에는, 밸브(V1, V6)를 닫고 밸브(V2, V3, V5)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동송풍기(20)를 가동하면, 외기가 상기 밸브(V3)를 경유하여 토출유로(21) 및 바이패스유로(22)를 통하여 상기 집진실(12) 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집진실(12)의 공기는, 상기 밸브(V3)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보다도 상기 제2필터(60)에 의해 더 부하를 받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필터(60)를 통하여 상기 흡인실(13)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의 복수개의 날개부(55)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필터(50)가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가 상기 필터(5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게 되면, 상기 필터(50) 내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게 되고, 상기 필터(5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상기 고형물 방출관(80)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일단이 포집포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고형물 방출관(80)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3. 개구(14)에 밸브(V4)가 개재된 상태에서 청소기 외측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
청소기 외측 바닥 청소시에는, 밸브(V2, V3, V5)를 닫고 밸브(V1, V4, V6)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동송풍기(20)를 가동하면, 상기 흡입 덕트구(6) 밖의 공기와 고형물이 흡입 덕트구(6), 연장관(5), 선단파이프(4), 호스(2), 접속파이프 및 흡입구(1)를 경유하여 필터(50)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유입된 고형물은 상기 필터(50)를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필터(50) 내에 쌓이게 되고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밸브(V4)를 관통하여 상기 흡인실(13)과 상기 토출유로(21)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된다.
4. 개구(14)에 밸브(V4)가 개재된 상태에서 필터(50)를 청소하는 경우
필터(50) 청소시에는, 밸브(V1, V4, V6)를 닫고 밸브(V2, V3, V5)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동송풍기(20)를 가동하면, 외기가 상기 밸브(V3)를 경유하여 토출유로(21) 및 바이패스유로(22)를 통하여 상기 집진실(12) 내로 유입된다.
상기 바이패스유로(22)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실(12)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50)를 관통하면서 상기 필터(50)의 복수개의 날개부(55)를 가압하여 상기 필터(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필터(50)가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가 상기 필터(5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게 되면, 상기 필터(50) 내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상기 필터(50)의 내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게 되고, 상기 필터(5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상기 고형물방출관(80)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필터(50)의 청소시에 일단이 포집포대(7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는 포집관(71)의 타단을 상기 고형물 방출관(80)에 접속시키면, 사용자가 고형물을 손에 접촉함 없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전기 진공청소기들들은, 필터 내의 고형물을 상기 전기 진공청소기 내에서 상기 포집포대(70)로 방출시키기 위해서, 혐오물인 포집포대(70)를 집안에 구비시켜야 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혐오물인 상기 포집포대의 포집관을 잡고서 상기 흡입구(1)에 접속시켜야 하는 성가신 작업을 수행하게 하고, 상기 고형물을 상기 포집포대에 충전할 시에, 여전히 상기 포집포대의 필터(72)를 경유하여 실내로 미세먼지가 방출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물 벽면에 먼지 등을 포함하는 고형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대를 형성시키고, 상기 기립형 수거대 내에 필터부와 음압원을 마련하고, 상기 수거대에 실내와 선택적으로 유통할 수 있는 개구를 형성시키고, 상기 개구에 흡입덕트구를 연결하여, 실내의 먼지 등을 상기 흡입덕트구에서 흡입하여 상기 개구를 통하여 수거대로 방출시키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제안의 청소기는 상기 개구가 건물의 벽면에 고정되어 있어서, 건물의 실내를 청소하기 위해서, 상기 흡입덕트구와 상기 개구에 양단이 접속된 기다란 가요성 호스가 필요되어 실내청소를 불편하게 하고, 호스의 보관을 위한 실내의 큰 공간이 필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또한, 상기 제안의 청소기는, 하나의 가정 전용으로는 적합하지만, 빌딩, 아파트, 오피스텔, 다가구 주택 등에 적용될 경우에는 하나의 기립형 수거대에 다수의 가정마다의 벽면에 상기 개구를 구비시키고 하나의 음압원에 의해 각 가정마다의 먼지를 상기 기립형 수거대 내로 수거하는 방식이어서, 각 가정이 동시에 청소할 때를 감안하여 음압원의 용량이 커지고 그리고 항상 그 음압원을 구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운용비용이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전기 진공청소기의 구동원에 의해 상기 전기 진공청소기 밖으로 방출되는 먼지 등의 고형물을 실외의 수거대에 송출시키되, 상기 수거대에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내외를 통기시키는 필더가 구비된 포집포대를 배치시켜 상기 송출된 고형물을 상기 포집포대가 수용하게 하고, 상기 수거대에 각 가정의 실내와 선택적으로 유통할 수 있는 개구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전기 진공 청소기의 구동원에 의해 전기 진공 청소기 내의 먼지 등의 고형물을 실외에 배치된 수거대에 방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여, 종래보다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으면서도, 그리고 종래보다 길이가 짧은 호스를 가지고서, 사용자로 하여금, 혐오물인 포집포대를 접촉함 없이, 전기 진공 청소기의 먼지 등의 고형물을 배출시켜, 전기 진공 청소기의 청소작업을 배제시킬 수 있게 하고, 실내에 포집포대의 필터를 경유하여 포집포대에서 방출되는 미세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전기 진공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진공 청소기의 전체 개념도,
도 3은 도 1의 필터에 대한 상세도,
도 4는 도 1의 진공 청소기에 접속되는 포집포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전기 진공 청소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필더에 대한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대를 도시한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수거대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대가 부호 10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수거대(1000)는 빌딩, 아파트, 오피스텔, 다가구 주택을 포함하는 건물의 외벽(101)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수거대(1000)는 수직방향으로 기립되어 건물의 외벽(101)에 고정된 관형부(110), 및 상기 관형부(110)의 하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포집포대(120)를 수납하고 있는 수납실(13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납실(130)의 상부에는 필터(141)를 개재하여 통기구(14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납실(130)의 벽면에는 상기 수납실(130)에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131)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관형부(110)의 하단을 에워싸고 있는 상기 수납실(130)의 천장의 부위 또는 상기 관형부(110)의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포집포대(120)의 입구를 개방상태에서 기밀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걸음수단(15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음수단(150)에는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제10-101273호에 개시된 "출구와 입구를 기밀적으로 연결시키는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관형부(110)에는, 상기 건물의 각각의 가정마다 구비된 상기 외벽(101)의 복수개의 개구(102)에 각각 유통하는 복수개의 유통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유통구(111) 각각에는 시일링(R1)을 개재하여 밸브(91)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밸브(91)는 전기 진공 청소기(100, 100')에 마련된 먼지토출구(1 또는 80; 도 1, 도 2 및 도 5 참조)에 일단이 접속된 먼지토출접속관(103)의 타단이 상기 개구(102)를 통하여 상기 유통구(111)에 삽입될 시에 개방되고, 상기 유통구(111)에서 각 가정의 실내로 이탈될 시에 폐쇄될 수 있는 힌지 타입의 밸브가 될 수 있으며, 또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전자제어밸브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102)의 내주면에는 시일링(R2)이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으며, 상기 시일링(R2)은 상기 먼지토출접속관(103)이 상기 개구(102)에 삽입될 시에 상기 먼지토출접속관(103)에 기밀적으로 외접된다.
상기 관형부(110)의 상단에는 밸브(161)를 개재하여 블로어(160)의 토출측이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포집포대(120)의 상단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집포대(120)의 벽면에는 상기 포집포대(120)의 내외를 유통시키는 필터(121)가 구비되어 있다.
필터 내에 쌓인 먼지 등의 고형물을 자체의 동력원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전기 진공 청소기(100 또는 100'; 도 1 및 도 5참조)을 가지고서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성된 수거대(10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먼저, 건물의 관리인이 도어(131)를 열고 수납실(130)에 들어가서, 준비된 상기 포집포대(120)의 개구를 벌린 다음, 상기 걸음수단(150)에 의해 상기 관형부(110)의 하단 또는 수납실(130)의 천장에 상기 포집포대(120)를 고정시켜 상기 관형부(110)와 상기 포집포대(120)의 내부가 서로 유통가능하게 한다.
그 다음, 건물의 각 가정에서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100 또는 100')를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하여 전기 진공 청소기(100 또는 100') 내의 필터(50; 도 1 및 도 5참조) 내에 먼지가 가득 쌓여서 먼지 등의 고형물이 전기 진공 청소기(100 또는 100')에 의해 흡입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으면, 각 가정의 사용자가 전기 진공 청소기(100 또는 100')의 먼지토출구(1, 8)에 상기 먼지토출접속관(103)의 일단을 삽입하고 상기 먼지토출접속관(103)의 타단이 상기 건물의 각각의 가정마다 구비된 상기 외벽(101)의 복수개의 개구(102) 중 해당 개구(102)에 삽입되게 되면, 밸브(91)가 개방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관형부(110)의 상단에 마련된 밸브(161)가 닫힘 상태에 있고 상기 블로어(160)가 비 가동상태에 있다.
그 다음,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100 또는 100')을 먼지토출모드로 변경한 다음, 상기 전기 징공 청소기(100 또는 100')를 가동하게 되면,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100 또는 100') 내에 마련된 동력원[전동송풍기(20), 도 1 및 도 5 참조]에 의해 상기 전기 징공 청소기(100 또는 100') 내에 내장된 필터(50)에 축적된 먼지 등의 고형물이 상기 먼지토출구(1, 80)를 통하여 상기 건물의 개구(102), 상기 관형부의 유통구(111)를 거쳐서 상기 관형부(110) 내로 유입되어 상기 포집포대(120)에 수거되게 된다.
상기 포집포대(120)에 상기 고형물과 함께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121)를 통과하여 상기 통기구(140)의 필터(141)를 거쳐서 상기 수납실(13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먼지토출접속관(103)을 상기 유통구(111)와 상기 개구(102)에서 실내 쪽으로 빼어내면, 상기 밸브(91)가 닫히게 되어, 상기 관형부(110) 내의 먼지 등의 고형물이 각 가정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블로어(160)는 주기적으로 작동하게 되며, 상기 블로어(160)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밸브(161)는 개방상태에 있으며, 상기 블로어(160)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관형부(110) 내로 유입되게 하여, 상기 관형부(110)의 내벽에 붙어 있는 먼지 등의 고형물이 강제적으로 상기 포집포대(120) 내로 수거되게 하면서, 상기 필터(121)를 통과하여 상기 통기구(140)의 필터(141)를 거쳐서 상기 수납실(13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포집포대(120)에 먼지 등의 고형물이 일정 량 충전되게 되면, 건물 관리인은 상기 거치실(130)에 들어가 상기 걸음수단(150)을 걸음해제 상태로 하여 상기 포집포대(120)를 상기 수납실(130) 밖으로 빼내고 나서 새로운 빈 포집포대(120)를 상기 걸음수단(150)에 의해 상기 관형부(110)의 하단에 또는 상기 수납실(130)의 천장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일 실시예의 기립형 수거대(1000)는 전기 진공 청소기의 구동원에 의해 전기 진공 청소기 내의 먼지 등의 고형물을 실외에 배치된 수거대에 방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여, 종래보다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으면서도, 그리고 종래보다 길이가 짧은 호스를 가지고서, 사용자로 하여금, 혐오물인 포집포대를 접촉함 없이, 전기 진공 청소기의 먼지 등의 고형물을 배출시켜, 전기 진공 청소기의 청소작업을 배제시킬 수 있게 하고, 포집포대의 필터를 경유하여 포집포대에서 방출되는 미세 먼지가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수거대(1000')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수거대(1000')는 개인 주택 건물의 외벽(101)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수거대(1000')는 건물의 외벽(101)에 고정된 관형부(110), 및 상기 관형부(110)의 일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포집포대(120)를 수납하고 있는 수납실(13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납실(130)의 상부에는 필터(141)를 개재하여 통기구(14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납실(130)의 벽면에는 상기 수납실(130)에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131)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관형부(110)의 일단을 에워싸고 있는 상기 수납실(130)의 부위 또는 상기 관형부(110)의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포집포대(120)의 입구를 개방상태에서 기밀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걸음수단(15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음수단(150)에는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제10-101273호에 개시된 "출구와 입구를 기밀적으로 연결시키는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관형부(110)에는, 상기 건물의 외벽(101)에 형성된 개구(102)에 유통하는 유통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통구(111)에는 시일링(R1)을 개재하여 밸브(91)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밸브(91)는 전기 진공 청소기(100)에 마련된 먼지토출구(1 또는 80; 도 1, 도 2 및 도 5 참조)에 일단이 접속된 먼지토출접속관(103)의 타단이 상기 개구(102)를 통하여 상기 유통구(111)에 삽입될 시에 개방되고, 상기 유통구(111)에서 가정의 실내로 이탈될 시에 폐쇄될 수 있는 힌지 타입의 밸브가 될 수 있으며, 또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전자제어밸브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102)의 내주면에는 시일링(R2)이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으며, 상기 시일링(R2)은 상기 먼지토출접속관(103)이 상기 개구(102)에 삽입될 시에 상기 먼지토출접속관(103)에 기밀적으로 외접된다.
상기 관형부(110)의 상단에는 밸브(161)를 개재하여 블로어(160)의 토출측이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161)와 상기 블로어(160) 대신에 상기 관형부(110)의 상단에 덮개가 개폐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포대(120)의 상단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집포대(120)의 벽면에는 상기 포집포대(120)의 내외를 유통시키는 필터(121)가 구비되어 있다.
필터 내에 쌓인 먼지 등의 고형물을 자체의 동력원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전기 진공 청소기(100 또는 100'; 도 1 및 도 5참조)을 가지고서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성된 수거대(1000')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성된 수거대(1000)의 작동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형부(110)의 상단에 덮개(170)가 개폐가능하게 마련된 경우에는, 상기 관형부(110)의 내벽에 붙어 있는 먼지 등의 고형물을 강제적으로 상기 포집포대(120) 내로 수거시키기 위해, 상기 덮개를 열고, 쑤시개가 상기 관형부(110)에 넣어져서 상기 관형부(110) 내부가 쑤시어 후비어지거나 상기 관형부(110)의 내면이 닦아 내어지는 수동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는 로봇 진공 청소기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102)는 방전된 로봇 진공 청소기가 충전하기 위해 충전위치로 복귀되는 곳에 위치된 외벽(101)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가 로봇 진공 청소기가 아닌 경우에도 상기 개구(102)에 인접한 외벽(101)에 전기 콘센트가 마련되어 있으면,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 내의 먼진 등의 고형물을 상기 수거대에 배출시킬 때에,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에 구비된 전선을 길게 뽑아내는 작업을 수행함 없이 바로 상기 전기 콘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에 용이하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며, 상기 전기 콘센트 대신에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 내에서 자체 전지가 구비되어,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 내의 먼진 등의 고형물을 상기 수거대에 배출시킬 때에만 상기 전지로 하여금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 내에 구비된 전동송풍기에 전원공급하게 하는 구성을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에 구비시키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개구(102)와 일체화된 전기 콘세트를 상기 외벽에 마련하면 더 더욱 바람직하다.
110; 관형부, 120; 포집포대, 130; 수납실, 140; 통기구, 150; 걸음수단, 160; 블로어

Claims (13)

  1. 전기 진공청소기 내의 필터에 의해 여과되어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 내에 수용된 고형물이 상기 전기 진공청소기 내에 마련된 구동원에 의해 상기 전기 진공청소기에 구비된 먼지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전기 진공청소기 밖으로 방출되어 수거되는 수거대로서,
    상기 수거대(1000)는 건물의 외벽(101)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수거대(1000)는 수직방향으로 기립되어 건물의 외벽(101)에 고정되고 상부가 막힌 관형부(110), 및 상기 관형부(110)의 하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포집포대(120)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부(110)에는, 상기 건물의 각각의 가정마다 구비된 상기 외벽(101)의 복수개의 개구(102)에 각각 유통하는 복수개의 유통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유통구(111) 각각에는 밸브(91)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91)는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에 마련된 상기 전기 진공청소기의 먼지토출구에 일단이 접속된 먼지토출접속관(103)의 타단이 상기 개구(102)를 통하여 상기 유통구(111)에 삽입될 시에 개방되고, 상기 유통구(111)에서 각 가정의 실내로 이탈될 시에 폐쇄되며,
    상기 포집포대(120)의 상단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집포대(120)의 벽면에는 상기 포집포대(120)의 내외를 유통시키는 필터(12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2. 전기 진공청소기 내의 필터에 의해 여과되어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 내에 수용된 고형물이 상기 전기 진공청소기 내에 마련된 구동원에 의해 상기 전기 진공청소기에 구비된 먼지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전기 진공청소기 밖으로 방출되어 수거되는 수거대로서,
    상기 수거대(1000')는 건물의 외벽(101)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수거대(1000')는 건물의 외벽(101)에 고정되어 상부가 막힌 관형부(110), 및 상기 관형부(110)의 일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포집포대(120)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부(110)에는, 상기 건물의 외벽(101)에 형성된 개구(102)에 유통하는 유통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통구(111)에는 밸브(91)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91)는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에 마련된 상기 전기 진공청소기의 먼지토출구에 일단이 접속된 먼지토출접속관(103)의 타단이 상기 개구(102)를 통하여 상기 유통구(111)에 삽입될 시에 개방되고, 상기 유통구(111)에서 가정의 실내로 이탈될 시에 폐쇄되며,
    상기 포집포대(120)의 상단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집포대(120)의 벽면에는 상기 포집포대(120)의 내외를 유통시키는 필터(12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포대(120)를 수납하고 있는 수납실(1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실(130)의 상부에는 통기구(14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관형부(110)의 하단을 에워싸고 있는 상기 수납실(130)의 천장의 부위 또는 상기 관형부(110)의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포집포대(120)의 입구를 개방상태에서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걸음수단(15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140)에는 필터(141)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130)의 벽면에는 상기 수납실(130)에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131)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부(110)의 상단에는 밸브(161)를 개재하여 블로어(160)의 토출측이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통구(111)와 상기 밸브(91) 사이에는 시일링(R1)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부(110)의 상단에 덮개가 개폐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02)의 내주면에는 시일링(R2)이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으며,
    상기 시일링(R2)은 상기 먼지토출접속관(103)이 상기 개구(102)에 삽입될 시에 상기 먼지토출접속관(103)에 기밀적으로 외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는 로봇 청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02)에 인접한 외벽(101)의 부위에는 전기콘센트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02)와 일체화된 전기 콘세트를 상기 외벽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 내에는 자체 전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 내의 고형물을 상기 수거대에 배출시킬 때에만 상기 전지는 상기 전기 진공 청소기 내에 구비된 전동송풍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KR1020120055610A 2012-05-24 2012-05-24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KR101245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610A KR101245671B1 (ko) 2012-05-24 2012-05-24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PCT/KR2013/004365 WO2013176442A1 (ko) 2012-05-24 2013-05-16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610A KR101245671B1 (ko) 2012-05-24 2012-05-24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671B1 true KR101245671B1 (ko) 2013-03-20

Family

ID=4818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610A KR101245671B1 (ko) 2012-05-24 2012-05-24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6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7165A (ja) * 1993-03-26 1994-10-04 Hitachi Ltd 電気掃除機
JP2000287893A (ja) 1999-04-05 2000-10-17 Fujita Corp 現場内清掃システム
KR200412295Y1 (ko) 2005-09-21 2006-03-27 강희철 중앙집중 진공청소용 흡입장치의 흡입제어 구조
KR100917258B1 (ko) 2008-11-21 2009-09-16 주식회사 한성기건 수평형 집진기를 장착한 중앙집진식 진공 청소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7165A (ja) * 1993-03-26 1994-10-04 Hitachi Ltd 電気掃除機
JP2000287893A (ja) 1999-04-05 2000-10-17 Fujita Corp 現場内清掃システム
KR200412295Y1 (ko) 2005-09-21 2006-03-27 강희철 중앙집중 진공청소용 흡입장치의 흡입제어 구조
KR100917258B1 (ko) 2008-11-21 2009-09-16 주식회사 한성기건 수평형 집진기를 장착한 중앙집진식 진공 청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3800B2 (en) Handheld vacuum cleaner
KR101248722B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TWI687195B (zh) 具有吸塵器及基座之系統、吸塵器、基座及清空吸塵器之集塵室之方法
WO2021100296A1 (ja) 電気掃除機
KR100635667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JP4482009B2 (ja) 塵埃分離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真空掃除機
RU2504324C1 (ru) Электропылесос
US20060277872A1 (en) Vacuum cleaner
CN211633144U (zh) 用于扫地机器人的集尘站
CN103371778B (zh) 电动吸尘器
KR100620071B1 (ko) 집진기
EP2515733B1 (en) Dusting system
KR101245671B1 (ko)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TW480165B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372510B1 (ko) 전기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부
KR101433087B1 (ko) 음압과 양압에 의해 실내를 청소하는 붙박이 청소기
CA2152858A1 (en) Vacuum system
CN214804491U (zh) 清洁基站、清洁机器人以及清洁系统
KR20100093442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US10398270B2 (en) Mobile vacuum cleaning device
WO2014112786A1 (ko) 청소기
KR101245672B1 (ko) 전기 진공청소기
WO2013176442A1 (ko) 진공청소기에서 방출된 고형물을 수거하는 수거대
KR101250218B1 (ko) 전기 진공청소기
KR101311866B1 (ko)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