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632B1 -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632B1
KR101245632B1 KR1020110086998A KR20110086998A KR101245632B1 KR 101245632 B1 KR101245632 B1 KR 101245632B1 KR 1020110086998 A KR1020110086998 A KR 1020110086998A KR 20110086998 A KR20110086998 A KR 20110086998A KR 101245632 B1 KR101245632 B1 KR 101245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cover
led package
opening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3902A (ko
Inventor
유재일
임형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지모바일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지모바일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지모바일솔루션
Priority to KR1020110086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6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4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39Silver (Ag)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1Not relevant to the scope of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판에 솔더링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측에 연결되며 개구가 형성된 덮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서 상기 개구에 대응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빛을 발산하는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 중 개구가 형성된 덮개부에 LED를 직접 연결시켜 와이어 본딩에 필요한 공간 및 패키지 하측과 캡과의 사이에 필요한 공간이 제거되며, 이로부터, 초박형 LED 패키지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LED PACKAG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중 개구가 형성된 덮개부에 LED가 직접 연결되어 하우징 내부공간의 감소를 통해 초박형으로 제조가능한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 : 발광다이오드)는 갈륨비소 등의 화합물에 의해 형성되며, 전류를 흘리는 빛을 발산하는 반도체소자를 의미한다.
상기 LED는 광 변환 효율이 높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적고, 수명이 길며, 열적 발광이 아니므로 예열이 불필요하여 응답 속도가 신속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LED는 점등회로가 간단하며, 방전용 기체 및 필라멘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내충격성이 크고, 시신경의 피로가 덜하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휴대폰,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액정 디스플레이(LCD) 배면 조명(back light)용 광원, 고급 실내외 조명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LED는 외부의 충격 및 환경으로부터 보호되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패키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종래 LED 패키지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리드 프레임 상에 LED를 탑재하고, 와이어 본딩(Wire Bonding)을 사용하여 LED의 본딩 패드와 기판의 연결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였다.
그러나, 와이어 본딩을 사용하는 패키지 방식은 와이어(Wire)의 루프 높이(loop height)로 인하여 패키지의 두께를 얇게 하는데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었다.
즉,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LED(12)의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본딩 패드(12a)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LED(12)가 패키지 하측(11a)의 접착체(16) 위에 올려진다.
한편, 패키지 하측(11a)에는 복수의 외부 리드(15)와 내부 리드(1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리드(15)는 인쇄회로기판(도시 안됨)의 특정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접촉부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내부 리드(17)는 LED(12)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본딩 패드(12a)와 본딩 와이어(1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접촉부 역할을 한다.
여기서, LED(12)로부터 이격되어 패키지 하측(11a)에 연결되는 패키지 벽체부(11b)가 형성되며, 패키지 벽체부(11b)의 상측으로는 렌즈 또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한 캡(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LED 패키지는 와이어 본딩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며, 상기 패키지 하측(11a)과 상기 캡(14)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초박형의 LED 패키지를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LED 패키지는 캡을 접착하는 공정이 더 요구될뿐만 아니라 와이어 본딩을 위한 공정이 복잡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LED 패키지는 제품 소형화의 한계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고, 캡 제작에 필요한 비용으로 인해 전체 제조 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과제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와이어 본딩에 필요한 공간 및 패키지 하측과 캡과의 사이에 필요한 공간을 제거하여 초박형으로 제조가 가능한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플립 본딩(Flip Bonding)방식을 사용할뿐만 아니라 캡을 접착하는 공정이 필요치 않아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캡 제작에 요구되는 비용이 필요치 않아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는 기판에 플립 본딩 방식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측에 연결되며 개구가 형성된 덮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서 상기 개구에 대응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빛을 발산하는 LED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는 상기 LED를 상기 덮개부 내측에 연결시, 접합력 향상을 위해 상기 LED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도포되는 보호수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에서 상기 보호수지는 금속 친화성을 가지는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에서 상기 LED는 플립 본딩 방식에 의해 상기 덮개부 내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는 상기 덮개부의 외측에 안착되는 투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에서 상기 투광부는 렌즈 또는 몰딩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 제조방법은 기판에 플립 본딩 방식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측에 연결되며 개구가 형성된 덮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덮개부가 상기 다리부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뒤집어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개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 LED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 제조방법은 상기 LED가 상기 덮개부에 연결된 후 상기 LED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보호수지를 도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 제조방법에서 상기 LED는 플립 본딩 방식에 의해 상기 덮개부 내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 제조방법은 상기 덮개부의 외측에 투광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은 하우징 중 개구가 형성된 덮개부에 LED를 직접 연결시켜 와이어 본딩에 필요한 공간 및 패키지 하측과 캡과의 사이에 필요한 공간이 제거되며, 이에 의해, 초박형 LED 패키지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은 플립 본딩 방식을 사용할뿐만 아니라 캡을 접착하는 공정이 필요치 않아서, 와이어 본딩방식에 비해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은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캡 제작에 요구되는 비용이 필요치 않아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LED 패키지의 실시예에 대한 각각의 단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의 형성과정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가 완성되어 기판에 결합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구비한다", "갖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는 기판(990)에 플립 본딩 방식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측에 연결되며 개구가 형성된 덮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는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서 상기 개구에 대응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빛을 발산하는 LED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기판(990)에 플립 본딩 방식(112)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다리부(110)와, 상기 다리부(110)의 상측에 연결되며 개구(122)가 형성된 덮개부(120)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은 측면에 다리부(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리부(110)의 하측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990)에 플립 본딩 방식(112)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솔더링(Soldering)(112)은 도선과 도선, 도선과 도체 또는 도체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다리부(110)의 상측에는 개구(122)가 형성된 덮개부(120)가 결합되어 있다(도 3 또는 도 5 참조). 여기서, 상기 다리부(110)와 상기 덮개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120)에 형성된 개구(122)를 통해 LED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발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상기 LED(200)가 인입된 후 상기 덮개부(120)의 내측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덮개부(120)는 다리부(110)의 상측에 연결되며 개구(122)가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120)는 상기 다리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20)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122)에 대응되도록 연결되는 LED(200)가 설치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200)는 상기 다리부(110)와 상기 덮개부(12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덮개부(120)에 직접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기 LED(200)와 상기 덮개부(120) 사이에는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종래기술에 비해 소형의 LED 패키지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한편, 종래의 LED 패키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12)를 패키지 하측(11a)에 연결시키고 상측에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한 캡(14)을 결합하여 상기 LED(12)를 보호하는 한편,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한 캡(14)을 통해 LED로부터 발생 되는 빛이 발산되도록 마련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LED 패키지는 상기 LED(200)가 덮개부(120)의 내측에 직접 결합되며, 상기 다리부(110)는 기판(990)에 솔더링(112)되도록 마련되므로, 종래 LED 패키지와 비교하여 캡부분이 필요치 않게 된다.
이에 의해, 캡을 제작하기 위한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캡을 하우징(100)에 접착하는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다리부(110)의 상측에 상기 덮개부(120)가 연결된 하우징(100)이 준비되며(도 4(a) 참조), 상기 하우징(100)을 뒤집어 배치하게 되면, 상기 덮개부(120)가 상기 다리부(11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도 4(b) 내지 도 4(d) 참조).
여기서, 상기 LED(200)는 플립 본딩 방식에 의해 상기 덮개부(120)의 내측에 결합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LED(200)는 개구(122)에 대응되게 연결된다(도 4(b) 참조).
이에 의해, 상기 LED(200)는 상기 개구(122)를 통해 빛을 발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LED(200)가 상기 덮개부(120) 내측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LED(200)와 상기 덮개부(120) 사이의 접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LED(200)와 상기 덮개부(120) 사이에 보호수지(300)가 도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LED(200)가 상기 덮개부(120)의 내측에 연결되는 경우, LED(200)와 덮개부(120) 사이의 내구성이 증가하여 결합이 계속 유지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호수지(300)가 LED(200)와 덮개부(120) 사이에 도포되는 경우, 상기 보호수지(300)가 LED(200)의 중심부까지 퍼지게되면, 상기 LED(200)의 성능이 저해되므로, 상기 보호수지(300)의 점도를 조절하여 보호수지(300)가 LED(200)로 스며들지 않도록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수지(300)를 도포하였으나 도포량이 과대한 경우, 상기 덮개부(120)에 형성된 상기 개구(122)를 통해 상기 보호수지(300)가 흘러나가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적절한 양의 보호수지(300)가 상기 LED(200)와 상기 덮개부(120) 사이에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수지(300)는 금속친화성을 가지면서, 굽힘강도·굳기 등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경화 시에 휘발성 물질의 발생 및 부피의 수축이 없으며, 경화될 때 재료면에서 큰 접착력을 가질 수 있는 에폭시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LED(200)는 플립 본딩 방식에 의해 덮개부(120) 내측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플립 본딩 방식은 LED(200)의 표면 전극을 절연 기판 또는 패키지 배선용 전극에 직접 접속하는 방식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200)에 형성된 범프(Bump)(950)가 상기 덮개부(120)에 직접 연결되도록 본딩(Bonding)하는 방식이다.
또한, 범프(950)는 플립 칩(Flip Chip)을 실장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도금 혹은 인쇄방식으로 칩 위에 형성시킨 납 등의 돌출된 접속부위를 의미한다.
플립 본딩 방식은 와이어 본딩과 비교시, 와이어(Wire)가 연결되기 위한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소형의 LED 패키지의 제작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4(e) 또는 도 5(c)를 참조하면, 투광부(400)는 덮개부(120)의 외측에 안착되어 LED(200)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덮개부(120)에 형성된 개구(122)를 통해 발산되는 경우,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기 투광부(400)는 렌즈 또는 몰딩수지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 또는 몰딩수지는 상기 LED(200)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상기 LED(200)에서 발산된 빛으로부터 백색광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 또는 몰딩수지에 형광체가 함유되는 경우, 단일 LED를 사용하여 백색광의 발산이 가능해진다.
즉, 백색광을 생성하는 단일 LED로서 백색 LED가 채택되는 경우, 상기 백색 LED의 표면을 형광체로 코팅하거나 또는, 상기 렌즈에 형광체를 혼합하여 몰딩하고, 특정한 파장의 단일 LED에 의해 생성된 광이 형광체를 여기시켜 다른 파장의 광을 생성하며, 이를 상기 단일 LED에 의해 생성된 광과 혼합하여 백색광을 얻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광부(400)는 상기 덮개부(120)에 연결된 LED(200)를 덮을 수 있는 몰딩수지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몰딩수지는 외부환경으로부터 LED(200)를 보호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몰딩수지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으로부터 상기 LED(200)를 보호하거나 또는, 대기중의 수분을 차단하여 LED(200)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몰딩수지는 LED(200)에서 방출된 빛의 파장을 변환시키는 형광체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LED(200)로부터 백색광이 발산될 수 있다.
이하, LED 패키지에 대한 실시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도 3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다리부(110)와 개구(122)가 형성된 덮개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다리부(110)는 기판(990)에 솔더링(112)되며, 상기 덮개부(120)는 상기 다리부(110)의 상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LED(200)는 덮개부(120)의 내측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120)에 형성된 개구(122)를 통해서 빛을 발산한다. 한편, 보호수지(300)가 상기 LED(200)와 상기 덮개부(120) 사이에 도포되어 접착력이 강화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LED 패키지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우선, 도 4(a)를 참조하면, 기판에 솔더링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다리부(110)와, 상기 다리부(110)의 상측에 연결되며 개구(122)가 형성된 덮개부(120)를 구비하는 하우징(100)을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다리부(110)와 상기 덮개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120)가 상기 다리부(110)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을 뒤집어 배치하게 되며, 상기 덮개부(120)에 형성된 개구(122)에 대응되도록 상기 덮개부(120)의 내측에 LED(200)를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LED(200)는 플립 본딩 방식에 의해 상기 덮개부(120)의 내측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음, 도 4(c)(d)를 참조하면, 상기 LED(200)가 상기 덮개부(120)에 연결된 후 접착력이 증대되도록, 즉, 내구성 강화를 위해 상기 LED(200)와 상기 덮개부(120) 사이에 보호수지(300)를 도포할 수 있다.
다음, 도 4(e)를 참조하면, 뒤집어져 배치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덮개부(120)가 상기 다리부(1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즉, 원위치에 오도록 재배치되며, 여기서, 상기 덮개부(120)의 외측에 투광부(400)를 안착시키게 된다.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120)에 연결된 LED(20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의 다리부(110)를 기판(990)에 솔더링(112)하게 된다. 여기서, 도 5(a)는 보호수지가 도포되지 않은 경우의 일실시예이고, 도 5(b)는 보호수지가 도포된 경우의 일실시예이며, 도 5(c)는 상기 덮개부(120)의 외측에 투광부(400)가 안착된 경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명세서,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다리부
112 : 솔더링 120 : 덮개부
122 : 개구 200 : LED
300 : 보호수지 400 : 투광부
950 : 범프 990 : 기판

Claims (10)

  1. 기판에 솔더링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측에 연결되며 개구가 형성된 덮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서 상기 개구에 대응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빛을 발산하는 LED;를 포함하는 LED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를 상기 덮개부 내측에 연결시, 접합력 향상을 위해 상기 LED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도포되는 보호수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패키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수지는 금속 친화성을 가지는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패키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플립 본딩 방식에 의해 상기 덮개부 내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패키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외측에 안착되는 투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패키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는 렌즈 또는 몰딩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패키지.
  7. 기판에 솔더링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측에 연결되며 개구가 형성된 덮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덮개부가 상기 다리부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뒤집어 배치하는 단계;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개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 LED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ED 패키지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LED가 상기 덮개부에 연결된 후 상기 LED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보호수지를 도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패키지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플립 본딩 방식에 의해 상기 덮개부 내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패키지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외측에 투광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패키지 제조방법.
KR1020110086998A 2011-08-30 2011-08-30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245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998A KR101245632B1 (ko) 2011-08-30 2011-08-30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998A KR101245632B1 (ko) 2011-08-30 2011-08-30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902A KR20130023902A (ko) 2013-03-08
KR101245632B1 true KR101245632B1 (ko) 2013-03-20

Family

ID=48176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998A KR101245632B1 (ko) 2011-08-30 2011-08-30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6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4035A (ja) 2000-09-14 2002-03-29 Shinko Electric Ind Co Ltd 光透過用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327801A (ja) 2004-05-12 2005-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10035188A (ko) * 2009-09-30 2011-04-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발광장치
KR20120020521A (ko) * 2010-08-30 2012-03-0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자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4035A (ja) 2000-09-14 2002-03-29 Shinko Electric Ind Co Ltd 光透過用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327801A (ja) 2004-05-12 2005-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10035188A (ko) * 2009-09-30 2011-04-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발광장치
KR20120020521A (ko) * 2010-08-30 2012-03-0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자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902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7417B2 (en) Package f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packaging the same
JP4747726B2 (ja) 発光装置
KR100828891B1 (ko) Led 패키지
EP2187459B1 (en) Light emitting device
US7531848B2 (en) Light emission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KR101301187B1 (ko) 반도체 광학장치
CN104798214B (zh) 发光装置及包括该发光装置的电子设备
KR20080048492A (ko) 컬러 변환기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레이저 다이오드
KR100944085B1 (ko) 발광 장치
JP2014049764A (ja) 側面型発光ダイオード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56649A (ja) 発光装置
KR101192816B1 (ko)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28255B1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발광장치
KR101245632B1 (ko)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36892A (ko) 발광소자 패키지
US8581278B2 (en) Light-emitting diode packaging structure
KR20090007763U (ko)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KR20060053468A (ko) 다수개의 led가 장착된 led 패키지
KR20090132916A (ko) 발광 장치
KR101503501B1 (ko) 발광장치
KR20110119200A (ko) 발광 장치
KR20080024031A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13736A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20120060084A (ko) 광원 모듈
KR101510938B1 (ko) 평판형 엘이디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