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438B1 -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438B1
KR101244438B1 KR1020110008718A KR20110008718A KR101244438B1 KR 101244438 B1 KR101244438 B1 KR 101244438B1 KR 1020110008718 A KR1020110008718 A KR 1020110008718A KR 20110008718 A KR20110008718 A KR 20110008718A KR 101244438 B1 KR101244438 B1 KR 101244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thyl methacrylate
adhesive composition
structural adhesive
meth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7494A (ko
Inventor
신동호
이기주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주)마크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크스톤 filed Critical (주)마크스톤
Priority to KR1020110008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438B1/ko
Publication of KR20120087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hlorop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J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08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주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p-톨루이딘 또는 N,N-디메틸-p-톨루이딘; 1,4-나프타퀴논,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또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인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 클로로프렌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과; 불투명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을 함유하고, 상기 경화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에폭시 수지; 디프로필 글리콜 디벤조에이트와; 부타디엔계 충격 보강재를 함유하는 것인,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에 의하면, 강철,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피착재 표면에 대한 우수한 전단 접착 강도, 박리 접착 강도 및 충격 접착 강도를 보일 뿐 아니라 경화 시간도 단축되는,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Two component acryl-based structural adhesive composition}
본 발명은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철,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표면에 대한 우수한 전단 접착 강도, 박리 접착 강도 및 충격 접착 강도를 보일 뿐 아니라 경화 시간도 단축되는,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용 접착제(structural adhesive)는 피착재가 사용 중에 하중을 받는 구조재로 이용될 때 쓰이는 접착제를 일컫는다.
이러한 구조용 접착제는 2개의 물질을 함께 접합시키는, 예컨대, 리벳으로 조이거나 용접하는 것 등의 기계적인 기술에 대한 좋은 대체물이다. 이는 구조용 접착제 사용시 응력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힘이 분산되는 면에서 기계적인 기술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구조용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면 이종 재료의 접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중량을 가볍게 하고, 기밀 및 수밀이 가능하며, 작업을 더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여러 다양한 장점으로 인하여 구조용 접착제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구조용 접착제는 경화 방법 상의 특성에 따라 상온 경화형, 열경화형 그리고 혼합계 반응형으로 나뉘고, 상온 경화형 접착제는 다시 에폭시계, 폴리우레탄계 그리고 아크릴계로 나뉜다.
에폭시계 구조용 접착제는 가장 범용화된 구조용 접착제로서, 안전하고, 비교적 쉽게 혼합 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다소 경질(rigid)이고, 피착재 표면의 오염도에 따라 접착성이 크게 좌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에폭시계 구조용 접착제에 있어, 경화 후 피착재의 접착 강도를 보면, 에폭시는 큰 경질성(rigidity), 금속에 대한 강한 친화성 및 큰 접착 이음 강도(lap shear strength)를 가져 금속 본딩에 적합한 반면, 상기한 바와 같은 큰 경질성으로 인하여 유연성(flexibility)을 요하는 분야에서의 사용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폴리우레탄계 구조용 접착제는 표면 오염 정도, 습기로 인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상기한 에폭시계 구조용 접착제에 비하여 더 우수한 유연성 및 탄성을 가지져, 박리, 밴딩, 충격력 동적 피로 스트레스 등을 견딜 수 있는 플라스틱 본딩에 적합한 반면, 금속 본딩에 적용되기 힘든 문제가 있다.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에폭시계 구조용 접착제 및 폴리우레탄계 구조용 접착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접착제로서, 금속 및 플라스틱 모두에 대한 친화성을 보여 금속 본딩 및 플라스틱 본딩 모두에 적합하다.
다만, 이러한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에 있어서 다양한 피착재 표면에 대하여 보다 우수한 전단 접착 강도, 박리 접착 강도 및 충격 접착 강도를 보일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경화 시간도 단축시킬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강철,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피착재 표면에 대한 보다 우수한 전단 접착 강도, 박리 접착 강도 및 충격 접착 강도를 보일 뿐 아니라 경화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주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주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p-톨루이딘 또는 N,N-디메틸-p-톨루이딘; 1,4-나프타퀴논,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또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인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 클로로프렌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과; 불투명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을 함유하고,
상기 경화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에폭시 수지; 디프로필 글리콜 디벤조에이트와; 부타디엔계 충격 보강재를 함유하는 것인,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제는
상기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5 내지 35 중량%,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3 내지 10 중량%,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p-톨루이딘 또는 N,N-디메틸-p-톨루이딘 0.3 내지 1.2 중량%,
1,4-나프타퀴논,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또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0.01 내지 0.1 중량%,
인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 0.05 내지 0.5 중량%,
클로로프렌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35 내지 70 중량%와,
불투명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5 내지 20 중량%
를 함유하고,
상기 경화제는
상기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벤조일 퍼옥사이드 3 내지 10 중량%,
에폭시 수지 1 내지 5 중량%,
디프로필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1 내지 5 중량%와,
부타디엔계 충격 보강재 1 내지 5 중량%
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1,4-나프타퀴논,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은 상기 1,4-나프타퀴논,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4-나프타퀴논 2 내지 10 중량%, 부틸벤질프탈레이트 2 내지 10 중량%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 내지 96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은 상기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의 충 중량을 기준으로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2 내지 10 중량%,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2 내지 10 중량%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80 내지 96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은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클로로프렌 고무 7 내지 23 중량%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77 내지 93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에 의하면, 강철,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피착재 표면에 대한 우수한 전단 접착 강도, 박리 접착 강도 및 충격 접착 강도를 보일 뿐 아니라 경화 시간도 단축되는,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자동차, 생활가전, 인테리어 분야 (인조대리석, 천연석 등의 시공) 등의 산업 분야에서 금속, 플라스틱, 목재, 복합체 등을 접착시키는 데에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금속/금속, 금속/플라스틱, 금속/목재, 금속/복합체, 플라스틱/플라스틱, 플라스틱/목재, 플라스틱/복합체, 목재/목재, 목재/복합체 또는 복합체/복합체의 접착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조성물은 주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p-톨루이딘 또는 N,N-디메틸-p-톨루이딘; 1,4-나프타퀴논,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또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인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 클로로프렌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과; 불투명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을 함유하며,
상기 경화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에폭시 수지; 디프로필 글리콜 디벤조에이트와; 부타디엔계 충격 보강재를 함유한다.
상기 주제는
상기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아크릴계 단량체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5 내지 35 중량%,
아크릴계 단량체인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3 내지 10 중량%,
촉매인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p-톨루이딘 또는 N,N-디메틸-p-톨루이딘 0.3 내지 1.2 중량%,
조기 경화 억제제인 1,4-나프타퀴논,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또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0.01 내지 0.1 중량%,
접착 촉진제인 인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 0.05 내지 0.5 중량%,
내충격성 강화제인 클로로프렌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35 내지 70 중량%와,
충격 보강재인 불투명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5 내지 20 중량%를 함유한다.
상기 주제에 있어서, 상기 성분들을 상기한 함량 범위를 벗어나도록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성분을 포함하는 주제 함유 접착제 조성물의 전단 접착 강도, 박리 접착 강도 및 충격 접착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개시제인 벤조일 퍼옥사이드 3 내지 10 중량%,
점증제인 에폭시 수지 1 내지 5 중량%,
가소제인 디프로필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1 내지 5 중량%와,
충격 보강재인 부타디엔계 충격 보강재 1 내지 5 중량%를 함유한다.
상기 경화제에 있어서, 상기 성분들을 상기한 함량 범위를 벗어나도록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성분을 포함하는 경화제 함유 접착제 조성물의 전단 접착 강도, 박리 접착 강도 및 충격 접착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1,4-나프타퀴논,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은 상기 1,4-나프타퀴논,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4-나프타퀴논 2 내지 10 중량%, 부틸벤질프탈레이트 2 내지 10 중량%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 내지 96 중량%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1,4-나프타퀴논 2.5 내지 9 중량%, 부틸벤질프탈레이트 2.5 내지 9 중량%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2 내지 95 중량%로 이루어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나프타퀴논 3 내지 8 중량%, 부틸벤질프탈레이트 3 내지 8 중량%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4 내지 94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1,4-나프타퀴논,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에 있어서, 1,4-나프타퀴논을 2 중량% 미만이나 10 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하거나, 부틸벤질프탈레이트를 2 중량% 미만이나 10 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하거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80 중량% 미만이나 96 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하는 경우에는 접착제의 황변 현상이 나타나거나 접착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은 상기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의 충 중량을 기준으로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2 내지 10 중량%,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2 내지 10 중량%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80 내지 96 중량%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2.5 내지 9 중량%,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2.5 내지 9 중량%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82 내지 95 중량%로 이루어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3 내지 8 중량%,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3 내지 8 중량%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84 내지 94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에 있어서,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를 2 중량% 미만이나 10 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하거나,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를 2 중량% 미만이나 10 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하거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80 중량% 미만이나 96 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하는 경우에는 미경화 또는 불규칙적인 접착 경향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은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클로로프렌 고무 7 내지 23 중량%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77 내지 93 중량%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프렌 고무 9 내지 21 중량%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79 내지 91 중량%로 이루어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프렌 고무 11 내지 19 중량%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81 내지 89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에 있어서, 클로로프렌 고무를 7 중량% 미만이나 23 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하거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77 중량% 미만이나 93 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하는 경우에는 사용 전에 조기 경화되거나, 저장 안정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에는 통상의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 중에 함유될 수 있는 기타의 성분, 예컨대 착색 안료, 산화 방지제, 증점제, 자외선 흡수제, 소포제, 분산제, 색분리 방지제, 경도 부여제 등이 함유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주제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때, 주제의 구성 성분의 사용량은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나타낸 값이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5 내지 35 중량%에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을 3 내지 10 중량% 넣고 10분 내지 1시간 교반하고,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p-톨루이딘 또는 N,N-디메틸-p-톨루이딘 0.3 내지 1.2 중량%를 넣고 10분 내지 1시간 교반한 후, 1,4-나프타퀴논,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또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0.01 내지 0.1 중량%를 1분 내지 10분 동안 적하시키면서 교반한다. 그런 다음, 점도를 700 내지 1,500 cps (25℃)로 유지시킨 인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 0.05 내지 0.5 중량%를 넣고 10분 내지 1시간 교반하고, 클로로프렌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35 내지 70 중량%를 3회 내지 9회에 걸쳐 나누어 투입하되 각각의 투입 후 5분 내지 30분간 교반하며, 투입이 완료되면 10분 내지 1시간 동안 교반한다. 그런 후에, 불투명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5 내지 20 중량%을 5회 내지 15회에 걸쳐 나누어 투입하되 각각의 투입 후 5분 내지 30분간 교반하고, 투입이 완료되면 30분 내지 3시간 교반하는 방법으로 주제를 제조한다.
다음, 경화제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때, 경화제의 구성 성분의 사용량은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나타낸 값이다.
벤조일 퍼옥사이드 3 내지 10 중량%를 에폭시 수지 1 내지 5 중량%와 서로 혼합하고 30분 내지 2시간 교반하며, 디프로필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1 내지 5 중량%를 투입하고 10분 내지 1시간 교반하며, 부타디엔계 충격 보강재 1 내지 5 중량%를 투입한 후 30분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경화제를 제조한다.
제조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을 얻는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다음의 표 1의 실시예 1 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을 함유하는 주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주제는 다음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0.46g에 메타크릴산을 5.12g 넣고 30분 교반하며,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p-톨루이딘 또는 N,N-디메틸-p-톨루이딘 0.72g을 넣고 30분 교반한 후, 1,4-나프타퀴논,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0.06g을 3분 동안 적하시키면서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점도를 1,000 cps (25℃)로 유지시킨 인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 0.2g을 넣고 30분 교반하고, 클로로프렌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51.16g을 5회에 걸쳐 나누어 투입하되 각각의 투입 후 10분간 교반하며, 투입이 완료되면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후에, 불투명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12.28g을 10회에 걸쳐 나누어 투입하되 각각의 투입 후 10분간 교반하고, 투입이 완료되면 1시간 교반하여 주제를 제조하였다.
다음, 경화제는 다음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벤조일 퍼옥사이드 4.24g을 에폭시 수지 1.97g과 서로 혼합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며, 디프로필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1.97g을 투입하고 30분 교반하며, 부타디엔계 충격 보강재 1.82g을 투입한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여 경화제를 제조하였다.
그런 후에 상기 제조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구성 성분 제조사 및 제품명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주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LGMMA의
MMA
20.46 20.46 20.46 20.46 20.46
메타크릴산 칸토의
MAA
5.12 5.12 5.12 5.12 5.12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p-톨루이딘 코그니스의
PTE
0.72 0.72 0.72 0.72 0.72
1,4-나프타퀴논,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아크조의
N,G PREMIX
0.06 0.06 0.06 0.06 0.06
인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 알드리치의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
0.20 0.20 0.20 0.20 0.20
클로로프렌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덴키 카구쿠 코교의
DENKA A-90 PREMIX
51.16 51.16 51.16 51.16 51.16
불투명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LG CHEM의
MB838A
12.28 - - - 12.28
아크릴 충격 보강제 LG CHEM의
MB808
- 12.28 - - -
부타디엔계 충격 보강제 LG CHEM의
EM500
- - 12.28 - -
부타디엔계 충격 보강제 LG CHEM의
EM600
- - - 12.28 -


경화제
벤조일 퍼옥사이드 아크조 노벨의
BPO
4.24 4.24 4.24 4.24 4.24
에폭시 수지 국도의
YD-128
1.97 1.97 1.97 1.97 1.97
디프로필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제노비크의
BENZOFLEX
9-88
1.97 1.97 1.97 1.97 1.97
투명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LGCHEM의
MB880
- - - - 1.82
부타디엔계 충격 보강제 LG CHEM의
EM500
1.82 1.82 1.82 1.82 -
비교예 1 내지 4
상기 표 1의 비교예 1 내지 4 부분의 성분을 사용하고,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실시예 1의 주제의 불투명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대신 아크릴 충격 보강제, 부타디엔계 충격 보강제를 각각 사용하며, 비교예 4에서는 실시예 1의 경화제의 부타디엔계 충격 보강제 대신 투명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시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을 강철, 스테인레스 및 알루미늄 각각에 적용한 후 ASTM D1002에 따른 전단 접착 강도 시험, ASTM D1876에 따른 박리 접착 강도 및 ASTM D950에 따른 충격 접착 강도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경화시간(25℃) 4시간 4시간30분 5시간35분 5시간20분 5시간30분
강철 전단접착강도(psi) 3,444.88 3,255.00 3,377.00 3,389.00 3,412.00
박리접착강도(pli) 85.93 80.80 81.20 80.50 78.90
충격접착강도(kgfcm/cm2) 19.35 18.80 18.90 19.10 19.10
스테인레스 전단접착강도(psi) 4,477.06 4,389.00 4,399.00 4,454.00 4,466.00
박리접착강도(pli) 80.10 79.80 79.60 75.60 75.40
충격접착강도(kgfcm/cm2) 16.11 15.70 15.70 15.60 15.90
알루미늄 전단접착강도(psi) 1800.37 이상
박리접착강도(pli) 58.85 54.30 54.30 55.50 57.80
충격접착강도(kgfcm/cm2) 16.16 15.90 16.00 16.00 16.00
상기한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인 실시예 1은 경화 시간이 가장 짧으면서도 강철, 스테인레스 및 알루미늄의 모든 피착재에 대하여 전단 접착 강도, 박리 접착 강도 및 충격 접착 강도가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주제 및 경화제로 이루어진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주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p-톨루이딘 또는 N,N-디메틸-p-톨루이딘; 1,4-나프타퀴논,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또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인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 클로로프렌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과; 불투명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을 함유하고,
    상기 경화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에폭시 수지; 디프로필 글리콜 디벤조에이트와; 부타디엔계 충격 보강재를 함유하며,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은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클로로프렌 고무 7 내지 23 중량%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77 내지 93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인,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는
    상기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5 내지 35 중량%,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3 내지 10 중량%,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p-톨루이딘 또는 N,N-디메틸-p-톨루이딘 0.3 내지 1.2 중량%,
    1,4-나프타퀴논,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또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0.01 내지 0.1 중량%,
    인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 0.05 내지 0.5 중량%,
    클로로프렌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 35 내지 70 중량%와,
    불투명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5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경화제는
    상기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벤조일 퍼옥사이드 3 내지 10 중량%,
    에폭시 수지 1 내지 5 중량%,
    디프로필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1 내지 5 중량%와,
    부타디엔계 충격 보강재 1 내지 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인,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4-나프타퀴논,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은 상기 1,4-나프타퀴논,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4-나프타퀴논 2 내지 10 중량%, 부틸벤질프탈레이트 2 내지 10 중량%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 내지 96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인,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은 상기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배합물의 충 중량을 기준으로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2 내지 10 중량%,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2 내지 10 중량%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80 내지 96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인,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
  5. 삭제
KR1020110008718A 2011-01-28 2011-01-28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 KR101244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718A KR101244438B1 (ko) 2011-01-28 2011-01-28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718A KR101244438B1 (ko) 2011-01-28 2011-01-28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494A KR20120087494A (ko) 2012-08-07
KR101244438B1 true KR101244438B1 (ko) 2013-03-18

Family

ID=4687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718A KR101244438B1 (ko) 2011-01-28 2011-01-28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4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8640B2 (en) 2017-06-02 2021-04-27 Lg Chem, Ltd. Two-component adhesive composition
KR20210105093A (ko) 2020-02-18 2021-08-26 고경태 아크릴계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2032B (zh) * 2017-02-22 2021-01-05 株式会社Lg化学 粘合剂组合物
EP3564333B1 (en) 2017-05-02 2020-11-18 LG Chem, Ltd. Two-liquid type adhesive composition
KR102647101B1 (ko) * 2023-08-09 2024-03-13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신장률, 인장강도 및 접착강도가 향상된 아크릴 접착제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2246A (ko) * 1996-12-19 2000-10-25 프랭크 제이.윌리엄 삼세, 조안 브랜디스 블렌딩된 폴리카르복시폴리아미드 수지 및 알칼리 분산성 수지의분산액,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20080003862A (ko) * 2005-05-03 2008-01-08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금속 본딩 적용을 위한 접착제
KR100987694B1 (ko) * 2008-04-10 2010-10-13 (주)마크스톤 인조 대리석용 2액형 아크릴 접착제 조성물
KR20100125403A (ko) * 2008-03-21 2010-11-30 자크레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2246A (ko) * 1996-12-19 2000-10-25 프랭크 제이.윌리엄 삼세, 조안 브랜디스 블렌딩된 폴리카르복시폴리아미드 수지 및 알칼리 분산성 수지의분산액,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20080003862A (ko) * 2005-05-03 2008-01-08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금속 본딩 적용을 위한 접착제
KR20100125403A (ko) * 2008-03-21 2010-11-30 자크레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
KR100987694B1 (ko) * 2008-04-10 2010-10-13 (주)마크스톤 인조 대리석용 2액형 아크릴 접착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8640B2 (en) 2017-06-02 2021-04-27 Lg Chem, Ltd. Two-component adhesive composition
KR20210105093A (ko) 2020-02-18 2021-08-26 고경태 아크릴계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494A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438B1 (ko) 2액형 아크릴계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
EP2981584B1 (de) Kunstharz-verklebungsmittel mit biogenen reaktiven verdünnern und harzen
US9732255B2 (en) Composition for structural adhesive
EP2135904A1 (en) Adhesives for bonding composites
EP3155059B1 (en) Heat and moisture resistant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CN101338173B (zh) 一种单组份厌氧结构胶及其制备方法
CN110218547A (zh) 一种双组分高强度及优异稳定性的丙烯酸结构胶及其制备方法
US10301514B2 (en) Methacrylate structural adhesive formulation and process for the use thereof
CN111278878B (zh) 氰基丙烯酸酯组合物
AU2008238011A1 (en) Composition for structural adhesive
CN101781536A (zh) 一种热固型丙烯酸酯结构胶及制备方法
CN113185923A (zh) 采用丙烯酸酯与环氧体系复合固化的低气味双组份结构胶
JP2023011780A (ja) 嫌気性組成物の硬化
CN113840852A (zh) 可厌氧固化的组合物
EP2954017B1 (en) Low surface energy bonding adhesive formulation and process for the use thereof
JP5946408B2 (ja) 構造用接着剤のための組成物
EP3294823B1 (en) Anaerobically curable compositions
JP7196460B2 (ja) 二剤型アクリル系接着剤組成物、それにより接合された接合体
EP4086294A1 (en) Two-part curable composition
JPS6117873B2 (ko)
CN109666412A (zh) 一种高性能双组分结构粘接丙烯酸酯胶的研制
EP2424933B1 (en) Cyanoacrylate compositions
JP2021533224A (ja) α−メチレン−ラクトンを含む嫌気的硬化性組成物
JPH04131467A (ja) 鉄筋の結合方法
JP2594429B2 (ja) アクリル系接着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