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325B1 -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325B1
KR101244325B1 KR1020060052828A KR20060052828A KR101244325B1 KR 101244325 B1 KR101244325 B1 KR 101244325B1 KR 1020060052828 A KR1020060052828 A KR 1020060052828A KR 20060052828 A KR20060052828 A KR 20060052828A KR 101244325 B1 KR101244325 B1 KR 101244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dome
substrate
metal
keypad assembly
d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1085A (ko
Inventor
정훈종
윤인국
김재호
최용
최석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101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36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 H01H2203/038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to be bridged by a dome shaped contact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의 키액션 동작을 수행하는 키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접점을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접점간의 전기적 연결을 도모하기 위한 제1메탈돔과, 상기 제1메탈돔이 설치된 기판의 반대면상에 설치되는 제2메탈돔과, 상기 제1, 2 메탈돔을 상부에서 상기 제1, 2 메탈돔을 동시에 가압하기 위한 키패드 쉬트 및 상기 기판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1메탈돔 또는 제2메탈돔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포함하여, 기판을 중심으로 두 개의 메탈돔을 적용시킴으로써 이중으로 메탈돔이 동작하도록 하여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키버튼의 클릭감이 저하되지 않으며, 비교적 슬림 타입의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1209006-pat00001
키버튼, 키패드, 메탈돔, 클릭감, 슬림, 기판, FPC, 셔터키

Description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KEY PAD ASSEMBLY WITH DOUBLE STRUCTURE OF METAL DO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메탈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가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메탈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가 단말기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메탈돔이 적용되는 반셔터키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요부 단면도.
본 발명은 슬림형 전자 기기에 적용되는 키패드 어셈블리(keypad assembly)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 메탈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슬림 타입 기기의 소형화에 기여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만족스러운 키버튼 클릭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중 구조의 메탈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전자 기기,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는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써 다수의 키버튼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술한 키패드 어셈블리는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거나 해당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 출시되는 전자 제품들은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그 기능이 점점 다양해지면서 점차 경박 단소화되어가는 추세로 변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기들은 크기 및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슬림 타입(slim type)으로 변모해가고 있는바, 상술한 키패드 어셈블리 역시 이에 대응하도록 동일한 기능 또는 보다 우수한 기능을 구현하면서 그 두께 및 크기를 점차 줄여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진보 속도가 매우 가파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키패드 어셈블리의 개선은 상당히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상술한 키패드 어셈블리의 일반 구조로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의 다수의 대응 접점 상부에 메탈돔이 부착되며, 그 상부에 대응 접점 돌기(일반적으로 '뽀찌'라 칭함)를 구비한 일정 두께의 실리콘 키패드 러버가 적층되고, 그 상부에 키패드 쉬트 또는 대응 키버튼이 부착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기판과, 메탈돔 및 키패드 러버의 적층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그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두께를 줄이고자 메탈돔의 높이를 낮추게 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키버튼을 클릭하는 클릭감이 현저히 저하되어 결과적으로 기기의 품질 저하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디지털 카메라 또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경우 소정의 셔터키를 구비하는바, 이러한 셔터키는 두번에 걸쳐 접점 동작을 수행해야 하며, 사용자는 이러한 이중 클릭감을 충분히 인지해야 한다. 예를 들어, 피사체 촬영시 첫번째 클릭에 의한 접접 동작은 기기로 하여금 피사체의 촛점거리를 정확히 측정하여 피사체 촬영 준비 모드에 진입함을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며, 두번째 클릭에 의한 접점 동작은 최종적으로 피사체 촬영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 셔터키의 경우에 있어서도, 점차 슬림화되어가는 기기에 적용하게 되면 두번에 걸친 별도의 클릭감을 사용자에게 인지하도록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상술한 문제점 중 불만족스러운 키버튼의 클림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하나의 메탈돔위에 또 다른 메탈돔을 적층시키는 이중 메탈돔 구조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구성은 두 개의 메탈돔을 동시에 눌러줌으로써 상술한 일반 키패드 어셈블리의 구조보다 좀더 만족스러운 키버튼 클릭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었다.
그러나, 메탈돔의 이중 적층 구조를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는 메탈돔을 유지시켜주는 스프링 등 다수의 부수적인 부품들이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고,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되면 메탈돔이 휘거나 파손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기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중 구조의 메탈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기의 슬림화에 기여하면서 키버튼의 클릭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중 구조의 메탈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기의 슬림화 및 클릭감 향상을 구현하여 결과적으로 기기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중 구조의 메탈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다른 목적은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항상 일정한 키버튼 클릭감을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감을 줄 수 있도록 구현되는 이중 구조의 메탈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기의 키액션 동작을 수행하는 키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다수의 접점을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접점간의 전기적 연결을 도모하기 위한 제1메탈돔과, 상기 제1메탈돔이 설치된 기판의 반대면상에 설치되는 제2메탈돔과, 상기 제1, 2 메탈돔을 상부에서 상기 제1, 2 메탈돔을 동시에 가압하기 위한 키패드 쉬트 및 상기 기판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1메탈돔 또는 제2메탈돔을 지지하기 위 한 지지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기기의 키액션 동작을 수행하는 키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접점간의 전기적 연결을 도모하기 위한 제1메탈돔과, 상기 제1메탈돔이 설치된 기판의 반대면상에 설치되어 상기 접점간의 전기적 연결을 도모하는 제2메탈돔과, 상기 제1, 2 메탈돔을 상부에서 상기 제1, 2 메탈돔을 동시에 가압하기 위한 키패드 쉬트 및 상기 기판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1메탈돔 또는 제2메탈돔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를 적용함에 있어서,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고 이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키액션 동작을 위한 키버튼이 설치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10)가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시도로써, 메인 바디(110)와, 상기 메인 바디(110)에서 단말기(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활주(sliding) 동작을 수행하는 슬라이드 바디(12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메인 바디(110)의 노출되는 면상에는 다수의 키버튼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10)가 설치된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0)는 바람직하게도 3×4 숫자/문자 키버튼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0)의 하측에는 마이크로폰 장치(112)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에는 단말기(100)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키 입력에 따른 데이터등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21)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하측으로 또 다른 키패드 어셈블리(12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에 설치되는 키패드 어셈블리(122)는 네비게이션 키버튼 등,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가 메인 바디(110)에서 폐쇄되었을 경우에도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키버튼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상부에는 스피커 장치(123)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100)는 초슬림형으로써, 메인 바디(110) 및/또는 슬라이드 바디(120)의 두께가 현저히 작다. 따라서, 종래의 키패드 어셈블리의 대응 키버튼 클릭감은 현저히 떨어질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10)를 적용하면 오히려 키버튼의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단말기의 두께는 현저히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10)가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써, 단말기(100)의 메인 바디(110)에 설치되는 키패드 어셈블리(10)를 예로써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슬라이드 바디(120)의 또 다른 키패드 어셈블리(122)에 적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기판(20)이 실장된다. 상기 기판(20)은 단말기를 구성하는 메인 보드로써 동작할 수 있으나, 이 에 국한되지 않는다. 메인 보드 이외에 별도의 키패드 어셈블리만을 위한 기판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판(20)은 하드 타입 일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내부에 소정의 접점이 구비된 합성 수지와 같은 일반 유전체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판(20)에는 대응 키버튼의 접점 동작이 수행되도록 다수의 메탈돔들(21, 22)이 설치된다. 상기 메탈돔(21, 22)은 하드 타입 인쇄회로기판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일 경우 소정의 접착 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 있으며, 유전체일 경우 그 내부에 메탈돔(21, 22)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인서트 몰딩에 의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탈돔(21, 22)은 기판(20)을 중심으로 상, 하면상에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기판(2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메탈돔을 제1메탈돔(21)이라 하면 기판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메탈돔을 제2메탈돔(22)이라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설명의 편의상, 기판(20)의 상부에 설치된 메탈돔을 제1메탈돔(21)이라 하고, 하부에 설치된 메탈돔을 제2메탈돔(22)이라 하겠다.
상기 기판(20)에 설치되는 제1, 2메탈돔(21, 22)의 상부에는 대응 키버튼 형상을 갖는 키패드 쉬트(11)가 상부 케이스 프레임(111)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키패드 쉬트(11)의 대응 키버튼 부분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제1메탈돔(21)과 제2메탈돔(22)이 함께 동작할 것이다. 상기 제1메탈돔(21)과 제2메탈돔(22)은 서로 다른 가압력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2메탈돔(21, 22)은 각각 그 두께, 크기 또는 곡률 반경의 차이에 의해 서로 다른 가압력에 의해 동작하 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제 1, 2메탈돔(21, 22) 중 좀더 작은 가압력에 의해 동작하는 메탈돔에 의해 기판의 접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2에서는 제1메탈돔(21)을 동작시키기 위한 가압력 F1이 제2메탈돔(22)을 동작시키려는 가압력 F2 보다 좀더 작을 것이다. 역시, 상기 제2메탈돔(22)이 동작하기 위해서 그 하부에 지지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 수단으로는 메인 바디의 하부 케이스 프레임(113)이 적용될 수 있으나, 공간이 허여된다면 별도의 지지 수단이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메탈돔이 적용되는 반셔터키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사시도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본체(210)의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는 팝업 바디(2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팝업 바디(220)의 개폐에 따라 단말기 후면에 설치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213)의 보호를 도모한다. 상기 본체(210)의 측면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213)에 의한 피사체 촬영용 셔터키(2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셔터키(2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메탈돔 구조를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로써 구성이 가능하다. 미도시 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의 구조는 공지의 디지털 카메라 등 셔터키를 갖는 여타 공지의 피사체 촬영용 전자 기기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요부 단면도로써, 역시 기판(30)을 중심으로 상, 하면상에 제1메탈돔(31)과 제2메탈돔(32)이 인서트 몰딩 또는 본딩 등으로 부착된다. 역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탈돔(31, 32)들은 서로 다른 가압력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메탈돔(31)과 제2메탈돔(32)의 서로 다른 가압력은 역시 메탈돔의 두께의 차이, 곡률 반경의 차이, 크기의 차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셔터키(214)는 단말기(200)의 측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단말기(200)의 자체 프레임이 아닌 별도의 지지 구조체(40)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단말기(200)의 프레임(211)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셔터키(214)의 하측으로 상, 하면에 각각 서로 다른 가압력에 의해 동작하는 제1메탈돔(31)과 제2메탈돔(32)0이 적층될 것이며, 그 하측으로 지지 구조체(4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기판(30)으로는 박판의 PCB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기판(30)의 상, 하 표면에는 제1접점부(311)와 제2접점부(321)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메탈돔(31) 및 제2메탈돔(32)과 이미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제3접점부(312) 및 제4점접부(322)는 상기 메탈돔들(31, 32)의 동작에 따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셔터키(214)를 약한 힘으로 클릭한다면, 상기 제1메탈돔(31)은 가압되어 제1접점부(311)와 제2접점부(31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직접적인 피사체 촬영 동작이 수행되는 것은 아니며, 피사체 촬영을 위한 준비 단계에 돌입함을 의미한다. 역시,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2메탈돔(32)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4접점부(322)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배제된다.
그후, 사용자가 좀더 강한 힘으로 상기 셔터키(214)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1메탈돔(31)이 지속적으로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제2메탈돔(32)이 가압되어 제4접점부(3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피사체를 최종적으로 촬영하기 위한 키액션이 수행되는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판을 중심으로 두 개의 메탈돔을 적용시킴으로써 이중으로 메탈돔이 동작하도록 하여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키버튼의 클릭감이 저하되지 않으며, 비교적 슬림 타입의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기기의 키액션 동작을 수행하는 키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다수의 접점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접점간의 전기적 연결을 도모하기 위한 제1메탈돔;
    상기 제1메탈돔이 설치된 기판의 반대면상에 설치되는 제2메탈돔;
    상기 제1, 2 메탈돔을 상부에서 상기 제1, 2 메탈돔을 동시에 가압하기 위한 키패드 쉬트; 및
    상기 기판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1메탈돔 또는 제2메탈돔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탈돔과 제2메탈돔은 다른 가압력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탈돔과 제2메탈돔의 서로 다른 가압력은 메탈돔의 두께의 차이, 곡률 반경의 차이, 크기의 차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접점의 전기적 연결은 먼저 동작하는 메탈돔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일반 하드 타입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도전성 접점 패턴을 갖는 일정 두께의 유전체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가요성 인쇄회로, 하드 타입 인쇄회로기판일 경우 상기 메탈돔은 접착 수단에 의해 기판상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일정 패턴을 갖는 유전체일 경우 상기 메탈돔은 일부가 상기 유전체상에 인서트 몰딩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기기의 케이스 프레임의 내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9. 기기의 키액션 동작을 수행하는 키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접점간의 전기적 연결을 도모하기 위한 제1메탈돔;
    상기 제1메탈돔이 설치된 기판의 반대면상에 설치되어 상기 접점간의 전기적 연결을 도모하는 제2메탈돔;
    상기 제1, 2 메탈돔을 상부에서 상기 제1, 2 메탈돔을 동시에 가압하기 위한 키패드 쉬트; 및
    상기 기판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1메탈돔 또는 제2메탈돔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탈돔과 제2메탈돔은 다른 가압력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탈돔과 제2메탈돔의 서로 다른 가압력은 메탈돔의 두께의 차이, 곡률 반경의 차이, 크기의 차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메탈돔은 상기 기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이중 접점 구조를 가지도록 설치하되, 먼저 동작하는 메탈돔에 의해 1차적인 전기적 접점 동작을 수행한 후, 다른 나머지 메탈돔의 동작에 따라 2차적인 전기적 접점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일반 하드 타입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도전성 접점 패턴을 갖는 일정 두께의 유전체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가요성 인쇄회로, 하드 타입 인쇄회로기판일 경우 상기 메탈돔은 접착 수단에 의해 기판상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일정 패턴을 갖는 유전체일 경우 상기 메탈돔은 일부가 상기 유전체상에 인서트 몰딩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기기의 케이스 프레임의 내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가 적용되는 상기 기기는 디지털 카메라 장치 또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KR1020060052828A 2006-04-10 2006-06-13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KR101244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32181 2006-04-10
KR1020060032181 2006-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085A KR20070101085A (ko) 2007-10-16
KR101244325B1 true KR101244325B1 (ko) 2013-03-14

Family

ID=3881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828A KR101244325B1 (ko) 2006-04-10 2006-06-13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3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3921A (ja) 2000-05-02 2002-01-25 Nokia Mobile Phones Ltd 携帯用電子デバイスのためのキーパッド
JP2003187671A (ja) 2001-12-14 2003-07-04 Nec Saitama Ltd キー入力回路、及び、携帯端末の入力装置
JP2005259461A (ja) 2004-03-10 2005-09-22 Alps Electric Co Ltd 可動接点付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JP2006012497A (ja) 2004-06-23 2006-01-12 Fujikura Ltd 高荷重キードームシート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3921A (ja) 2000-05-02 2002-01-25 Nokia Mobile Phones Ltd 携帯用電子デバイスのためのキーパッド
JP2003187671A (ja) 2001-12-14 2003-07-04 Nec Saitama Ltd キー入力回路、及び、携帯端末の入力装置
JP2005259461A (ja) 2004-03-10 2005-09-22 Alps Electric Co Ltd 可動接点付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JP2006012497A (ja) 2004-06-23 2006-01-12 Fujikura Ltd 高荷重キードームシート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085A (ko) 200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7273B1 (en) Keypad assembly
US8269124B2 (en) Dome switch structure for a portable terminal
CN101599380B (zh) 按键结构及具有这种按键结构的电子设备
JP2004096057A (ja) スイッチ一体型筐体およびこれを有する電子機器
KR101977076B1 (ko) 이동 단말기
DE60028107T2 (de) Tragbares Telefongerät
US20100067204A1 (en) Electronic device
CN101473392B (zh) 用于暴露在电路板边缘上的触点的侧面开关
JP2006330724A (ja) 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携帯端末機
KR101244325B1 (ko) 이중 구조의 메탈 돔을 갖는 키패드 어셈블리
US20070275751A1 (en) Faceplate having keys for mobile phone
US8923935B2 (en) Mobile terminal and keypa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70151838A1 (en) Electronic device keypad
CN104994299A (zh) 一种具有照相功能的便携式电子设备
US8345448B2 (en) Mobile terminal having noise shielding structure for electronic circuit board
KR101266679B1 (ko) 전자 기기 및 프린트 기판 모듈
KR100677456B1 (ko) 다단접점을 갖는 돔 스위치
KR101561900B1 (ko) 휴대 단말기
JP4818954B2 (ja) 携帯電子機器
KR20070091737A (ko) 키패드 어셈블리
JP4930841B2 (ja) 電子機器
CN108024449B (zh) Fpc组件及终端设备
KR20060119643A (ko) 다단접점을 갖는 돔 스위치
KR101553951B1 (ko) 휴대 단말기
KR101622603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