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245B1 - 결핵균의 Rv0315 단백질을 이용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방법 - Google Patents

결핵균의 Rv0315 단백질을 이용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245B1
KR101244245B1 KR1020110021906A KR20110021906A KR101244245B1 KR 101244245 B1 KR101244245 B1 KR 101244245B1 KR 1020110021906 A KR1020110021906 A KR 1020110021906A KR 20110021906 A KR20110021906 A KR 20110021906A KR 101244245 B1 KR101244245 B1 KR 101244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dritic cells
cells
mature
maturation
imm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927A (ko
Inventor
신성재
김화중
변의홍
김우식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21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245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39Dendritic cells, e.g. Langherhans cells in the epiderm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Mycobacteriaceae (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20Cytokines; Chemokines
    • C12N2501/23Interleukins [IL]
    • C12N2501/2304Interleukin-4 (IL-4)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998Protei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상 세포 성숙화 유도 조성물 및 수지상 세포를 성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결핵균(M.tuberculosis) 유래의 Rv0315 단백질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 성숙화 유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미성숙 수지상 세포를 성숙 수지상 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지상 세포에 의한 신체의 면역 반응을 증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결핵균의 Rv0315 단백질을 이용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방법{Maturation method for Dendritic cell using M.tuberculosis Rv0315}
본 발명은 수지상 세포 성숙화 유도 조성물 및 수지상 세포를 성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결핵균 (M.tuberculosis) 유래의 Rv0315 단백질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 성숙화 유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미성숙 수지상 세포를 성숙 수지상 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지상 세포 또는 수상돌기 세포 (dendritic cell, DC)는 포유동물의 면역계의 일부를 이루는 면역 세포이다. 이 세포들은 항원 물질을 처리하여 그것을 표면에 나타나게 함으로써 면역계의 다른 세포가 인식하게 하는 항원 발현 세포의 역할을 한다. 수지상 세포는 주로 피부, 코, 폐, 위 및 장의 내벽과 같이 외부 환경과 접하는 조직에 소량 존재하며 특히 피부에 있는 세포를 랑게르한스 세포라 한다. 수지상 세포는 혈액 중에서 미성숙한 상태로 발견될 수 있으며, 활성화되면 림프기관으로 이동하여 T 세포 및 B 세포와 상호작용하여 면역반응이 시작되게 한다. 특정 발달 단계에서 그것들은 수상돌기 (dendrites)라고 하는 돌기를 뻗는다.
수지상 세포는 조혈 골수 전구세포 (hemopoietic bone marrow progenitor cells)로부터 유래한다. 이 전구세포는 처음에는 미성숙 수지상 세포로 변화하며, 높은 엔도시토시스 활성 및 T-세포 활성 능력을 특징으로 한다. 미성숙 수지상 세포는 주변에 있는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와 같은 병원체를 끊임없이 탐식한다. 이것은 TLR (toll-like receptor)와 같은 패턴 인식 수용체 (pattern recognition receptor, PRR)를 통해서 가능하다. TLR은 병원체의 서브셋 상에서 발견되는 특정 화학적 특징을 인식하며, 미성숙 수지상 세포는 살아있는 자가세포로부터 니블링 (nibbling)이라는 과정을 통해 세포막을 탐식한다. 이들이 현존하는 항원과 접하게 되면, 성숙 수지상 세포로 활성화되어 림프절로 이동한다. 미성숙 수지상 세포는 병원체를 탐식하고 자신의 단백질을 작은 조각들로 분해해서, 성숙하였을 때 이 조각들이 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분자를 이용하여 그 세포 표면에 나타나게 된다. 동시에, 그것은 CD (Cluster of Differentiation)80, CD86, 및 CD40과 같이 T-세포 활성화에서의 공동-수용체로 작용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를 증가시킨다. 그것들은 비항원성 특정 공동자극 신호와 함께 병원체에서 유래한 항원을 나타냄으로써 헬퍼 T-세포, 킬러 T-세포 뿐만 아니라, B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모든 헬퍼 T-세포는 하나의 특정 항원에 대해 특이적이다. 오직 전문적인 항원 발현 세포(대식세포, B림프구 및 수지상세포)만이 맞는 항원이 존재할 때 나머지 헬퍼 T-세포를 활성화시킨다. 그러나 대식세포와 B림프구는 메모리 T-세포만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반면에 수지상 세포는 메모리 및 처녀 (naive) T-세포를 모두 활성화시킬 수 있어서 가장 강력한 항원 발현 세포이다.
성숙 수지상 세포는 신체를 순환하는 백혈구인 단핵구로부터 유래할 수 있는데, 단핵구는 적절한 신호에 따라 수지상 세포로도 대식세포로도 바뀔 수 있다. 단핵구는 골수의 줄기세포에서 유래한다. 단핵구-유래 수지상 세포는 실험실에서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PBMC를 조직 배양 플라스크에 심어서 단핵구가 부착되게 할 수 있는데 이 단핵구를 IL-4 및 GM-CSF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로 처리함으로써 미성숙 수지상 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다. 이후에 TNFα로 처리하면 미성숙 수지상 세포가 성숙 수지상 세포로 분화된다.
완전히 성숙한 수지상 세포는 미숙한 DC와는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상이하다. 완전히 성숙한 DC는 고 수준의 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I형 및 II형 항원, 및 고수준의 T 세포 공동자극성 분자, 즉 CD80 및 CD86을 발현시킨다. 이들 변화는 수지상 세포의 T 세포 활성화 능력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이들이 세포 표면상의 항원 밀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CD28과 같은 T 세포 상의 공동자극성 분자의 대응물을 통한 T 세포 활성화의 양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추가로, 성숙한 DC는 다량의 사이토카인을 생성하며, 이 사이토카인은 T 세포 반응을 자극하고 유도한다. 이들 사이토카인 중 2 가지는 인터루킨 10 (IL-10) 및 인터루킨 12 (IL-12)이다. 이들 사이토카인은 유도된 T 세포 반응의 방향에 대해 정반대의 효과를 갖는다. IL-10이 생성되면 Th-2형 반응이 유도되는 반면, IL-12가 생성되면 Th-1 형 반응이 유도된다. 후자의 반응이 세포 면역 반응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면 암 면역요법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Th-1형 반응에 의해 세포 면역계의 작동인자 공격수단인 세포독성 T 림프구(CTL)가 유도 및 분극화된다. 이러한 작동인자 공격수단은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다. IL-12는 또한 천연 킬러 (NK) 세포의 성장을 유도하고, 항-혈관신생 활성을 갖고, 이는 모두 효과적인 항-종양 공격수단이다. 따라서, IL-12를 생성하는 수지상 세포의 사용은 면역자극에 사용하는데 이론상 최적으로 적합하다.
수지상 세포는 흔치 않고 분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서로 다른 유형과 서브셋의 수지상 세포의 정확한 생성과 발달 및 그 상호관계에 대해서는 오직 대략적으로만 알려졌다. 수지상 세포는 신체의 다른 세포들과 끊임없는 소통을 한다. 이러한 소통은 세포 표면 단백질의 상호작용에 근거한 직접적인 세포 대 세포 접촉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수지상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사이토카인은 세포의 유형에 따라 다르다. 림프구성 수지상 세포는 다량의 타입-1 IFN을 생산할 수 있는데 그것은 더 많은 활성화된 대식 세포를 모아서 탐식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림프구성 수지상 세포는 중추와 말초 면역조절에 관여하고, 골수성 수지상 세포는 외래성 항원이나 감염에 대한 면역유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수지상 세포가 정상 기능을 못할 경우 당뇨병, 류머티스성 관절염, 알레르기성 과민반응과 같은 자가 면역 질환이 나타나거나 감염성 질환이나 암 발생에 대해 정상적인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암환자에서는 수지상 세포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어 정상적 항암 면역능을 유도하는 것이 어렵다. 지금까지 수지상 세포의 분화를 조절(활성화)하는 물질들(LPS, TNF-α, IL-1β)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생체독성의 부작용으로 생체에의 직접적인 응용에 문제가 많다.
마이코박테리움 (Mycobacterium) 속(屬)에는 결핵, 우형결핵 (牛形結核), 나병 (癩病)과 같이 사람과 동물에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는 균종 (species)뿐 아니라, 기회감염균으로 일컬어지는 균종, 그리고 자연환경에서 볼 수 있는 사물 (死物)기생의 균종 (saprophytic species) 등 현재까지 약 72 종(species)이 알려져 있으며, 그 중 인체 질환과 관련된 것이 25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이코박테리아 감염증 가운데 가장 많은 질병은 결핵 (Tuberculosis)으로, 강한 병원성을 갖는 결핵균군(群)(M.tuberculosis complex: TB complex)으로 구분되는 M. tuberculosis, M. bovis, M.africanum, M. microti의 4 종이 원인균이며, 이 중 결핵균 (M. tuberculosis)이 가장 흔하고 중요한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결핵은 국내에서 아직까지도 중요시되는 질환이며, 전세계적으로는 해마다 약 8 백만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지상 세포는 신체 자체의 면역 기능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수지상 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여 성숙시킴으로써 강력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무독성의 면역조절제의 개발과 그 물질의 작용기전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은 수지상 세포를 이용한 세포 면역 치료에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결핵균에서 유래한 Rv0315가 수지상 세포를 효과적으로 성숙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Rv0315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 성숙화 유도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단핵구를 미성숙 수지상 세포로 분화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미성숙 수지상 세포에 Rv0315를 처리하여 성숙 수지상 세포로 성숙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성숙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Rv0315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 성숙화 유도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Rv0315 단백질이 결핵균(M.tuberculosis) 유래의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상 세포 성숙화 유도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단핵구를 미성숙 수지상 세포로 분화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미성숙 수지상 세포에 Rv0315를 처리하여 성숙 수지상 세포로 성숙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성숙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미성숙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방법은 분화제로 GM-CSF 및 인터루킨 4를 첨가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성숙 수지상 세포는 CD80, CD86, MHC-클래스 I, II 에 대하여 양성의 면역학적 특성을 나타내며, IL-10 에 비해 IL-12 를 보다 많이 생성한다. Rv0315 처리 농도는 1 ~ 200 μg/ml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상 세포를 성숙시키는 방법에 의해 미성숙 세포가 성숙 수지상 세포로 잘 분화될 수 있어서 신체의 면역 반응을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클로닝을 통해 분리한 Rv0315를 SDS-PAGE를 통해 확인한 것으로 약 32kDa인 Rv0315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Rv0315의 수지상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Rv0315를 처리한 수지상 세포에서 특이적인 단백질표면인자인 CD80, CD86과 MHC class I, II의 발현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4는 Rv0315를 처리한 수지상 세포의 항원 포식 능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Rv0315를 처리한 수지상 세포의 사이토카인 (TNF-α, IL-6, IL-1β, IL-10 및 IL-12) 분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Rv0315를 처리한 수지상 세포에서 신호전달계의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7은 Rv0315를 처리한 수지상 세포의 T세포 자극에 의한 활성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결핵균 (M.tuberculosis)으로부터 유래된 Rv0315 단백질은 294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32-kDa 세포질 항원으로 미생물의 대사활동에 관여하는 단백질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면역세포에 관한 면역반응에 있어서 결핵균 (M.tuberculosis)으로부터 유래된 단백질에 관한 많은 연구가 시행되어 왔지만, Rv0315 단백질에 관한 연구는 알려져 있지 않다.
미숙한 수지상 세포는 성숙하여 성숙한 수지상 세포를 형성한다. 성숙한 수지상 세포는 항원을 포획하고 동시 자극하는 세포 표면 분자 및 각종 사이토카인의 상향-조절된 발현을 나타내는 능력을 상실한다. 특히, 성숙한 수지상 세포는 MHC I형 및 Ⅱ형 항원을 미숙한 수지상 세포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발현시키고, CD (Cluster of Differentiation) 80+, CD83+, CD86+ 및 CD14-을 조절한다. 더 많은 MHC 발현으로 수지상 세포 표면상에서 항원 밀도의 증가를 유도하는 반면, 동시-자극의 분자 CD80 및 CD86의 상향 조절로, T 세포 상에 CD28과 같은 동시-자극의 분자 상응물을 통해서 T 세포 활성 시그날을 강화한다.
본 발명의 성숙한 수지상 세포는 재조합 방법으로 제조된 Rv0315와 접촉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유효량의 재조합 방법으로 제조된 Rv0315는 전형적으로 조직 배양 배지의 1 ㎖당 약 1 ~ 200 μg의 범위이다.
수지상 세포의 성숙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모니터할 수 있다. 세포 표면 마커를 유세포 분석기 (flow cytometry) 및 면역조직화학법 등과 같은 당해 기술분야에 친숙한 검정으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세포를 또한 사이토카인 생성 (예, ELISA, FACS 및 다른 면역 검정)에 을 통해 모니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지상 세포 및 Rv0315 준비
1. 1 수지상 세포의 분리 및 유도
수지상세포는 마우스의 골수세포로부터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제조했다.
C57BL/6마우스로부터 골수 채취용 주사를 이용해 대퇴부 골수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골수를 세척한 후 적혈구를 염화암모늄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분리한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서 RPMI 1640 (10 % FBS(Fetal bovine serum, 송아지 혈청), 2 mM L-글루타민, 100 U/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50 μM 머캅토에탄올, 0.1 mM 비필수 아미노산, 1 mM 피루브산 나트륨, 20 ng/ml GM-CSF, 20 ng/ml IL-4)을 첨가하여 6 일 동안 배양하였다. GM-CSF 및 IL-4은 수지상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1.2 재조합 Rv0315 클로닝
결핵균 게놈 DNA로부터 Rv0315를 분리하여 클로닝하였다. 정방향 프라이머의 (5'- ATATGCCGTCCCGGCCGGCCGCGCCG-3') 및 역방향 프라이머 (5'- AAGCTTAAAGACGCGCACCCAGTCGAC -3')를 이용해 Rv0315 부위를 증폭시켰다. PCR 산물을 BamH1과 EcoRI으로 절단하고, 발현벡터인 pET22b에 삽입하였다. Rv0315 유전자가 삽입된 pET22b 벡터로 형질 전환시킨 E. coli BL21을 37 ºC에서 600 nm에서의 흡광도 (OD)가 0.4 내지 0.5가 되도록 배양한 후에 1 mM의 이소프로필-D-티오갈락토피라노사이드 (IPTG)를 첨가하고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발현된 단백질은 니켈-니트릴로트라이아세트산 (Ni-NTA, Invitrogen, Carlsbad, CA, USA) 아가로즈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에 준하여 정제하였다. 최종적으로 정제한 재조합 단백질은 SDS-PAGE로 분석하였으며, 32 kDa 위치에서 확인하였다 (도 1).
실시예 2. Rv0315 의 세포 독성 확인
Rv0315로 자극한 수지상 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서, 수지상 세포를 10 μg/ml 농도의 Rv0315 또는 대조군으로 1000 ng/ml 농도의 LPS (lipopolysaccharide)를 24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 후 요오드화 프로피듐 (propidium iodide, PI) 및 아넥신-V로 이중 염색하고 유세포분석기 (flow cytometry)를 통해 분석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 μg/ml 농도의 Rv0315는 수지상 세포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이후의 실험은 10 μg/ml 농도의 Rv0315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 3. Rv0315 에 의한 수지상세포의 표면인자 발현 분석
먼저 모든 세포의 성숙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GM-CSF 와 IL-4가 함유된 OptiMEM 배지에서 유지한 후, 수지상 세포에 5 μg/ml 또는 10 μg/ml 농도의 Rv0315 또는 대조군으로 LPS를 24 시간 동안 처리하고 수지상 세포를 회수하였다. 이 후 다양한 세포 표면인자의 항체로 염색한 후 유세포분석기 FACScallibur (Beckson Dikinson, USA)로 분석하였다.
CD11c는 수지상세포에서 선택적으로 발현되는 표면인자이며, CD80, CD86, MHC I, II 등은 수지상세포가 성숙할수록 많이 발현되는 표면인자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Rv0315에 의해 수지상세포에서 CD80, CD86, MHC I, MHC II 와 같은 표면 인자들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Rv0315에 의해 수지상세포의 성숙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Rv0315 에 의한 수지상세포의 항원 취득 능력 분석
미성숙 수지상세포는 항원취득을 잘하지만, 성숙한 수지상세포는 항원취득 능력이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Rv0315 단백질이 수지상세포의 대식 활동 (endocytic activity)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성숙 수지상세포에 5 μg/ml 또는 10 μg/ml 농도의 Rv0315 또는 대조군으로 LPS 를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 mg/㎖의 플루오레신 결합 덱스트란(fluorescein-conjugated dextran) 을 1 시간 동안 처리하고, 콜드 스테이닝 완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 시킨 후 세포를 세척한 후에 수지상세포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CD11c-PE 항체를 이용하여 2중 염색을 하였다. 최종적으로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분석하였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7 ℃에서 배양할 때 미성숙 수지상 세포 (대조군)의 항원취득도는 31.63 % 인데 반해,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PS)가 처리된 수지상 세포의 항원취득도는 19.18 %로 감소하였으며, Rv0315로 처리된 수지상 세포의 항원취득도는 농도에 따라서 24.56, 24.14 %로 감소하였다. 덱스트란의 수지상 세포에 대한 비특이적 결합을 측정하기 위해서 4 ℃에서도 측정하여 결과값을 보정하였다. 이를 통해 Rv0315 처리에 의해 수지상세포의 성숙도가 증가하였음을 기능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Rv0315 가 수지상 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수지상 세포의 성숙 여부에 따라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의 종류가 달라진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수지상 세포에 5 μg/ml 또는 10 μg/ml 농도의 Rv0315 또는 대조군으로 LPS 를 처리한 후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TNF-α, IL-6, IL-1β, IL-10 및 IL-12 에 대한 ELISA 키트(BD PharMingen, USA)에 적용하여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IL-12와 IL-10은 수지상 세포에서 분비되는 주요 사이토카인으로 각각 T 세포가 Th1과 Th2로 분화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IL-12는 대표적인 Th1형 사이토카인이며, IL-10은 활성화 된 단핵구, NK 세포 및 Th1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사이토카인 (IL-12 포함)의 활성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IL-12가 증가했고 전염증 사이토카인인 TNF-a, IL-6, IL-1β 또한 증가하였으므로, Rv0315가 수지상 세포를 성숙하게 하여 사이토카인의 양에 변화를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IL-10의 분비에는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이지 않아, Rv0315가 수지상 세포를 Th1형 세포로 편향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 Rv0315 가 수지상 세포의 신호전달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수지상세포는 성숙과정 중에 ERK, JNK, p38 등의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및 NF-κB(nuclear factor-kappa B) 신호전달계가 활성화된다고 알려져 있다.
미성숙 수지상 세포에 Rv0315를 5 분, 15 분, 30 분, 60 분간 처리한 후, 세포를 파괴하여 단백질을 모두 분리하고, 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및 NF-κB (nuclear factor-kappa B) 신호전달계와 관련된 인자인 ERK, JNK, p38, IkB-α의 인산화 및 분해 여부를 확인하였다. 단백질양은 특정항체를 이용하는 웨스턴 블랏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산화되어 있는 p-p38, p-ERK, p-JNK의 양이 Rv0315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p-IkB-α가 증가하고 IkB-α는 분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Rv0315는 수지상세포의 MAPK 및 NF-κB 신호 전달 체계에 관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Rv0315 로 성숙 유도된 수지상 세포의 T세포 활성 분석
성숙 수지상 세포의 생체 내에서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T 림프구의 활성을 유도하는 것이다. Rv0315 로 유도된 수지상 세포가 항원 특이적 세포독성 T 림프구 (Cytotoxic T Lymphocyte, CTL) 반응을 강화하고 종양을 처리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밝히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활성화 된 T 림프구는 증식 속도가 증가하며 인터페론 감마의 분비가 증가되어 주변의 다른 T 림프구의 활성을 돕고 면역 작용을 활발하게 일으켜 항원을 제거한다.
BALB/c 마우스 비장으로부터 분리된 CD4+ 및 CD8+ 세포를 C57BL/6 로부터 유래된 Rv0315 처리 수지상 세포와 함께 배양한 후 T 세포의 증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Rv0315으로 처리한 경우 대조군 (Con)에 비해 T 세포의 증식 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Rv0315는 수지상세포의 T 세포의 증식에 의한 면역 활성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Rv0315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 성숙화 유도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v0315 단백질은 결핵균 (M.tuberculosis) 유래의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상 세포 성숙화 유도 조성물.
  3. (a)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단핵구를 미성숙 수지상 세포로 분화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미성숙 수지상 세포에 Rv0315를 처리하여 성숙 수지상 세포로 성숙화 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성숙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GM-CSF 및 인터루킨-4를 첨가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성숙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수지상 세포는 CD (Cluster of Differentiation)80, CD86, 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클래스 I, II 에 대하여 양성의 면역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성숙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수지상 세포는 인터루킨-10에 비해 인터루킨-12를 보다 많이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성숙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Rv0315의 처리 농도는 1 내지 200 μg/m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성숙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방법.
KR1020110021906A 2011-03-11 2011-03-11 결핵균의 Rv0315 단백질을 이용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방법 KR101244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906A KR101244245B1 (ko) 2011-03-11 2011-03-11 결핵균의 Rv0315 단백질을 이용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906A KR101244245B1 (ko) 2011-03-11 2011-03-11 결핵균의 Rv0315 단백질을 이용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927A KR20120103927A (ko) 2012-09-20
KR101244245B1 true KR101244245B1 (ko) 2013-03-18

Family

ID=4711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906A KR101244245B1 (ko) 2011-03-11 2011-03-11 결핵균의 Rv0315 단백질을 이용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2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523A (ko) * 2009-04-07 2010-10-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종 파라투버클로시스의 fap로 미성숙 수지상 세포를 성숙화 유도 및 1형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523A (ko) * 2009-04-07 2010-10-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종 파라투버클로시스의 fap로 미성숙 수지상 세포를 성숙화 유도 및 1형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927A (ko)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165B1 (ko) 말초혈액단핵구 유래 자연 살해세포의 유도 및 증식 방법
EP2322603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iming monocytic dendritic cells and T cells for Th1 response
Weigt et al. Synthetic mycoplasma-derived lipopeptide MALP-2 induces maturation and function of dendritic cells
KR101415039B1 (ko) 자기유래 활성화 림프구의 대량 증식을 위한 배지 조성물 및 배양방법
Felzmann et al. Semi-mature IL-12 secreting dendritic cells present exogenous antigen to trigger cytolytic immune responses
JP5856025B2 (ja) 単球またはnk細胞を入手する方法
KR101452983B1 (ko) 결핵균의 Rv2005c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용 조성물
JP6343755B2 (ja) G−csfを用いた樹状細胞の調製方法
JP6283347B2 (ja) 成熟樹状細胞集団の製造方法
KR101270999B1 (ko) 결핵균의 Rv2299c 단백질을 이용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방법
KR101221590B1 (ko) 결핵균의 rv0351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촉진용 조성물
KR101126408B1 (ko)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종 파라투버클로시스의 fap로 미성숙 수지상 세포를 성숙화 유도 및 1형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
KR101264821B1 (ko) 결핵균의 Rv0577 단백질을 이용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방법
KR101264811B1 (ko) 마이코박테리움 압세수스의 MAB0981c 단백질을 이용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방법
KR101244245B1 (ko) 결핵균의 Rv0315 단백질을 이용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방법
JP5717116B2 (ja) 抗原特異的ヒトTh17細胞を調整する方法
KR101270997B1 (ko) 마이코박테리움 파라튜버큘로시스의 map1948 단백질을 이용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방법
CN110585427A (zh) 提高机体免疫力的组合物及在抗成人t细胞白血病或鼻咽癌中的应用
KR101447132B1 (ko) 결핵균의 RpfB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용 조성물
JPWO2005007839A1 (ja) ノッチリガンドDelta−1、GM−CSF、TGF−βを用いたヒト末梢血単核球であるCD14陽性細胞からのランゲルハンス細胞の調製方法
WO2024085085A1 (ja) Nkt細胞を刺激する樹状細胞からなる樹状細胞製剤の製造方法
KR101452986B1 (ko) 마이코박테리움 파라튜버큘로시스의 map1305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용 조성물
KR101087033B1 (ko) 결핵균의 rv0652단백질을 이용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방법
KR101172874B1 (ko) HspX를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촉진용 조성물
Van den Bergh et al. Enabling interleukin-15 transpresentation in human monocyte-derived dendritic cells by co-electroporation of IL-15 and IL-15Rα mR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