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013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013B1
KR101244013B1 KR1020110107023A KR20110107023A KR101244013B1 KR 101244013 B1 KR101244013 B1 KR 101244013B1 KR 1020110107023 A KR1020110107023 A KR 1020110107023A KR 20110107023 A KR20110107023 A KR 20110107023A KR 101244013 B1 KR101244013 B1 KR 101244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unit
lens
vehicl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태범
이진규
김철숙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07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21S41/63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moving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60Heating of lighting devices, e.g. for demi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6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7Array of lenses or refra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for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빛을 발생하는 램프 및 상기 램프에서 발생한 빛을 차량 전방으로 투과시키는 렌즈를 포함하는 램프부; 상기 렌즈 하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램프의 작동에 의해 발열되고, 상기 램프가 오프(OFF)되면 상기 램프의 잔열에 의해 상기 렌즈 표면에 자연대류를 형성시키는 발열부; 및 상기 램프부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램프가 오프되면 상기 램프부의 온도 하강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온도가 하강되어 표면에 습기가 형성되는 응축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램프가 개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램프 내에는 고온의 자연대류가 발생하여 응축부의 온도가 하강하는 속도가 램프보다 빠르기 때문에 응축부에 수분이 응결되어 램프에는 습기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램프의 수명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AN AUTOMOTIVE LAPM}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용 램프에 습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램프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램프는 전조등이라고 하여 차량의 전방, 좌우 양측으로 장착되어 야간에 어두운 도로를 주행하거나 우천시에 차량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해 차량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차량용 램프를 작동하게 되면 벌브의 발열로 인하여 그 주위의 내부 공기가 가열되고 온도가 높아지게 되는데, 차량 주행이 완료되면 램프 작동도 정지되면서 램프 주변의 온도도 하강하게 된다.
이때, 차량용 램프 내부의 공기는 램프에 남아 있는 잔열로 소정 시간은 고온으로 유지하지만, 렌즈 표면은 외부의 찬 공기가 직접적으로 닿아 램프의 온도 변화보다 빠른 속도로 그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그 결과, 렌즈 안쪽면과 바깥면의 온도 차이에 의하여 렌즈 안쪽면에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주변에 발열부를 형성하여 렌즈 내부 온도가 급격히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렌즈에 습기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램프와 인접하게 알루미늄 또는 열전도도가 알루미늄 보다 높은 응축부를 제공하여 렌즈 내의 온도가 하강 시간보다 빠른 시간으로 온도가 하강되어 응축부 표면에 습기가 생성되게 하여 램프 및 렌즈에 습기 생성을 방지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빛을 발생하는 램프 및 상기 램프에서 발생한 빛을 차량 전방으로 투과시키는 렌즈를 포함하는 램프부와, 상기 렌즈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램프의 작동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부와, 알루미늄 또는 열전도도가 알루미늄 보다 높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램프가 오프되면 상기 램프부의 온도 하강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온도가 하강되어 표면에 습기가 형성되는 응축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라고 전제하에,
상기 구성에 따른 상기 응축부는 상기 램프부 상단에 상기 차량의 프레임과 상기 렌즈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것과, 상기 발열부는 히트 파이프(Heat Pipe) 또는 히트 싱크(Heat Sink)로 형성되고, 상기 램프가 오프(OFF)되면 상기 램프의 잔열에 의해 상기 램프부 내의 대기를 상기 렌즈 표면에 자연대류를 시키도록, 상기 램프부 바닥면에서부터 상기 램프부 하부의 양단까지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차랑용 램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렌즈 내측에 발열부를 형성하고 램프 작동에 의해 가열된 발열부에 의하여 렌즈 안쪽면에 고온의 자연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렌즈 내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되어 렌즈 표면에 습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발열부가 렌즈 하부 양단까지 형성되어 렌즈 안쪽면 전체에 고온의 자연대류가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외부의 찬 공기와 렌즈가 접촉하여도 렌즈 안쪽면의 공기가 급격히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렌즈에 습기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열부는 습기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렌즈 하부 양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렌즈 하부 양단의 습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램프와 인접하게 알루미늄 또는 열전도도가 알루미늄 보다 높은 응축부를 위치시켜 렌즈 내의 온도가 하강하는 시간보다 빠르게 온도가 하강되어 응축부 표면에 습기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램프 및 렌즈 표면에 습기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여 차량용 램프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차량에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차량에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차량용 램프의 작동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램프부(120), 발열부(140) 및 응축부(160)를 구비한다.
상기 램프부(120)는 차량(50)이 주행할 때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빛을 발생하는 램프(122) 및 램프(122)에서 발생한 빛을 차량(50) 전방으로 투과시키는 렌즈(128)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122)는 차량(50)이 주행할 때, 야간이나 우천시에 작동할 수 있으며, 렌즈(128)는 램프(122)에서 발생한 빛을 차량(50) 전방으로 조사할 수 있다.
한편, 발열부(140)는 렌즈(128) 하단부에 구비되며, 램프(122)의 작동에 의해 발열되고, 램프(122)의 작동이 중단되면 램프(122)에 남아있는 잔열에 의해 렌즈(128) 표면에 자연대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차량(50)이 주행하면서 날씨나 환경에 따라 램프부(120)가 작동하게 되는데, 램프부(120)의 작동에 의하여 렌즈(128) 안쪽의 공기가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공기는 발열부(140)를 가열시킬 수 있다.
이때 차량(50)이 주행을 중지하면 램프부(120)의 작동도 중지되는데 발열부(140)는 가열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온도가 유지된 발열부(140)는 렌즈(128)에 고온의 대류를 형성하여 램프부(120)의 온도가 급격하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고온의 대류는 렌즈(128)의 온도가 급격히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여 렌즈(128) 표면에 습기가 응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 결과 램프부(120)에 습기가 발생하여 램프(122)에 수분이 접촉하여 램프(122)의 파손을 방지하여 나아가 램프부(120)의 내구성과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발열부(140)는 램프부(120) 바닥면에서부터 램프부(120) 하부의 양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램프부(120) 하부의 양 단의 차량(50) 외부와 직접적으로 맞닿는 곳으로 온도 변화가 쉽게 일어나는 공간이다. 이러한 공간에 발열부(140)을 장착함으로써, 고온의 열기가 램프부(120) 양단까지 전달되어 외부의 찬 공기에도 램프부(120) 내부의 온도 변화가 서서히 일어날 수 있게 하여 램프부(120) 하부의 양단에 습기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부(140)는 램프(122)와 인접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발열부(140)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기를 렌즈(128) 표면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램프(122)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기와 접촉이 용이하기 위함이다. 이와 더불어, 발열부(140)는 렌즈(128) 표면에도 형성되어 고온의 열기가 렌즈(128) 표면에 전달될 수 있게 하여 램프부(120)가 작동하지 않아도 고온의 열기가 렌즈(128) 표면을 달구어 자연대류가 형성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열부(140)는 램프(122)에서 발생한 고온의 열기로 가열될 수 있도록 히트 파이프(heat pipe) 또는 히트 싱트(heat sink)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140)는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예시적으로 램프와 인접하게 형성된 발열부는 작동하는 램프의 열기로 용이하게 가열되고, 램프부 내부의 넓은 면적을 가열시키기 위하여 히트 싱크로 형성되고, 렌즈에 형성된 발열부는 렌즈 하단의 양단까지 가열되기 위하여 히트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열부(140)에 의하여 렌즈(128) 표면에는 고온의 자연대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렌즈(128) 표면의 온도가 급격히 하강하여 습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발열부(140)의 잠열 또한 소정시간이 지나면 그 온도가 하강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렌즈(128) 표면의 온도가 하강하게 되어 습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습기가 렌즈(128) 표면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램프부(120) 상단에는 응축부(160)가 구비된다.
상기 응축부(160)는 램프부(120) 상단에 위치하며, 램프(122)의 작동이 중지되면 램프부(120)의 온도 하강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온도가 하강되어 표면에 습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부(160)는 차량(50)의 프레임과 램프부(120)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50)의 프레임과 램프부(120) 사이에는 운전자가 차량(50) 전방을 응시하여도 보이지 않은 비가시구역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비가시구역 공간에 응축부(160)를 위치시킴으로써, 응축부(160)에 습기가 형성되어도 형성된 습기를 노출시키지 않기 위한 별도의 코팅면, 형성된 습기를 흡수하기 위한 별도의 제습제 등을 구비시키지 않아도 된다. 더불어, 상기 차량(50)의 프레임과 램프부(120) 사이 공간은 외부와 맞닿아 있기 때문에 형성된 습기가 쉽게 자연 건조되어 응축부(160)를 세척하거나 교체할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부(160)는 램프부(120)의 온도 하강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온도가 하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응축부(160)는 알루미늄 또는 열전도도가 알루미늄 보다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응축부(160)는 램프부(120)의 온도가 하강하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온도가 하강하여 주변의 온도보다 낮아질 수 있다. 그 결과 일정 시간이 지나도 발열부(140)는 응축부(16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주변보다 온도가 낮은 응축부(160)에 물기가 응결되어 습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램프부(120)의 렌즈(128) 및 램프(122)에는 습기가 형성을 차단함으로써 램프부(120)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램프 120: 램프부
140: 발열부 160: 응축부

Claims (5)

  1. 빛을 발생하는 램프 및 상기 램프에서 발생한 빛을 차량 전방으로 투과시키는 렌즈를 포함하는 램프부와, 상기 렌즈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램프의 작동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부와, 알루미늄 또는 열전도도가 알루미늄 보다 높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램프가 오프되면 상기 램프부의 온도 하강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온도가 하강되어 표면에 습기가 형성되는 응축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는 상기 램프부 상단에 상기 차량의 프레임과 상기 렌즈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것과;
    상기 발열부는 히트 파이프(Heat Pipe) 또는 히트 싱크(Heat Sink)로 형성되고, 상기 램프가 오프(OFF)되면 상기 램프의 잔열에 의해 상기 램프부 내의 대기를 상기 렌즈 표면에 자연대류를 시키도록, 상기 램프부 바닥면에서부터 상기 램프부 하부의 양단까지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107023A 2011-10-19 2011-10-19 차량용 램프 KR101244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023A KR101244013B1 (ko) 2011-10-19 2011-10-19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023A KR101244013B1 (ko) 2011-10-19 2011-10-19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013B1 true KR101244013B1 (ko) 2013-03-15

Family

ID=4818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023A KR101244013B1 (ko) 2011-10-19 2011-10-19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363A1 (ko) * 2015-09-03 2017-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066Y1 (ko) * 1992-12-23 1998-10-01 전성원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 제거장치
JP2003151342A (ja) * 2001-11-19 2003-05-23 I P F Kk 車両用灯具の結露防止装置
KR20040049953A (ko) * 2002-12-05 2004-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습기제거수단이 구비된 헤드램프
JP2009021245A (ja) * 2007-07-13 2009-01-29 Valeo Vision 自動車用前照灯システムの除湿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る前照灯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066Y1 (ko) * 1992-12-23 1998-10-01 전성원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 제거장치
JP2003151342A (ja) * 2001-11-19 2003-05-23 I P F Kk 車両用灯具の結露防止装置
KR20040049953A (ko) * 2002-12-05 2004-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습기제거수단이 구비된 헤드램프
JP2009021245A (ja) * 2007-07-13 2009-01-29 Valeo Vision 自動車用前照灯システムの除湿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る前照灯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363A1 (ko) * 2015-09-03 2017-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485B1 (ko) 방열성능이 개선된 조사각 가변용 헤드램프장치
JP2009187707A (ja) 車両用灯具
KR20150015901A (ko) 플렉시블 기판을 이용한 자동차용 led 램프 모듈 및 그 방열 구조
CN105209822B (zh) 车辆用灯具
CN106838762A (zh) 一种汽车前照灯
KR101332334B1 (ko) 엘이디 조명등의 방열구조 및 그것이 적용된 발광방열모듈
KR101244013B1 (ko) 차량용 램프
KR101631227B1 (ko) 자동차용 엘이디 조명장치
CN204285239U (zh) Led车灯和采用该led车灯的车辆前组合灯
KR101072715B1 (ko) 램프용 습기제거장치
KR101257654B1 (ko) 자연순환 방열장치
TWM502787U (zh) 具有散熱模組之led車燈
JP2012155967A (ja) 車両用灯具
KR102096915B1 (ko) 조명장치
KR20170070654A (ko) Led조명용 방열모듈
JP6762865B2 (ja) 車両用灯具の放熱構造
CN202733672U (zh) Led光源路灯
JP2016167362A (ja) 照明装置
CN205480579U (zh) 一种可变角嵌入式筒灯
JP3160713U (ja) 霧及び結露発生防止機能を備えるled自動車ランプ構造
US11603978B2 (en) Automotive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ment thereof
JP2019194948A (ja) 車両用灯具および運転支援装置
CN206055357U (zh) 瓦楞灯
KR101407621B1 (ko) Led 방열 및 저온구동을 위한 장치
CN213334202U (zh) 一种具有防晃动机构的汽车车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